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448B1 -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448B1
KR101946448B1 KR1020180091843A KR20180091843A KR101946448B1 KR 101946448 B1 KR101946448 B1 KR 101946448B1 KR 1020180091843 A KR1020180091843 A KR 1020180091843A KR 20180091843 A KR20180091843 A KR 20180091843A KR 101946448 B1 KR101946448 B1 KR 10194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lasticizer
sealant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범
이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8009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32B17/10302Edge s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1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e.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75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COOH-groups; Ester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4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12Sulfur-containing polymers, e.g. 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메르캅탄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2액형 복층유리 접착제 및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고무 성분에 점도저하제를 첨가하고, 경화제 성분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등과 같은 산화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작업 초기에 실란트 고무의 유동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 성능과 강도 변화 등의 경시변화를 최소화하며, 높은 내오존성, 낮은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Sealant Composition for Double Glazing Comprising Polysulfide}
본 발명은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고무 성분에 점도저하제를 첨가하고, 경화제 성분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DTPA) 등과 같은 산화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실란트 고무의 유동성, 흐름성 및 경시변화를 최소화한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 유리 유닛(insulating glass units: IGU)은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유리 패널들을 가진다. 이러한 두 개의 유리 패널들은 서로 평행하게 놓이며, 패널들 사이의 공간 또는 내부 공간이 완전히 둘러막도록 그 주변부가 실링되고 내부 공간은 건조한 공기 또는 열전도율이 낮은 아르곤 가스 등을 투입하여 채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층 유리 유닛을 통한 에너지 전달은 단일 유리 패널과 비교하면, 내부 공간에 공기 절연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감소된다. 공기의 절연 블랭킷(insulating blanket)을 증가시키기 위해 패널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전달이 더 감소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패널들 사이의 공기내의 대류가 에너지 전달을 증가시킬 수 없는 최대 간격에는 제한이 있다.
이와 같은 복층 유리 유닛들의 제조에 경화계와 비경화계를 모두 포함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실란트들이 현재 사용된다. 폴리부틸렌-폴리이소프렌 코폴리머 러버 베이스 핫 멜트 실란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경화계들인 반면, 액체 폴리설파이드,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화계를 대표한다. 액체 폴리설파이드 및 폴리우레탄은 하나의 베이스 및 그 다음에 유리에 도포되기 바로 전에 혼합되는 하나의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2성분 시스템인 것이 일반적이다. 실리콘은 2성분 시스템뿐만 아니라 1성분일 수 있다. 2성분 시스템들은 설정된 혼합 비율, 2-파트(part) 혼합 장치 및 복층 유리 유닛들이 다음 제조 단계로 이동될 수 있기 전의 경화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의 실온경화성(Room Temperature Cure: RTC) 실리콘 실란트 조성물은 IGU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아르곤과 같은 낮은 열전도성 가스들의 손실을 막는 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기는 하나,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리 패널들 사이의 가스에 의해 유지되는 에너지 전달감소 효과는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된다.
한편, 폴리설파이드 폴리머나 폴리메르캅탄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1액형 또는 다액형 조성물들은 건설이나 토목, 항공기, 자동차 산업, 선박 건설 등 큰 규모의 복층유리 절연 분야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메르캅탄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절연 유리 접착제/실란트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높은 내오존 특성과 낮은 수증기투과율, 여러 용제나 화학물질에 대한 내저항성, 실리콘 폴리머 대비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6,919,397호는 가소제로서 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액상 폴리설파이드 및/또는 폴리메르캅탄 접착제 및 실란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139605호는 액상 폴리설파이드 폴리머의 경화제에 사용하는 이산화망간으로서, Na0 .55 Mn2O4ㆍ1.5H2O로 나타나는 단사정계 나트륨 버네사이트의 층간에 존재하는 나트륨 이온을, 1가 내지 3가의 양이온으로 치환한 단사정계 양이온 치환 버네사이트형 이산화망간을 포함하는 경화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8,758,861호는 실란 말단 폴리우레탄(silane terminated polyurethane) 또는 실란 말단 폴리에스터(silane terminated polyester) 실란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고무나 폴리에스터는 수분차단, 가스차단 및 구조지지 성능면에서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3/0287975호는 복층유리용 2차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에 관한 특허로서 아크릴에스터 베이스 폴리머를 주쇄로 갖고 있는 개질된 실리콘 베이스 폴리머와 벤조익에시드에스터 베이스 가소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구력이 우수하다. 하지만 여기서 제조된 복층유리의 2차 실란트는 높은 강도, 수분차단, 가스차단의 성능이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메르캅탄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2액형 복층유리 접착제 및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고무 성분에 점도저하제를 첨가하고, 경화제 성분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등과 같은 산화안정화제를 첨가할 경우 작업 초기에 실란트 고무의 유동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 성능과 강도 변화 등의 경시변화를 최소화하며, 높은 내오존성, 낮은 수증기 투과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초기에 실란트 고무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 성능과 강도 변화 등의 경시변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내오존성이 높고 수증기 투과성이 낮은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 20~60중량부, 보강제 100~300중량부, 접착제 0.1~10중량부 및 점도저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고무 성분; 및 (B) 경화주제 0.1~10중량부 및 제2가소제 3~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을 포함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은 작업초기에 실란트 고무의 흐름성을 기존대비 10~30%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성능과 강도 변화 등의 경시변화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내오존성 및 낮은 수증기투과성을 가져 복층유리용 2차 실란트로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시간에 따른 점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실시예 2)과 비교예 1의 시간에 따른 점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메르캅탄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2액형 복층유리 접착제 및 실란트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고무 성분에 점도저하제를 첨가함으로써 작업 초기에 실란트 고무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화제 성분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 등과 같은 산화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 성능과 강도 변화 등의 경시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 20~60중량부, 보강제 100~300중량부, 접착제 0.1~10중량부 및 점도저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고무 성분; 및 (B) 경화주제 0.1~10중량부 및 제2가소제 3~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을 포함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의 경우 가사시간 및 경화특성이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지표로 작용되며 특히,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은 (A)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 20~60중량부, 보강제 100~300중량부, 접착제 0.1~10중량부 및 점도저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고무 성분 및 (B) 경화주제 0.1~10중량부 및 제2가소제 3~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 경화제 성분에,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 0.005~0.1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도저하제는 카복실릭에시드에스터, 수소첨가된 경파라핀 증류액, 불포화 폴리아민아마이드와 에시딕폴리에스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가지 모두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고무 성분과 상기 경화제 성분의 함량비는 1:0.05~0.2(중량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9~0.15(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복층유리용 2액형 2차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에 요구되는 성능과 경화특성을 얻을 수 있다. 1:0.05 미만일 때는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의 양생 경화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1:0.2를 초과할 때는 양생 경화하는 시간이 너무 빨라져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양생경화시간이 너무 길면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로 복층유리의 씰링작업 후에 이를 운반할 때 유리의 틀어짐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양생경화시간이 너무 짧으면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로 복층유리의 씰링작업 중에 굳어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소제는 벤조에이트(benzoate)계 또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이고, 상기 제2가소제는 염화파라핀(paraffin chloride)계 또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프탈레이트계 또는 벤조에이트계 가소제일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계 가소제의 일례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ipropylene glycol dibenzoate, DPGDB)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iethylene glycol dibenzoate, DEGDB)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무의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사용 가능하지만,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경우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세계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와 인체나 환경에 유해하지 않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제1가소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소제는 경화제에 첨가되는 것으로 소량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 용출되는 양이 적어지므로 효과가 우수한 그러나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염화파라핀 역시 가소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염화파라핀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부틸벤질 프탈레이트(butylbenzyl phthalate) 또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경화물의 경도, 강도나 신장, 또한 경화전의 경화형 조성물의 점도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제1가소제의 첨가량은 액상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20~6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부일 수 있다. 제1가소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성능과 경화특성의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다. 20중량부 미만일 때는 실란트의 점도가 높아 씰링작업시 실란트가 교반기나 노즐에서 막힘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60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비반응성의 액상물이 많아져서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성능과 경도와 같은 경화특성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2가소제의 첨가량은 액상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3~15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0중량부일 수 있다. 제2가소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2차 실란트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경화물의 물리적인 물성 특성이나 경화전 실란트 조성물의 점도나 가사시간 경화시간 등을 얻을 수 있다. 3중량부 미만일 때는 경도와 같은 실란트 경화물의 물성이 너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비반응성의 액상물이 많아져서 경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탄산칼슘, 탄산칼슘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실리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렉토나이트(rector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마이카(mica), 일라이트(illite), 카올린나이트(kaolinite), 소듐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Na-MMT) 및 클로이지트(cloisite)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강제는 고무조성물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물질로서, 보강제의 첨가량은 액상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100~30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250중량부일 수 있다. 보강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2차 실란트에서 필요한 경화 전후의 물성을 얻을 수 있다. 100중량부 미만일 때는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300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조성물의 흐름성이 떨어지고 경도가 상승하여 조성물이 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제, 실란커플링제, 점착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착제 0.1~10중량부일수 있으며, 2~8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때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고무가 피착제에 잘 부착하는 효과가 있다.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실란트 고무가 잘 붙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10중량부 초과로 사용하는 경우 접착성능이 너무 높아 작업성의 저해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도저하제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일수 있으며, 2~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때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의 가사시간에 적정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발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다. 1중량부 미만일 때는 점도저하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적정한 점도가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경도는 높아지나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가사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화주제는 이산화망간일 수 있다. 상기 경화주제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때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고무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능과 작업성, 경화성능, 피착제에 대한 부착성능이 우수한 실란트 고무를 얻을 수 있다. 2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실란트 고무의 기계적 강도가 낮고, 작업성 및 경화성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물리적 성능, 작업성 및 경화성능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은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0.1 중량부일수 있으며, 0.01~0.0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때 경화제 보관시 경화제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시변화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이 0.00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경화제의 장기 보관시 경화특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0.1중량부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고무 성분은 충전제, 접착촉진제 및 안료 또는 착색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화제 성분은 유기 과산화물, 충전제, 지연제, 촉진제, 건조제, 안료 또는 착색제 및 항산화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카본블랙,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규산염 및 황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경량 폴리머 충전제, 실리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리로니트릴이나 염화비닐리덴 등의 열가소성 벌룬(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 페놀이나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벌룬, 화산회나 플라이 애쉬(fly ash)나 글래스나 알루미나 등의 무기계 벌룬 등의 중공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제로서는, 카본 블랙, 탄산칼슘, 실리카, 마이크로벌룬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제는 2 종류 이상 혼합할 수도 있고, 표면을 지방산, 수지산, 계면 활성제, 실란 커플링제, 파라핀 등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접착 촉진제로는 가수 분해성 실릴기(sillyl group)와 반응성 유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 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시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인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40중량부, 보강제인 경질탄산칼슘 50중량부, 중질탄산칼슘 150중량부 접착제인 실란커플링제 1중량부, 하이드로카본 1중량부 및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텔 2중량부를 첨가하여 바인더고무 성분(part A)을 제조하였다. 경화주제 망간니즈디옥사이드 5중량부, 제2가소제인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10중량부를 첨가하여 경화제 성분(part B)을 제조하였다.
바인더고무 성분(part A) 1중량부와 경화제 성분(part B) 0.1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인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40중량부, 보강제인 경질탄산칼슘 50중량부, 중질탄산칼슘 150중량부 접착제인 실란커틀링제 1중량부, 하이드로카본 1중량부 및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텔 2중량부를 첨가하여 바인더고무 성분(part A)을 제조하였다. 경화주제 망간니즈디옥사이드 5중량부, 제2가소제인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10중량부 및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 0.01중량부를 첨가하여 경화제 성분(part B)을 제조하였다.
바인더고무 성분(part A) 1중량부와 경화제 성분(part B) 0.1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바인더고무 성분(part A)에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터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바인더고무 성분(part A)에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터를 첨가하지 않고, 경화제 성분(part B)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의 점도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정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점도는 DIN 53019(25℃/77℉) 시험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한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은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터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점도가 낮았다.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바인더고무의 기본 물리적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무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한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은 점도저하제인 카복실릭에시드에스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에 대하여 초기에는 점도가 보다 낮다가 어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점도가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의한 폴리설파이드 바인더고무 성분과 경화제 성분을 배합하여 가사시간(tack free time)을 적당하게 늘리고, 경화속도(cure rate)에 따른 경화특성을 빠르게 개선시켜 실란트 고무의 요구특성인 작업성, 경화성 및 부착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바인더고무나 경화제 성분을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 성능과 강도 변화를 최소화하며, 낮은 가스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다음을 포함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A)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액상 폴리메르캅탄 폴리머 100중량부, 제1가소제 20~60중량부, 보강제 100~300중량부 및 접착제 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고무 성분; 및
    (B)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TPA) 0.005~0.1중량부, 경화주제 0.1~10중량부 및 제2가소제 3~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고무 성분과 상기 경화제 성분의 함량비는 1:0.05~0.2(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소제는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이고, 상기 제2가소제는 염화파라핀계 가소제 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탄산칼슘, 탄산칼슘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실리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렉토나이트(rector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마이카(mica), 일라이트(illite), 카올린나이트(kaolinite), 소디움 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Na-MMT) 및 클로이지트(cloisite)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주제는 이산화망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고무 성분은 충전제, 접착촉진제 및 안료 또는 착색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성분은 유기 과산화물, 충전제, 지연제, 촉진제, 건조제, 안료 또는 착색제 및 항산화제 및 산화안정화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카본블랙,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규산염 및 황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2액형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KR1020180091843A 2018-08-07 2018-08-07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KR10194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43A KR101946448B1 (ko) 2018-08-07 2018-08-07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43A KR101946448B1 (ko) 2018-08-07 2018-08-07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448B1 true KR101946448B1 (ko) 2019-02-11

Family

ID=6536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43A KR101946448B1 (ko) 2018-08-07 2018-08-07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0296A (zh) * 2022-01-19 2022-04-15 安徽朗凯奇防水科技股份有限公司 水性双组份环氧美缝剂及其制备方法
KR102487769B1 (ko) * 2022-09-14 2023-01-16 (주)지에스모아 2액형 복층유리용 내화 실란트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548B2 (ja) * 1999-03-24 2011-02-09 株式会社カネカ 2液型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に用いる硬化剤技術分野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548B2 (ja) * 1999-03-24 2011-02-09 株式会社カネカ 2液型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に用いる硬化剤技術分野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0296A (zh) * 2022-01-19 2022-04-15 安徽朗凯奇防水科技股份有限公司 水性双组份环氧美缝剂及其制备方法
KR102487769B1 (ko) * 2022-09-14 2023-01-16 (주)지에스모아 2액형 복층유리용 내화 실란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695B1 (en) Curable composition
KR101954235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9512342B1 (en) Moisture cured polymer and recycled glass roof coating, caulk/sealant and patching compound membranes
KR101946448B1 (ko) 복층유리용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조성물
KR101734136B1 (ko)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0341157A (ja) 硬化性組成物
CN106244089A (zh) 一种防火玻璃用改性纳米复合聚硫密封胶及其制备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MX2014005307A (es) Plastificantes para composiciones adhesivas, de revestimiento y sellantes aplicadas al asfalto.
KR101504556B1 (ko)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7194B1 (ko) 매쉬 함침형 이중 방수시트 및 이와 유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20180126269A (ko)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제조 방법,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2100106B1 (ko)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
KR102058021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US5976415A (en) Corrosion-inhibiting polysulfide sealants
JP5190724B2 (ja) 硬化型組成物
KR102574077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EP2707444A2 (en) Adhesive/sealant preferably used for construction panels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885608B1 (ko) 구조물 균열 보수용 상온 경화형 균열 주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2460723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108301581B (zh) 室内墙面结构及其制造方法
CN107345126A (zh) 一种汽车用聚氨酯密封胶
KR102151028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CN107385937A (zh) 一种抗老化防水卷材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