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875B1 - 수지 함침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함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875B1
KR101947875B1 KR1020160147698A KR20160147698A KR101947875B1 KR 101947875 B1 KR101947875 B1 KR 101947875B1 KR 1020160147698 A KR1020160147698 A KR 1020160147698A KR 20160147698 A KR20160147698 A KR 20160147698A KR 101947875 B1 KR101947875 B1 KR 10194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oll
winding
supply un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710A (ko
Inventor
박상윤
윤상재
최치훈
허석봉
임재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875B1/ko
Priority to US15/648,145 priority patent/US20180126599A1/en
Priority to DE102017213493.3A priority patent/DE102017213493A1/de
Priority to CN201710662742.4A priority patent/CN108068230A/zh
Publication of KR2018005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4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of filament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29C43/245Adjusting calender parameters, e.g. bank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1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6Automated tape laying [ATL]
    • B29C70/388Tape placement heads, e.g.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0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using rollers or pressur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botic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수지공급유닛; 상기 수지공급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수지를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필름형성유닛; 및 강화섬유를 권출하여 상기 필름형성유닛으로부터 배출된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섬유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수지 함침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수지 함침장치{RESIN IMPREG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형태의 수지를 강화섬유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함침시킴으로써 강화섬유와 수지 간의 함침성 및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함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기존의 수지함침 수단 중 드럼을 이용한 수단은 권출되어 권취되는 강화섬유(20)가 수지(10)가 묻은 드럼(1)을 거치게 함으로써 강화섬유(20)에 수지(10)를 함침시키는 수단이고 디핑 방식을 이용한 수단은 권출되어 권취되는 강화섬유(20)를 수지(10)가 수용된 용기(20)에 통과하도록 하여 강화섬유(20)에 수지(10)를 함침시키는 수단이다.
상기의 드럼을 이용한 수단의 경우 장시간 사용 시 수지(10)의 겔(Gel)화에 따른 강화섬유(20)에 대한 수지(10) 함침량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디핑 방식을 이용한 수단의 경우 강화섬유(20)가 용기(2)를 단순 통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미함침된 강화섬유(20)가 형성됨에 따라 마찬가지로 강화섬유(20)에 대한 수지(10) 함침량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강화섬유(20)에 대한 수지(10) 함침량 제어의 어려움은 불균일한 수지(10) 함침으로 이어져 제조물품 내의 수지 과(또는 미)충진영역 발생, 기공(Void) 발생 및 층간 박리 결함의 발생 등과 같은 제조물품의 품질 저하와 직결되었다.
또한, 상기한 기존의 두 가지 수단 모두 수지(10)의 흘러내림으로 인하여 원료의 손실 및 산업 폐기량 증가라는 문제가 있었고 수지(10)를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완전 개방형 형태의 용기(2)가 이용되어 아세톤,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수지(10)로부터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발생이 문제 되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137792
본 발명은 필름형태로 하여 계면 접착력을 증가된 수지를 강화섬유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함침시킴으로써 강화섬유와 수지 간의 함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지 함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수지공급유닛; 상기 수지공급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수지를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필름형성유닛; 및 강화섬유를 권출하여 상기 필름형성유닛으로부터 배출된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섬유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공급유닛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수지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부; 상기 수지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내부에는 스크류가 배치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필름형성유닛 측으로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는 상기 수지에 존재하는 기포의 제거를 위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스크류의 작동을 통해 상기 수지에 첨가된 경화제를 상기 수지와 혼합되도록 하며, 기포가 제거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유닛은, 상기 수지공급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수지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롤; 및 상기 제1롤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롤과 이격되어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2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롤의 회전축은 상기 제1롤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이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수지는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이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수지의 액면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의 높이에 다다름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롤 및 상기 제2롤에 히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유공급유닛은, 상기 강화섬유가 감겨져 있는 복수의 크릴; 상기 크릴로부터 상기 강화섬유를 권출하고, 한 쌍의 상기 롤의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형성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를 권출된 상기 강화섬유와 접촉시키는 권출롤; 및 상기 수지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권출롤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공급유닛은 상기 권출롤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권출롤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이격된 공간 사이로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압축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롤은 제1롤과 상기 제1롤의 상방에 이격 배치된 제2롤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롤, 상기 제2롤, 상기 권출롤, 상기 권취롤 및 상기 압축롤의 회전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출롤은 상기 제1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지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롤의 전방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수지가 상기 권출롤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강화섬유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권출롤과 상기 권취롤이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권출롤 및 상기 권취롤에 히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지공급유닛에서 상기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부에는 상기 수지의 공급속도가 조절되도록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형성유닛에서 한 쌍의 상기 롤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름형성유닛 내부로 수용된 상기 수지 액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수지 액면의 높이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의 공급속도를 제어하거나 한 쌍의 상기 롤이 이격된 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에 함침된 강화섬유 제조방법은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수지를 한 쌍의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형성단계; 및 강화섬유를 권출하여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함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에는 경화제가 첨가되고, 상기 공급단계에서는 상기 수지에 첨가된 경화제가 분산되도록 믹싱하여 상기 수지의 점도를 소정의 점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단계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지의 점도는 2000~3000cps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에 따르면 필름형태로 하여 계면 접착력을 증가된 수지를 강화섬유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함침시킴으로써 강화섬유와 수지 간의 함침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조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잉여 수지 발생을 최소화하여 설비 오염 및 VOC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수지함침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의 수지함침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릴, 권출롤 및 압축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롤, 권출롤 및 압축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수지공급유닛(100);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롤(210)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수지(10)를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필름형성유닛(200); 및 강화섬유(20)를 권출하여 상기 필름형성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10)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20)를 상기 수지(10)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10)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20)를 권취하는 섬유공급유닛(300);을 포함한다.
수지공급유닛(100)은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소정의 점도란 유동성을 갖는 수지(10)를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롤(210) 사이로 통과시킬 경우 이격된 거리(d)만큼의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10)는 폴리우레탄(PU),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지(10)의 소정의 점도는 2000~3000cps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지(10)는 주제를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수지로 하며 주제에 경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필름형성유닛(200)은 수지공급유닛(100)의 하방에 위치하여 수지공급유닛(100)으로부터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공급받아 필름형태로 형성시킨 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수지(10)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수용되어 있는 수지(10)를 한 쌍의 롤(210) 사이로 통과시켜 수지를 필름형태로 형성시킨다. 필름형태로 형성된 수지(10)를 후술하게 될 섬유공급유닛(300) 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형성유닛(200)은 수지공급유닛(100)에서 수지(10)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수지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공급받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롤(210) 사이가 서로 이격됨으로써 개방되어 필름형태의 수지(10)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필름형성유닛(200)에는 개방된 위치가 두 군데 형성될 수 있다.
섬유공급유닛(300)은 복수의 롤로 구성되어 일측은 강화섬유(20)를 권출하고 타측은 강화섬유(20)를 권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화섬유(20)를 권출하는 롤의 경우 필름형성유닛(200)의 한 쌍의 롤(210)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필름형성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필름형태의 수지(10)와 강화섬유(20)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름형태의 수지(10)가 권출되어 권취되는 과정에 있는 강화섬유(20)와 접촉됨으로써 강화섬유(20)는 수지(10)에 함침되고 수지(10)에 함침된 상태로 권취된다. 강화섬유(20)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지공급유닛(100)에서 수지(10)가 토출되어 공급되는 토출구를 통한 수지(10) 공급속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20~100g/s의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함침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수지함침 수단들과 비교하여 제조물품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잉여 수지(10)의 발생에 따른 설비의 오염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점도를 갖도록 유지되는 필름형태의 수지(10)와 강화섬유(20)를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강화섬유(20)가 수지(10)에 함침되기 때문에 제조물품의 품질 유지 및 개선이 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수지(10)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부(110); 상기 수지(1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내부에는 스크류가 배치된 혼합부(120); 및 상기 혼합부(120)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필름형성유닛(200) 측으로 상기 수지(10)를 공급하는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부(110)는 내부로 수지(10)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혼합부(120)는 챔버부(110)의 배출구와 연통된 유로 및 유로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로 구성된다. 챔버부(1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수지(10)가 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크류의 작동으로 인해 수지(10)에 첨가될 수 있는 경화제가 수지(10)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수지(10)의 점도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급부(130)의 경우 유로와 연통되며 필름형성유닛(200)으로 수지(10)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부(130)에 밸브가 마련되어 필름형성유닛(200)에 대한 수지(10)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부(110)는 상기 수지(10)에 존재하는 기포의 제거를 위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혼합부(120)는 상기 스크류의 작동을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기 수지(10)의 점도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챔버부(110)가 고압 분위기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챔버부(110) 내부에 수용된 수지(10)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부(120)는 수지(10)에 첨가된 경화제를 분산시켜 수지(10)의 점도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형성유닛(200)은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수지(10)를 수용하고, 상기 수지(10)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220); 상기 수용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수용부(220)의 일측에 구비된 제1롤(230); 및 상기 제1롤(23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롤(230)과 이격되어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10)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2롤(2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20)의 경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수지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수지(10)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용기 형태일 수 있다. 수지공급유닛(100)의 하방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지공급유닛(100)이 상기와 같이 챔버부(110), 혼합부(120) 및 공급부(130)로 구성될 경우 수용부(220)의 개구부는 공급부(130)에서 수지(10)가 공급되는 토출구의 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20)의 개방된 일측으로는 제1롤(230)이 구비되어 수용부(220)의 수용공간을 구획시킨다. 또한, 제2롤(240)의 경우 제1롤(230)의 상방에 위치하되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롤(230)과 제2롤(240) 사이로 수지(10)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부(2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수지(10)가 제1롤(230) 및 제1롤(2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제2롤(240) 사이를 통과하면서 필름형태로 형성되고 이내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롤의 회전축(231)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롤의 회전축(241)은 상기 제1롤의 회전축(231)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이 이격된 거리(d)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수지(10)는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이 이격된 거리(d)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20)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된 제1롤의 회전축(231)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롤(230)이 회전된다. 제2롤의 회전축(241)은 제1롤의 회전축(231) 상부에서 제1롤의 회전축(23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만, 제2롤의 회전축(241)은 양측에 레일이 형성되어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제1롤(230)과 제2롤(240) 사이를 통과하는 필름형태의 수지(10) 두께는 제1롤(230)과 제2롤(240)이 이격된 거리(d)에 대응되므로 상하로 이동되는 제2롤의 회전축(241)으로 인해 제1롤(230)로부터 제2롤(240)이 이격된 거리(d)가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름형태의 수지(10)의 두께도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기 수지(10)의 액면이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의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의 높이에 다다름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수지공급유닛(100)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수용부(220)로 공급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지(10)가 형성하는 액면의 높이가 제1롤(230)과 제2롤(240)의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의 높이에 다다르게 될 경우 수지(1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롤(230)과 제2롤(240)이 회전하게 되고 제1롤(230) 및 제2롤(240)을 통과하는 수지(10)는 필름형태로 형성되면서 배츨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제1롤(230)과 제2롤(2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지(1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의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10)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롤(230) 및 상기 제2롤(240)에 히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롤(230) 및 제2롤(240)에는 발열기능이 구비되어 제1롤(230) 및 제2롤(240)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그 열을 제1롤(230) 및 제2롤(240)을 지나는 수지(10)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지(10)가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경화되지 않고 계면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섬유공급유닛(300)에 의해 권출된 강화섬유(20)와의 접촉으로 강화섬유(20)를 효과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공급유닛(300)은 상기 강화섬유(20)가 감겨져 있는 복수의 크릴(310); 상기 크릴(310)로부터 상기 강화섬유(20)를 권출하고, 상기 롤의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형성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10)를 권출된 상기 강화섬유(20)와 접촉시키는 권출롤(320); 및 상기 수지(10)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권출롤(320)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지(10)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20)를 권취하는 권취롤(33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릴(310)은 강화섬유(20)가 감겨져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가닥의 강화섬유(20)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권출롤(320)은 복수의 크릴(310) 상방에 배치되며 복수의 크릴(310)로부터 강화섬유(20)를 권출한다. 권출롤(320)의 경우 권출롤(320)을 지나는 강화섬유(20)가 필름형성유닛(2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롤(210)로부터 배출되는 필름형태의 수지(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210) 주변에 인접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형성유닛(200)이 제1롤(230) 및 제2롤(240)을 포함할 경우 권출롤(320)의 경우 수지(10)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제1롤(230)의 전방에서 제1롤(230)과 마주하도록 인접 배치되어 제1롤(230)과 제2롤(240) 사이의 이격된 거리(d)를 통과하는 필름형태의 수지(10)를 권출된 강화섬유(20)와 접촉시킬 수 있다.
권취롤(330)의 경우 수지(10)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권출롤(320)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어 권출롤(320)을 통해 수지(10)에 함침된 강화섬유(20)를 다시 권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10)에 함침된 강화섬유(20)의 배열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권출롤(320)과 권취롤(330) 사이에 플레이스먼트(Placement)유닛(30)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공급유닛(300)은 상기 권출롤(32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권출롤(3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격된 공간 사이로 상기 수지(10)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20)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압축롤(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롤(340)의 경우 권출롤(320)의 상방에서 이격 배치되어 권출롤(320)과 압축롤(340) 사이를 통과하는 수지(10)에 함침된 강화섬유(20)를 압축시킴으로서 강화섬유(20)와 수지(10) 간의 함침성을 증대시켜 제조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롤(340)과 권출롤의 회전축(321)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압축롤(340)과 권출롤(320)의 회전방향은 강화섬유(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기 롤(210)은 제1롤(230)과 상기 제1롤(23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된 제2롤(2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롤(230), 상기 제2롤(240), 상기 권출롤(320), 상기 권취롤(330) 및 상기 압축롤의 회전축(341)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출롤(320)은 상기 제1롤(2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지(10)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롤(230)의 전방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롤(230)과 상기 제2롤(240)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수지(10)가 상기 권출롤(32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강화섬유(20)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제1롤(230) 및 제1롤(230)과 상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롤(240)에 의해 필름형성유닛(200) 내부로 수용된 수지(10)가 필름형태로 배출된다. 제1롤(230), 제2롤(240), 권출롤의 회전축(321) 및 권취롤의 회전축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권출롤(320)이 수지(10)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제1롤(230)의 전방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필름형태로 배출된 수지(10)가 권출롤(320)을 지나는 강화섬유(20)와 접촉되어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출롤(320)과 상기 권취롤(330)이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10)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권출롤(320) 및 상기 권취롤(330)에 히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권출롤(320) 및 권취롤(330)에는 발열기능이 구비되어 권출롤(320) 및 권취롤(330)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그 열을 권출롤(320) 및 권취롤(330)을 지나며 강화섬유(20)를 함침시키고 있는 수지(10)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지(10)가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경화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공급유닛(100)에서 상기 수지(10)가 공급되는 공급부(130)에는 상기 수지(10)의 공급속도가 조절되도록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형성유닛(200)에서 한 쌍의 상기 롤(210)의 이격된 거리(d)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함침장치는 상기 필름형성유닛(200) 내부로 수용된 상기 수지(10) 액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및 상기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상기 수지(10) 액면의 높이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10)의 공급속도를 제어하거나 한 쌍의 상기 롤(210)이 이격된 거리(d)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10)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잉여 수지(10)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필름형성유닛(200)에 수용된 수지(10)를 양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필름형성유닛(200)에는 부유체를 이용하여 수용된 수지(10)의 액면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400)가 마련된다.
제어부(500)에서는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한 수지(10)의 액면 높이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공급부(130)에 마련된 밸브의 조절을 통해 수지(10)의 공급속도를 조절하거나 한 쌍의 롤(210)의 이격된 거리(d) 조절을 통해 수지(10)의 배출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값이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수용된 수지(10)가 넘치지 않을 정도의 수지(10)의 액면 높이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필름형성유닛(200)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수지(10)의 양은 단위 시간 당 수지(10) 공급양에서 필름형태로 배출되는 수지(10) 배출양을 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기설정된 값보다 감지된 값이 높을 경우 밸브를 잠궈 수지(10)의 공급속도를 줄이거나 한 쌍의 롤(210)이 이격된 거리(d)를 넓혀 수지(10)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기설정된 값보다 감지된 값이 낮을 경우 밸브를 열어 수지(10)의 공급속도를 증가시키거나 한 쌍의 롤(210)이 이격된 거리(d)를 좁혀 수지(10)의 배출속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에 함침된 강화섬유 제조방법은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수지(10)를 한 쌍의 롤(210)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형성단계; 및 강화섬유(20)를 권출하여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10)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20)를 상기 수지(10)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10)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20)를 권취하는 함침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10)에는 경화제가 첨가되고, 상기 공급단계에서는 상기 수지(10)에 첨가된 경화제가 분산되도록 믹싱하여 상기 수지(10)의 점도를 소정의 점도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단계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지(10)의 점도는 2000~3000cps로 제어될 수 있다.
공급단계에서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공급한다. 여기서 소정의 점도란 유동성을 갖는 수지(10)를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롤(210) 사이로 통과시킬 경우 이격된 거리(d)만큼의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10)는 폴리우레탄(PU),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지(10)의 소정의 점도는 2000~3000cps로 형성될 수 있다.
형성단계에서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10)를 한 쌍의 롤(210)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필름형태로 형성시킨다. 이후 함침단계에서는 권출된 강화섬유(20)를 필름형태의 수지(10)와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함침시키고 함침된 강화섬유(20)를 다시 권취한다.
여기서 강화섬유(20)란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수지 20 : 강화섬유
100 : 수지공급유닛 110 : 챔버부
120 : 혼합부 121 : 스크류
130 : 공급부 131 : 밸브
200 : 필름형성유닛 210 : 한 쌍의 롤
220 : 수용부 230 : 제1롤
231 : 제1롤의 회전축 240 : 제2롤
241 : 제2롤의 회전축 300 : 섬유공급유닛
310 : 크릴 320 : 권출롤
321 : 권출롤의 회전축 330 : 권취롤
340 : 압축롤 341 : 압축롤의 회전축
400 : 감지부 500 : 제어부

Claims (15)

  1. 소정의 점도를 갖는 수지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수지공급유닛;
    상기 수지공급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수지를 필름형태로 형성시키는 필름형성유닛; 및
    강화섬유를 권출하여 상기 필름형성유닛으로부터 배출된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키고,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섬유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형성유닛은, 상기 수지공급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지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수지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롤; 및 상기 제1롤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롤과 이격되어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2롤;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공급유닛에서 상기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부에는 상기 수지의 공급속도가 조절되도록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형성유닛에서 한 쌍의 상기 롤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름형성유닛 내부로 수용된 상기 수지 액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수지 액면의 높이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의 공급속도를 제어하거나 한 쌍의 상기 롤이 이격된 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공급유닛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수지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부;
    상기 수지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내부에는 스크류가 배치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필름형성유닛 측으로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수지에 존재하는 기포의 제거를 위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스크류의 작동을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롤의 회전축은 상기 제1롤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이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수지는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이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수지의 액면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의 높이에 다다름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롤 및 상기 제2롤에 히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공급유닛은,
    상기 강화섬유가 감겨져 있는 복수의 크릴;
    상기 크릴로부터 상기 강화섬유를 권출하고, 한 쌍의 상기 롤의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형성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상기 수지를 권출된 상기 강화섬유와 접촉시키는 권출롤; 및
    상기 수지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권출롤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섬유공급유닛은,
    상기 권출롤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권출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격된 공간 사이로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기 강화섬유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압축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롤은 제1롤과 상기 제1롤의 상방에 이격 배치된 제2롤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롤, 상기 제2롤, 상기 권출롤, 상기 권취롤 및 상기 압축롤의 회전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출롤은 상기 제1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지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롤의 전방 주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필름형태의 수지가 상기 권출롤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강화섬유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권출롤과 상기 권취롤이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수지가 소정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권출롤 및 상기 권취롤에 히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함침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47698A 2016-11-07 2016-11-07 수지 함침장치 KR10194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98A KR101947875B1 (ko) 2016-11-07 2016-11-07 수지 함침장치
US15/648,145 US20180126599A1 (en) 2016-11-07 2017-07-12 Resin impreg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impregnated reinforcing fiber using the same
DE102017213493.3A DE102017213493A1 (de) 2016-11-07 2017-08-03 Harzimprägn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t Harz imprägnierten Verstärkungsfaser unter Verwendung derselben
CN201710662742.4A CN108068230A (zh) 2016-11-07 2017-08-04 树脂浸渍设备及用其制造树脂浸渍增强纤维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98A KR101947875B1 (ko) 2016-11-07 2016-11-07 수지 함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10A KR20180051710A (ko) 2018-05-17
KR101947875B1 true KR101947875B1 (ko) 2019-02-14

Family

ID=6200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698A KR101947875B1 (ko) 2016-11-07 2016-11-07 수지 함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26599A1 (ko)
KR (1) KR101947875B1 (ko)
CN (1) CN108068230A (ko)
DE (1) DE1020172134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93B1 (ko) * 2020-05-21 2020-10-19 주식회사 대연건설 함침 시트를 이용한 노후관 보강 시공방법 및 노후관 보강용 함침 시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9069B1 (en) 2018-07-23 2023-04-12 Crompton Technology Group Limited Fibre coa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5262A (ja) 1997-05-30 2001-04-17 バルメ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熱可塑性塗工ロール、当該ロールの製造方法、熱可塑性塗工剤の組成、本発明の熱可塑性塗工ロールによるカレンダ掛け方法および前記ロールにより製造される紙/板紙
JP2012110935A (ja) * 2010-11-25 2012-06-14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6752B2 (en) * 1990-09-17 2003-04-02 Resolution Research Nederland B.V. Process and apparatus for resin impregnation of a fibrous substrate
JPH0716936A (ja) * 1993-06-22 1995-01-20 Toray Ind Inc 繊維補強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3006450B2 (ja) * 1994-09-16 2000-02-07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74547A (ja) * 1995-12-22 1997-07-08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成型品の製造方法
JP3194904B2 (ja) * 1998-02-24 2001-08-06 日立造船株式会社 シート・フィルムの成形用ロール装置
JP2005169317A (ja) * 2003-12-12 2005-06-30 Sumitomo Metal Ind Ltd 塗装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5211762A (ja) * 2004-01-28 2005-08-11 Toray Ind Inc 塗布装置、塗布方法および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6122756A (ja) * 2004-10-26 2006-05-18 Toray Ind Inc 塗布装置、塗布方法および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US9011737B2 (en) * 2004-11-08 2015-04-21 Chemlink Capital Ltd. Advanc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sheets and objects
JP4038521B2 (ja) * 2006-04-28 2008-01-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長繊維強化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装置
CN102076479B (zh) * 2008-06-25 2014-07-23 京洛株式会社 树脂成型品的成型加工方法、成型加工装置
US10099432B2 (en) * 2011-09-14 2018-10-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method for fiber-reinforced resin sheet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KR101504805B1 (ko) * 2012-06-08 2015-03-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리섬유시트의 수지조성물 도포용 진공함침기
JP6209000B2 (ja) * 2013-07-12 2017-10-04 新日鉄住金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扁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ストランド、扁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ストラン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0571B1 (ko) * 2015-06-04 2015-10-19 (주)제이피앤씨 합성수지 필름의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5262A (ja) 1997-05-30 2001-04-17 バルメ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熱可塑性塗工ロール、当該ロールの製造方法、熱可塑性塗工剤の組成、本発明の熱可塑性塗工ロールによるカレンダ掛け方法および前記ロールにより製造される紙/板紙
JP2012110935A (ja) * 2010-11-25 2012-06-14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93B1 (ko) * 2020-05-21 2020-10-19 주식회사 대연건설 함침 시트를 이용한 노후관 보강 시공방법 및 노후관 보강용 함침 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10A (ko) 2018-05-17
DE102017213493A1 (de) 2018-05-09
CN108068230A (zh) 2018-05-25
US20180126599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875B1 (ko) 수지 함침장치
US7413623B2 (en) Apparatus for resin-impregnation of fibers for filament winding
CN207558931U (zh) 补锂装置
WO2007040797A2 (en)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techniques with flow flooding chamber
WO2016147864A1 (ja) 樹脂含浸繊維束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含浸繊維束の巻取体の製造方法
JP6210088B2 (ja) タ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タンクの製造装置
WO2012103929A2 (en) A pultrusion method and a pultruder apparatus for production of a product
CN104339667B (zh) 纤维浸渍系统以及采用该系统制造纤维增强复合材料的工艺
CN107848813A (zh) 用于制造气凝胶片的设备和方法
RU270254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1247116B (zh) 用于放置形状填充的粗纱的设施
JP4924202B2 (ja) 繊維束の樹脂含浸方法および繊維束樹脂含浸装置
BR112019003337A2 (pt) processo de pultrusão e disposição para produção contínua de peças brutas de um material compósito de plástico fibroso
KR101762667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공급 장치
CN103372984A (zh) Vartm工艺中的树脂流控制
US8414740B2 (en) Apparatus for impregnating fibrous material with a liquid
JP2006192628A (ja) 複合材構造物形成装置、複合材構造物の形成方法
KR102060058B1 (ko) 연속 섬유가 적용된 필라멘트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속 섬유 적용 필라멘트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프리폼 제조방법
KR102217830B1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CN104099811B (zh) 一种施胶/涂布器及其施胶/涂布的方法
CN207775619U (zh) 一种耐磨纸的单涂设备的抹平机构
KR10147829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직물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20120010412A (ko) 원료 공급 장치
KR101918353B1 (ko) 섬유토우 적층장치
KR20210091031A (ko) 섬유복합재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복합재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