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39B1 - 통기 벤트 - Google Patents

통기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39B1
KR102319339B1 KR1020210010438A KR20210010438A KR102319339B1 KR 102319339 B1 KR102319339 B1 KR 102319339B1 KR 1020210010438 A KR1020210010438 A KR 1020210010438A KR 20210010438 A KR20210010438 A KR 20210010438A KR 102319339 B1 KR102319339 B1 KR 10231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ow path
air
sealing protrusion
inflow
form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지
Priority to KR102021001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39B1/ko
Priority to KR1020210142603A priority patent/KR2022010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 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는, 하단이 오배수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및 상단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상면 및 외측면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본체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덮되,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바라보는 저면이 개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에 상기 유입로를 가리도록 놓이고,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위로 상승 가능하게 제공되는 에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링 돌출부가 제공되되, 상기 실링 돌출부는,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유입로 및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의 외측 끝단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외측 실링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는 각각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된다.

Description

통기 벤트{AIR VENT}
본 발명은 오배수 배관에 사용되는 통기 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오배수 배관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도록 부족한 공기를 자동으로 보충하기 위한 통기 벤트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 세면기 또는 싱크대 등의 위생 기구에 연결되어 물이 배수되는 오배수 배관 내에는 공기가 정상적이고 계속적으로 유입되어야 하는데 오배수 배관의 배수관로 일부에서라도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발생하면 발생 부위의 배수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이와 연결된 주변 배수관의 기능도 저하될 수 있다.
통기 벤트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세식 변기, 세면기 또는 싱크대 등의 위생 기구 사용후 물을 배수하면 거침없이 배수되도록 오배수 배관에 설치되어, 배수로 인해 오배수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오배수 배관 내로 유입되게 하되,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
이러한 통기 벤트의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기능이 떨어지면 오배수 배관 내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1-0097308 (2011.08.31.)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통기 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는, 하단이 오배수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및 상단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상면 및 외측면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본체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덮되,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바라보는 저면이 개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에 상기 유입로를 가리도록 놓이고,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위로 상승 가능하게 제공되는 에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링 돌출부가 제공되되, 상기 실링 돌출부는,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유입로 및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의 외측 끝단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외측 실링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는 각각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된다.
상기 유입로는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시트 및 상기 실링 돌출부는 상기 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의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출부가 제공되되,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에어 시트가 상기 측벽의 상면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사이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상면에 지지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은 평평하게 제공되고, 상기 실링 돌출부의 돌출되는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관 및 상기 커버부의 서로 맞물리는 영역 간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벤트는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기 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기 벤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버부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에어 시트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통기 벤트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기 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기 벤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1000)는 오배수 배관에 연결되어, 오배수 배관 내로 외부 공기는 유입시키나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기 벤트(1000)는 본체관(1100), 커버부(1200), 에어 시트(1300) 및 실링 부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관(1100)은 하단이 오배수 배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하단 및 상단 간에 공기가 흐르도록 유로(1110)가 형성된다. 본체관(1100)은 대체로 원통형의 관(Pipe)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로(1110) 내에는 유로(111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유로(1110) 내를 흐르는 공기가 지날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배플(Baffle) 플레이트(1111)가 제공될 수 있다.
본체관(1100)의 측벽에는 측벽의 상면 및 외측면 간에 공기가 흐르도록 유입로(112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관(1100)의 외측면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로 형성부(1130)가 제공될 수 있다. 유입로 형성부(1130)는 본체관(1100)의 외측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로 형성부(1130)에는 유입로(1120)가 상면 및 저면 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유입로(1120)는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로(1120)는 10 내지 200 개가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로는 64개가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로(1120)의 사이 영역이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 돌출부(1320)가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버부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1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부(1200)는 본체관(1100)의 상단을 덮는다. 커버부(1200)는 본체관(1100)의 상단을 바라보는 저면이 개방된다.
커버부(1200)의 내부 공간에는 가이드 부재(1210)가 제공된다. 가이드 부재(1210)는 아래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 시트(13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1210)는 커버부(1200)의 상벽의 저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부재(1210)는 복수개가 에어 시트(1300)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가이드 부재(1210)의 외측면은 하단이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놓인 에어 시트(1300)의 내주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가이드 부재(1210)의 외측면은 에어 시트(130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가이드 부재(1210)의 외측면은 커버부(1200)의 상벽의 저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에어 시트(1300)는 중공부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12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 방향 이동 시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시트(1300)는 상승 후 하강 시 유입로(1120)를 막을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부(120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체결 돌기(1220)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 돌기(1220)는 커버부(1200)의 내측면의 내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관(1100)에는 체결 돌기(1220)가 삽입되는 체결홈(1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홈(1132)은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의 체결 돌기(1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체결 돌기(1220)의 저면은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고, 체결 돌기(1220)의 상면은 수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200)를 본체관(1100)의 상단에 덮을 때 본체관(1100)이 커버부(1200) 내로 보다 쉽게 삽입되어 체결 돌기(1220)가 체결홈(1132)에 삽입됨으로써 커버부(1200) 및 본체관(1100)이 서로 체결되고, 일단 체결된 본체관(1100) 및 커버부(1200)는 체결 돌기(1220)의 상면이 체결홈(1132)에 걸림으로써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로 형성부(1130)의 저면의 유입로(1120) 및 외측면의 사이에는 위로 만입되는 만입 홈(1131)이 형성될 수 있다. 만입 홈(1131)은 유입로 형성부(1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로 형성부(1130)에 만입 홈(1131)이 제공됨으로써, 본체관(1100)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에어 시트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시트(1300)는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유입로(1120)를 가리도록 놓인다. 에어 시트(1300)는 유입로(1120)를 통해 커버부(1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위로 상승 가능하게 제공된다.
에어 시트(1300)의 저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링 돌출부(1310)가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링 돌출부(1310)는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를 포함한다. 내측 실링 돌출부(1311)는 유로(1110) 및 유입로(1120)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다. 외측 실링 돌출부(1312)는 유입로(1120) 및 측벽의 상면의 외측 끝단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다.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는 각각 유로(1110) 및 유입로(1120)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는 각각 3개씩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가 각각 복수개로 제공됨으로써, 에어 시트(1300)가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커버부(1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로(1120)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에어 시트(1300)의 저면의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의 사이 영역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출부(1320)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돌출부(1320)는 에어 시트(1300)가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에어 시트(1300)의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의 사이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지지되는 길이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지지 돌출부(1320)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 시트(1300)의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의 사이 영역이 그 무게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릴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이 영역이 눌리는 힘은 에어 시트(1300)의 외주부의 일부가 위로 접히는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돌출부(1320)에 의해 에어 시트(1300)의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의 사이 영역이 지지됨으로써, 에어 시트(1300)의 외주부의 일부가 위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 시트(1300)의 외주부의 일부가 접힌 부분을 통해 커버부(1200)의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유입로(1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 시트(1300), 각각의 실링 돌출부(1310) 및 지지 돌출부(1320)는 유로(1110)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가지기 위해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는 하단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밀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은 수평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제공되고, 지지 돌출부(1320) 및 각각의 실링 돌출부(1310)의 돌출되는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에어 시트(1300), 각각의 실링 돌출부(1310) 및 지지 돌출부(132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고,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시트(1300), 각각의 실링 돌출부(1310) 및 지지 돌출부(1320)는 실리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00)는 본체관(1100) 및 커버부(1200)의 서로 맞물리는 영역 간의 사이를 실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링 부재(1400)는 내측 실링 부재(1410) 및 외측 실링 부재(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실링 부재(1410) 및 외측 실링 부재(142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고,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측 실링 부재(1410) 및 외측 실링 부재(1420)는 실리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실링 부재(1410) 및 외측 실링 부재(1420)는 각각 본체관(1100)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는 아래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2단의 단차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200)의 내측면에는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첫번째 단차의 상면과 저면이 맞물리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첫번째 단차는 체결홈(1132)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실링 부재(1410)는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첫번째 단차의 상면과 커버부(1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차의 저면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두번째 단차의 상면은 커버부(1200)의 측벽의 저면과 맞물린다. 커버부(1200)의 외측면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의 영역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단차가 형성된다.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두번째 단차는 커버부(1200)의 외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단차의 만입된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 실링 부재(1420)는 유입로 형성부(1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에서 두번째 단차의 상면 및 커버부(1200)의 외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단차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 중으로 제공되는 실링 부재(1400)가 제공됨으로써, 접착제 등을 사용해 본체관(1100) 및 커버부(1200)의 사이가 실링되도록 본체관(1100) 및 커버부(1200)를 부착시키지 않더라도, 본체관(1100) 및 커버부(1200)가 맞물리는 영역의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통기 벤트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배수 배관 내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어 시트(1300)가 본체관(1100)의 측벽의 상면에 안착되어 유입로(1120)를 막음으로써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가 유입로(1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오배수 배관 내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로(1120)를 통해 커버부(1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에어 시트(1300)가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상승된 에어 시트(1300)와 본체관(1100)의 상면 간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로(1120)로 유입된 공기가 통기 벤트(1000)의 내부를 통해 오배수 배관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기 벤트(1000)는 내측 실링 돌출부(1311) 및 외측 실링 돌출부(1312)가 각각 복수개로 제공되고, 지지 돌출부(1320) 및 실링 부재(1400)가 제공됨으로써 오배수 배관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통기 벤트 1100: 본체관
1110: 유로 1120: 유입로
1130: 유입로 형성부 1131: 만입홈
1132: 체결홈 1200: 커버부
1210: 가이드 부재 1120: 체결 돌기
1300: 에어 시트 1310: 실링 돌출부
1311: 내측 실링 돌출부 1312: 외측 실링 돌출부
1400: 실링 부재 1410: 내측 실링 부재
1420: 외측 실링 부재

Claims (5)

  1. 하단이 오배수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및 상단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측벽의 외측면의 상단부에는 상면 및 저면 간에 공기가 흐르는 유입로가 관통되는 유입로 형성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되는 본체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덮되, 상기 본체관의 상기 상단을 바라보는 저면이 개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측벽의 상면 및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기 상면에 상기 유입로를 가리도록 놓이고,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위로 상승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에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실링 돌출부가 제공되되,
    상기 실링 돌출부는,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유입로 및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의 외측 끝단 간의 사이를 가로 막는 외측 실링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는 각각 상기 유로 및 상기 유입로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유입로 형성부는 상기 본체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유입로는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에는,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면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는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의 상기 측벽의 상면 및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면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된 영역보다 내측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는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의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면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된 영역의 외측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의 상기 측벽의 상면,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면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된 영역 및 상기 유입로 형성부의 상면의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평평하게 제공되며,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은 평평하게 제공되고, 상기 내측 실링 돌출부, 상기 외측 실링 돌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에어 시트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는 통기 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 및 상기 커버부의 서로 맞물리는 영역 간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기 벤트.
KR1020210010438A 2021-01-25 2021-01-25 통기 벤트 KR10231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38A KR102319339B1 (ko) 2021-01-25 2021-01-25 통기 벤트
KR1020210142603A KR20220107914A (ko) 2021-01-25 2021-10-25 통기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38A KR102319339B1 (ko) 2021-01-25 2021-01-25 통기 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03A Division KR20220107914A (ko) 2021-01-25 2021-10-25 통기 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39B1 true KR102319339B1 (ko) 2021-10-29

Family

ID=782311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38A KR102319339B1 (ko) 2021-01-25 2021-01-25 통기 벤트
KR1020210142603A KR20220107914A (ko) 2021-01-25 2021-10-25 통기 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03A KR20220107914A (ko) 2021-01-25 2021-10-25 통기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93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0146B1 (en) * 2006-12-15 2007-09-18 Wilhelmina E. E. Johnston Air vent valve
KR101009474B1 (ko) * 2010-09-06 2011-01-19 (주) 스튜더 오배수 통기밴트
KR20110097308A (ko) 2010-02-25 2011-08-31 (주) 에이에이브이 오배수 통기밴트
JP2011530681A (ja) * 2008-08-08 2011-12-22 ステユドール・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アドミッタンス弁
KR101472968B1 (ko) * 2013-09-04 2014-12-16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200478332Y1 (ko) * 2015-02-25 2015-09-18 주식회사 에스엠지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US20160290518A1 (en) * 2015-04-02 2016-10-06 Capricorn S.A. Ventilating valve for a sewer pip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0146B1 (en) * 2006-12-15 2007-09-18 Wilhelmina E. E. Johnston Air vent valve
JP2011530681A (ja) * 2008-08-08 2011-12-22 ステユドール・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アドミッタンス弁
KR20110097308A (ko) 2010-02-25 2011-08-31 (주) 에이에이브이 오배수 통기밴트
KR101009474B1 (ko) * 2010-09-06 2011-01-19 (주) 스튜더 오배수 통기밴트
KR101472968B1 (ko) * 2013-09-04 2014-12-16 주식회사 에브윈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200478332Y1 (ko) * 2015-02-25 2015-09-18 주식회사 에스엠지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US20160290518A1 (en) * 2015-04-02 2016-10-06 Capricorn S.A. Ventilating valve for a sew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14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852B1 (ko) 통기 밸브
JP3372946B2 (ja) 通気装置
AU779459B2 (en) Air admittance valve for sanitary waste pipe system
KR101493605B1 (ko) 배수체
KR102319339B1 (ko) 통기 벤트
KR102356646B1 (ko) 건축물의 오배수관용 통기밸브
JP2015143442A (ja) 通気口装置および通気弁構造
WO2017069685A1 (en) Valve device
KR101472968B1 (ko)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20120026031A (ko) 위생 하수관 시스템용 고용량 통기 밸브
JP3911588B2 (ja) 吸気弁付き排水トラップ
JP5386275B2 (ja) 排水用通気弁
JP2008248603A (ja) 合流ます
JP7145716B2 (ja) 溢水抑制具及び排水管構造
JP7276735B2 (ja) 排水装置
KR102451693B1 (ko) 배수관 연결 장치
JP6630890B2 (ja) 吸気弁
KR20190078938A (ko)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JP6007382B1 (ja) 排水トラップ、弁部材、および流路ユニット
JP7473329B2 (ja) フロートおよび通気孔密封フロート構造
JP4539602B2 (ja) トラップ装置
JP7049042B2 (ja) 排水装置
JP5277398B2 (ja) 浴室の排水構造
JP6539867B2 (ja) 排水トラップ
JP7165309B2 (ja) 通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