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341B1 - 자동차용 동전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동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341B1
KR101404341B1 KR1020130010924A KR20130010924A KR101404341B1 KR 101404341 B1 KR101404341 B1 KR 101404341B1 KR 1020130010924 A KR1020130010924 A KR 1020130010924A KR 20130010924 A KR20130010924 A KR 20130010924A KR 101404341 B1 KR101404341 B1 KR 10140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older
coin holder
rai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영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7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towing money or valuables, e.g. using sa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의 실내에 별도의 홀더가 구비되지 않아 동전을 컵홀더 등에 보관하거나, 또는 동전 홀더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 중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있어서, 전면 끝단에는 전면판(100)이 설치되는 전면판 설치부(210)가 구비되고, 후면 끝단에는 래치 설치홀(310)과 볼트홀(320)이 각각 구비되는 후면판(300)이 볼트(350)로 결합되는 후면판 설치부(220)가 구비되며, 전면판 설치부(210)와 후면판 설치부(220) 사이에는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이 차례로 형성되는 동전 홀더 몸체부(200);와 후면판(300)에 형성되는 래치 설치홀(310)에 끼워져 고정되는 래치(400);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측 양단에 구비되되, 내측에는 제1동전 홀더 설치부(5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520)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에는 탄발스프링 작동홀(530)이 형성되는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중심으로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내측에는 제2동전 홀더 설치부(6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620)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 내측에는 래치 고정돌기(630)가 형성되는 제2수납 홀더 커버(600);와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동전 홀더{coin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 중 동전이 필요할 경우, 래치에 의해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의 전면판을 누르면 동전 홀더 몸체부가 운전자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자동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용이하게 동전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분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편의 시설들이 구비되며, 최근에는 차량의 편의 시설들이 늘어남에 따라 그 종류도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소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도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수납공간도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수납공간들은 컵홀더 등과 같이 단순히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에 의해 공간과, 동전 홀더 등과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필요에 의해 설치되는 공간으로 나뉘게 되는 것이다.
즉, 동전 홀더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와 같이 동전을 지불 해야할 경우, 지불에 필요한 동전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렇게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쉽고 안전하게 동전을 동전 홀더로부터 꺼내야 하기 때문에 동전 홀더는 운전석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동전의 특성상 차량이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동전이 동전 홀더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서랍식으로 형성되는 동전 홀더가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동전 홀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동전을 동전 홀더에 수납할 경우,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동전이 동전 홀더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동전 홀더를 서랍식으로 형성할 경우 운전자가 동전을 꺼내기 위해서 동전 홀더를 당길 때, 서랍식 동전 홀더의 손잡이를 쉽게 찾지 못하거나 서랍식 동전 홀더가 부드럽게 개폐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용이하게 동전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분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 중 동전이 필요할 경우, 래치에 의해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의 전면판을 누르면 동전 홀더 몸체부가 운전자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자동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동전을 동전 홀더에 수납할 경우,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동전이 동전 홀더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점과 동전 홀더를 서랍식으로 형성할 경우 운전자가 동전을 꺼내기 위해서 동전 홀더를 당길 때, 서랍식 동전 홀더의 손잡이를 쉽게 찾지 못하거나 서랍식 동전 홀더가 부드럽게 개폐되지 않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동전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있어서, 전면 끝단에는 전면판이 설치되는 전면판 설치부가 구비되고, 후면 끝단에는 래치 설치홀과 볼트홀이 각각 구비되는 후면판이 볼트로 결합되는 후면판 설치부가 구비되며, 전면판 설치부와 후면판 설치부 사이에는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제1동전 수납홈과 제2동전 수납홈이 차례로 형성되는 동전 홀더 몸체부;와 후면판에 형성되는 래치 설치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래치;와 동전 홀더 몸체부의 외측 양단에 구비되되, 내측에는 제1동전 홀더 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에는 탄발스프링 작동홀이 형성되는 제1수납 홀더 커버;와 동전 홀더 몸체부를 중심으로 제1수납 홀더 커버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내측에는 제2동전 홀더 설치부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 내측에는 래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제2수납 홀더 커버;와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의 후면판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동전 홀더 몸체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제1레일과 제2레일을 형성하고, 제1수납 홀더 커버와 제2수납 홀더 커버의 내측에 제1레일 및 제2레일과 끼워져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동전 홀더 레일홈과 제2동전 홀더 레일홈을 각각 형성하여, 동전 홀더 몸체부가 제1레일과 제2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의 후면판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의 타단이 후면판에 설치되는 볼트에 닿도록 형성하여, 탄발스프링이 후면판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 중 동전이 필요할 경우, 래치에 의해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의 전면판을 누르면 동전 홀더 몸체부가 운전자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자동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용이하게 동전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분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동전 홀더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동전 홀더 몸체부가 제1수납 홀더 커버와 제2수납 홀더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제2수납 홀더 커버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도 7,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탄발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동전 홀더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동전 홀더 몸체부가 제1수납 홀더 커버와 제2수납 홀더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제2수납 홀더 커버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 도 7,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동전 홀더의 탄발스프링이 설치된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있어서, 전면 끝단에는 전면판(100)이 설치되는 전면판 설치부(210)가 구비되고, 후면 끝단에는 래치 설치홀(310)과 볼트홀(320)이 각각 구비되는 후면판(300)이 볼트(350)로 결합되는 후면판 설치부(220)가 구비되며, 전면판 설치부(210)와 후면판 설치부(220) 사이에는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이 차례로 형성되는 동전 홀더 몸체부(200);와 후면판(300)에 형성되는 래치 설치홀(310)에 끼워져 고정되는 래치(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그리고,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측 양단에 구비되되, 내측에는 제1동전 홀더 설치부(5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520)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탄발스프링 작동홀(530)이 형성되는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중심으로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내측에는 제2동전 홀더 설치부(6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620)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 내측에는 래치 고정돌기(630)가 형성되는 제2수납 홀더 커버(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탄발스프링 작동홀(530)을 통해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으로 이루어지며,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형성하고,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제2수납 홀더 커버(600)의 내측에 제1레일(270)및 제2레일(280)과 끼워져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동전 홀더 레일홈(570)과 제2동전 홀더 레일홈(670)을 각각 형성하여,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의 타단이 후면판(300)에 설치되는 볼트(350)에 닿도록 형성하여, 탄발스프링(700)이 후면판(300)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전면판(100)을 누르면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차량의 실내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전면판 설치부(210)에 구비되는 전면판(100)을 누르면, 동전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은 탄발스프링 작동홀(530)을 통해 접촉된 판상의 탄발스프링(700) 선단을 눌러주게 되며, 그 후 눌렀던 전면판(100)을 놓아주면 눌렸던 탄발스프링(700)은 원위치로 복원되는 탄발력을 이용하여 동전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을 밀어주고, 이와 동시에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의 래치(400)는 제2수납 홀더 커버(600)의 래치 고정돌기(630)를 놓아주어 서로 분리되므로 동전홀더 몸체부(200)는 탄발스프링(700)의 탄발 장력을 받아 선단이 일정간격만큼 차량의 실내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차량의 실내로 일정간격만큼 이동하게 되면,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당겨 나머지 부분까지 차량의 실내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형성되어 있고,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제2수납 홀더 커버(600)의 내측에는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가 끼워져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동전 홀더 레일홈(570)과 제2동전 홀더 레일홈(670)을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에 수납된 동전을 사용한 후 전면판(100)을 누르면,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래치(400)가 제2수납 홀더 커버(600)의 래치 고정돌기(630)에 고정되면서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에는 내부에 동전이 수납될 경우 도로의 요철 구간을 주행 중 동전의 움직임에 의해 소음이 발생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수납홈(250)(260)에 동전 이동저지판(290)이 마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전 이동저지판(290)에는 제1,2동전 수납홈(250)(260)의 동전을 손으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동전 파지홈(255)(265)가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290)은 동전 이동 저지판이며 (255)(265)는 동전이동 저지판(290)에 형성된 동전 파지홈을 설명한 것이다.
이때, 탄발스프링(700)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고정되어, 다시 운전자가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전면판(100)을 누를 경우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의 타단이 후면판(300)에 설치되는 볼트(350)에 직접 닿도록 형성함으로써,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차량의 실내로 반복적으로 이동할 경우 금속으로 형성되는 탄발스프링(700)이 후면판(300)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동전 홀더 몸체부(200)는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제2수납 홀더 커버(600)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데, 제1수납 홀더 커버(500) 전면의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랜지(520)와 제2수납 홀더 커버(600) 전면의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랜지(620)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함으로써 동전 홀더를 차량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전면판 200 : 동전 홀더 몸체부
210 : 전면판 설치부 220 : 후면판 설치부
250 : 제1동전 수납홈 260 : 제2동전 수납홈
270 : 제1레일 280 : 제2레일
300 : 후면판 400 : 래치
500 : 제1수납 홀더 커버 510 : 제1동전 홀더 설치부
520 :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랜지 530 : 탄발스프링 작동홀
570 : 제1동전 홀더 레일홈 600 : 제2수납 홀더 커버
610 : 제2동전 홀더 설치부 620 :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랜지
630 : 래치 고정돌기 670 : 제2동전 홀더 레일홈
700 : 탄발스프링

Claims (4)

  1. 자동차의 실내에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에 있어서,
    전면 끝단에는 전면판(100)이 설치되는 전면판 설치부(210)가 구비되고, 후면 끝단에는 래치 설치홀(310)과 볼트홀(320)이 각각 구비되는 후면판(300)이 볼트(350)로 결합되는 후면판 설치부(220)가 구비되며, 전면판 설치부(210)와 후면판 설치부(220) 사이에는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이 차례로 형성되는 동전 홀더 몸체부(200);와
    후면판(300)에 형성되는 래치 설치홀(310)에 끼워져 고정되는 래치(400);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측 양단에 구비되되, 내측에는 제1동전 홀더 설치부(5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1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520)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에는 탄발스프링 작동홀(530)이 형성되는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중심으로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내측에는 제2동전 홀더 설치부(610)가 형성되며 전면 끝단에는 제2수납 홀더 커버 플래지(620)가 형성되고, 후면 끝단 내측에는 래치 고정돌기(630)가 형성되는 제2수납 홀더 커버(600);와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형성하고, 제1수납 홀더 커버(500)와 제2수납 홀더 커버(600)의 내측에 제1레일(270) 및 제2레일(280)과 끼워져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동전 홀더 레일홈(570)과 제2동전 홀더 레일홈(670)을 각각 형성하여,
    동전 홀더 몸체부(200)가 제1레일(270)과 제2레일(28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은 제1수납 홀더 커버(500)의 후면 끝단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동전 홀더 몸체부(200)의 후면판(300)에 탄발된 상태로 밀착되어 동전 홀더 몸체부(200)를 차량의 실내로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700)의 타단이 후면판(300)에 설치되는 볼트(350)에 닿도록 형성하여,
    탄발스프링(700)이 후면판(300)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동전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제1동전 수납홈(250)과 제2동전 수납홈(260)내부에 각각 동전 이동저지판(290)을 마련하고, 상기 동전 이동저지판(290)에는 동전 파지홈(255)(265)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동전홀더.
KR1020130010924A 2013-01-31 2013-01-31 자동차용 동전 홀더 KR10140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924A KR101404341B1 (ko) 2013-01-31 2013-01-31 자동차용 동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924A KR101404341B1 (ko) 2013-01-31 2013-01-31 자동차용 동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341B1 true KR101404341B1 (ko) 2014-06-09

Family

ID=511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924A KR101404341B1 (ko) 2013-01-31 2013-01-31 자동차용 동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3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607U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차량용 동전보관대
KR1998005505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동전수납기
KR19990018772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607U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차량용 동전보관대
KR1998005505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동전수납기
KR19990018772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1596A1 (en) Mot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box
US6866250B2 (en) Tensioning device for cable inserted through flexible tube
JPH06211079A (ja) 引き出しユニット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KR100748657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록킹 장치
JP2002337593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ー
CN107150724B (zh) 后背门的弹出结构
JP2012086584A (ja)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KR101404341B1 (ko) 자동차용 동전 홀더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20090097105A (ko) 글러브 박스
JP5985234B2 (ja) シート部材固定用留め具
US6626423B2 (en) Longitudinal entry clip for use in a vehicle jack system and a vehicle jack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KR101619997B1 (ko) 자동차 시트의 수납장치
US9796315B1 (en) Container holding system
JP4650766B2 (ja) 収納装置
KR100930951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및 그 설치구조
KR101875434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JP2000318533A (ja) 車両用収納装置
US20230034903A1 (en) In-door accessory charger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20030024488A (ko)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0379032B1 (ko) 자동차용 수납용 이중 시트 장치
KR200248499Y1 (ko) 멀티박스트래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