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967B1 -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967B1
KR101948967B1 KR1020150167646A KR20150167646A KR101948967B1 KR 101948967 B1 KR101948967 B1 KR 101948967B1 KR 1020150167646 A KR1020150167646 A KR 1020150167646A KR 20150167646 A KR20150167646 A KR 20150167646A KR 101948967 B1 KR101948967 B1 KR 10194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outer conductor
conductor shell
she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515A (ko
Inventor
이쿠오 덴포야
아츠히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외부 도체 쉘의 대략 원통부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보다 완전한 원통형에 가깝게 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단자와,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한다. 외부 도체 쉘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접속되는, 불연속 부분을 갖는 대략 원통부를 갖고 있고, 하우징에, 불연속 부분에 배치되어 그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대략 원통부의 내경을 원통형에 가깝게 하는 보족부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보족부의 외측에,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족부의 외측면에 근접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PART FOR FILLING DISCONTINUOUS PART OF OUTER CONDUCTOR SHELL}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특히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접속되는 외부 도체 쉘의 대략 원통부에 불연속 부분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110) 의 외관 사시도를 도 14 에 나타낸다.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 (110) 는, 절연성의 하우징 (114) 과, 절연성의 하우징 (114) 에 형성된 도전성의 단자 (116), 또한, 하우징 (114) 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 (220)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 (112) 을 포함한다. 외부 도체 쉘 (112) 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접속되는 대략 원통부 (120) 를 갖고 있고, 그 대략 원통부 (120) 의 내부에는, 하우징 (114) 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동심상의 절연성 원통부 (141) 가 배치되고, 또한, 절연성 원통부 (141) 의 내부에는, 단자 (116) 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는,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 외부 도체 쉘 (112) 의 대략 원통부 (120) 와 하우징 (114) 의 절연성 원통부 (141) 사이에 끼워짐과 함께,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가 단자 (116)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97914
특허문헌 1 의 외부 도체 쉘 (126) 은, 대략 원통부로서, 예를 들어, 원환 (圓環) 방향에 있어서, 또, 직경 방향에 있어서, 또한,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의 접속 방향에 있어서, 불연속 부분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도체 쉘 (126) 은, 하우징 (114) 의 절연성 원통부 (141) 와 같이 완전한 원통 형상을 갖고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원환 방향에 있어서 절결되고, 또, 직경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지 않고, 또한,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의 접속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불연속 부분을 갖는 원통부에서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와의 관계에서 비틀림이 발생했을 때에, 외부 도체 쉘 (126) 의 불연속 부분에 상대 커넥터의 일부가 들어가, 결과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나, 외부 도체 쉘을 변형시켜 버릴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외부 도체 쉘의 대략 원통부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보다 완전한 원통형에 가깝게 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접속되는, 불연속 부분을 갖는 대략 원통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불연속 부분에 배치되어 그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상기 대략 원통부의 내경을 원통형에 가깝게 하는 보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략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의 외측에,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족부의 외측면에 근접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외부 도체 쉘의 대략 원통부의 불연속 부분은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좌굴이나 쉘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본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보다 완전한 원통형에 가깝게 할 수 있어, 그들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족부의 외측면을 대략 원통부의 외경측으로부터 눌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좌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대략 원통부에 대한 보족부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2) 상기 (1) 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의 높이는 상기 대략 원통부의 높이와 거의 동등한 것이어도 된다.
(3) 상기 (2) 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족부의 외벽에 파고들게 한 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보족부의 외벽에 파고들게 함으로써, 보족부의 외측면을 대략 원통부의 외경측으로부터 눌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좌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보족부의 대략 원통부의 중심측에 가까이 붙여 대도록 하여 대략 원통부에 대한 보족부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4)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배치면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각각 배치된 쌍의 코킹부를 갖고, 상기 쌍의 코킹부의 에지 부근은, 상기 대략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 (47) 의 외경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는, 상기 대략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족부를 이용하여, 대략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원주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좌굴이나 쉘의 변형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는, 상기 대략 원통부의, 상기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의 접속 방향을 따르는 통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족부를 이용하여, 대략 원통부의의 높이를 원주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좌굴이나 쉘의 변형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은, 1 매의 판 형상 금속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도체 쉘의 대략 원통부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여, 보다 완전한 원통형에 가깝게 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은, 동축 케이블이 결선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저측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하우징의 저측 사시도이다.
도 4 는, 하우징의 상측 사시도와, 외부 도체 쉘의 저측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1 의 H-H 선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 의 J-J 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소위 라이트 앵글형 커넥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동축 케이블 (10) 이 결선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저측 평면도, 도 2 는,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는, 도 1 의 H-H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형상을 이루며, 주로, 도전성의 단자 (20) 와,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된 절연성의 하우징 (40) 과, 하우징 (40) 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 (1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 (70) 을 구비한다. 또한,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들을 분해할 수 없지만, 도 2 에서는, 편의상, 이들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조립시에는, 단자 (20) 및 하우징 (40) 이나, 동축 케이블 (10) 은, 도시한 화살표 「β」 방향을 따라,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저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들 순서로 외부 도체 쉘 (70) 에 배치되고, 외부 도체 쉘 (70) 에 고정되게 된다.
동축 케이블 (10) 은, 종래 일반의 동축 케이블과 동일한 구조, 즉, 최외각 (最外殼) 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절연 피복 (11), 외부 도체 (12), 절연체 (13), 심선 (芯線) (14) 을 갖는다. 이 구조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단자 (20) 는, 동축 케이블 (10) 의 축선 방향 (α) 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본체부 (26) 의 중간 부근에는 단부 (段部) (2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 (25) 에 의해, 일체 성형된 하우징 (40) 에 있어서, 단자 (20) 의 후단측 (24) 을 전단측 (22) 보다 동축 케이블 (10) 에 접근시키고, 그 한편으로, 단자 (20) 의 전단측 (22) 을 후단측 (24) 보다 외부 도체 쉘 (70) 의 면 (78) 에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단자 (20) 의 후단측 (24) 에는,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과 접촉시키는 접속부 (2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부 (24) 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조립시에,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이 설치된다. 또, 단자 (20) 의 전단측 (22) 에는,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와 접촉시키는 접촉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22) 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측을 향해 입상 (立上) 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를 중심에 끼워 넣을 수 있는 2 개의 편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변위부 (22') 로서 형성되어 있다. 물론, 탄성 변위부 (22') 로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단순한 삽입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은,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된 하우징 (40) 의 저측 사시도, 도 4 는, 그 표측 사시도이다. 도 4 에는, 또한, 외부 도체 쉘 (70) 의 저측 사시도가, 도 2 의 것과는 각도를 바꾸어 나타나 있다. 또, 도 5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다.
하우징 (40) 은, 주로, 본체부 (46) 와, 본체부 (46) 의 선단측에 형성한 원통부 (42), 또한, 본체부 (46) 의 후단측에 형성한 케이블 고정부 (41, 50 등) 를 구비한다.
이들 각 부는, 수지 몰드에 의해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단, 단자 (20) 의 일부는, 이 일체 성형 후에도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단자 (20) 의 노출부에는, 접속부 (24) 는 물론, 접촉부 (22) 의 저측의 일부의 접촉부 (22) 의 탄성 변위부 (22') 와 그 주변부나, 접촉부 (22) 의 상면측의 일부, 즉, 단자 (2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단자 (20) 의 접촉부 (22) 와는 반대의 측 (상면측) 에 위치된, 외부 도체 쉘 (70) 과의 대면측의 일부가 포함된다. 또한, 접촉부 (22) 의 상면측의 일부도 노출되어 있는 것은,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특유의 문제에 의한 것이다. 즉,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흐름에 대항하여 단자 (20) 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억제하려면, 단자 (20) 의 일부를 금형에 의해 누를 필요가 있지만, 이 때, 본래적으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는 저측의 탄성 변위부 (22') 와 함께, 탄성 변위부 (22') 의 상면측을 금형으로 누르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금형으로 누른 부분은, 결과적으로 수지의 관통공 (48) 에 의한 노출부 (27) 로서 남게 되고, 따라서, 단자 (20) 의 노출부 (27) 에는, 단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단자 (20) 의 접촉부 (22) 와는 반대의 측에 위치시킨 것이 포함되게 된다.
본체부 (46) 는, 전체적으로 대략 입방 형상을 갖지만, 그 상면에 상대 커넥터의 접근측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 (47) 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 (47) 는, 외부 도체 쉘 (70) 의 대략 원통부 (72) 의 불연속 부분 (73) 을 보족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 선단측의 원통부 (42) 는, 상면부 (45) 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중심에 단자 (20) 의 접촉부 (22) 가 배치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는, 원통부 (42) 는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원통부 (42) 의 중심에 배치된 접촉부 (22) 에 원통 쉘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 단자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삽입, 접촉된다. 원통부 (42) 의 상면부 (45) 로부터 앞측 및 좌우 측방을 향해 연장된 3 개의 돌기 (44) 는,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쉘 (70) 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체부 후단측의 케이블 고정부 (41, 50 등) 에는,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을 설치하는 설치면 (41) 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의 일체 성형 후에도, 단자 (20) 의 접속부 (24) 는, 이 설치면 (41) 으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설치면 (41) 은 대략 평탄하지만, 접속부 (24) 를 설치면 (41) 으로부터 돌출 혹은 패인 상태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단자 (20) 와 심선 (14) 의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패임부 (43) 로 하고 있다.
심선 (14) 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고정부 (41, 50 등) 에, 쌍을 이루는 압착편 (50A, 50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쌍의 압착편 (50A, 50B) 은, 각각, 설치면 (41)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있어서 한 변 (53) 에 있어서만 지지되고, 각 지지부 (53A, 53B) 를 중심으로 하여, 심선 (14) 이 설치되는 설치면 (41) 을 향해 절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외부 도체 쉘 (70) 은, 1 매의 판 형상 금속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외부 도체 쉘 (70) 에는, 주로, 하우징 (40) 이나 동축 케이블 (10) 이 배치되는 배치면 (85) 과, 이 배치면 (85) 의 선단측에 형성된 대략 원통부 (72) 와, 또한, 복수의 코킹부 (80, 83, 84) 를 포함한다. 대략 원통부 (72) 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 (도시되어 있지 않음) 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배치면 (85) 의 선단측은, 전체적으로, 스콥 형상을 이루고, 숟가락부를 구성하는 일부인 입상부 (74) 에 의해 대략 원통부 (72) 를 포위하여, 대략 원통부 (72) 의 강도를 강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 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40) 은, 외부 도체 쉘 (70) 과의 대향면 (45) 에 외부 도체 쉘 (70) 을 향해 융기한 융기부 (49) 를 갖는다. 이 융기부 (49) 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갖고, 단자 (20) 의 일부 (27) 를 노출시키는 관통공 (48) 을 교점으로 한, 소정 폭을 갖는 2 개의 직선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일방의 직선 부분은, 동축 케이블 (10) 의 축선 방향 (α) 을 따라 단자 (20) 의 전단측으로부터 단부 (25) 의 길이 이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하우징 (40) 의 융기부 (49) 에 대응하여, 외부 도체 쉘 (70) 에는, 하우징 (40) 의 면 (45) 과 대향하는 면 (78) 에, 하우징 (40) 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패인 십자 형상의 패임부 (79) 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 (49) 는, 이 패임부 (79) 에 수용 가능한 이들 융기부 (49) 와 패임부 (79) 를 형성한 것에 의해, 외부 도체 쉘 (70) 에 하우징 (40) 을 배치했을 때,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의 일체 성형시에 발생한 관통공 (48) 에 의한 단자 (20) 의 노출부 (27) 를 외부 도체 쉘 (70) 로부터 떼어 놓고, 노출부 (27) 와 외부 도체 쉘 (70)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로 단자 (20) 와 외부 도체 쉘 (70) 을 확실하게 절연하고, 게다가, 커넥터를 저배화 (低背化) 시킬 수 있다. 또, 융기부 (49) 와 패임부 (79) 를 형성한 것에 의해,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쉘 (70) 에 배치했을 때, 패임부 (79) 에 융기부 (49) 를 끼워 넣도록 하여,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쉘 (70) 의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 (49) 나 패임부 (79) 의 형상은 십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삼각 형상이나 사각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 융기부 (49) 에 대해 패임부 (79) 의 패임의 정도가 커도 된다. 또한, 융기부 (49) 는, 도 4 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관통공 (48) 의 가장자리의 주위를 완전히 덮고 있을 필요는 없고, 관통공 (48) 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융기부 (49) 를 형성하지 않고,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부분에만 융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요는, 융기부 (49) 와 패임부 (79) 를 이용하여, 노출부 (27) 를 외부 도체 쉘 (70) 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으면 충분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십자 부분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외부 도체 쉘 (70) 은 판 형상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임부 (79) 는 타출 (打出)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패임부 (79) 는, 외부 도체 쉘 (70) 의 강도의 보강에도 도움이 된다.
대략 원통부 (72) 는, 절곡부 (72') 에서 절곡 가능한 상태로 배치면 (85) 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 도체 쉘 (70) 의 소정 위치에 하우징 (40) 이 배치된 후, 대략 원통부 (72) 는 배치면 (85) 을 향해 절곡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 는 모두, 대략 원통부 (72) 가 절곡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대략 원통부 (72) 가 절곡되었을 때, 대략 원통부 (72) 의 절결 (71) 과, 하우징 (40) 과 대면하고 있는 외부 도체 쉘 (70) 의 면 (78) 사이에, 원통부 (42) 의 표부 (表部) (45) 로부터 연장되는 좌우의 돌기 (44) 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이에 따라, 외부 도체 쉘 (70) 에 하우징 (40) 을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의 돌기 (44') 가 걸어맞춰지는 돌기가 외부 도체 쉘 (70) 의 절곡부 (72')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는, 배치면 (85)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각각이 배치된 쌍을 이루는 코킹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동축 케이블 (10) 의 축선 방향 (α) 을 따라 합계 3 세트, 즉, 전측 코킹부 (80), 중간 코킹부 (83), 후측 코킹부 (84) 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 코킹부 (80A, 80B) 는, 주로, 쌍을 이루는 압착편 (50A, 50B) 을 외부로부터 코킹하기 위한 것, 중간 코킹부 (83A, B) 는, 주로 외부 도체 (12) 를 코킹하기 위한 것, 후측 코킹부 (84A, B) 는, 주로 절연 피복 (11) 을 코킹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또한, 도 8 과 도 9 는, 함께,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도 8 에서는, 편의상, 전측 코킹부 (80) 의 일부를 없애고, 압착편 (50A, 50B)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 쉘 (70) 에 하우징 (40) 을 장착한 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10) 을 하우징 (40) 이나 외부 도체 쉘 (70) 에 위치시킨다. 이 때,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은 하우징 (40) 의 설치면 (41) 에 설치되고, 또, 동축 케이블 (10) 의 외부 도체 (12) 는 중간 코킹부 (83) 의 대응 위치에, 또한, 동축 케이블 (10) 의 절연 피복 (11) 은 후측 코킹부 (84) 의 대응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어서,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코킹부 (80A, 80B), 중간 코킹부 (83), 후측 코킹부 (84) 를, 각각, 하우징 (40) 이나 동축 케이블 (10) 에 대해 코킹한다. 이 때, 각 압착편 (50A, 50B) 은, 전측 코킹부 (80A, 80B) 와의 접촉을 통해서 설치면 (41) 을 향해 절곡되고, 이 결과,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은, 압착편 (50A, 50B) 과 설치면 (41)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거기에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의 유지, 고정을, 전측 코킹부 (80A, 80B) 의 코킹 작업과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 (10) 의 절연체 (13) 에 대해서는, 쌍의 압착편 (50A, 50B) 이 절곡되었을 때에 쌍의 압착편 (50A, 50B) 의 장출부 (56, 57) 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을 뿐, 코킹부는 특별히 존재하지 않는다.
중간 코킹부 (83) 가 외부 도체 (12) 에 대해 코킹되었을 때, 외부 도체 쉘 (70) 은, 중간 코킹부 (83) 와 외부 도체 (12) 의 접촉을 통해서, 외부 도체 (12)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결과,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는, 외부 도체 쉘 (70) 의 대략 원형부 (72) 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의 접속을 통해서, 동축 케이블 (10) 의 외부 도체 (12) 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후측 코킹부 (84) 는 절연 피복 (11) 에 대해 코킹되지만, 물론, 여기서는 전기적인 접속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7 등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 (1) 의 조립 후에 있어서도, 대략 원통부 (72) 는, 대략 원통부 (72) 의 원통 방향 (도 2 의 화살표 「β」 방향) 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10) 과 겹침을 갖는 일은 없기 때문에, 외부 도체 쉘 (70) 과 하우징 (40) 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고, 따라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 을 참조하여, 대략 원통부 (72) 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 은, 도 1 의 H-H 선 단면도를, 도 11 은, 도 1 의 I-I 선 단면도를, 도 12 는, 도 1 의 J-J 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부 (72) 는, 완전한 원통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수부 (首部) (75) 부근에 불연속 부분 (73) 을 가진 불완전한 원통부로 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는, 이 불완전한 원통부 (72) 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 삽입되게 되지만, 이 때, 불연속 부분 (73), 특히 대략 원통부 (72) 의 내주면 (76) 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에,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 걸리고, 이 결과,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이나 자체의 대략 원통부 (72) 에 좌굴이나 쉘의 변형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켜 버릴 위험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 도체 쉘 (70) 에 하우징 (40) 이 장착되었을 때에, 하우징 (40) 의 본체부 (46), 특히, 이 본체부 (46) 에 형성한 돌출부 (47) 를 불연속 부분 (73) 에 배치하도록 하여 불연속 부분 (73), 예를 들면, 대략 원통부 (72) 의 내주면 (76) 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 (73) 을 보족하여, 대략 원통부 (72) 의 내경을 보다 완전한 원통형에 가깝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단, 불연속 부분 (73) 이라고 해도 그 양태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대략 원통부 (72) 의 내주면 (76) 을 따르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불연속일지도 모르고, 상대 커넥터의 원주 쉘과의 접속 방향을 따르는 대략 원통부 (72) 의 통 방향, 즉, 높이 방향 (β) 에 있어서 불연속일지도 모른다. 본 발명에서는, 보족부 (47) 를 형성함으로써, 어느 불연속 부분도 해소된다. 보족부 (47) 가 배치됨으로써, 대략 원통부 (72) 의 불연속 부분 (73) 에 있어서의 내경은, 대략 원통부 (72) 의 그것과 거의 동등해지고, 또, 대략 원통부 (72) 의 불연속 부분 (73) 에 있어서의 높이는, 대략 원통부 (72) 의 그것과 거의 동등해진다. 또한, 보족부 (47) 의 두부 (頭部) 부근에는, 각 측면에 있어서 비교적 큰 테이퍼 (47a ∼ c)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족부 (47) 와 대략 원통부 (72)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불연속 부분 (73) 이 충돌한 경우라도, 원통 쉘이, 보족부 (47) 와 대략 원통부 (72) 사이의 작은 간극에 끼여 버리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좌굴이나 쉘의 변형의 문제를 경감하고, 또, 해소할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보족부 (47) 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지만,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 등에 의해, 보족부 (47) 가 위치 어긋나 버릴 위험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략 원통부 (7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보족부 (47) 의 외측에, 외부 도체 쉘 (70) 의 적어도 일부, 즉, 전측 코킹부 (80) 의 일부, 더 말하면, 쌍의 코킹부 (80A, 80B) 의 에지 (80c') 부근을 보족부 (47) 의 외측면 (47c) 에 접근시킨 상태로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족부 (47) 의 외측면을 대략 원통부 (72) 의 외경측으로부터 눌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보족부 (47) 의 위치 어긋남의 가능성은 감소하고, 또, 좌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전측 코킹부 (80) 는, 동축 케이블 (10) 의 배치면 (85)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각각 배치된 쌍의 코킹부 (80A, 80B) 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쌍의 코킹부 (80A, 80B) 를 서로 접근하는 측에 코킹함으로써, 용이하게, 쌍의 코킹부 (80A, 80B) 의 에지 (80c') 부근을, 대략 원통부 (7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보족부 (47) 의 외경측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3 에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전술한 도 10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외부 도체 쉘 (70) 의 적어도 일부를 보족부 (47) 의 외측면 (47c) 에 근접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예를 들면, 날개부 (80c) 의 에지 (80c') 를 외측면 (47c) 에 파고들게 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도체 쉘 (70) 의 적어도 일부 (80c) 를 보족부 (47) 의 외측면 (47c) 에 파고들게 함으로써, 보족부 (47) 의 외측면을 대략 원통부 (72) 의 외경측으로부터 눌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좌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에지 (80c') 를 외측면 (47c) 에 파고들게 할 때에, 보족부 (47) 를 대략 원통부 (72) 의 중심측에 가까이 붙여 대도록 하여, 대략 원통부 (72) 에 대한 보족부 (47) 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에지 (80c') 를 파고들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외측면 (47c) 에 테이퍼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에는,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각종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단자 (20) 와 하우징 (40) 은 반드시 일체 성형할 필요는 없고, 하우징 (40) 에 단자 (20) 가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외부 도체 쉘에 불연속 부분을 갖는 다양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 동축 케이블 커넥터
10 : 동축 케이블
11 : 절연 피막
12 : 외부 도체
13 : 절연체
14 : 심선
20 : 단자
24 : 노출부 (접속부)
40 : 하우징
41 : 설치면
42 : 원통부
46 : 본체부
47 : 보족부 (돌출부)
48 : 노출부 (구멍)
49 : 융기부
50 : 압착편
70 : 외부 도체 쉘
72 : 대략 원통부
73 : 불연속 부분
74 : 입상부
80A, 80B : 전측 코킹부
80c' : 에지
83 : 중간 코킹부
84 : 후측 코킹부
85 : 배치면

Claims (8)

  1.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 접속되는, 불연속 부분을 갖는 원통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불연속 부분에 배치되어 그 불연속 부분 (73) 을 보족하여 상기 원통부의 내경을 원통형에 가깝게 하는 보족부 (47)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의 외경측에,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족부의 외측면에 근접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족부의 외측면에 파고들게 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의 높이는 상기 원통부의 높이와 동등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배치면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각각 배치된 쌍의 코킹부를 갖고, 상기 쌍의 코킹부의 에지 부근은, 상기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의 외경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는, 상기 원통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족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원통 쉘과의 접속 방향을 따르는 상기 원통부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 부분을 보족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은, 1 매의 판 형상 금속을 타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 커넥터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0150167646A 2014-12-02 2015-11-27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948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4218 2014-12-02
JP2014244218A JP6442740B2 (ja) 2014-12-02 2014-12-02 不連続部分を有する外部導体シェルを有し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15A KR20160066515A (ko) 2016-06-10
KR101948967B1 true KR101948967B1 (ko) 2019-04-22

Family

ID=5612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646A KR101948967B1 (ko) 2014-12-02 2015-11-27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2740B2 (ko)
KR (1) KR101948967B1 (ko)
CN (1) CN105655744B (ko)
TW (1) TWI6537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7596B2 (ja) * 2016-09-08 2019-01-0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6384903B (zh) * 2016-11-24 2018-11-0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
CN106785496A (zh) * 2017-03-02 2017-05-3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
US10446950B2 (en) * 2017-06-26 2019-10-15 Delphi Technologies, Llc Method for forming a shielded electrical terminal and an electrical terminal formed by said method
JP6542921B2 (ja) * 2018-01-19 2019-07-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113A (ja) * 2012-01-27 2013-08-15 Hosiden Corp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415B2 (ja) * 2008-09-10 2011-07-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L型同軸コネクタ
JP4761320B2 (ja) * 2008-10-29 2011-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6963B2 (ja) * 2009-07-22 2013-1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3046829A1 (ja) * 2011-09-28 2013-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同軸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JP2013097914A (ja) 2011-10-28 2013-05-2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CN107069355A (zh) * 2012-04-02 2017-08-18 第电子工业株式会社 插座连接器
JP5585608B2 (ja) * 2012-04-23 2014-09-1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274844B2 (ja) * 2013-12-09 2018-02-0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113A (ja) * 2012-01-27 2013-08-15 Hosiden Corp 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5744A (zh) 2016-06-08
JP6442740B2 (ja) 2018-12-26
TW201633634A (zh) 2016-09-16
JP2016110711A (ja) 2016-06-20
KR20160066515A (ko) 2016-06-10
TWI653794B (zh) 2019-03-11
CN105655744B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967B1 (ko)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970040B1 (ko) 압착 강도와 임피던스 성능을 높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948966B1 (ko) 심선의 유지, 고정 기능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9876321B2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JP575187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965810B2 (ja) 端子及び端子の製造方法
US9673568B2 (en) Plug connector
KR102430494B1 (ko) L형 내부 단자, l형 내부 단자를 포함하는 l형 동축 커넥터 및 l형 동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951520B1 (ko) 절연 성능을 높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2009099478A (ja) コネクタプラグ
KR102653981B1 (ko)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472071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299228B2 (ja) 同軸中継コネクタ
JP6434061B2 (ja) 芯線の保持、固定機能を有し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071892A (ja) L型コネクタ
JPH0641082U (ja) 同軸コネクタ
CN108023194B (zh) 导电端子和连接器
KR20200078322A (ko)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2009187915A (ja) プラグとその製造方法
JP200919383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