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636B1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636B1 KR101949636B1 KR1020180016460A KR20180016460A KR101949636B1 KR 101949636 B1 KR101949636 B1 KR 101949636B1 KR 1020180016460 A KR1020180016460 A KR 1020180016460A KR 20180016460 A KR20180016460 A KR 20180016460A KR 101949636 B1 KR101949636 B1 KR 101949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vibrator
- pedestal
- groove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일 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진동자를 장착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진동자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몸체; 물이 담겨진 장착대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조 내부에 투입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기로서, 수조 내부에 고정 장착되어 구비되는 것이 아닌, 세척기를 휴대하면서 필요 시 수조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초음파 세척이 가능하며, 초음파 진동을 조사하는 방향의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피세정물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가 산업용이나 업소용 또는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척기는 세정조에 물과 같은 유체가 담겨 있는 형태를 갖는다.
세척기는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물의 진동을 통하여 피세정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피세정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일례로 세척기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식기 등을 자동 세척하거나, 과일이나 채소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거나, 또는 안경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물을 수용하는 세정조는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며, 세정조에 담긴 물에 충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이 커질 수밖에 없고 전기 사용량도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61524호 ‘휴대용 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진동판을 구비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판의 대향면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재; 및 상기 헤드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휴대용 세척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단순히 힌지 방식의 지지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시 고정된 기울기가 진동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나아가 진동자가 위치한 헤드부재가 진동자 보호역할을 거의 하지 못하게 되어 수조 내부에 위치한 그릇과 같은 피세정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쉽게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2010-0012548호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작은 크기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장착하여 싱크대나 가전제품 등 때가 빠지지 않는 곳을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세척기 역시도 코브라라고 명칭된 길이 및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진동자를 위치시키는 구성이되, 이 코브라구성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쉽게 변형되므로, 특정 위치나 방향을 요하는 작업에 활용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투입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기로서, 수조 내부에 고정 장착되어 구비되는 것이 아닌, 세척기를 휴대하면서 필요 시 수조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초음파 세척이 가능할뿐더러 초음파 진동을 조사하는 방향의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고 설치가 쉬운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음파 세척기의 설치 이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속에서 진동 발생 시 장착대상과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외부 충격 발생 시 진동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일 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진동자를 장착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진동자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몸체; 물이 담겨진 장착대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받침대의 일 측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받침대를 상기 장착대상에 흡착하는 수단을 구비한 흡착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몸체를 받치는 면에는, 일정 길이로 함입 형성된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날개의 외 측단이 상기 슬릿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1)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 및 구성을 제공하고,
2) 장착대상에 장착된 이후 진동자에 장착된 날개 구성을 통해 기존의 단순 진동자 장착방식과 비교하여 자유롭게 진동자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제공하며,
3) 흡착 가능한 흡착판 구성을 통해 수중에서 사용되더라도 장착대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4) 보호층을 제공하는 벨로스 구성을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진동자를 보호하는 구성을 더 제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서 몸체 및 진동자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 슬릿 이동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날개에 회동 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중간체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몸체에 벨로스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서 몸체 및 진동자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 슬릿 이동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날개에 회동 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중간체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몸체에 벨로스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서 몸체(200) 및 진동자(100)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진동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진동자(100)의 진동발생구성 및 기타 내부구성이 포함된 축부(미도시)와, 상부에 위치하여 진동을 발산하는 헤드부(미도시)로 구성되는 진동자(100); 이 진동자(100)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충격방지 구성을 구비한 몸체(200), 몸체(200)에 둘러싸인 진동자(100)를 지지하여 장착대상에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실질적으로 이 몸체(20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 혹은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받침대(300)로 구성된다.
받침대(300)의 설명에서도 보이듯이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는 장착대상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되, 진동자(100)를 사용하는 특성 상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인 액체(바람직하게는 물)가 수용된 수조나 그릇 과 같은 장착대상에 받침대(300)를 매개로 진동자(100)를 고정시켜 사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몸체(200)의 형상은 회전이 용이한 형상인 구형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좋되, 그 외에도 다양한 외형을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받침대(300)도 이러한 몸체(200)를 받치는 구성이기 때문에 되도록 라운드지게 함입되거나 혹은 다양한 형상으로 내측으로 함입되어 몸체(2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는 후술할 몸체(200) 삽입부(미도시)에 대응된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함입되지 않고도 측벽을 쌓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적용하는 등 공지된 다양한 지지가 가능한 받침대(300) 구성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격적으로 이러한 몸체(200)와 받침대(30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200)는 바람직하게는 진동자(100)의 일 부위(바람직하게는 헤드부)가 노출되도록 진동자(100)를 장착시키는 하우징(210)과, 진동자(100)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하우징(210)과 결합되는 망체(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10)은 진동자(100)의 하부(바람직하게는 기둥)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원통형상을 가져 기둥 형상의 진동자(100)를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을 갖되, 이 하우징(210)의 둘레에는 방사 형태로 장착된 복수 개의 날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결론적으로는 진동자(100)의 하부를 둘러싸 마치 케이스가 끼워진 듯한 형상을 갖추게 된다. 다만 이러한 형상은 전체적인 케이스의 형태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구형이 되는 데에는 부적합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따라서 별도로 이러한 원통형상을 보조하여 회전에 가장 용이한 형상인 반구형상(물론 꼭 반구형상을 갖출 필요는 없으며, 다면체 구조를 갖더라도 회전은 가능함은 물론이다.)을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서 방사형으로 장착되는 날개(230) 구성이 더 포함된다.
망체(220)는 하우징(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를 갖춘 것으로서(이것은 하우징(210)과 날개(230)의 구성이 반구 형상을 갖추었을 때를 가정한 것으로서, 다른 형상을 갖출 수도 있으므로, 이 다른 형상을 갖추게 될 때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망체(220)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하우징(210)에 장착된 진동자(100)의 노출된 부위를 둘러싸는, 다시 말해 진동자(100)의 상부인 헤드부를 둘러싸는 구성이다. 이 망체(220)는 진동자(100)의 노출된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어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진동이 망체(220)를 통과하여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어 진동자(100)를 보호하면서도 활용하는 데에 최적화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진동자(100) 및 몸체(200)가 준비되면, 이 몸체(200)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 고정시킬 수 있는 받침대(300)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받침대(300)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을 갖는 몸체(200)가 그 자체적으로는 특정 위치에 원하는 형상으로 고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포함되는 것이며, 따라서 구형 또는 다면체 구조의 몸체(20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몸체(20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이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함입된 몸체(200) 삽입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몸체(200) 삽입부는 바람직하게는 몸체(200)에서 날개(2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접촉된 상태로 몸체(2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받침대(300)와 몸체(200)는 자성결합을 하거나 혹은 볼 조인트와 같은 끼움식 결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받침대(300)는 몸체(200) 삽입부의 대향측에 초음파 세척기가 장착될 장착대상(수조 등의 장착면)에 부착되는 흡착부(310)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흡착부(310)는 일반적으로 생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진공을 매개로 한 흡착판과 같은 흡착식 결합구성이므로 상세한 원리나 구성은 생략하되, 흡착부(31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는 것이 아닌, 받침대(300)의 하부 자체가 흡착판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날개(2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날개(230)는 몸체(200)의 하우징(210)에서 이 하우징(210)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받침대(300)에서 하우징(210)을 보조하여 몸체(200)가 받침대(30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받침대(300)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형상은 받침대(300)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는 없으므로, 받침대(300)를 반구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이 형상을 보조하는 날개(230)와 같은 구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300)를 내부가 채워진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면, 진동자(100)를 감싸는 부위가 두터워지므로 그만큼 부자재의 소모가 커져 바람직하게는 이 날개(230)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구동의 효율에 있어서도 더 좋은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날개(230)의 기본 형상을 살펴보면, 종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하우징(210)의 하부와의 경계부위로부터 망체(220)와의 경계부위를 향해 높이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돌출된 높이가 증가하는 사분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분원 형상은 2개(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이상의 날개(230)가 하우징(210)의 측면에 각각 장착되게 되면, 전체적인 형상이 반구 형상을 갖게 되며, 따라서 망체(220)가 장착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 혹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날개(230)의 측부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받침대(300)의 몸체(200) 삽입부에 내장되게 됨으로써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이 이격 거리만큼 하우징(210)으로의 충격이 날개(230)를 통해 완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반대로 진동자(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몸체(200)를 통해 장착면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이동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구성으로서 활용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230)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분원 형상을 갖게 되면, 직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이 각각 하우징(210) 및 망체(220)와 접한 상태에서 나머지 곡률진 변이 몸체(200) 삽입부에 접촉하여 몸체(200) 삽입부의 라운드지게 함입된 표면을 따라 회동 및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즉, 진동자(100)의 하부에 위치한 부위로부터 망체(220)와의 경계부위까지 연장되되, 그 연장된 높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러한 사분원 형상을 갖추게 된다. 동시에 날개(230)의 두께 역시도 망체(220)와의 경계부위를 향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하면, 회전 이동 시 동일한 면적에서 날개(230)의 접촉 개수가 감소하는 망체(220)와의 경계 부위측이 두께의 증가에 따라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에 슬릿(320) 이동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면, 본격적으로 몸체(200)가 몸체(200)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받침대(300)에서 몸체(200)를 받치는 면에는, 일정 길이로 함입 형성된 복수의 슬릿(320)이 구비되어, 날개(230)의 외 측단(특히 모서리) 부위가 슬릿(320)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슬릿(320)의 길이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슬릿(320)이 마치 ‘*’과 같은 형상으로 여러 기울기로 형성되도록 하면, 날개(230)가 이 슬릿(3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슬릿(320)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본적으로 표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투입부(미도시)와, 이 투입부의 내측으로 투입부의 폭 보다 큰 폭으로 함입 연장된 확장 투입부(미도시, 따라서 투입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T’를 뒤집은 형상)을 갖고, 날개(230)의 외 측단에도, 이 슬릿(320)의 구조와 대응되어 ‘T’자 형상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장착부(미도시)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앞선 확장 투입부에 투입되거나 혹은 확장 투입부가 아니더라도, 투입부 자체의 내측면과 보다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날개(230)의 외 측단 모서리 부위에 탄성 재질로서 날개(230)의 양 측에 각각 장착되는 마찰패드(231)의 구성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슬라이딩 장착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날개(230)가 슬릿(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날개(230)의 표면에는 슬릿(320)의 표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의 마찰패드(231)가 적어도 날개(230)의 외 측단에서 연장방향을 따라 부착됨으로써 슬릿(320)과의 마찰력을 높여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마찰패드(231) 자체도 어느 정도의 체적을 갖출 수 있어 마찰패드(231) 자체만으로도 기존의 끼움 구조를 보조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날개(230)에 회동 구성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날개(230)는 하우징(210)과 힌지 등의 회동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회동부에서 회동되는 부위에 마찰계수가 큰 재질의 코팅처리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그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거나, 별도로 돌기 등의 스토퍼 구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회동부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반대로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두 가지 형상은 모두 공지된 회동 관련 구성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두 회동구성의 특징은 각각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정도가 다르면서도 돌출된 정도가 달라 다른 부재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형상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부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토록 하겠다.
즉, 하우징(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로 돌출된 것으로서, 하우징(21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그 단부가 곡면 처리된 회동편(211)과, 회동편(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날개(230)의 단부가 곡면 처리되되 회동편(211)의 단부보다 곡률반경이 크도록 함입된 회동홈(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곡률반경의 차이로 인해 회전 가능한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샘플시험 등을 통해 원하는 정도의 회전범위가 나올 수 있는 곡률반경을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회동부 구성은 날개(230)를 일정 각도로 눕혀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300) 상에서 몸체(200)를 특수한 형태로 위치시키려 하는 경우나 혹은 물살 등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 날개(230)를 일정 기울기로 젖혀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몸체(200)이자 특히 하우징(210)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회동편(211)에서 하우징(210)과의 경계부위에는 하우징(210)의 둘레를 따라 관통된 관통홈(212)이 구비된다. 이 관통홈(212)은 후술할 연결부(214)가 관통하는 구성으로서 활용된다.
나아가 하우징(210)에는 이 관통홈(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동 보조체(미도시) 구성이 포함된다. 이 회동 보조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동 보조체는, 둘레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슬릿(320)을 매개로 상기 날개(23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장착부(213)와, 각각의 회동편(211)에서 하우징(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홈(212)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이웃한 회동 장착부(213)를 연결하는 연결부(214)로 구성된다.
이 때, 연결부(214)는 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갖도록 하며, 약간의 탄성 혹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관통홈(212)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슬릿(320)이 구비된 회동 장착부(213)는 하우징(210)에서 날개(230)와 날개(230) 사이에 이 슬릿(320)을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따라서 회동 보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하우징(210)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추어 이 회동 보조체가 하우징(210)의 둘레를 따라 날개(230)와 날개(230) 사이의 간격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동 보조체가 회동하면 회동 장착부(213)와 회동 장착부(213) 사이의 공간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회동부를 통해 날개(230)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모두 동일하게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회동 장착부(213)와 회동 장착부(213) 사이의 공간은 하우징(210)과 가까운 부분을 내측이라 하고 멀어지는 부분을 외측이라 할 때, 내협외광(內狹外廣)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회동부를 매개로 날개(230)가 바람직하게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8은 중간체(360)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더욱이 몸체(200) 삽입부의 중앙부위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분산홈(350)이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분산홈(350)과 몸체(200) 사이에는 분산홈(3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상의 중간체(360)가 구비된다. 이 중간체(360)는 몸체(200)와 받침대(300) 사이에서 힘의 영향을 미칠만한 충분한 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몸체(200)를 움직일 때에 분산홈(350)과의 사이에서 몸체(200)가 받침대(30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쉽게 말해 몸체(200)와 받침대(300)만이 존재한다면, 이 둘은 서로 장착되는 부위가 유사하여 물속에 위치할 때에 자동차가 물에 빠졌을 때 문이 열리지 않는 현상과 유사한 영향에 의해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겠지만, 그 사이에 중간체(360)와 같이 매개체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 중간체(360)를 통해 간격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들이더라도 쉽게 회동이 가능한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중간체(360)의 중앙부위에는 분산홈(350)과 연통되도록 관통 연장된 관통홈(36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10)의 저면이자 바람직하게는 접촉부의 저면에는 관통홈(361)을 지나 분산홈(350)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샤프트(362)는 중간체(360)가 샤프트(362)에 끼워져 몸체(200)와 받침대(30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몸체(200)의 회동반경이나 범위를 제한하는데 활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을 고려한다면 관통홈(361)과 분산홈(350)은 도면의 경우에는 이해를 위해 그 폭이 작은 소형 홈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몸체(200)의 회동에 의해 샤프트(36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히기 위해서는 그만큼 분산홈(350)과 관통홈(361)의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 보다 더욱 크게도 형성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에 있어서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을 통해 생성된 초음파로 수조 등에 위치한 개체를 세척하는 것이 목적인 이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 진동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물결이 일 정도로 강한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히 식기세척 등과 같이 단단한 물체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경우라면 진동자(100)가 이 식기와 같은 단단한 개체와 부딪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9는 몸체(200)에 벨로스(240)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따라서 외력으로부터 이 진동자(100) 및 몸체(200)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하우징(210)과 상기 망체(220)의 경계면에 장착되는 벨로스(240)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벨로스(240)는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진동자(100)와의 사이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완충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 벨로스(24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층이 충격을 받았을 때 쉽게 찌그러들면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이 완충공간에는 하우징(210)보다 큰 탄성을 갖는 재질의 완충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완충링은 바람직하게는 벨로스(240)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벨로스(240)가 항상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로스(240)가 외력에 영향을 받을 때 함께 충격을 흡수하고, 나아가 다시 벨로스(240)가 원래의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몸체(200)가 외력을 받더라도 벨로스(240)를 통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벨로스(240)가 원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어 다시 외력이 가해질 때에 이 벨로스(240)를 통해 계속적으로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어 몸체(200)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진동자 200: 몸체
210: 하우징 211: 회동편
212: 관통홈 213: 회동 장착부
214: 연결부 215: 슬릿
220: 망체 230: 날개
231: 마찰패드 232: 회동홈
240: 벨로스 300: 받침대
310: 흡착부 320: 슬릿
350: 분산홈 360: 중간체
361: 관통홈 362: 샤프트
210: 하우징 211: 회동편
212: 관통홈 213: 회동 장착부
214: 연결부 215: 슬릿
220: 망체 230: 날개
231: 마찰패드 232: 회동홈
240: 벨로스 300: 받침대
310: 흡착부 320: 슬릿
350: 분산홈 360: 중간체
361: 관통홈 362: 샤프트
Claims (12)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로서,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일 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진동자를 장착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진동자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몸체;
물이 담겨진 장착대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된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몸체를 받치는 면에는, 일정 길이로 함입 형성된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날개의 외 측단이 상기 슬릿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 측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받침대를 상기 장착대상에 흡착하는 수단을 구비한 흡착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외 측단에는,
상기 슬릿의 표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서 상기 날개의 연장방향을 따라 장착된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로서,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일 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진동자를 장착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진동자의 노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몸체;
물이 담겨진 장착대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된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하우징과 회동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단부가 곡면 처리된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날개의 단부가 곡면 처리되되 상기 회동편의 단부보다 곡률반경이 크도록 함입된 회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편에서 상기 하우징과의 경계부위에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관통된 관통홈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슬릿을 매개로 상기 날개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장착부와, 상기 회동편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홈을 따라 연장되어 이웃한 상기 회동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망체의 경계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완충공간을 구비한 벨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몸체가 접하는 부위의 일 영역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분산홈과,
상기 분산홈과 상기 몸체 사이에서 상기 분산홈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상의 중간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분산홈과 연통되도록 관통 연장된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으로 부터 상기 관통홈을 지나 상기 분산홈의 일 측으로 연장된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460A KR101949636B1 (ko) | 2018-02-09 | 2018-02-09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460A KR101949636B1 (ko) | 2018-02-09 | 2018-02-09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9636B1 true KR101949636B1 (ko) | 2019-02-18 |
Family
ID=6556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460A KR101949636B1 (ko) | 2018-02-09 | 2018-02-09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63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77550A1 (ko) * | 2020-03-03 | 2021-09-10 | (주)정신전자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11444A (ja) * | 1994-04-07 | 1997-11-18 | バッシュ−バ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汚れた目的物、例えば汚れた織物または皿の清浄装置とその充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組合わせ |
KR20090108276A (ko) * | 2008-04-11 | 2009-10-15 | 박우열 | 포터블용 야채·식기 세척기 |
KR101470788B1 (ko) * | 2014-02-27 | 2014-12-12 | 공봉재 | 초음파 세척기 |
-
2018
- 2018-02-09 KR KR1020180016460A patent/KR1019496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11444A (ja) * | 1994-04-07 | 1997-11-18 | バッシュ−バ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汚れた目的物、例えば汚れた織物または皿の清浄装置とその充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組合わせ |
KR20090108276A (ko) * | 2008-04-11 | 2009-10-15 | 박우열 | 포터블용 야채·식기 세척기 |
KR101470788B1 (ko) * | 2014-02-27 | 2014-12-12 | 공봉재 | 초음파 세척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77550A1 (ko) * | 2020-03-03 | 2021-09-10 | (주)정신전자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9636B1 (ko) |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 |
KR101761297B1 (ko) | 모터 마운트 | |
RU2560320C2 (ru) |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 |
JP4386935B2 (ja) | 単一モータによるカメラレンズのパン動作及びチルト動作が可能な回転可能なカメラ | |
JP2017500946A (ja) | 振動動作変換器を備えた肌洗浄装置 | |
KR101949726B1 (ko) | 측지측량용 삼각대 장치 | |
JPH10246287A (ja) | 台足構造 | |
KR101973928B1 (ko) | 세척 효율이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 |
JP2022068086A (ja) | 伸縮式シャワー | |
KR101910183B1 (ko) | 소음감소 및 진동완충 기능을 갖는 초음파 식기세척기 | |
KR101914643B1 (ko) |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초음파 진동자 어셈블리 | |
CN104677033B (zh) | 翻盖式储藏盒组件及包含该翻盖式储藏盒组件的制冷设备 | |
KR20210113593A (ko) | 휴대용 떨림 방지 안정 장치 및 촬영 스태빌라이저 | |
CN107989962B (zh) | 一种阻尼装置以及洗衣机 | |
KR102592908B1 (ko) | 캐스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 |
TWM451997U (zh) | 低噪型腕力訓練球 | |
US20140069146A1 (en) | Noise reduction device for appliances, especially household appliances, and appliance using the device | |
JP6986907B2 (ja) | シャワーフック及び浴室 | |
KR20010047080A (ko) | 진공청소기의 완충구조체 | |
CN211609572U (zh) | 坐便器盖板及智能坐便器 | |
WO2007105787A1 (ja) | 洗浄装置及びその取付具 | |
CN107012642B (zh) | 衣物取放口活动式滚筒洗衣机 | |
JP2004192750A (ja) | トップカバー | |
CN209528503U (zh) | 一种自动回位座椅 | |
JP4252336B2 (ja) | 制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