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425B1 - 오배수 통기밴트 - Google Patents
오배수 통기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5425B1 KR101075425B1 KR1020100017093A KR20100017093A KR101075425B1 KR 101075425 B1 KR101075425 B1 KR 101075425B1 KR 1020100017093 A KR1020100017093 A KR 1020100017093A KR 20100017093 A KR20100017093 A KR 20100017093A KR 101075425 B1 KR101075425 B1 KR 101075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ipe
- vent
- inle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배수관 내에 설치되어 기존의 통기관 역할을 하며, 오·배수 배관 내에 설치하여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이다.
상기 통기밴트는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는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본체 덮개와; 상기 본체 덮개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과, 인입된 오·배수가 음압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고 배출되게 하는 메인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덮개와 상기 메인바디는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는 오·배수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의 하부가 삽입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와; 상기 주몸체의 상단 원주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와;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인입되게 하는 에어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 및 인건비 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층간 화재차단 장치를 줄여 주고 파이프의 “굴뚝 효과”를 막아 화재발생시 불이 위층으로 번질 위험을 줄여 주며, 지붕을 뚫지 않기 때문에 지붕누수의 위험을 제거하고, 나쁜 냄새나 악취가 옥상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며, 설계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기상 악조건에 대한 저항력(-20C~+60C)이 높으며 결로의 위험이 없으며,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통기밴트는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는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본체 덮개와; 상기 본체 덮개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과, 인입된 오·배수가 음압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고 배출되게 하는 메인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덮개와 상기 메인바디는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는 오·배수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의 하부가 삽입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와; 상기 주몸체의 상단 원주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와;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인입되게 하는 에어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 및 인건비 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층간 화재차단 장치를 줄여 주고 파이프의 “굴뚝 효과”를 막아 화재발생시 불이 위층으로 번질 위험을 줄여 주며, 지붕을 뚫지 않기 때문에 지붕누수의 위험을 제거하고, 나쁜 냄새나 악취가 옥상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며, 설계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기상 악조건에 대한 저항력(-20C~+60C)이 높으며 결로의 위험이 없으며,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배수관에 사용되는 오·배수용 통기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배수 배관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부족한 공기를 자동으로 보충하여, 찌거기나 오염물질의 퇴적에 의한 배관의 막힘 현상이나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통기밴트 장치이며, 오·배수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의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오배수 통기밴트 내의 에어조절시트를 밀어 올려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배수 배관 내에는 공기가 정상적이고 계속적인 유입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배수관로의 일부에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부위의 배수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이와 연결된 주변배수관의 기능도 저하되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것 같이 통기관이란 양변기나 세면기 싱크 등 위생기구 사용 후 물을 내리면 거침없이 내려가도록 물과 공기흐름을 자연상태처럼 만들어주는 공기 전용 배관이다.
통기의 목적을 첫째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둘째 배수관 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셋째 배수관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치된 관 또는 그 계통을 통기관 또는 통기 계통이라 한다. 이중 통기관의 주요한 역할은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일이다.
이러한 통기관의 배관 방법은 첫째 1관식 배관법 (single pipe system)으로최고층의 기구 배수관의 접속점에서 위쪽의 수직관을 통기관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2~3층 정도의 작은 건물에서 기구수가 적을 경우에 쓰인다. 이 통기관 부분을 신정 통기관 또는 배수 통기관이라 한다.
둘째 방법은 2관식 배관법(double pipe system)으로 배수관과 통기관을 각각 배관하는 방법으로 기구수가 많고 트랩의 봉수도 파괴되기 쉬운 고층 건물에 많이 사용한다. 2관식 배관법에는 통기관의 접속 방법에 따라 각개 통기식, 회로 통기식, 환상 통기식이 있다.
각개 통기식(individual vent type)은 3층과 같이 기구 트랩 각각에 통기관을 빼내는 방법으로, 각 위생 기구 트랩이 그 본래의 목적을 다할 수 있고 또, 배수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시공 및 공사비의 불리한 점으로 인해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각개 통기식은 통기관을 기구 뒷면의 벽 속이나 그 뒤쪽의 배관설비 혹은 그 바닥 밑의 배수관에 세우기 때문에 배면통기관이라고도 한다.
회로 통기식(circuit vent type)은 1,2,4층에서와 같이 2개 이상의 기구에 1개의 통기관을 빼내어 통기수직주관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루프 통기식이라고도 한다. 루프 통기식에 의해 통기되는 기구수는 8개 이내이며, 통기 수직 주관과 가장 먼 기구까지의 거리는 7.5m이내로 하고, 이 방식에서 배수 수평관은 통기관의 역할을 겸하므로 습식 통기관이라고도 한다.
회로 통기에서 2개의 이상의 기구가 동시에 사용될 때, 또는 위층에서 배수 주관으로 흘러내리는 배수때문에 배수 트랩에 역압이 생기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 수평 지관의 기구와 배수관 접속점 부분 바로 아래에 도피 통기관을 설치하는데 관경은 배수관의 1/2이상이 되어야 하며, 최소 32mm이상이 되어야 한다.
환상 통기식(loop vent type)은 2개의 기구 트랩을 일괄하여 통기하기 위해 최상류의 기구 배수관이 배수 횡지관에 접속 한 점의 바로 하류에서 시작하여 통기 입상관에 접속하는 것을 회로 통기관이라 하며, 신정 통기관에 접속하는 것을 환상 통기관이라 한다.이 양자를 합하여 루프(loop)통기관이라 한다.
섹스티아(sewtia) 배수방식은 프랑스에서 1967년경 개발된 것으로 각층의 배수 수직관과 수평 분기관이 합류되는 지점에 섹스티아 이음쇠와 배수 수평 주관에 설치하는 섹스티아 곡관으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섹스티아 이음쇠로서 수평 분기관의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관내 통기홀을 만들도록 되어 있고,섹스티아 곡관은 수직관에서 내려온 배수의 수류에 선회력을 만들어 공기홀이 지속되도록 만든 것이다.
솔벤트 방식(sovent drainage system)은 1961년 스위스인 프리츠 소머(Fritz Sommer)에 의해 개발된 방법으로 각층의 배수 수직관의 공기 혼합 이음쇠와 배수 수평 분기관 및 배수 수직관의 기초 부분의 공기 분리 이음쇠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은 공기 혼합 이음쇠는 수직관 안에서 배수와 공기를 억제시키고 배수수평 분기관으로 부터 들어오는 배수와 공기를 수직관 안에서 혼합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 분리 이음쇠는 배수가 배수 수평 주관에 쉽게 들어 갈 수 있도록 공기와 물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해서 배수 수직관 내부에 공기 코어를 연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전술한 통기관 방식에 의한 통기는 자재와 인건비가 많이 들고 또한 통기관의 최상단은 외부로 빼서 냄새가 실내에 배기되는 것을 막아야 하므로 슬라브를 관통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통과되는 슬라브 부분의 방수에도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지금까지는 pipe를 사용해서 통기배관을 하는 방법이었지만 "통기통기밴트"를 사용해서 직접 공기를 유입시켜주므로 원할한 공기의 유통을 통해 “횡주관, 횡지관(가지배관)의 유속을 돕는 최첨단 자재이며 인건비와 자재비를 절감 할 수있으며 층고문제를 해결하여 타 공정까지 도움을 주는 일석삼조의 역할을 하는 System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배수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배수관 내의 오·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배수관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오작동에 의해 오·배수관 내의 냄새가 실내로 누설되지 않는 오·배수용 통기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오·배수 배관 내에 설치하여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이다.
상기 통기밴트는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는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본체 덮개와; 상기 본체 덮개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과, 인입된 오·배수가 음압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고 배출되게 하는 메인바디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덮개와 상기 메인바디는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는 오·배수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의 하부가 삽입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와; 상기 주몸체의 상단 원주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와;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인입되게 하는 에어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조절수단은 대기압보다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 배관 내가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인입할 수 있도록 위로 들어 올려져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에어조절시트와; 상기 에어유입구와 상기 에어조절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조절시트를 지지해주는 에어조절시트받침과; 상기 에어조절시트가 더 이상 위로 들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에어조절시트 보호막과; 상기 에어조절시트가 일정 높이로 들리게 하는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로 구성되는 구조이며, 상기와 같은 오배수 통기밴트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및 인건비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층간 화재차단 장치를 줄여 주고 파이프의 “굴뚝 효과”를 막아 화재발생시 불이 위층으로 번질 위험을 줄여 주며, 지붕을 뚫지 않기 때문에 지붕누수의 위험을 제거하고, 나쁜 냄새나 악취가 옥상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며, 설계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기상 악조건에 대한 저항력(-20C~+60C)이 높으며 결로의 위험이 없으며,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배수 배관에서의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 및 기타 기구 설치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본체 덮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오배수유입구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수단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날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유입구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받침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2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보호막 개략도
도 18은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본체 덮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오배수유입구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수단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날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유입구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받침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2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보호막 개략도
도 18은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 시스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통기밴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배수 배관에서의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 및 기타 기구 설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메인바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엘보우형 통기밴트 주몸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본체 덮개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오배수유입구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수단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날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유입구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받침 개략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2 개략도이며,도 17은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에 따른 에어조절시트 보호막 개략도이며, 도 18은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밴트라인)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일반적인 오·배수 배관에서의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 및 기타 기구 설치 시스템도로서 본 발명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통기관입상라인(VTVP), 신정통기관(VTT), 환상통기라인(VTCP)와 같은 통기관라인이 없이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를 사용하여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며 낙하되는 오·배수에 의해 발생하는 수격파를 감쇄시키는 수충격방지벤트(WSA)를 설치하여 배관의 파손이나 역류를 방지하기도 한다.
도 1에서는 간략하게 바닥드레인(플로워드레인 FD)만 설치한 것을 보여주나 세면기나 양변기 싱크 등의 위생기구가 오배수 횡지관(HBP)에 연결되며, 오수와 배수는 별도의 라인으로 구성되는게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오·배수 배관 내에 설치하여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는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A)는 티형 오배수 통기밴트(A1)와 엘보우형 오배수 통기밴트(A2)로 두가지 타입으로 제작되며,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2)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본체 덮개(11)와; 상기 본체 덮개(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과, 인입된 오·배수가 음압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고 배출되게 하는 메인바디(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덮개(11)와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는 별도로 제작하나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되며, 상기 본체 덮개(11)와 상기 메인바디(12)도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오·배수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의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오배수 통기밴트(A)의 에어조절시트(1241)을 밀어 올리면서 에어유입구(123)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며, 외부공기가 오·배수관 내로 유입되면 배관 내·외부의 압력이 같아지게 되며 압력차이가 해소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는 중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닫히면 오·배수관 내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한번 열리는 시간은 약 0.7초 정도로 역학적인 통기밴트의 구조와 더불어 내부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막아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메인바디(12)는 오·배수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주몸체(121)와; 상기 주몸체(12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의 하부가 삽입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와; 상기 주몸체(121)의 상단 원주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인입되게 하는 에어조절수단(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몸체(121)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와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수단(124)은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티형 오배수 통기밴트(A1)의 상기 주몸체(121)는 티 형상을 이루며, 상기 주몸체(121)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수단(124)과 상기 본체 덮개(11)가 덮히는 상부오픈부(1211)와, 오배수 입상배관(VP)에 수평으로 연결된 오배수 횡지관(HBP)에 연결된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배수가 유입되는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와,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와 상기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에서 유입된 오·배수가 배출되고 하부의 오·배수관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구(1213)가 형성된다.
상기 오배수배출구(1213)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31)이 형성되며, 상기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유입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21)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31)과 상기 유입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21)의 내부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주몸체(121)의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 및 오배수배출구(1213)에 형성된 숫나사부(12122, 12132)와 결합되고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엘보우형 오배수 통기밴트(A2)의 상기 주몸체(121)는 엘보우 형상을 이루며, 상기 주몸체(121)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수단(124)과 상기 본체 덮개(11)가 덮히는 상부오픈부(1211)와,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에서 유입된 오·배수가 배출되고 오배수 수평주배관(HP)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구(1213)와, 상기 통기밴트(A)가 막혔을 때 정비하기 위한 소제구(1214)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오배수배출구(1213)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3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31)의 내부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주몸체(121)의 오배수배출구(1213)에 형성된 숫나사부(12132)와 결합되고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본체 덮개(11)는 캡 형상으로 상기 에어조절수단(124) 위에 접합되고, 상기 본체 덮개(11)에는 원형의 유입파이프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의 유입파이프(22)가 삽입되어 접합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는 오·배수가 인입되는 유입파이프(22)와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너트캡(21)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파이프(22)에는 파이프 숫나사부(221)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고정너트캡(21)에는 캡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너트캡(21)으로 상기 유입파이프(22)와 위에서 내려오는 오배수 입상배관(VP)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 숫나사부(221)에 테프론테이프 같은 패킹을 사용하여 기밀을 유지하여야 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조절수단(124)은 대기압보다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 배관 내가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가 인입할 수 있도록 위로 들어 올려져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에어조절시트(1241)와;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를 지지해주는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더 이상 위로 들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과;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일정 높이로 들리게 하는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조절수단(124)의 조립은 맨 하부에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에어조절시트(1241)을 설치하되 도 15와 같이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에 에어시트 끼움홈(12442)이 형성된 타입일 때는 상기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에 잘 맞추어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를 설치하고,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 위에 상기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을 설치한다.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와 상기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은 접착제로 영구 부착하며,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은 상기 에어시트 끼움홈(12442)부분으로 들어간 부분만 접착시키며 나머지 부분은 위로 들릴 수 있도록 부착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타입은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에 접착되지 않고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의 중앙 오픈부로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저항없이 위로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몸체(121)의 상부오픈부(1211)에 상기 에어조절수단(124)를 접착제로 영구 부착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의 날개 경사각(1223)이 10 ~ 20°이며,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에는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가 되는 에어배출그릴(1221)과,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의 유입파이프(22)가 삽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 삽입홀(1222)과,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부착되는 에어유입구 부착면(1224)과, 상기 주몸체(121)의 상부면과 부착되는 주몸체 부착면(1225)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그릴(1221)은 격자모양의 오픈닝이 형성되어 오·배수관 내부가 음압이 걸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에 양력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위로 들리면 상기 에어유입구(123)에서 유입된 공기가 들어와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오·배수관 내부로 공기가 보충된다.
상기 날개 경사각(1223)이 중요하며 각도에 너무 크거나 작으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오·배수관에 걸리더라도, 즉 오·배수관 내부가 음압이라도 양력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들리지 않으므로 상기 에어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유입구(123)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그릴(1231)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부착되는 에어조절시트 받침 부착면(1232)과, 상기 에오조절시트 날개(122)와 부착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 부착면(1233)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그릴(1231)은 격자 모양의 오프닝이 있어 상기 오프닝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은 링 형상으로 중앙에 오픈부(12411)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재질은 합성 ABS나 실리콘라버로 하여 변형이 없고 탄력이 좋아 들려 올려질 때 문제가 없어야 한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두께는 음압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의 날개 경사각(1223)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들리질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에어통과홀(12421)과 중앙 오픈부(12422)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통과홀(12421)의 크기와 모양 및 수량은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통과홀(12421)에서 저항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는 링 형상으로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끼워지는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과, 중앙부분에 오픈부(1244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은 에어조절시트 열림 간극(12443)만큼 위로 들려질 수 있다.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과의 거리인 에어조절시트 열림 간극(12443)이 5 ~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는 상기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 부분만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배수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의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오배수 통기밴트(A)의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에어유입구(123)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며, 외부공기가 오·배수관 내로 유입되면 배관 내·외부의 압력이 같아지게 되며 압력차이가 해소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는 중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닫히면 오·배수관 내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한번 열리는 시간은 약 0.7초 정도로 역학적인 벤트의 구조와 더불어 내부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막아준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도면에 도시된 것은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에 상기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이 없는 타입으로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은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 내부에 설치되며, 저항없이 들려질 수 있도록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와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는 미세한 간격만 존재하여야 한다.
상기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이 없는 타입의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가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구부러짐이 없으므로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은 링 타입으로 중앙에 오픈부(1243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이 더 이상 들리지 않도록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기존의 오배수라인 및 통기관(벤트라인)시스템은 오수라인(SWP)과 배수라인(WWP)에 통기를 위한 통기관입상라인(VTVP)과 각 위생기구의 통기를 위한 환상통기라인(VTCP)과 상기 오수라인(SWP)과 배수라인(WWP)이 상부에서 결합되어 옥상슬라브(FT)를 관통하여 외부와 공기가 통하는 구스넥 타입의 신정통기관(VTT)이 있어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나 통기관 배관에 자재비와 인건비가 많이 들고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야 하는 문제 및 파이프체이스의 크기가 커야 하는 등 문제점이 많아 본 오배수 통기밴트를 사용하면 위와 같은 통기관 라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오·배수 통기밴트는 통기 배관을 대체하므로 이에 따르는 자재비및 인건비등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층간 화재차단 장치를 줄여 주고 파이프의 “굴뚝 효과”를 막아 화재발생시 불이 위층으로 번질 위험을 줄여 주며, 지붕을 뚫지 않기 때문에 지붕누수의 위험을 제거하고, 나쁜 냄새나 악취가 옥상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며, 설계 시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해결해주고, 기상 악조건에 대한 저항력(-20C~+60C)이 높으며 결로의 위험이 없으며,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원활한 배수와 오·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 : 통기밴트 A1 : 티형 오배수 통기밴트
A2 : 엘보우형 오배수 통기밴트 A3 : 와이형 오배수 통기밴트
B1 : 지하1층 슬라브 F1 : 1층 슬라브
FT : 옥상 슬라브 FD : 플로워드레인
HBP : 오배수 횡지관 HP : 오배수 수평주배관
VP : 오배수 입상배관 VTVP : 통기관입상라인
VTT : 신정통기관 VTCP : 환상통기라인
SWP : 오수라인 WWP : 배수라인
WS : 봉수 WSA : 수충격방지벤트
1 : 통기밴트 본체 11 : 본체 덮개
111 : 유입파이프 삽입홀 12 : 메인바디
121 : 주몸체 1211 : 상부오픈부
1212 : 횡지관 오배수유입구 12121 : 유입구 파이프 고정너트캡
1213 : 오배수배출구
12131 :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 12132 : 숫나사부
1214 : 소제구 12141 : 소제구플러그
122 : 에어조절시트 날개 1221 : 에어배출그릴
1222 : 상층 오배수유입구 삽입홀 1223 : 날개 경사각
1224 : 에어유입구 부착면 1225 : 주몸체 부착면
123 : 에어유입구 1231 : 에어유입그릴
1232 : 에어조절시트 받침 부착면 1233 : 에어조절시트 날개 부착면
124 : 에어조절수단 1241 : 에어조절시트
12411 : 오픈부 1242 : 에어조절시트 받침
12421 : 에어통과홀 12422 : 오픈부
1243 : 에어조절시트 보호막 1244 :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
12441 : 오픈부 12442 : 에어시트 끼움홈
12443 : 에어시트 열림 간극 2 : 상층 오배수유입구
21 : 파이프 고정너트캡 211 : 캡 암나사부
22 : 유입파이프 221 : 파이프 숫나사부
A2 : 엘보우형 오배수 통기밴트 A3 : 와이형 오배수 통기밴트
B1 : 지하1층 슬라브 F1 : 1층 슬라브
FT : 옥상 슬라브 FD : 플로워드레인
HBP : 오배수 횡지관 HP : 오배수 수평주배관
VP : 오배수 입상배관 VTVP : 통기관입상라인
VTT : 신정통기관 VTCP : 환상통기라인
SWP : 오수라인 WWP : 배수라인
WS : 봉수 WSA : 수충격방지벤트
1 : 통기밴트 본체 11 : 본체 덮개
111 : 유입파이프 삽입홀 12 : 메인바디
121 : 주몸체 1211 : 상부오픈부
1212 : 횡지관 오배수유입구 12121 : 유입구 파이프 고정너트캡
1213 : 오배수배출구
12131 :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 12132 : 숫나사부
1214 : 소제구 12141 : 소제구플러그
122 : 에어조절시트 날개 1221 : 에어배출그릴
1222 : 상층 오배수유입구 삽입홀 1223 : 날개 경사각
1224 : 에어유입구 부착면 1225 : 주몸체 부착면
123 : 에어유입구 1231 : 에어유입그릴
1232 : 에어조절시트 받침 부착면 1233 : 에어조절시트 날개 부착면
124 : 에어조절수단 1241 : 에어조절시트
12411 : 오픈부 1242 : 에어조절시트 받침
12421 : 에어통과홀 12422 : 오픈부
1243 : 에어조절시트 보호막 1244 :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
12441 : 오픈부 12442 : 에어시트 끼움홈
12443 : 에어시트 열림 간극 2 : 상층 오배수유입구
21 : 파이프 고정너트캡 211 : 캡 암나사부
22 : 유입파이프 221 : 파이프 숫나사부
Claims (8)
- 오·배수 배관 내에 설치하여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여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오·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며 역류를 방지하는 통기밴트(A)에 있어서,
상기 통기밴트(A)는 배관 내에 부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통기밴트 본체(1)와;
상기 통기밴트 본체(1)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2)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밴트 본체(1)는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본체 덮개(11)와;
상기 본체 덮개(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과, 인입된 오·배수가 음압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고 배출되게 하는 메인바디(1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덮개(11)와 상기 메인바디(12)는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12)는 오·배수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주몸체(121)와;
상기 주몸체(12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의 하부가 삽입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인입될 수 있게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와;
상기 주몸체(121)의 상단 원주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인입되게 하는 에어조절수단(1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조절수단(124)은 대기압보다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 배관 내가 음압이 걸렸을 때 상기 에어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가 인입할 수 있도록 위로 들어 올려져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에어조절시트(1241)와;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를 지지해주는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더 이상 위로 들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과;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가 일정 높이로 들리게 하는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로 구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121)는 티 형상을 이루며,
상기 주몸체(121)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수단(124)과 상기 본체 덮개(11)가 덮히는 상부오픈부(1211)와, 오배수 입상배관(VP)에 수평으로 연결된 오배수 횡지관(HBP)에 연결된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배수가 유입되는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와,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와 상기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에서 유입된 오·배수가 배출되고 하부의 오·배수관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구(12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121)는 엘보우 형상을 이루며,
상기 주몸체(121)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와 상기 에어조절수단(124)과 상기 본체 덮개(11)가 덮히는 상부오픈부(1211)와,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에서 유입된 오·배수가 배출되고 오배수 수평주배관(HP)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구(1213)와, 상기 통기밴트(A)가 막혔을 때 정비하기 위한 소제구(1214)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의 날개 경사각(1223)이 10 ~ 20°이며,
상기 에어조절시트 날개(122)에는 인입된 공기가 배관 내로 들어가는 통로가 되는 에어배출그릴(1221)과,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의 유입파이프(22)가 삽입되는 상층 오배수유입구 삽입홀(1222)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절시트 간극돌기(1244)에는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를 끼울 수 있는 에어조절시트 끼움홈(12442)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과 상기 에어조절시트 보호막(1243)과의 거리인 에어조절시트 열림 간극(12443)이 5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절시트(1241)의 재질은 합성 ABS나 실리콘라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에는 상기 에어유입구(123)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조절시트 받침(1242)을 통과할 수 있도록 에어통과홀(12421)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 제 1항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오배수유입구(2)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너트캡(21)이 형성되고, 상기 오배수배출구(1213)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배출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31)이 형성되며, 상기 횡지관 오배수유입구(1212)에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결합할 수 있는 유입구 파이프 고정너트캡(12121)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통기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7093A KR101075425B1 (ko) | 2010-02-25 | 2010-02-25 | 오배수 통기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7093A KR101075425B1 (ko) | 2010-02-25 | 2010-02-25 | 오배수 통기밴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308A KR20110097308A (ko) | 2011-08-31 |
KR101075425B1 true KR101075425B1 (ko) | 2011-10-24 |
Family
ID=4493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7093A KR101075425B1 (ko) | 2010-02-25 | 2010-02-25 | 오배수 통기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542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968B1 (ko) | 2013-09-04 | 2014-12-16 | 주식회사 에브윈 |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
KR20240077127A (ko) | 2022-11-24 | 2024-05-31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오배수 관로용 통기밴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05179B (zh) * | 2017-06-13 | 2024-01-16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用于双水槽的排水组件 |
KR102319339B1 (ko) | 2021-01-25 | 2021-10-29 | 주식회사 에스엠지 | 통기 벤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3339A (en) | 1982-05-05 | 1985-01-15 | Porter Instrument Company, Inc. | Air valve for a breathing system |
US5971014A (en) | 1996-09-04 | 1999-10-26 | Duren; Gary S. | Vacuum breaker valve vent fitting clean-out device |
JP2001262655A (ja) | 2000-03-21 | 2001-09-26 | Kitz Corp | 排水用通気装置 |
-
2010
- 2010-02-25 KR KR1020100017093A patent/KR101075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3339A (en) | 1982-05-05 | 1985-01-15 | Porter Instrument Company, Inc. | Air valve for a breathing system |
US5971014A (en) | 1996-09-04 | 1999-10-26 | Duren; Gary S. | Vacuum breaker valve vent fitting clean-out device |
JP2001262655A (ja) | 2000-03-21 | 2001-09-26 | Kitz Corp | 排水用通気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968B1 (ko) | 2013-09-04 | 2014-12-16 | 주식회사 에브윈 |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
KR20240077127A (ko) | 2022-11-24 | 2024-05-31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오배수 관로용 통기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308A (ko) | 2011-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9474B1 (ko) | 오배수 통기밴트 | |
JP4252553B2 (ja) | 建造物内の排水設備 | |
US7856675B1 (en) | Flush passage ventilation fitting | |
KR101075425B1 (ko) | 오배수 통기밴트 | |
AU2008217536C1 (en) |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 |
EP2955288A1 (en) | Envelope for a cistern | |
KR20130133454A (ko) |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 |
US20140338111A1 (en) |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 |
KR101070808B1 (ko) | 오배수 통기밴트 | |
JP3681688B2 (ja) | 排水配管の継手装置 | |
KR101164443B1 (ko) | 오배수 통기 이음배관 | |
US10087611B2 (en) | Anti-overflow toilet with an internal diverting wall diverting flush water from a secondary drain inlet | |
KR101333988B1 (ko) |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 |
KR20100033034A (ko) | 욕실의 배수시스템 | |
JP4364391B2 (ja) | 排水用通気装置 | |
CN112049198B (zh) | 一种建筑微降板同层排水总成 | |
CN210049331U (zh) | 一种高层建筑厨卫用给排水结构 | |
JP4907640B2 (ja) | 排水配管の継手装置 | |
JP2703829B2 (ja) | 排水システム | |
CN207130834U (zh) | 具有反虹吸管安装特征的通气弯管 | |
CN209308113U (zh) | 一种装配式建筑排水接头 | |
CN205000451U (zh) | 一种板式平层积水排出装置 | |
CN212835700U (zh) | 一种防返流排水立管水封盒 | |
CN214738496U (zh) | 一种预埋式排水通气汇集器 | |
CN201125451Y (zh) | 卫生间下排风防臭管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