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802B1 -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802B1
KR101946802B1 KR1020170077965A KR20170077965A KR101946802B1 KR 101946802 B1 KR101946802 B1 KR 101946802B1 KR 1020170077965 A KR1020170077965 A KR 1020170077965A KR 20170077965 A KR20170077965 A KR 20170077965A KR 101946802 B1 KR101946802 B1 KR 10194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screen
handle
screen panel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980A (ko
Inventor
고운
김승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07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80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패널의 설치홀에 고정부재와 고정캡이 장착되고, 고정부재에 막대형 핸들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설치홀이 고정캡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설치홀을 통해 보관 물품이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 미관이 향상되고 도난 사건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GRIP HANDLE OF CARGO SCREEN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러기지룸을 가려주기 위한 카고스크린의 단부에 설치되어 카고스크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에 관한 것이다.
밴이나 RV(Recreational vehicle) 및 왜건 등의 차량은 화물 수용을 위한 러기지룸이 별다른 차단물 없이 개방된 공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보관 물품이 차량 외부에서 보임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난 사건 유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러기지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러기지룸을 가려줄 수 있도록 된 카고스크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스크린은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부로 일측 단부가 말려 들어가 있는 스크린(2)과, 스크린(2)의 타단에 구비된 플라스틱 재질의 스크린패널(3)(스크린(2)을 형성하는 막 재질로 감싸져 있음) 및 스크린패널(3)에 설치된 그립핸들(4)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핸들(4)은 스크린패널(3)에 관통 형성된 설치홀(3a)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어퍼핸들부재(4a)와 로워핸들부재(4b)로 이루어진다. 어퍼핸들부재(4a)와 로워핸들부재(4b)는 상기 설치홀(3a)의 테두리 부분을 두툼하게 보강하여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패널(3)의 양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는 스크린(2)을 이루는 천 외부로 노출되며, 그 부분에 고정장치(5)(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함)가 설치되어, 하우징(1)으로부터 스크린(2)을 인출한 뒤 고정장치(5)를 러기지사이드트림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어줌으로써 스크린(2)을 인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은 상기와 같이 내부에 홀이 있는 링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홀을 통해 러기지룸에 보관된 물품들이 보이므로 미관 저하 및 도난 사건 발생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0649호(2012.09.0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립핸들을 통해 러기지룸에 보관된 물품이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과 도난 방지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여 카고스크린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된 스크린패널의 하부에서 스크린패널에 형성된 설치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스크린패널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홀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부재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캡에 의해 상기 설치홀이 완전히 막혀서 설치홀을 통해 스크린 아래쪽의 보관 물품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손으로 쥐고 조작하기 편리하다.
상기 고정부재와 핸들부재의 사이에 항상 핸들부재를 스크린패널 쪽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부재에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자성체인 패널브라켓이 장착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자석의 자력에 의해 패널브라켓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패널브라켓이 장착되고, 패널브라켓의 하면에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핸들부재에 스틸블록이 구비되어, 스틸블록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가 패널브라켓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자성체인 패널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에 핸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해제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해제버튼의 핸들부재 내측 단부에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 공간에 코일스프링과 스프링가이드가 구비되며, 코일스프링은 스프링가이드의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가이드가 밀려져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자석을 매개로 해제버튼을 핸들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상기 해제버튼의 양측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 양측면에 걸림홀이 형성되어, 상기 해제버튼 후크의 걸림턱이 상기 핸들부재의 걸림홀에 걸려져서 해제버튼이 핸들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패널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패널브라켓의 하면에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에 핸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해제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해제버튼의 핸들부재 내측 단부에 스틸블록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전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방지부의 단부가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부재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패널에 형성된 설치홀은 단순히 그립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홀로서 손을 넣어 파지하기 위한 구멍이 아니므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립핸들을 장착한 후에는 설치홀이 고정캡에 의해 막혀 있게 됨으로써 설치홀을 통해 스크린 하부에 보관된 물품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관 물품이 보임으로써 발생하는 미관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도난 사건 발생의 우려도 저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핸들은 손가락을 홀에 넣어 파지하는 형태가 아니고 손으로 그립핸들을 감싸 쥐어 파지하는 형태로서 그립감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며 손에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보다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또한, 그립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패널 쪽으로 접혀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깔끔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미사용 보관 상태에서 핸들부재가 자력에 의해 패널브라켓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주행 중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부재에 부착 상태 해제를 위한 해제버튼이 구비되는 경우 해제버튼을 눌러주는 간단한 조작으로 핸들부재의 부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핸들부재를 사용 위치로 회동시키기가 매우 용이하여 그 사용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그립핸들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핸들이 적용된 카고스크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그립핸들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의 분해 상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의 미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6의 대응도로서, 도 6의 실시예에서 자석의 위치가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상기 그립핸들에 자력에 의한 부착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이 구비된 실시예의 그립핸들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립핸들의 분해 상태 확대도.
도 11은 도 10에서 핸들부재의 하부와 해제버튼의 확대도.
도 12는 해제버튼이 구비된 실시예의 미사용 상태도.
도 13은 해제버튼이 구비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14는 해제버튼 작동 상태도.
도 15는 도 12의 대응도로서, 해제버튼이 구비된 실시예에서 자석의 위치가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은 스크린패널(10)에 형성된 설치홀(11)에 설치된다. 카고스크린 그립핸들은 상기 스크린패널(10)의 하부에서 설치홀(11)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스크린패널(10)의 상부에서 설치홀(11)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20)와 결합되는 고정캡(30)과, 상기 고정부재(20)에 핀(5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재(40)를 포함한다.
스크린패널(10)은 스크린의 앞쪽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크린을 구성하는 막 재질로 감싸져 있으며, 스크린의 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스크린패널(10)은 스크린이 하우징의 내부로 말려 들어갈 때 하우징의 스크린 출입구에 걸려지는 스토퍼 역할을 하며, 양측 돌출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를 러기지사이드트림의 걸림홈에 걸어줌으로써 스크린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크린패널(10)의 중앙에는 원형의 설치홀(11)이 관통 형성된다. 설치홀(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고정캡(30)과 고정부재(20)가 삽입된다. 이들 고정부재(20)와 고정캡(30)은 상호 결합되어 설치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복수의 후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23)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고정캡(30)의 대응 부분에 형성된다. 후크와 걸림턱은 상대 부품으로 위치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0)와 고정캡(30) 각각에 복수의 후크와 걸림턱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부재(20)에 형성된 후크는 고정캡(30)의 걸림턱에 걸려지고, 고정캡(30)에 형성된 후크는 고정부재(2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십자형의 회전방지부(24)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부(24)의 단부가 삽입되는 요홈(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0)의 회전방지부(24)가 설치홀(11)의 요홈(12)에 삽입되어 회전 방향으로 걸려짐으로써 고정부재(20)는 조립 상태에서 설치홀(11)에서 회전될 수 없다.
상기 고정부재(20)의 하면에는 한 쌍의 포크부(21)가 형성되고, 이들 포크부(21)에는 핀홀(22)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핸들부재(40)의 일단에는 상기 포크부(21)가 삽입되는 결합홀(41)이 형성되고, 결합홀(41)의 주변 부분을 관통하여 핀홀(42)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0)의 포크부(21)가 핸들부재(40)의 결합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50)을 상기 핀홀(22,42)에 삽입하면 핸들부재(40)가 고정부재(2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핀(50)에는 토션스프링(51)이 설치되고, 토션스프링(51)의 양단은 각각 고정부재(20)와 핸들부재(40)에 지지된다. 토션스프링(51)은 항상 핸들부재(40)를 스크린패널(10)쪽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가한다.
한편,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스크린패널(10)의 일측 단부에는 자성체인 패널브라켓(60)이 장착된다. 패널브라켓(60) 역시 스크린패널(10)과 함께 스크린을 이루는 막 재질로 감싸져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도 6, 도 7에는 스크린을 이루는 막 재질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패널브라켓(60)에 대응하여 상기 핸들부재(40)의 타측 단부에는 자석(70)이 구비된다. 자석(70)은 별도의 결합수단이나 부착수단을 매개로 핸들부재(4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핸들부재(4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패널브라켓(60)의 하면에 자석(71)을 부착하고, 그에 대응하여 핸들부재(40)에는 자성체로서 스틸블록(8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핸들부재(60)는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스크린패널(10)쪽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토션스프링(51)에 의해 핸들부재(60)가 스크린패널(10)쪽으로 밀착되는 힘을 받음과 더불어 핸들부재(40)에 구비된 자석(70)이 자성체인 패널브라켓(60)에 부착됨으로써 핸들부재(40)는 스크린패널(10)쪽으로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재(40)를 도 7의 상태로 강제 회동시켜 핸들부재(40)를 편하게 쥘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이후 손바닥 전체로 핸들부재(40)를 감싸 쥐고 편하게 잡아당기거나(스크린 인출 조작) 파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크린이 하우징의 내부로 잘 말려들어갈 수 있도록 스크린이 약한 힘으로 잡아당겨진 상태(텐션이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막대형 핸들부재(40)를 손으로 편하게 감싸 쥐고 하우징에 대한 스크린의 인출 및 되감김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카고스크린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핸들부재(40)가 막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조작시 손가락이나 손바닥 안쪽에 자극이 덜 가해져 아픔이 느껴지지 않고 보다 편안하게 조작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핸들부재(4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6, 도 8과 같이 스크린패널(10)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자석(70, 71)의 자력에 의해 핸들부재(40)가 패널브라켓(60)에 밀착되어 있게 됨으로써 차량 주행중 진동이 전달되어도 핸들부재(40)와 패널브라켓(60)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30)에 의해 스크린패널(10)의 설치홀(11)이 항상 막혀 있기 때문에 설치홀(11)을 통해서 스크린 하측에 보관된 물품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관 물품이 외부에 보임으로써 발생하는 미관 저하 현상이나 도난 사건 증대의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 주행중의 진동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력이 강한 자석(70,7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석(70,71)의 자력이 과도할 경우 핸들부재(40)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은 효과적이나 핸들부재(40)를 부착 상태에서 떼어내 사용 상태로 전환하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재(40)의 일단부에 부착 상태의 해제를 위한 해제버튼(9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해제버튼(90)은 핸들부재(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품으로서 양쪽 측면에는 걸림턱(91a)을 갖춘 후크(91)가 형성된다. 후크(91)는 일종의 탄성편으로서 해제버튼(90)의 내부로 눌려지거나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후크(91)에 대응하여 핸들부재(40)의 일단부 양측면에는 후크(91)의 걸림턱(91a)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홀(43)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부재(40)의 내부로 해제버튼(90)을 삽입하면 상기 후크(91)가 해제버튼(90)의 내측으로 변형되었다가 걸림턱(91a)이 걸림홀(43)에 이르는 순간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걸림턱(91a)이 걸림홀(43)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해제버튼(90)이 핸들부재(40)로부터 빠지지 않고 설치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후크(91)는 단부의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해제버튼(90)을 핸들부재(40)의 내측 방향으로 눌렀을 때 후크(91)가 용이하게 해제버튼(90)의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해제버튼(9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해제버튼(90)의 일측 단부(핸들부재(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 단부)에는 자석(70)이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석(70)은 별도의 결합수단 또는 부착수단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해제버튼(9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40)의 내부 공간에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10)과 스프링가이드(100)가 구비된다. 이들 코일스프링(110)과 스프링가이드(100)는 해제버튼(90)보다 먼저 핸들부재(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스프링가이드(100)는 설치 상태에서 상기 자석(70)에 접촉되는 판재(101)와, 상기 판재(101)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핀(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핀(102)에 각각 코일스프링(1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이드(100)가 핸들부재(40)의 내부에 먼저 삽입되고, 이후 자석(70)을 구비한 상기 해제버튼(90)이 핸들부재(40)에 삽입된다.
핸들부재(40)의 내부 공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단차부에 코일스프링(110)이 지지된다. 코일스프링(110)이 압축될 때 가이드핀(102)은 단차부 내측의 공간으로 진입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100)의 판재(101)는 코일스프링(110)에 의해 밀려져 항상 자석(70)과 접촉하여 자석(70) 및 핸들부재(90)를 지속적으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해제버튼(90)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핸들부재(4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도 사용자에 의한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위치(후크(91)의 걸림턱(91a)이 핸들부재(40)의 걸림홀(43)에 걸려지는 위치)로 복귀되어 반복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버튼(90)이 구비된 경우에도 일반적인 사용 방법은 해제버튼(90)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12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서 토션스프링(51)에 의해 핸들부재(40)가 스크린패널(10)쪽으로 접히고,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핸들부재(40)가 패널브라켓(6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미사용 상태에서 핸들부재(40)가 깔끔한 상태로 보관되고,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핸들부재(40)와 패널브라켓(60)의 충돌이 방지되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핸들부재(4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들부재(40)를 자석(70)에 의한 부착력의 반대 방향으로 강제 회동시켜 도 13과 같이 스크린패널(10)로부터 떨어뜨려 줌으로써 손으로 쥐기 좋은 위치에 둔 이후, 핸들부재(40)를 쥐고 사용하면 된다.
한편, 자석(70)의 자력이 강하여 패널브라켓(60)으로부터 핸들부재(40)를 떼어 내기 힘든 경우에는 상기 해제버튼(90)을 사용한다.
도 12와 같은 핸들부재(40) 부착 상태에서 상기 해제버튼(90)을 눌러 주면 해제버튼(90)이 도 14와 같이 핸들부재(4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A방향으로 눌러줌). 따라서, 상기 자석(70)이 패널브라켓(60) 대응 영역으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석(70)과 패널브라켓(60)의 부착력이 감소된다. 즉, 자석(70)이 패널브라켓(60)에서 멀어짐으로써 부착력이 감소되며, 이 상태에서는 핸들부재(40)를 스크린패널(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기가 매우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한층 증가된다.
핸들부재(40)를 도 13과 같은 사용상태로 회동시킨 후에는 상기 해제버튼(90)을 놓아주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110)이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스프링가이드(100)의 판재(101)가 자석(70)을 밀어주게 되고, 이에 해제버튼(90)이 핸들부재(40)의 외측으로 밀려진다. 핸들부재(40)는 후크(91)의 걸림턱(91a)이 핸들부재(40)의 걸림홀(43)에 걸리는 위치까지 밀려진 후 그 위치에서 정지하여 다음 사용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버튼(90)의 핸들부재(40) 내측 단부에 자성체인 스틸블록(80)이 장착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패널브라켓(60)의 하면에 자석(71)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석(71)의 자력이 스틸블록(80)에 작용하여 핸들부재(40)가 패널브라켓(60)에 밀착되므로 핸들부재(40)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동일하게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스크린패널 11 : 설치홀
12 : 요홈 20 : 고정부재
21 : 포크부 22 : 핀홀
23 : 후크 24 : 회전방지부
30 : 고정캡 40 : 핸들부재
41 : 결합홀 42 : 핀홀
43 : 걸림홀 50 : 핀
51 : 토션스프링 60 : 패널브라켓
70,71 : 자석 80 : 스틸블록
90 : 해제버튼 91 : 후크
91a : 걸림턱 100 : 스프링가이드
101 : 판재 102 : 가이드핀
110 : 코일스프링

Claims (11)

  1.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된 스크린패널의 하부에서 스크린패널에 형성된 설치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스크린패널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홀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부재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자성체인 패널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에 핸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해제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해제버튼의 핸들부재 내측 단부에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에 의해 상기 설치홀이 완전히 막혀서 설치홀을 통해 스크린 아래쪽의 보관 물품이 보이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핸들부재의 사이에 항상 핸들부재를 스크린패널 쪽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 공간에 코일스프링과 스프링가이드가 구비되며, 코일스프링은 스프링가이드의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가이드가 밀려져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자석을 매개로 해제버튼을 핸들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의 양측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 양측면에 걸림홀이 형성되어, 상기 해제버튼 후크의 걸림턱이 상기 핸들부재의 걸림홀에 걸려져서 해제버튼이 핸들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10.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된 스크린패널의 하부에서 스크린패널에 형성된 설치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스크린패널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홀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부재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패널의 일단에 패널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패널브라켓의 하면에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일단부에 핸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해제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해제버튼의 핸들부재 내측 단부에 스틸블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전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방지부의 단부가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KR1020170077965A 2017-06-20 2017-06-20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KR10194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65A KR101946802B1 (ko) 2017-06-20 2017-06-20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65A KR101946802B1 (ko) 2017-06-20 2017-06-20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80A KR20180137980A (ko) 2018-12-28
KR101946802B1 true KR101946802B1 (ko) 2019-02-12

Family

ID=6500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65A KR101946802B1 (ko) 2017-06-20 2017-06-20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52B1 (ko) * 2020-05-06 2021-10-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977A (ja) 2004-12-22 2006-07-06 Piolax Inc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74B1 (ko) * 2001-08-14 2004-02-18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토노커버
KR20080017955A (ko) * 2006-08-23 2008-02-27 변태웅 밝기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
KR101180649B1 (ko) 2010-08-17 2012-09-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977A (ja) 2004-12-22 2006-07-06 Piolax Inc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80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670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KR101946802B1 (ko)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그립핸들
EP3312058B1 (fr) Dispositif de retenue d'une partie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909828B1 (ko) 자성을 갖는 자동차용 휠 캡 분리장치
EP1375247B1 (en) A device for keeping items in a vehicle in position
CN104290570B (zh) 遮阳板的构造
KR20100052733A (ko)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JP4542697B2 (ja) 物品類の保持装置
WO2006056664A1 (fr) Dispositif anti-vol de bagage adaptable sur une ceinture de securite
CN220353634U (zh) 一种手套箱解锁触发组件
KR101875434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KR101439437B1 (ko)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BE562077A (ko)
FR2961663A1 (fr) Dispositif de prehension d'un pene de ceinture de securite d'un vehicule automobile
JP2507114Y2 (ja) コンソ―ルボックスのコップホルダ―
JPH0114525Y2 (ko)
KR100215670B1 (ko) 수납함이형성된자동차용팔걸이대
JP2602846Y2 (ja) 押しばねの取付構造
JP2001315561A (ja)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188844B1 (ko) 자동차 러기지 룸의 트레이 커버 결합구조
JPS6342048Y2 (ko)
JPH0114526Y2 (ko)
JPS6021298Y2 (ja) 車輛用コップ立て具
KR101404341B1 (ko) 자동차용 동전 홀더
JP6441623B2 (ja) 錠前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