KR101009474B1 - 오배수 통기밴트 - Google Patents

오배수 통기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474B1
KR101009474B1 KR1020100086826A KR20100086826A KR101009474B1 KR 101009474 B1 KR101009474 B1 KR 101009474B1 KR 1020100086826 A KR1020100086826 A KR 1020100086826A KR 20100086826 A KR20100086826 A KR 20100086826A KR 101009474 B1 KR101009474 B1 KR 10100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pipe
seat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미
Original Assignee
(주) 스튜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튜더 filed Critical (주) 스튜더
Priority to KR102010008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474B1/ko
Priority to CN201180001504.XA priority patent/CN102753764B/zh
Priority to PCT/KR2011/006350 priority patent/WO201203329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03C1/1225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of air admittanc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이며, 상기 통기밴트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와;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와; 상기 에어유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로 구성되며, 에어유입구에는 에어시트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통기밴트를 설치하더라도 공기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시트를 잡아주는 3개소의 고정핀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세면기, 양변기, 싱크대 등 위생기구의 각각에 대한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및 인건비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나 시공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배수 통기밴트{Air Vent for Sewage and Waste Water Line}
본 발명은 오·배수관에 사용되는 오·배수용 통기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배수 배관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부족한 공기를 자동으로 보충하여, 찌거기나 오염물질의 퇴적에 의한 배관의 막힘 현상이나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통기밴트 장치이며, 오·배수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의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오배수 통기밴트 내의 에어시트를 밀어 올려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장치이고, 특히 수직으로 설치하지 않아 기울여졌을 때도 재역할을 함으로써 천정 내와 같은 수직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경사지게 설치하면 되는 장점을 가진 오배수 통기밴트에 관한 것이다.
오·배수 배관 내에는 공기가 정상적이고 계속적인 유입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배수관로의 일부에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부위의 배수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이와 연결된 주변배수관의 기능도 저하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 같이 통기관이란 양변기나 세면기 싱크 등 위생기구 사용 후 물을 내리면 거침없이 내려가도록 물과 공기흐름을 자연상태처럼 만들어주는 공기 전용 배관이다.
통기의 목적을 첫째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둘째 배수관 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셋째 배수관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치된 관 또는 그 계통을 통기관 또는 통기 계통이라 한다. 이중 통기관의 주요한 역할은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일이다.
이러한 통기관의 배관 방법은 첫째 1관식 배관법 (single pipe system)으로최고층의 기구 배수관의 접속점에서 위쪽의 수직관을 통기관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2~3층 정도의 작은 건물에서 기구수가 적을 경우에 쓰인다. 이 통기관 부분을 신정 통기관 또는 배수 통기관이라 한다.
둘째 방법은 2관식 배관법(double pipe system)으로 배수관과 통기관을 각각 배관하는 방법으로 기구수가 많고 트랩의 봉수도 파괴되기 쉬운 고층 건물에 많이 사용한다. 2관식 배관법에는 통기관의 접속 방법에 따라 각개 통기식, 회로 통기식, 환상 통기식이 있다.
각개 통기식(individual vent type)은 3층과 같이 기구 트랩 각각에 통기관을 빼내는 방법으로, 각 위생 기구 트랩이 그 본래의 목적을 다할 수 있고 또, 배수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시공 및 공사비의 불리한 점으로 인해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각개 통기식은 통기관을 기구 뒷면의 벽 속이나 그 뒤쪽의 배관설비 혹은 그 바닥 밑의 배수관에 세우기 때문에 배면통기관이라고도 한다.
회로 통기식(circuit vent type)은 1,2,4층에서와 같이 2개 이상의 기구에 1개의 통기관을 빼내어 통기수직주관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루프 통기식이라고도 한다. 루프 통기식에 의해 통기되는 기구수는 8개 이내이며, 통기 수직 주관과 가장 먼 기구까지의 거리는 7.5m이내로 하고, 이 방식에서 배수 수평관은 통기관의 역할을 겸하므로 습식 통기관이라고도 한다.
회로 통기에서 2개의 이상의 기구가 동시에 사용될 때, 또는 위층에서 배수 주관으로 흘러내리는 배수때문에 배수 트랩에 역압이 생기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 수평 지관의 기구와 배수관 접속점 부분 바로 아래에 도피 통기관을 설치하는데 관경은 배수관의 1/2이상이 되어야 하며, 최소 32mm이상이 되어야 한다.
환상 통기식(loop vent type)은 2개의 기구 트랩을 일괄하여 통기하기 위해 최상류의 기구 배수관이 배수 횡지관에 접속 한 점의 바로 하류에서 시작하여 통기 입상관에 접속하는 것을 회로 통기관이라 하며, 신정 통기관에 접속하는 것을 환상 통기관이라 한다.이 양자를 합하여 루프(loop)통기관이라 한다.
섹스티아(sewtia) 배수방식은 프랑스에서 1967년경 개발된 것으로 각층의 배수 수직관과 수평 분기관이 합류되는 지점에 섹스티아 이음쇠와 배수 수평 주관에 설치하는 섹스티아 곡관으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섹스티아 이음쇠로서 수평 분기관의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관내 통기홀을 만들도록 되어 있고,섹스티아 곡관은 수직관에서 내려온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공기홀이 지속되도록 만든 것이다.
솔벤트 방식(sovent drainage system)은 1961년 스위스인 프리츠 소머(Fritz Sommer)에 의해 개발된 방법으로 각층의 배수 수직관의 공기 혼합 이음쇠와 배수 수평 분기관 및 배수 수직관의 기초 부분의 공기 분리 이음쇠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은 공기 혼합 이음쇠는 수직관 안에서 배수와 공기를 억제시키고 배수수평 분기관으로 부터 들어오는 배수와 공기를 수직관 안에서 혼합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 분리 이음쇠는 배수가 배수 수평 주관에 쉽게 들어 갈 수 있도록 공기와 물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해서 배수 수직관 내부에 공기 코어를 연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전술한 통기관 방식에 의한 통기는 자재와 인건비가 많이 들고 또한 통기관의 최상단은 외부로 빼서 냄새가 실내에 배기되는 것을 막아야 하므로 슬라브를 관통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통과되는 슬라브 부분의 방수에도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현재는 자동통기밸브가 나와서 사용하는 단계에 있으나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설치에 제약이 따르고 있는 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배수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배수관 내의 오·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배수관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오작동에 의해 오·배수관 내의 냄새가 실내로 누설되지 않으며, 설치 공간의 부족으로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오·배수용 통기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이며, 상기 통기밴트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와; 상기 에어유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부는 상기 에어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과, 상기 외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부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에는 상기 에어시트의 외측이 고정되어 상기 에어시트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통기밴트를 설치하더라도 공기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시트를 잡아주는 3개소의 고정핀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시트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의 숫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상기 어댑터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이다.
이와 같은 오배수 통기밴트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세면기, 양변기, 싱크대 등 위생기구의 각각에 대한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및 인건비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나 시공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의 전체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본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어댑터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1 실시예 에어시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실링시트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평형유지 지지대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시트작동가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1 실시예 에어시트 고정방법도 및 공기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닫혔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열였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닫혔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열였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상부캡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상부캡 상세도
도 2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세면기에 적용예도
도 21은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 시스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통기밴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A)이다.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1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14)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는 상기 에어시트(14)의 외측이 고정되어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더라도 공기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시트(14)를 잡아주는 3개소의 고정핀(122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시트(14)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 안착되는 외경 부분의 두께는 3~7mm이며 나머지 부분의 두께는 0.5~2.0mm 이다.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이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통기밴트(A)는 상기 고정핀(1221)로 상기 에어시트(14)를 고정시켜주므로 소구경 배관이나 직경 100mm 이상의 메인배관에도 상기 에어시트(14)의 이탈이나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1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14)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시트(14)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에어시트면(14)의 두께는 0.5~2.0mm 이다.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지 않고 수직으로 들려져 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에어시트 가이드(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시트(14)가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통기밴트(A)는 직경 50mm 이하의 강력한 음압의 발생이 없는 소규모 배관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이유는 상기 에어시트(14)의 보강이 없이 상기 에어시트(14) 자체의 강도로 작동하기 때문이며, 직경 100mm 이상의 배관에 사용할 시는 상기 에어시트(14)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유닛(1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은 에어를 실링하는 실링시트(151)와, 상기 실링시트(151)의 변형과 이탈방지를 위한 평형유지 지지대(152)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시트(151)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에 중공(1511)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와 연결시키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512)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시트(151)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실링시트(151)의 두께는 0.5~2.0mm 이다.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크기가 축소되는 3개의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실링시트(151)의 고정돌기(1512)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편(1522)과, 상기 상부캡(2)을 따라 오르내릴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시트작동가대(152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뒤틀리지 않고 수직으로 들려져 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에어시트 가이드(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통기밴트(A)는 직경 100mm 이상의 메인 배관에 사용하여 강력한 음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링시트(151)가 파손되거나 변형이 생기지 않고 시트평형을 유지해주며 본체에서 이탈을 방지해 안전한 통기밴트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의 전체 조립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본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통기밴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어댑터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1 실시예 에어시트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상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실링시트 상세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평형유지 지지대 상세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시트작동가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1 실시예 에어시트 고정방법도 및 공기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닫혔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2 실시예 에어시트 열였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닫혔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에어시트유닛 열였을 때의 작동도 및 공기 흐름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상부캡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상부캡 상세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세면기에 적용예도이고, 도 21은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 시스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은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A)이며,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선박, 유람선, 건축물 등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기, 통기의 유통을 덕트나 파이프를 통하여 진행되는 공기유입을 외부로부터 무단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대기 중의 공기가 간섭받지 않은 체 유입되면서 각종 오염균, 오염기체, 황사, 화산재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유람선이나 선박의 경우 염분이 많은 바다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내부 설비배관, 위생기구, 전자 전기 회로 기판 등의 부식을 줄일 수 있어 보이지 않는 피해와 오염까지 줄여주며 각종 배관과 덕트설비를 줄임으로 하중과 중량이 줄어 2차효과까지 있으며 찬공기의 직접적인 유입을 방지하므로 난방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배수배관 및 샤워시설, 세면기에서 흘러 가는 배수가 트랩을 지나면서 막히거나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아주 막대한 역할을 기능을 갖추고 있어 다양하게 쓰여질 수 있다.
내부의 통기구나 환기구가 외부와 직결이 되어있어 침몰시 바닷물이 삽시간에 천체로 유입되어 많은 인명, 물적 피해를 볼 수 있듯이 유입구가 외부와 직렬되는 것을 피하고 내부의 공기를 트랩이나 배수관에 연결시켜 내부배관은 내부공기 만으로 처리할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한 고효율적인 시스템입니다.
도 3과 도4와 도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1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14)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망(132)는 하부로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제작되어 어망과 같이 유입은 쉽게 되나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방지망(132)를 빠져나가지는 어렵게 만들어 오·배수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빠져나가서 상기 에어시트(14)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물질방지망(132)의 크기는 가로 2.0~5mm, 세로 3~7mm로 형성되어 이물질에 의한 막힘과 이물질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구(121)는 7~10개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가 상기 하부몸체(11)의 위에 형성될 때 보강 격벽 역할을 하여 강도를 가지게 하는 역할하며 상기 에어유입구(121)의 내부에는 상기 이물질방지망(132)과 같은 가로 2.0~5mm, 세로 3~7mm의 망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는 상기 에어시트(14)의 외측이 고정되어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더라도 공기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시트(14)를 잡아주는 3개소의 고정핀(12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밴트(A)의 작동원리는 오·배수관 내부가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통기밴트(A)의 외부는 1013mm bar의 대기압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오·배수관 내부보다 외부가 압력이 높아 이 대기압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를 밀어 올리면서 상기 에어유입구(121)을 통해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간다.
상기 오·배수관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적어지면 상기 에어시트(4)가 닫기기 시작하며 상기 압력차가 에어시트(4)의 중력보다 적으면 하중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가 닫혀서 상기 이물질방지부(13)의 내부에어시트면(1311)과 상기 에어시트(4)의 제2시트면(143)이 실링 역할을 하여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아 상기 오·배수관 내의 악취가 실내로 나오지 않게 되며, 상기 오·배수관 내부가 양압이 걸릴 때는 더욱 더 실링이 잘되므로 악취가 새어나가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오·배수라인은 과거에는 캐스트 아이언(주철)이나 닥타일 아이언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요사이는 대부분 PVC 제품이나 스테인레스 제품을 사용하므로 상기 소켓부(33)과의 연결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PVC용접이나 나사식으로 회전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4)는 상기 고정핀(1221)에 의해 외경 가장자리 3개소가 고정되고 내경 쪽이 들려서 공기가 유입되고 닫히면 공기가 차단되며, 이와같이 상기 고정핀(1221)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므로 상기 통기밴트(A)를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아도 작동에 문제가 없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다.
상기 통기밴트(A)는 대부분 배관 체이스 같은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수직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존에 나온 통기밴트의 큰 문제점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상기 에어시트(14)에는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과 접합하는 제1시트면(142)과, 상기 내부에어시트면(1311)과 접합하는 제2시트면(14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시트(14)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시트(14)를 보강하기 위한 2~3개의 보강링(144)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시트(14)의 재질은 오·배수관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수시로 굽혀졌다 펴졌다 하면서 공기가 유입되고 닫히고 하는 작용에 의해 열화되거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특수 실리콘 라버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에어시트(14)의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핀(1221)으로 고정되는 외경 부분의 두께는 3~7mm이며 나머지 부분의 두께는 0.5~2.0mm 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과 접합하는 제1시트면과, 상기 내부에어시트면(1311)과 접합하는 제2시트면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시트(14)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시트(14)를 보강하기 위한 2~3개의 보강링(144)이 형성된다.
즉 제2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4)는 상기 상부캡(2)의 에어시트 가이드(21)을 따라 움직이므로 뒤틀리거나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통기밴트(A)를 수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에어시트(14)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에어시트면(14)의 두께는 0.5~2.0mm 이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은 에어를 실링하는 실링시트(151)와, 상기 실링시트(151)의 변형과 이탈방지를 위한 평형유지 지지대(152)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시트(151)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에 중공(1511)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와 연결시키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512)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시트(151)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실링시트(151)의 두께는 0.5~2.0mm 이다.
상기 고정돌기(1512)에는 상기 연결편(1522)의 고정돌기 삽입홀(1522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턱(15121)이 형성된다.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크기가 축소되는 3개의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실링시트(151)의 고정돌기(1512)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편(1522)과, 상기 상부캡(2)을 따라 오르내릴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시트작동가대(152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편(1522)에는 상기 고정돌기(1512)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삽입홀(15221)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작동가대(1523)에는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가 삽입되어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가이드 홈(15231)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시트(151)의 상기 고정돌기(1512)를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의 상기 연결편(1522)에 방향을 맞추어 끼워 결합하여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을 결합완료하고,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을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와 상기 내부에어시트면(1311)의 위에 올려 놓은 후 상기 시트작동가대(1523)의 가이드홈(15231)에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상부캡(2)를 돌려 조립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므로,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에 형성된 상기 시트작동가대(1523)의 수량과 상기 상부캡(2)에 형성된 에어시트 가이드(21)의 수량은 동일하여야 한다.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은 직경 100mm 이상의 메인배관에 사용하여 강력한 음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링시트(151)가 파손되거나 변형이 생기지 않고 시트평형을 유지해주며 본체에서 이탈을 방지해 안전한 통기밴트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14)의 고정방법과 공기흐름을 나타내며 도 13-1은 오·배수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 즉 양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시트(14)가 닫힌 것을 도시하며, 도 13-2는 배수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즉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시트(14)가 열려서 외부 공기가 오·배수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에어시트(4)는 상기 고정핀(1221)에 의해 외경 가장자리 3개소가 고정되며, 내경 쪽이 들려서 공기가 유입되고, 닫히면 공기가 차단되며, 이와같이 상기 고정핀(1221)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므로 상기 통기밴트(A)를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아도 작동에 문제가 없다.
도 13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통기밴트(A)의 작동원리는 오·배수관 내부가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통기밴트(A)의 외부는 1013mm bar의 대기압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오·배수관 내부보다 외부가 압력이 높아 이 대기압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를 밀어 올리면서 상기 에어유입구(121)을 통해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간다.
상기 오·배수관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적어지면 상기 에어시트(4)가 닫기기 시작하며 상기 압력차가 에어시트(4)의 중력보다 적으면 하중에 의해 상기 에어시트(4)가 닫혀서 상기 이물질방지부(13)의 내부에어시트면(1311)과 상기 에어시트(4)의 제2시트면(143)이 실링 역할을 하여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아 상기 오·배수관 내의 악취가 실내로 나오지 않게 되며, 상기 오·배수관 내부가 양압이 걸릴 때는 더욱 더 실링이 잘되므로 악취가 새어나가지 않는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에어시트(14)의 작동도로서 상기 에어시트(14)가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우측은 배관 내가 음압이 걸려서 외부 쪽이 대기압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에어시트(14)를 밀고 올라가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냈으며, 좌측은 외부와 배관 내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거나 양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시트(14)가 내려 앉아 닫혀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제2실시예도 상기 에어시트(14)가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완전히 수직으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거나 하여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배관내의 양압과 음압을 발생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원리와 동일하다.
상기 에어시트유닛(15)에 형성된 시트작동가대(1523)의 가이드홈(15231)에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가 삽입되므로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을 타고 오르내리므로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가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이탈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을 타고 오르내리는 구조는 제2실시예와 대동소이하고 직경 100mm 이상의 메인배관의 대구경에 사용하므로 상기 에어시트(14)를 상기 에어시트유닛(15)로 보강하여 변형이나 이탈이 없게 제작된 것이다.
즉 완전히 수직으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뒤틀리거나 하여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8 및 도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부캡(2)에는 도 14와 도 15의 제2실시예의 상기 에어시트(14) 및 도 16과 도 17의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뒤틀리지 않고 수직으로 들려져 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에어시트 가이드(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시트(14) 및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이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통기밴트(A)를 세면기(L)에 적용한 것으로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지 않으면, 배관 내가 진공이 걸릴 때는 물이 잘 내려가지 않거나 사이폰이 걸려 P트랩(PT) 내의 봉수(Water Seal)가 딸려 내려가면 봉수가 깨져 오·배수관 내의 악취가 실내로 배출되거나,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오·배수가 역류할 수도 있다.
상술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밴트(A)를 설치하지 않을 때는 현 통기밴트(A)가 설치된 위로 통기라인을 설치하여 외부로 연결은 해주어야 하나 배관이 어렵고 악취가 건물 밖으로 나가는 문제점도 있으므로, 통기밴트(A)를 각 위생기기나 필요 위치에 설치하여 상술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배관 내의 양압 방지를 위해 메인 오·배수관의 최상부는 외부로 노출하여 공기가 흡입되게 하거나 메인 수직관의 최상층부에 다른 형태의 통기밴트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시스템은 오수라인(SWP)과 배수라인(WWP)에 통기를 위한 통기관입상라인(VTVP)과 각 위생기구의 통기를 위한 환상통기라인(VTCP)과 상기 오수라인(SWP)과 배수라인(WWP)이 상부에서 결합되어 옥상슬라브(FT)를 관통하여 외부와 공기가 통하는 구스넥 타입의 신정통기관(VTT)이 있어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나 통기관 배관에 자재비와 인건비가 많이 들고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야 하는 문제 및 파이프체이스의 크기가 커야 하는 등 문제점이 많아 본 오배수 통기밴트를 사용하면 위와 같은 통기관 라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세면기, 양변기, 싱크대 등 위생기구의 각각에 대한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및 인건비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나 시공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 : 통기밴트 F1 : 1층 슬라브
FT : 옥상 슬라브 VTVP : 통기관입상라인
VTT : 신정통기관 VTCP : 환상통기라인
SWP : 오수라인 WWP : 배수라인
PT : P 트랩 L : 세면기
A : 통기밴트
1 : 통기밴트 본체 11 : 하부몸체
111 : 중공부 112 : 숫나사부
12 : 에어유입부 121 : 에어유입구
122 : 외부에어시트면 1221 : 고정핀
13 : 이물질방지부 131 : 외벽부
1311 : 내부에어시트면 132 : 이물질방지망
14 : 에어시트 141 : 중공
142 : 제1시트면 143 : 제2시트면
144 : 보강링
15 : 에어시트유닛 151 : 실링시트
1511 : 중공 1512 : 고정돌기
15121 : 고정턱 152 : 평형유지 지지대
1521a,b,c : 평형유지 지지링 1522 : 연결편
15221 : 고정돌기 삽입홀 1523 : 시트작동가대
15231 : 가이드홈
2 : 상부캡
21 : 에어시트 가이드 22 : 보강띠
3 : 어댑터 31 : 암나사부
32 : 보강띠 33 : 소켓부

Claims (6)

  1.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오배수 통기밴트(A)에 있어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14)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14)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는 상기 에어시트(14)의 외측이 고정되어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통기밴트(A)를 설치하더라도 공기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시트(14)를 잡아주는 3개소의 고정핀(122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시트(14)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외부에어시트면(122)에 안착되는 외경 부분의 두께는 3~7mm이며 나머지 부분의 두께는 0.5~2.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3.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오배수 통기밴트(A)에 있어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14)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14)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시트(14)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으로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외벽 내부만큼 중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에어시트(14)가 뒤틀리지 않고 수직으로 들려져 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에어시트 가이드(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시트(14)가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시트(14)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에어시트(14)의 두께는 0.5~2.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5. 공기가 필요한 위치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빠른 반응 시간으로 트랩의 봉수 변동이나 파괴없이 효과적으로 배관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오배수 통기밴트(A)에 있어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음압이 걸렸을 때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밴트 본체(1)가 작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과 외부에 상기 통기밴트 본체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부캡(2)과;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하부에 결합되어 기존 오배수 배관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배수 배관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어댑터(3)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12)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부(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배관 내에 양압이 걸릴 때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물질방지부(13)와;
    상기 에어유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가 양압이 걸릴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음압이 걸릴 때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에어시트유닛(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어댑터(3)와 결합을 위해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방지부(13)는 상기 에어유입부(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들렸을 때만 유입이 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12)와의 차단 역할을 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131)과, 상기 외벽부(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캡(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방지망(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벽부(1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안착되고, 배관 내부에 양압이 걸렸을 때는 배관 내의 오·배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실링면 역할을 하는 내부에어시트면(13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부(12)에는 측면으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 개의 격실로 된 에어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부(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가 안착되는 외부에어시트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은 에어를 실링하는 실링시트(151)와, 상기 실링시트(151)의 변형과 이탈방지를 위한 평형유지 지지대(15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뒤틀리지 않고 수직으로 들려져 열릴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에어시트 가이드(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시트유닛(15)이 상기 에어시트 가이드(2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어댑터(3)에는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11)의 숫나사부(112)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1)와, 상기 어댑터(3)를 보강해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띠(32)와, 오·배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3)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시트(151)는 원형띠 형상으로 중앙에 중공(1511)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와 연결시키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512)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시트(151)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실링시트(151)의 두께는 0.5~2.0mm 이며,
    상기 평형유지 지지대(15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크기가 축소되는 3개의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과, 상기 평형유지 지지링(1521a, 1521b, 1521c)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실링시트(151)의 고정돌기(1512)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편(1522)과, 상기 상부캡(2)을 따라 오르내릴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시트작동가대(1523)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KR1020100086826A 2010-09-06 2010-09-06 오배수 통기밴트 KR10100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26A KR101009474B1 (ko) 2010-09-06 2010-09-06 오배수 통기밴트
CN201180001504.XA CN102753764B (zh) 2010-09-06 2011-08-29 污废水通气口
PCT/KR2011/006350 WO2012033297A2 (ko) 2010-09-06 2011-08-29 오배수 통기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26A KR101009474B1 (ko) 2010-09-06 2010-09-06 오배수 통기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474B1 true KR101009474B1 (ko) 2011-01-19

Family

ID=4361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26A KR101009474B1 (ko) 2010-09-06 2010-09-06 오배수 통기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09474B1 (ko)
CN (1) CN102753764B (ko)
WO (1) WO2012033297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808B1 (ko) 2011-04-26 2011-10-07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통기밴트
KR101472968B1 (ko) 2013-09-04 2014-12-16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200478332Y1 (ko) * 2015-02-25 2015-09-18 주식회사 에스엠지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KR101885768B1 (ko) 2017-09-26 2018-08-06 강한표 통기 밸브 구조물
KR102319339B1 (ko) * 2021-01-25 2021-10-29 주식회사 에스엠지 통기 벤트
KR20240077127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오배수 관로용 통기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7196B2 (ja) * 2012-06-22 2016-10-26 兼工業株式会社 バキュームブレーカ
AU2020206188A1 (en) * 2019-01-09 2021-08-26 Physiclean Ltd. Drain pipe connect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333A (ja) * 1995-10-30 1997-05-13 Morinaga Eng Kk 排水用通気弁装置
JP2001262655A (ja) 2000-03-21 2001-09-26 Kitz Corp 排水用通気装置
JP2004124356A (ja) 2001-09-06 2004-04-22 Morinaga Eng Kk 排水管システム及び排水用通気弁装置
JP2004239421A (ja) 2003-02-10 2004-08-26 Kakudai:Kk 通気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566U (zh) * 1991-05-19 1992-01-08 王晓东 逆止补气阀
CN2603144Y (zh) * 2003-01-17 2004-02-11 沈德忆 一种水封保护阀
CN1566549A (zh) * 2003-07-07 2005-01-19 董振真 管道空气单向阀
CN2742059Y (zh) * 2004-06-28 2005-11-23 吴冀生 水冲击止逆排水装置
CN2777074Y (zh) * 2005-02-02 2006-05-03 胡家坤 一种管道自动吸气阀
CN2878537Y (zh) * 2006-04-18 2007-03-14 成都川路塑胶集团有限公司 排水管道的补气管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333A (ja) * 1995-10-30 1997-05-13 Morinaga Eng Kk 排水用通気弁装置
JP2001262655A (ja) 2000-03-21 2001-09-26 Kitz Corp 排水用通気装置
JP2004124356A (ja) 2001-09-06 2004-04-22 Morinaga Eng Kk 排水管システム及び排水用通気弁装置
JP2004239421A (ja) 2003-02-10 2004-08-26 Kakudai:Kk 通気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808B1 (ko) 2011-04-26 2011-10-07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통기밴트
KR101472968B1 (ko) 2013-09-04 2014-12-16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WO2015034124A1 (ko) * 2013-09-04 2015-03-12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200478332Y1 (ko) * 2015-02-25 2015-09-18 주식회사 에스엠지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WO2016137208A1 (ko) * 2015-02-25 2016-09-01 주식회사 에스엠지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KR101885768B1 (ko) 2017-09-26 2018-08-06 강한표 통기 밸브 구조물
KR102319339B1 (ko) * 2021-01-25 2021-10-29 주식회사 에스엠지 통기 벤트
KR20240077127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오배수 관로용 통기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3764B (zh) 2014-04-16
WO2012033297A2 (ko) 2012-03-15
CN102753764A (zh) 2012-10-24
WO2012033297A3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474B1 (ko) 오배수 통기밴트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US20090126089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1075425B1 (ko) 오배수 통기밴트
KR101070808B1 (ko) 오배수 통기밴트
KR20110047103A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JP3681688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JP2003056030A (ja) 継ぎ手、継ぎ手システム及び集合立て管継ぎ手
JP2014070335A (ja) 移動式トイレ装置
JP2020012353A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US10087611B2 (en) Anti-overflow toilet with an internal diverting wall diverting flush water from a secondary drain inlet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KR101164443B1 (ko) 오배수 통기 이음배관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JP2004019131A (ja) 排気弁及び排水管システム
JP4907640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CN208899617U (zh) 一种铸铁积水处理器
JP2004124356A (ja) 排水管システム及び排水用通気弁装置
JP4429374B2 (ja) 排水管構造
JP7282956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JP6412732B2 (ja) 汚水排出システム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JP2006016779A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