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278B1 -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278B1
KR101946278B1 KR1020160123356A KR20160123356A KR101946278B1 KR 101946278 B1 KR101946278 B1 KR 101946278B1 KR 1020160123356 A KR1020160123356 A KR 1020160123356A KR 20160123356 A KR20160123356 A KR 20160123356A KR 101946278 B1 KR101946278 B1 KR 10194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inseng
sulfur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860A (ko
Inventor
정홍균
Original Assignee
정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균 filed Critical 정홍균
Priority to KR10201601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2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4Sulph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유황 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한약재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과 산양삼액 혼합된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와;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약리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으로 유황오리 진액을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Process for making extract using sulfurate duck using Natural Sulfur by tertiary butylhydroquinone treatments}
본 발명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킨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약리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으로 유황오리 진액을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황오리가 시작된 역사는 20~30년 정도이며, 유황오리는 독성을 지닌 유황과 건강 증진 효과가 뛰어난 약재를 오리에게 먹여 사육한 오리를 말한다. 유황은 예부터 보양의 명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법제(자연에서 채취한 원생약을 약으로 처리하는 과정)된 유황은 최고의 보양제로 각종 궤양과 염증 및 냉증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유황 자체가 워낙 독성이 강해 제독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약으로 쓰일 수 없으며,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법제 방법은 전문가들도 쉽게 유황을 약으로 쓰지 못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다. 이처럼 명약이 강한 독을 가지고 있는 문제를 가장 안전하게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오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맹독성의 무기유황을 먹인 유황오리는 사육과정 중 폐사율이 60% 이상으로 높으며 독성이 높은 무기유황을 지속적으로 먹이면 오리 간에서도 해독능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1963년 제이콥 박사(Dr.Jacob)가 무독 무취의 유황을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먹을 수 있는 유황을 발견하였고, 천연식이성 유황이라고 하였다. 이는,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여 식물 자체에서 법제과정을 거쳐 유황을 생성한 것으로서 식물에서 직접 추출한 것이므로 무독의 영양소라고 할 수 있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라는 유황물질인 천연식이성 유황은 혈관을 팽창시키고, 피의 흐름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하며, 통증을 완화하고 항염증 효과가 있다. 무기 유황에 비하여 독성이 없으며, 식물에 의한 법제를 통해 안전한 유황으로서 섭취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식이 유황을 오리에게 먹이면 유황의 독성은 없어지고 유황의 약성만 남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오리의 몸속에 레시틴이라는 해독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 해독 물질은 몸속의 노폐물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해 혈액을 맑게 해주며 사람이 섭취했을 때 농약, 화공약, 각종 약독 공해로부터 인체를 해독시키고 염증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흡수된 천연식이성 유황은 화학반응을 통해 15% 정도는 디메틸설폰(MSM, DMSO2)로 변화되고 그보다 적은 양이 역으로 디메틸설파이드(DMS)로 변화되는데 이때의 화학반응을 통해 산화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독성이 없으며 인체 유효한 효능을 갖는 천연식이성 유황의 화학반응에 의한 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식품에 있어서 합성산화방지제로서 백색 또는 마호가니 크리스탈 분말로 식품 안정성을 강화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산화를 억제하며 세균에 대한 항균성 기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식이성 유황의 화학반응에 의한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였으며, 유황오리 진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황오리는 진액 추출방식을 사용하고 산양삼과 한약재는 무압력 추출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영양소 소실을 최소화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안정성이 확보된 건강식품으로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역식이성 유황의 산화안전성을 확보하였으며, 산양삼과 한약재를 영양소 소실을 최소화하여 추출하고 혼합하는 진액 제조방법을 통해 산화안전성을 확보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약리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으로 유황오리 진액을 개발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15-1535436호, 천연 유황 성분이 포함된 양계용 사료를 이용한 양계 방법, 등록일자 2015년 07월 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황 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한약재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과 산양삼액 혼합된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와;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0.0001 ~ 0.001%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천연식이성 유황은 인삼, 상황버섯, 마늘, 대파, 무, 케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0.0001 ~ 0.001%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황 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한약재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과 산양삼액 혼합된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와;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4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오리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양삼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한약재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5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마늘 6 내지 8 중량부, 유근피 3 내지 5 중량부, 맥아 3 내지 5 중량부, 구기자 3 내지 5 중량부, 생강 2 내지 4 중량부, 대파 1 내지 2 중량부, 대추 3 내지 5 중량부, 흑대두 2 내지 4 중량부, 감초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0.0001 ~ 0.001%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천연식이성 유황은 인삼, 상황버섯, 마늘, 대파, 무, 케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과 유황 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한약재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과 산양삼액 혼합된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와;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산화안전성을 확보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약리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으로 유황오리 진액을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 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천연식이성 유황은 인삼, 상황버섯, 마늘, 대파, 무, 케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식이성 유황인 메탄설포닐메탄 (Methyl Sulfonyl Methane, MSM)은 34%가 유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종 수목류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천연식이유황을 말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마늘에서 추출한 유황아미노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마늘에서 추출한 메탄설포닐메탄인 특유의 이취를 포함하는 천연 황화합물로서, 인체에 유익한 항산화, 항염, 항노화 및 항스트레스 등의 약리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식이성 유황의 추출은 마늘을 미세 분말화하고 물과 에탄올을 첨가하여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추출하였으며, 실시예1에 자세히 명시하였다.
특히, 메탄설포닐메탄은 무독의 유황 원소의 공급제로서 유기물과 펜타디온산을 형성하여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하며, 무기 유황과 비교 시 무독성이기 때문에 천연식이성 유황을 먹인 오리의 폐사율이 현저히 낮다.
본 발명의 상기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0.0001 ~ 0.001%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식품 등급의 항산화 식품첨가제로 FDA에 승인을 받은 화합물이나 유황오리 가공식품에 대한보고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의 총 농도는 지방과 기름 함량을 기반으로 200ppm(0.02%)이 초과되지 않게 허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식이성 유황의 화학반응에 의해 산화되는 산화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였으며 천연식이성 유황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황 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한약재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과 산양삼액 혼합된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와;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4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오리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는 진액 추출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양삼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와; 상기의 한약재 추출 단계는 정제수 5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6 중량부, 유근피 3 중량부, 맥아 3 중량부, 구기자 3 중량부, 생강 2 중량부, 대파 1 중량부, 대추 3 중량부, 흑대두 2 중량부, 감초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양삼(Mountain Cultivated Ginseng)은 오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인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이 야생상태로 재배된 것으로 경작지에서 재배된 재배인삼(Cultivated ginseng)과 구별하고 있고, 다른 명칭으로 장뇌삼, 산양산삼으로도 불리어 진다. 또한, 산양삼은 약리 및 생리활성 면에서 재배인삼보다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의 뿌리가 굵고 짧은데 비해 산양삼은 가늘고 길며, 향기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인삼류는 간 보호 및 해독, 항피로, 항스트레스, 면역증진, 중추신경 흥분작용, 항암, 항산화, 동맥경화 예방, 물질대사 및 내분계, 신경계, 순환기계 등에 약리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산양삼의 대표 성분에는 사포닌, 황질소 화합물, 지용성 성분, 비타민, 탄수화물, 회분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사포닌은 항염증 작용, 면역기능 증강, 중추억제 및 정신안정, 당 및 지방대사 촉진 등의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산양삼액 추출 단계는 스테인레스의 추출용기(회전솥)에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양삼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양삼 2.5 중량부의 배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산양삼의 배합비를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가지 중량부(0.1 중량부, 1.5 중량부, 2.5 중량부, 3.5 중량부 및 5 중량부)로 배합비를 구성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표 1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 배합비가 산양삼의 특유의 쓴맛을 중화 시켜 섭취하기 용이하며, 유황오리 진액의 건강 기능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2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결과와 같이, 산양삼 5 중량부를 함유된 추출액은 향(4.4)과 쓴맛의 강도(4.8)가 강하여 역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양삼 3.5 중량부가 함유된 추출액은 향(4.3)과 쓴맛의 강도(4.3)가 산양삼 5 중량부가 함유된 추출액과 비슷한 수치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산양삼 0.1 중량부와 산양삼 1.5 중량부가 함유된 추출액은 향과 쓴맛의 강도에서 3점(보통이다)보다 낮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산양삼 2.5 중량부가 함유된 추출액의 경우 향은 4.2의 평가를 받았고, 쓴맛의 강도에서 3.6으로 산양삼 3.5 중량부와 산양삼 5 중량부에 비하여 쓴맛이 약하므로,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늘(Allium sativum L.)은 백합과(Liliaceae) 알리움속(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식물이며, 5천년 이상 재배되어 온 인류 최초의 경작식물 중의 하나로서 예로부터 식재료는 물론 약재로 널리 복용되어 왔다. 마늘의 독특한 맛과 향은 마늘의 유기황 화합물 중의 하나인 알리신(Allicin)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상기 알리신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은 화합물로서, 마늘내에서는 알리인(Alliin)으로 존재하여 있다가 마늘이 상처를 입거나 분쇄를 하였을 때 알리나제(Allinase) 효소에 의해서 냄새와 매운 맛이 강한 알리신(Allicin)으로 변화된다. 또한, 마늘은 오리의 특유의 잡내를 없애기 위해서도 사용되었으며, 인경(마늘통)에 의한 강한 향이 이취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식욕 증진 효과도 있다. 또한, 유근피는 느릅나무뿌리 껍질을 의미하며, 염증을 없애고 고름을 빨아내는 작용이 있으며 궤양염, 십이지장 궤양, 대장궤양 등 갖가지궤양과 위암, 자궁암, 직장암 등을 치료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다. 맥아는 소화를 돕고 위장을 보호하며, 만성위염과 장염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식욕부진을 없애 주고 비장과 위장의 기를 균형 있게 조절하여 기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레시틴 성분이 함유되어 간을 보호하고 담즙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는 구기자나무의 성숙한 과실로서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 1, B 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에는 카로틴 3.39㎎%, 비타민 B 1 0.23㎎%, 비타민 B 2 0.33㎎%, 비타민 C 3㎎% 및 1.7㎎%의 니코틴인 함유되어 있으며, ββ-시토스테롤 및 리놀렌산도 추출되었다. 구기자는 영양실조증, 노쇠, 병후 허약, 소모성 질환에 의한 쇠약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비기와 폐기를 보호하고 기침을 멈추며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새살이 잘 돋아나게 한다. 또한, 해독작용, 강심작용, 간보호작용, 항염증작용, 항궤양작용, 진정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배설촉진작용, 데족시코르티코스테론 유사작용, 위산도 낮춤작용 등이 있다. 또한, 비기허증, 폐기허증, 심기허증, 결대맥, 변비, 습진, 옹종, 창양 등과 위궤양, 만성위염, 위경련, 기관지염, 간염, 인후두염, 애디슨병 등 여러가지 중독에 쓰인다. 감초의 주요 성분으로는 감미질인 글리시리진,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리키리틴, 서당, 포도당, 만니톨, 아스파라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강은 열대아시아 원산의 생강과의 다년생 야채 생강의 뿌리로 온난지를 중심으로 널리 재배된다. 시트랄 (citral), 진기베렌(zingiberene)이나 테르펜(terpene)속의 휘발성유 등의 방향성분 및 진게론(zingherone), 쇼가올(shogaols) 등의 매운 맛 성분을 다량 함유한다. 생강은 류마티스병을 제거하고 구토를 멈추고 담을 제거 하고 위의 기를 열어 소화흡수를 왕성하게 한다. 매콤하고 알싸한 맛의 생강은 오리의 이취와 누린내를 없애는 데 효과적이다. 대파는 향신채소로,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및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파는 몸을 따뜻하게 해, 열을 내리고 기침이나 담을 없애 준다고 해서 감기의 특효 채소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파를 달인 물은 류머티즘, 동상에 좋으며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대파는 오리의 이취를 없애고 맛을 조화롭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대추는 한약재로서 많이 사용되며, 신경을 이완시켜 주는 작용을 하며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리 진액의 맛을 조화롭게 하고 다른 재료의 약리 성분들과 함께 약리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대추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진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4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오리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액 추출 단계에서 압력 추출방식의 사용은 스테인레스의 추출용기에서 유황오리의 약성을 최대한 포함하도록 충분히 추출되며 동시에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0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양삼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상기 유황오리 진액과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상기 산양삼액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진액 속의 유황오리 약리 성분과 산양삼액 속의 산양삼의 사포닌 성분 및 약리 성분이 잘 혼합 될 수 있도록 3시간 이상 저어 주며 혼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약재액 추출 단계는 정제수 5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6 내지 8 중량부, 유근피 3 내지 5 중량부, 맥아 3 내지 5 중량부, 구기자 3 내지 5 중량부, 생강 2 내지 4 중량부, 대파 1 내지 2 중량부, 대추 3 내지 5 중량부, 흑대두 2 내지 4 중량부, 감초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 및 상기 한약재 추출 단계는 추출된 원액을 여과 거름망을 이용하여 각각 2 내지 3차례 여과하여 오리기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액 추출 단계에서 유황오리가 혼합된 진액에 포함된 건더기를 분쇄하기 위해 분쇄기에서 분쇄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된 건더기와 진액을 여과 거름망을 이용하여 각각 2 내지 3차례 여과한 후 오리기름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기름을 제거하지 않는 경우 진액으로서 음용하기에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와 상기 한약재액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산양삼액과 한약재액을 여과 거름망을 이용하여 각각 2 내지 3차례 여과시켜 건더기와 산양삼액 및 한약재액을 각각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증기 순환이 가능한 무압력추출방식이란, 스테인레스 의 추출용기(회전솥)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원재료와 물을 공급한 후, 열을 가하여 원재료를 추출하되, 가열 중에 발생 되는 수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수집한 후 이를 추출용기로 반복 순환시켜 원재료를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추출방식이다. 증기 순환이 가능한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원재료를 추출하게 되면,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던 원재료의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유해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진액을 제조할 수 있고, 원재료의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수집된 응축수와 추출된 원재료의 진액을 서로 혼합시키면서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 효율 및 진액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어 영양성이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약재에 포함된 많은 유기 화합물들은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열을 가하게 되면 약리 성분의 활성을 잃을 수 있으며 다른 화합물로 변성될 우려가 있고, 압력 추출 시 증발해야 하는 자극성 성분들이 휘발 되지 않아서 맛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산양삼이 함유된 유황오리 진액을 제조 시 추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하여 다시 액화시키는 것을 통한 증기의 순환이 가능한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산양삼액과 한약재액을 추출함으로써, 가열하여 추출하는 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산양삼과 한약재 함유된 유효성분이 최대한 많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제조하여 맛과 영양성이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던 원재료의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추출하기 때문에 이취가 제거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증진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액 추출 과정에서는 압력 추출 방식을 이용하여 유황오리의 진액이 충분히 추출되어 유황오리의 약리 활성을 최대한 포함하면서 균일한 추출물을 얻으며 동시에 추출 효율을 높였고, 상기 산양삼액과 상기 한약재액 추출 과정에서는 무압력추출방식을 이용하여 산양삼액과 한약재액을 추출함으로써 가열하여 추출하는 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약리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산양삼과 한약재 함유된 약리 성분이 최대한 많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제조하여 맛과 영양성이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던 원재료의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추출하기 때문에 이취가 제거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증진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은 0.0001 ~ 0.001%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식이성 유황의 화학반응에 의해 산화되는 산화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였으며 천연식이성 유황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산화제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킨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약리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으로 유황오리 진액을 개발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마늘에서 천연식이성유황을 추출하는 방법
원료가 되는 마늘을 선별하여 90~100℃의 증기온도에서 1분 동안 습열살균후 함수율이 15%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마늘을 1차 조분쇄 및 2차 미쇄분쇄를 수행하여 분말화하였고, 분말화된 마늘분말에 물 또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미세화된 마늘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마늘액에서 원심분리기로 천연식이성 유황을 추출하였다.
< 실시예 2> 산양삼 추출액의 5가지 중량부 ( 0.1중량부 , 1.5중량부 , 2.5중량부 , 3.5중량부 , 5중량부 )에 따른 관능평가
30~50대의 남녀 및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수치는 1점(아주 나쁘다 또는 아주 약하다), 2점(나쁘다 또는 약하다), 3점(보통이다), 4점(좋다 또는 강하다), 5점(아주 좋다 또는 아주 강하다)으로, 최하점수 1점부터 최상점수 5점을 나타낸다. 산양삼 추출액의 배합비에 따라 기호도, 향, 쓴맛의 강도 및 색상에 대한 관능검사를 5점 평점법으로 측정하고, 그 평균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냈다.
표 1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한 산양삼의 배합비이다.
Sample SG-1 SG-2 SG-3 SG-4 SG-5
정제수 100 100 100 100 100
산양삼 0.1 1.5 2.5 3.5 5
표 2는 산양삼의 5가지 중량부(0.1중량부, 1.5중량부, 2.5중량부, 3.5중량부, 5중량부)에 대한 산양삼 추출액의 관능평가이다.
Sample 기호도 쓴맛의 강도 색상
SG-1 2.2 1.9 1.8 2.8
SG-2 3.1 2.6 2.9 3.2
SG-3 4.3 4.2 3.6 3.8
SG-4 4.4 4.3 4.3 4.2
SG-5 4.2 4.4 4.8 4.3

Claims (8)

  1. 마늘에서 천연 식이성 유황인 메탄설포닐메탄을 추출하는 단계;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상기 천연 식이성 유황에 0.0001 ~ 0.001%로 처리하여 상기 천연 식이성 유황의 산화를 방지하는 단계;
    오리에게 상기 천연 식이성 유황을 사료를 먹여 유황오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황오리의 기름샘 제거 및 세척하는 세척단계;
    정제수 4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오리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상기 유황오리의 진액 추출 단계;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양삼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산양삼액 추출 단계;
    상기 진액 추출 단계와 상기 산양삼액 추출 단계의 원액을 혼합하는 산양삼액 혼합단계;
    정제수 5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6 내지 8 중량부, 유근피 3 내지 5 중량부, 맥아 3 내지 5 중량부, 구기자 3 내지 5 중량부, 생강 2 내지 4 중량부, 대파 1 내지 2 중량부, 대추 3 내지 5 중량부, 흑대두 2 내지 4 중량부, 감초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압력추출방식으로 추출한 한약재액 추출 단계;
    상기 산양삼액 혼합 단계와 상기 한약재액 추출단계의 원액을 중량비 1:1 비율로 하여 가열하는 혼합액 추출 단계;및
    상기 혼합액 추출 단계를 거친 진액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한 천연 식이성 유황을 먹인 유황오리의 진액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3356A 2016-09-26 2016-09-26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KR10194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356A KR101946278B1 (ko) 2016-09-26 2016-09-26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356A KR101946278B1 (ko) 2016-09-26 2016-09-26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60A KR20180033860A (ko) 2018-04-04
KR101946278B1 true KR101946278B1 (ko) 2019-02-11

Family

ID=6197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356A KR101946278B1 (ko) 2016-09-26 2016-09-26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90B1 (ko) * 2019-09-27 2021-11-08 인산죽염 주식회사 항산화능 및/또는 혈액순환 개선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714A (ja) * 1987-12-15 1989-06-21 Mitsubishi Shindo Kk コンデンサ用蒸着フイルム
US20080254168A1 (en) * 2007-04-10 2008-10-16 Solae, Llc Dried Food Compositions
KR101397509B1 (ko) * 2012-06-14 2014-05-20 김원혁 동충하초와 유황오리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방법
KR20150014150A (ko) *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 삼채 알리움 후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이의 용도
KR102156880B1 (ko) * 2013-12-03 2020-09-16 인산죽염주식회사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식품첨가물에 대하여..퍼옴^^. 익산솜리생협 홈페이지. [online], 2009.05.21., [2018.06.25. 검색], 인터넷: <http://www.icoop.or.kr/sub_home/somri/board2/view.php?code=board43&number=507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60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78461B1 (ko) 식품 첨가물
US20110117263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1802615A (zh) 一种健康的麻辣味型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100842858B1 (ko) 기능성 숙성 양파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숙성 양파 음료
KR2021006896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315204B1 (ko) 건강기능성 양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766B1 (ko) 비염 개선, 가래 제거 및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6278B1 (ko)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EP2324718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78412B1 (ko) 양파껍질과 자연재료를 이용한 전통건강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85998A (zh) 银杏叶口服液的制备方法
KR101353922B1 (ko) 기능성 양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CN103518879B (zh) 一种蜂蜜番茄萝卜茶及其制作方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851312A (zh) 一种海芙蓉饮品及其加工工艺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1909581B1 (ko) 꽃벵이를 이용한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423746B1 (ko)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10904B1 (ko) 중금속의 체내 흡수억제 및 체외 배출에 효과가 있는 침향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