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05B1 -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05B1
KR101947705B1 KR1020170106691A KR20170106691A KR101947705B1 KR 101947705 B1 KR101947705 B1 KR 101947705B1 KR 1020170106691 A KR1020170106691 A KR 1020170106691A KR 20170106691 A KR20170106691 A KR 20170106691A KR 101947705 B1 KR101947705 B1 KR 10194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composition
oil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철
심홍보
최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Priority to KR102017010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산업 분야에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Saussurea lappa extract and Caesalpinia sappan ex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외부 환경요인, 호르몬 불균형 등에 의하여 나타나는 질환이다. 그 분류에 있어서는 남성형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이 가장 흔한 유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여성형 탈모증 등과 같은 다양한 탈모질환이 알려져 있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탈모의 주원인은 유전 또는 노화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후천적 원인들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며, 특히 과도한 스트레스, 두피의 혈액순환 불량, 안드로겐 분비 과잉, 지루성 피부염, 유전적 요인, 영양결핍, 철분 결핍, 약제, 갑상선 기능의 저하 등이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들에 기인한 탈모를 치료할 수 있는 많은 약과 치료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모발성장 촉진 약물로서 미국 FDA에서 승인받은 약물로는 미녹시딜(Minoxidil),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상품명: Propecia) 등이 있다.
미녹시딜은 초기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육모제로 개발되었다(Br J Dermatol. 1979 Nov;101(5)593-5). 이러한 미녹시딜의 육모 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혈관확장을 통한 영양공급 촉진 및 칼륨 채널 열림(potassium channel opening) 효과 등에 의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녹시딜은 주로 남성 호르몬성 탈모증에 적용되어 두정부 탈모증에는 그 효과가 인정되나, 측두부 탈모증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심혈관계 합병증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하다.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의 생성, 결합 및 대사를 억제하는 피나스테리드는 남성의 여성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가임기 여성에게는 기형아 출산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약물요법은 체내 항상성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예기치 않은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약학회지, 제 56 권, 제 3 호, 173~179 (2012) Vol. 56, No. 3 김이슬 외 2명.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7), 1026~1034(2016) 전병제 외 5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4(1),55∼60,(2010)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합성 화학물질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양모, 탈모 방지, 발모 촉진 효능이 뛰어난 물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간 모낭의 모두유 세포 성장을 촉진시키고, TCF-루시퍼라제 활성을 증가시키고, 발모 동물 모델에서 활발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목향 추출물은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소목 추출물은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간 모낭의 모두유 세포 성장을 촉진시키고, TCF-루시퍼라제 활성을 증가시키고, 발모 동물 모델에서 모낭 발생 기전 중의 하나인 WNT 신호전달 활성을 통해 b-카테닌(catenin)을 증가시켜 전사인자인 TCF(T-cell factor)의 활성을 유도하여,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투여군보다 증가된 모발 생장 유도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산업 분야에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케어 토닉이 HHDFP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ATP 측정 키트(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어케어 토닉이 TOP-Flash 루시퍼라제(TOP-Flash lucif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C57BL/6 마우스 등에 각 시료[G1(15% 에탄올, 음성대조군), G2(5% 미녹시딜, 양성대조군), G3(헤어케어 토닉)]를 처리한 후 시간 경과(Day 0, Day 7, Day 14, Day 21)에 따라 전체 삭모 부위 중 생장기 모발이 자란 부위의 비(전체 삭모 부위 면적 중 검정색으로 변한 면적의 비)를 양성대조군과의 상대면적 비율로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4는 C57BL/6 마우스 등에 각 시료[G1(15% 에탄올, 음성대조군), G2(5% 미녹시딜, 양성대조군), G3(헤어케어 토닉)]를 처리한 후 시간 경과(Day 0, Day 7, Day 14, Day 21)에 따라 털이 자란 상태를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생장기 유도 효과 효력시험 종료 후 피부조직의 면역학적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목향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목향(Saussurea lappa)의 뿌리로서 원뿔모양이고 약간 구부러졌으며 길이 10 ~ 30cm, 지름 1 ~ 3 c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 ~ 어두운 갈색이고 세로 주름 및 수염뿌리 자국이 있다. 머리 부위는 굵고 위쪽 끝에는 줄기자국이 있으며 잎이 붙어있는 경우도 있고 그 주위에는 원뿔 모양의 곁가지가 있다. 질은 단단하여 쉽게 꺾이지 않는다. 꺾은 면은 약간 평탄하며 황백색 ~ 연한 회황색이며 약간 패여진 유실이 있다. 이 생약재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코르크층은 5 ~ 8열의 코르크 세포로 되어 있다. 사부는 넓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며 뚜렷하지 않다. 목부는 도관이 한 줄로 비교적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있다. 사부 및 목부에는 유실이 흩어져 있다. 사부의 유세포와 목부의 수선 세포에는 이눌린 덩어리가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목향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및 세스퀴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 락톤계 화합물들인 코스투놀라이드(costunolide)와 데히드로코스투스 락톤(dehydrocostus lactone)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주성분은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및 혈관생성 억제 효능,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생성 억제 등의 약리 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고사(apoptosis)와 G2-성장 정지(G2-growth arrest)를 통해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코스투놀라이드는 아족시메탄(azoxymethane)-유도 대장암에서 세포고사를 통해 암을 억제 하였으며 이소코스투놀라이드(isocostunolide)는 멜라닌 세포주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상실에 의한 세포고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약학회지, 제 56 권, 제 3 호, 173~179 (2012) Vol. 56, No. 3).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목향 추출물은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을 물 및 n-헥산으로 분획한 후, n-헥산 분획층을 농축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코스투놀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목향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소목(sappan wood, Caesalpinia sappan)은 콩과(Legminosae)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소방목(蘇方木)·적목(赤木)·홍자(紅紫)라고도 하며, 인도, 말레이시아 반도, 중국 남부 등 열대 아시아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약재로는 긴 원기둥 모양, 반으로 자른 원기둥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이다. 바깥면은 등적색 ~ 회갈색이나 때로 연한 갈색 ~ 회백색의 변재가 붙은 것도 있다. 흔히 가로 또는 세로로 잘려져 있고 질은 딱딱하나 세로로 잘린 것은 부스러지기 쉽다. 횡단면은 나이테를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수선은 1 ∼ 2열의 세포로 되어 있다(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소목의 심재는 여러 가지 화학성분 즉, 페놀성 화합물, 정유, 배당체, 지방산 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소목의 주성분 중 염료성 화합물은 무색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구조를 갖는 브라질린(brazilin)이며, 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브라질레인(brazilein)이 된다. 브라질린은 벤즈(b)-인데노(2,1-d)피란[benz(b)-indeno(2,1-d)pyran] 유도체로 주로 염료나 산 및 알칼리 지시약 또는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해 왔다(김이슬 외 2명.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7), 1026~1034(2016)).
중약대사전에는 소목의 약리작용으로서 황색포도상 구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세균에 대한 향균작용, 쥐와 토끼의 중추신경 억제작용, 혈관수축과 같은 심혈관에 대한 작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국내에서 소목에 대한 연구로는 위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와 용매 추출물 분획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와 항균 소취 가공 등에 관한 보고가 있으며, 세포독성 효과와 토포이소머라제 I(topoisomerase I) 억제 활성에 관한 시험관내(in vitro)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전병제 외 5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4(1),55∼60,(201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목 추출물은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추출시에는 70-95%(w/w)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모링가 오일(Moringa Oil)은 모링가(Moringa) 씨앗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모링가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및 아프가니스탄 지역이 원산지이며 열대 지방에서 재배되는 식물이다. 잎, 나무 껍질, 꽃, 과일, 씨앗 등 모든 부분이 약으로 사용된다.
모링가는 빈혈, 류마티스, 천식, 암, 변비, 당, 뇨병, 설사, 간질, 복통, 위장과 창자 궤양, 장 경련, 두통, 심장 이상, 고혈압, 신장 결석, 등 다양한 증상에 사용된다. 또한 부종을 감소시키고 성욕을 증가시키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주고 모유 생산을 증가시켜 주고 영양 보충제와 강장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모링가는 때때로 세균을 죽이거나 건조한 피부에 직접 사용하며 무좀이나 비듬 치료을 위해 사용된다. 모링가 씨앗에서 기름을 추출하여 음식이나 향수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기계 윤활제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모링가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블랙커민시드 오일(Black Cumin Seed Oil)은 블랙커민시드에서 추출한 오일이고, 블랙커민시드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1년생 풀의 씨앗이다. 기원전 1300년 이집트 통치자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됐을 정도로 역사가 깊다. 문헌에 의하면 히포크라테스와 클레오파트라가 건강과 미용에 블랙커민시드를 즐겨 사용하고 고대 이집트와 중동지방에서는 감염, 감기, 치통, 편두통 등 각종 치료에 민간요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블랙커민시드에는 티모퀴논 성분 외에도 단백질, 비타민B1, 칼슘, 철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다. 오메가3 및 올레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도 함유되어 있다.
블랙커민시드가 학계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티모퀴논'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티모퀴논은 블랙커민시드에서 추출한 오일에 함유된 성분으로, 항암·항염·항당뇨·항고지혈증·항균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블랙커민시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탈모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목향 추출물의 제조
목향 약 600 g에 95%(w/w) 에탄올 4 L를 가하여 상온에서 1일씩 2회 추출을 진행하였고, 여과 후 농축하여 95% 에탄올 추출물 72 g을 얻었다. 얻어진 95%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1.4 L에 현탁시키고, n-헥산 1 L를 가하여 분획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3회 실시하였다. 얻어진 n-헥산 분획층을 TLC 분석을 통하여 지표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여과 후 65 ℃에서 감압 농축하여 코스투놀라이드(Costunolide;CAS Number 553-21-9)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조추출물 6.3 g을 얻었다.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추출물 5.5 g을 헥산디올(1,2-hexanediol; CAS Number 6920-22-5) 5.5 g에 균일하게 혼합한 후 0.2 um 필터로 여과하여 목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소목 추출물의 제조
추출은 95%(w/w) 에탄올과 70%(w/w) 에탄올의 두 용매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원료 약 300 g에 각각의 추출 용매 1.2 kg을 가하여 상온에서 7일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TLC 분석을 통하여 지표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0.45 um 필터로 여과한 후, 65 ℃에서 감압 농축하여 브라질린(Brazilin; CAS Number 474-07-7)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조추출물을 6.3 g(95% 에탄올 추출물, Lot No. 013177SP)과 12.6 g(70% 에탄올 추출물, Lot No. 023177SP)을 얻었다.
(3) 헤어케어 토닉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헤어케어 토닉'으로 지칭하였다.
순번 원 료 명 함량(g)
1 정제수 잔량
2 EDTA 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3 PG(프로필렌글리콜) 2.00
4 1,3-BG(부틸렌글리콜) 3.00
5 Sodium PCA(소듐피롤리돈카복실릭애씨드) 0.50
6 에탄올 15.00
7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50
8 L-아르기닌(L-Arginine) 0.01
9 블랙커민시드 오일 0.10
10 모링가 오일 0.10
11 소목 추출물 0.50
12 목향 추출물 0.50
합 계 100
<시험예>
1. 인간 모낭의 모두유 세포(Human hair dermal follicle papilloma cells, HHDFP) 성장 측정
본 발명에 사용된 인간 모낭의 모두유 세포(Human hair dermal follicle papilloma cells; HHDFP)는 abm(Richmond, BC, Canad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는 질소 탱크에 보관 전에 세포유전학적으로 시험하였고, 입증하였다. HHDFP 세포는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되었다.
모발(hair) 세포에서 헤어케어 토닉의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세포의 ATP 측정 키트(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kit)를 사용하여 헤어케어 토닉이 HHDFP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어케어 토닉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했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HHDFP 세포의 성장이 유의성 있게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가 있었다.
2. WNT 신호전달( Wnt signaling)에 전사인자인 TOP-Flash의 루시퍼라제 (luciferase) 활성 평가
모발 발생 과정에는 여러가지 물질이 관여한다. 모낭 발생의 첫번째 신호는 진피쪽에서 온다고 알려져 있으며 b-카테닌(catenin)이 가장 중요한 물질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LEF/TCF, WNT 신호도 첫번째 신호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어케어 토닉이 WNT 신호전달 활성을 통해 b-카테닌(catenin)을 증가시켜 전사인자인 TCF(T-cell factor)의 활성을 유도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TCF-루시퍼라제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되게 만들어진 3T3-WNT 세포를 이용하였다. 3T3-WNT 세포주는 퓨로마이신(puromycin; 3 ug/ml), 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 및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유지되었다. TCF-루시퍼라제 활성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어케어 토닉은 농도의존적으로 TCF-루시퍼라제 활성에 작용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헤어케어 토닉 10 uM에서는 TCF-루시퍼라제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본 결과는 헤어케어 토닉이 인산화에 의한 b-카테닌(catenin)의 분해를 억제하며 또한 b-카테닌(catenin)을 활성화하여 모두유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데 관여함을 알 수가 있다.
3. C57BL /6 마우스를 이용한 생장기 유도 효과 효력시험
(1) 재료 및 시험방법
가. 시험물질
시험군 구성을 위해 시험물질에는 대조군으로서 15% 에탄올을, 시험군으로는 헤어케어 토닉을 선정한 후 실온에서 보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으로는 발모 촉진 물질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5% Minoxidil)을 선정하였다. 이는 본 시험의 주목적이 양성대조군과 시험물질간의 상대적 효력시험 비교를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나. 실험동물 및 사육환경
본 시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탈모 방지 등을 위해 사용하는 의약외품 효력시험법”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내용에 근거하여 선정된 생후 5주된 암컷 C57BL/6 마우스로서, 실험동물사육실의 환경조건은 온도 20±2 ℃, 상대습도 50±10%, 조명 12시간 간격으로 밤과 낮을 유지하는 상태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군의 구성
시험군은 총 3개의 군으로 음성대조군 에탄올(15% 에탄올), 양성대조군(5% 미녹시딜), 헤어케어 토닉으로 나누고, 각 군당 10마리씩 총 30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군은 하기 표 2와 같이 구성하였다.
시험물질 비고
G1 15% 에탄올 -
G2 5% 미녹시딜 -
G3 헤어케어 토닉 -
* 투여량은 1일 1회 제모 부위를 충분히 적실 수 있도록 피부에 적용하였다.
라. 실험방법
“탈모 방지 등을 위해 사용하는 의약외품 효력시험법” 가이드라인을 기본으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생장기 유도 효과 효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순서는 하기 절차로 수행하였다.
①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1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건강한 개체만을 선택하여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② 동물 클리퍼(Animal clipper, Panasonic ER1431p, Japan)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C57BL/6 마우스 등의 털을 깎아내고, 제모크림 비트(veet, Reckitt Benckiser, France)로 나머지 털을 제거하였다. 이중 피부의 등이 분홍색인 동물만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상처 부위 발생 및 피부의 안정화를 위해 2일간의 안정화 기간 후에 붓을 사용하여 시험물질을 1일 1회 도포하였다.
③ 시험군은 음성대조군(15% 에탄올)과 양성대조군(5% 미녹시딜)을 포함하여 3군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군에는 10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 사용된 동물 중 3마리는 시험개시일 10일에 희생하여 시험물질의 효과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결과 분석의 내용을 수행하였다.
- 나머지 7마리는 시험 최종일에 희생하여 결과 분석의 내용을 수행하였다.
④ 실험 시작 후 털이 자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실험기간 동안 주 1회 가볍게 마취한 후 디지털카메라로 사진 촬영하였다(도 4 참조).
마. 결과 분석
실험 방법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하여 결과 분석하였다.
① 매일 일일 관찰을 실시하여 동물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② 전체 삭모 부위 중 생장기 모발이 자란 부위의 비(전체 삭모 부위 면적 중 검정색으로 변한 면적의 비)를 구하였다. 이를 시험 종료까지 매주 측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미국 NIH에서 개발 발전시킨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율을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양성대조군과의 상대면적 비율로 표시하였다(도 3 참조).
③ 시험 종료 시 조직검사(H&E 염색)를 시행하여 생장기 모낭의 형성 여부 및 단위면적 기준당 모낭세포 수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피부조직을 적출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에 약 1주일간 고정한 다음 조직처리(SHANDON, USA) 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에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을 박절편(Leica, Japan)을 만들어 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모낭의 형성 여부 및 수를 측정하였다(도 5 참조).
(2) 결과
가. 일일 관찰
시험물질 투여 후 3주일간 일일 임상관찰 결과, 시험물질로 인한 특이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나. 체중 변화
시험물질 투여기간 동안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조군 대비 및 군간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체중 측정은 군 분리시, 0일, 7일의 체중 측정치는 10마리에 대한 평균치 및 표준편차이며, 14일 및 21일의 체중 측정치는 7마리에 대한 측정치에 대한 계산값이다.
시간 G1 G2 G3
군 분리시 19.3±0.51 18.8±0.39 18.9±0.56
DAY 0 19.4±0.36 19.7±0.57 19.0±0.52
DAY 7 20.6±0.79 21.2±0.68 20.2±0.64
DAY 14 21.8±0.87 22.8±0.88 21.1±0.70
DAY 21 22.0±0.83 22.5±1.03 21.6±0.68
* G1 : 15% 에탄올, G2 : 5% 미녹시딜, G3 : 헤어케어 토닉
다. 생장기 모발 면적 비율
시험물질 투여기간 동안의 생장기 모발 면적 비율(상대면적 비율)은 하기 표 4,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헤어케어 토닉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 후 14일에는 양성대조군에 비교하여 활발한 모발 생장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험물질 투여 후 21일에는 99% 이상의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Day 7 Day 14 Day 21
G1 (15% 에탄올) - 0.32 0.85
G2 (5% 미녹시딜) - 1 1
G3 (헤어케어 토닉) - 0.65 0.99
라. 모낭세포수 측정
시험 종료 후 피부조직을 고정한 후 H&E 염색을 실시하여 모낭세포 형성 여부 및 모낭세포의 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헤어케어 토닉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낭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투여군보다 증가된 모낭세포 수를 나타내었다.
모낭세포수의 평균값 SD
G1 (15% 에탄올) 7.50 2.24
G2 (5% 미녹시딜) 9.23 2.68
G3 (헤어케어 토닉) 10.20 2.49
(3) 결론 및 토의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에 의한 특이한 임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유의한 체중 변화도 확인되지 않았다. 대조군 및 모든 시험물질은 시험물질 적용부위인 피부 이외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삭모 부위 중 생장기 모발이 자란 부위의 비(전체 삭모 부위 면적 중 검정색으로 변한 면적의 비)를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투여군과 비교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 7일에는 유의한 생장기 모발이 자라지 않았으며, 시험물질 투여 14일에 시험군은 0.75의 비율로 모발이 성장하였다. 투여 21일에는 시험군은 0.99의 높은 비율로 자랐으며, 시험종료 시점에서 헤어케어 토닉은 미녹시딜 투여군 대비 생장기 모발 성장 비율은 0.90 이상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모발 성장의 경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시험 종료시(Day 21)의 피부조직 검사 결과, 모든 시험군에서 모낭 형성 및 모낭세포가 생성 및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미경 상에서 일정기준(100배)으로 모낭세포수를 확인한 결과, 미녹시딜 투여군과 시험군에서 많은 수의 모낭세포가 확인되었다. 특히, 시험군(헤어케어 토닉 투여군)은 모낭세포 수가 더 많이 관찰되는 개체도 확인되었다.

Claims (6)

  1.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향 추출물이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소목 추출물이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목향 추출물, 소목 추출물, 모링가 오일 및 블랙커민시드 오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KR1020170106691A 2017-08-23 2017-08-23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4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91A KR101947705B1 (ko) 2017-08-23 2017-08-23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91A KR101947705B1 (ko) 2017-08-23 2017-08-23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705B1 true KR101947705B1 (ko) 2019-02-13

Family

ID=6536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691A KR101947705B1 (ko) 2017-08-23 2017-08-23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285B1 (ko) 2020-03-25 2021-05-25 이상록 한방 천연소재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및 피지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EP4321150A1 (en) 2022-08-08 2024-02-14 AlUla Peregrina Trading Company Cosmetic top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capillary density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at least an oily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s,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of 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285B1 (ko) 2020-03-25 2021-05-25 이상록 한방 천연소재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및 피지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EP4321150A1 (en) 2022-08-08 2024-02-14 AlUla Peregrina Trading Company Cosmetic top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capillary density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at least an oily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s,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of hair
WO2024033784A1 (en) 2022-08-08 2024-02-15 Alula Peregrina Trading Company Cosmetic top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capillary density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at least an oily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s,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of 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5427921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機能性食品、ならびに抗酸化用組成物
KR101947705B1 (ko) 목향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88764B1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0415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209663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78B1 (ko)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3632B1 (ko)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807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병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7481022B2 (ja) イラクサを含む機能性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