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28B1 -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28B1
KR102151028B1 KR1020200076876A KR20200076876A KR102151028B1 KR 102151028 B1 KR102151028 B1 KR 102151028B1 KR 1020200076876 A KR1020200076876 A KR 1020200076876A KR 20200076876 A KR20200076876 A KR 20200076876A KR 102151028 B1 KR102151028 B1 KR 10215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epoxy resin
crack repair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이엔씨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이엔씨, 김동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7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4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1Burned rice husks or other burned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8Micro- or nanosized fillers, e.g. micronised fillers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ydraulic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24/42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04B28/065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08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은 균열부 내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방수성 및 장기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A Composition for Eco-Friendly Reinforcement of Crack Comprising Epoxy Resin and Reinforcement Methods of Crack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방호벽, 발전소 구조물 및 이 밖의 여러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균열부위에 적용되어 보수 및/또는 보강을 하기 위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계 및 시공 상의 하자, 사용 중의 구조변경, 환경변화에 따른 노후화 및 자연재해, 화재 등 각종 원인에 의해 내구성 및 내하력이 저하되며, 이러한 원인에 의해 구조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 구조물들은 균열 등으로 인하여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인명피해 등 대형 참사뿐만 아니라, 사회 기반인 주요시설 및 교통망이 장기간 마비되고 복구를 위해서는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구조적인 손상을 입은 구조물들은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면 또는 부분적인 보수/보강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구조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균열은 외부의 영향 다시 말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웃하는 토사에 빗물 등이 응축되어 있다가 구조물 표면으로 스며들면서 열화가 발생하게 되어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건조와 수축, 온도변화, 누수, 진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에 균열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차량이나 열차의 통행이 많은 터널, 지하철의 차량 통로에는 진동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균열 부분은 외부의 수분 및 공기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의 풍화를 촉진하고, 철근의 부식을 초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및 안전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물, 특정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팩커(Packer) 및 보수보강제 등을 이용하여 보수/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균열을 보수하는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119232호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레진을 주입하여 보강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강용 주입식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91251호에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충진제 5 내지 50중량부; 섬유 10 내지 4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라텍스 30 내지 5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0.01 내지 4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시켜, 균열부 내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방수성 및 장기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보수보강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그라우팅하여 강제 주입하는 그라우팅 단계;
상기 그라우팅 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은 균열부 내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방수성 및 장기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그라우팅하여 강제 주입하는 그라우팅 단계; 상기 그라우팅 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접착성, 내화학성, 방수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는 친환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정량이 1.0g/L 이하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의 에폭시 수지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는 수축보상, 고강도, 예를 들면 높은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속경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감소하고 30중량부 이상인 경우 체적이 팽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물과 접촉할 경우 순식간에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Ettringite)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압축강도를 수분 내지 수 시간 안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다 신속한 수화반응을 위해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화반응성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블레인 분말도는 5,000 내지 8,000㎠/g 정도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28 내지 62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19 내지 52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9 내지 20중량%인 부산석고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혼합물의 입도가 88㎛, 잔분이 5 내지 20중량%로 분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소성로에서 1,000 내지 1,300℃의 소성온도로 1시간 이상 유지한 후 공냉시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소성온도가 낮거나, 백운석슬러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미반응 석회의 양이 많아져 팽창성을 나타내므로 붕괴, 파괴의 염려가 있으며, 소성온도가 높거나 석회석 배합량이 적어도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생산이 적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칼슘은 치수 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탄산칼슘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5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숯가루는 높은 공극율로 인하여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숯가루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볼밀로 분말화한 평균입도가 0.001 내지 2mm인 야자 숯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숯가루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의 양생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경화제로는 파라 톨루엔 설포닉산[PTSA(Para Toluene Solfonic Acid)], 페놀술폰산, t-부틸페록식 벤조에이트(tert-Butylperoxy benzoate, TBPB), 무수프탈산(Phthalic acid anhydride), 방향족 폴리아민, 비스-(4-t -부틸사이클로헥산)페록시디카보네이트, 폴리메캅탄(Polymercapta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축제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이 균열부에 충진되거나 주입되어 양생되는 경우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저수축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폴리에스터계 저수축제, 특정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저수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저수축제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의 시공시 물리/화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바인더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외부의 충격 또는 환경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10 내지 1,000cps인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49 내지 70중량%와, 점도가 2,000 내지 20,000cps인 고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에 SIS(stylene isoprene stylene), SBR(stylene butadiene rubber), SBS(stylene butadiene st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SIS, SBR 및/또는 SBS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 저하로 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점도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로 형성된 교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섬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 들면,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천연섬유, 유리섬유, 현무암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단량체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단량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Da인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증진제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이 시공되는 접촉면에 보다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부착증진제로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100 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포함된 각 구성성분이 서로 잘 분산되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 후 전체 물성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분산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증점제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조성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점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HydroxyEthyl Cellulose), 소수성 우레탄변성계 증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증점제의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흐름성을 방지하여 조성물의 각 성분이 상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나 또는 산화규소로 가공된 흄드 실리카(일명 :화이트 카본) 또는 흄드 알루미나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균일한 분산성과 내구성 및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규소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수화반응성이 과대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공극을 치밀하게 하고 누수를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트륨벤토나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트륨벤토나이트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 원래 부피의 여러 배로 팽창되며 겔과 같은 상태가 되어 조성물의 공극을 치밀하게 메우게 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켜 균열방지에 기여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리시딜 네오데카노에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발수성, 예를 들면 표면 슬립성을 높여 수분을 포함한 오염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교면방수제가 적용된 표면이 수분과 친하지 않도록 하여 최대한 밀어내어 수분이 자체 표면장력에 의해 구형상으로 뭉쳐 흘러내리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취성을 보완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틸렌-염화비닐-비닐라우레이트계로 이루어진 재유화형분말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염화비닐-비닐라우레이트계로 이루어진 재유화형분말 수지는 모체 침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분말 타입의 삼중합(terplymenr)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접착성을 증진하고, 물 흡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이드로 카본(hydrocarbon, 탄화수소)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을 균열 보수하고자 하는 대상면 내부로 침투시켜 밀착시킴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푸탈산 수지 니스(phthalic resin varnish)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폴리머 필름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자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폴리포스포릭엑시드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통기성 및 흡유성 향상을 위하여 천매암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천매암은 점토질의 퇴적층이 열수변질에 의한 가수분해 작용 및 변성, 풍화 부식 등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변성암의 일종으로 주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에 여러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고 비석(zeolite)과 거의 유사한 공극률을 갖으면서도 거포의 분율이 큰 특징을 갖고 있어 이를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되며, 바람직한 천매암 분말의 평균입도는 3 내지 30㎛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면의 공극으로 침투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의 들뜸방지와 내구성 및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크사이트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보크사이트 분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크랙발생 및 박리방지를 위하여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6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침투력, 및 발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겔라이트 미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겔라이트는 황토의 187배 이상의 효과를 가진 광물질로서 상기 효과 이외에 양질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도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응결을 방지하고 일정시간 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연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표면에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한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도 저하현상이 나타나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부틸글리시딜에테르(Butyl glycidyl ether)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조절 및 부착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표면의 경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6중량부의 붕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붕산 화합물로는 오르토붕산, 메타붕산, 사붕산, 붕산 메틸, 붕산 에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르토붕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알루민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루민산 칼슘이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포함되면 팽창성을 띄게 되어 조성물의 건조수축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작업성을 저하 시킬 수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플루오린화나트륨은 1차적으로 충진제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2차적으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메타규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낮아지고 불규칙한 기포가 형성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흡수성, 투과성 및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용해를 빠르게 촉진시켜 초기의 반응열을 높게 하여 경화를 빠르게 함으로써 초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칼륨인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를 초과하면 급결성능에 의해 수축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1중량부 미만이면 가수분해 속도가 저하되어 강도가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초기강도 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의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는 구조물 등과 친화력이 좋아 부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성질을 부여하여,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및/또는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의 푸르푸릴알코올(furfuryl alcoh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의 시중에 시판되는 시카코리아(주)의 "시카듀어(Sikadur) 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보수/보강하고자 하는 균열부, 특정적으로 균열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균열부, 특정적으로 균열의 길이가 약 0.3mm 이하의 작은 균열인 경우에는 상기 균열이 있는 균열부를 절개하여 분진을 제거한 뒤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균열부의 절개부에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충진하여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균열의 길이가 0.3mm 이상인 경우 균열부 내부에도 작은 균열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폭시 접착제 그라우팅으로 주입하여 작은 균열들을 접착 또는 충진한 뒤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충진하여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가지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균열부는 적어도 0.3mm 이하의 작은 균열이며, U자형 절개는 그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폭이 4 내지 6mm, 특정적으로 약 5mm이고, 최대 깊이가 5 내지 15mm, 특정적으로 약 10mm인 것이 좋다.
다른 한 가지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은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그라우팅하여 강제 주입하는 그라우팅 단계;
상기 그라우팅 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균열부는 적어도 0.3mm 이상의 큰 균열이며, U자형 절개는 그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폭이 5 내지 15mm, 특정적으로 약 10mm이고, 최대 깊이가 5 내지 15mm, 특정적으로 약 10mm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그라우팅 단계에 사용된 에폭시 접착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접착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축강도가 700 내지 900kg/cm2이고, 접착강도가 120 내지 230kg/cm2인 고강도 에폭시 접착제인 것을 추천한다.
또한, 청소단계에서의 분진제거는 에어, 고압 수세 등의 통상적인 분진제거를 위한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폭시 수지 100g, 블레인 분말도는 약 6,500㎠/g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8g, 탄산칼슘 30g, 평균입도가 1mm인 야자 숯가루 8g, 평균입경이 약 450nm인 실리콘카바이드 20g, 파라 톨루엔 설포닉산 12g,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저수축제 9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8g, 천연셀룰루스 섬유 3g, 옥틸트리에톡시실란 3g,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5g,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5g,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산제 5g, 및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 6g을 혼합하여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흄드 실리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산화규소 1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트륨벤토나이트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시딜 네오데카노에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메틸폴리실록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틸렌-염화비닐-비닐라우레이트계로 이루어진 재유화형분말 수지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로 카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푸탈산 수지 니스 10g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포스포릭엑시드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5㎛인 천매암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보크사이트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프탈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겔라이트 미분말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구연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디윰스테아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글리시딜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오르토붕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 칼슘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오린화나트륨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타규산나트륨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륨인산염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푸르푸릴알코올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제품명 "시카듀어(Sikadur) 30[씨카코리아(주)]"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8에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압축강도, 접착강도 및 인장신율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압축강도(kg/cm2) 접착강도(kg/cm2) 인장신율(%)
실시예 1 1118 232 9
실시예 2 1127 230 8
실시예 3 1123 236 7
실시예 4 1112 247 8
실시예 6 1201 239 9
실시예 7 1132 251 8
실시예 8 1153 237 6
실시예 9 1122 257 8
실시예 10 1121 251 7
실시예 11 1146 247 8
실시예 12 1132 215 7
실시예 13 1145 228 7
실시예 14 1171 283 9
실시예 15 1159 278 7
실시예 16 1112 237 7
실시예 17 1137 257 9
실시예 18 1192 248 8
실시예 19 1185 239 8
실시예 20 1198 258 6
실시예 21 1176 231 7
실시예 22 1136 235 7
실시예 23 1158 239 7
실시예 24 1143 248 8
실시예 25 1119 232 8
실시예 26 1133 248 7
실시예 27 1127 246 8
실시예 28 1253 310 6
실시예 29 1207 291 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은 압축강도, 접착강도 및 인장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이산화규소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나트륨벤토나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천매암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보크사이트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6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겔라이트 미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구연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붕산 화합물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6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칼륨인산염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푸르푸릴알코올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시공할 균열부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절개하여 균열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절개단계가 종료된 후 절개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청소단계가 종료된 절개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내지 30중량부, 탄산칼슘 5 내지 5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30중량부, 경화제 5 내지 20중량부, 저수축제 3 내지 15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 내지 15중량부, 섬유 1 내지 1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1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에, 이산화규소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나트륨벤토나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천매암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보크사이트 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6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겔라이트 미분말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구연산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붕산 화합물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6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칼륨인산염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푸르푸릴알코올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계가 종료된 후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
  5. 삭제
KR1020200076876A 2020-06-24 2020-06-2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KR10215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76A KR102151028B1 (ko) 2020-06-24 2020-06-2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76A KR102151028B1 (ko) 2020-06-24 2020-06-2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28B1 true KR102151028B1 (ko) 2020-09-03

Family

ID=7245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876A KR102151028B1 (ko) 2020-06-24 2020-06-2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균열보수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977B1 (ko) * 2021-05-12 2021-12-14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지반차수 및 보강용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24B1 (ko) * 2018-11-06 2019-05-07 (주)나래구조안전기술 Frp 보강재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100106B1 (ko) * 2019-10-11 2020-04-13 마무리테크 주식회사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24B1 (ko) * 2018-11-06 2019-05-07 (주)나래구조안전기술 Frp 보강재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100106B1 (ko) * 2019-10-11 2020-04-13 마무리테크 주식회사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977B1 (ko) * 2021-05-12 2021-12-14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지반차수 및 보강용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776893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1744067B1 (ko) 균열과 파임으로 열화된 고층 건축물 및 아파트 외벽의 보수공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0886515B1 (ko) 친환경성 고강도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수공법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796418B1 (ko) 속경성 초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900004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001112B1 (ko) 콘크리트 긴급보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3488B1 (ko) 염해방지 및 중성화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18294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302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734136B1 (ko)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33427B1 (ko) 염분침투저항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라텍스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1961622B1 (ko) 탄성봉함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봉함재의 시공방법
KR102027859B1 (ko) 소석회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고강도 채움재 조성물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6254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772394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도로 보수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방법
KR102100106B1 (ko)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시공방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