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881B1 - 다목적 cctv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cctv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881B1
KR101945881B1 KR1020180110396A KR20180110396A KR101945881B1 KR 101945881 B1 KR101945881 B1 KR 101945881B1 KR 1020180110396 A KR1020180110396 A KR 1020180110396A KR 20180110396 A KR20180110396 A KR 20180110396A KR 101945881 B1 KR101945881 B1 KR 10194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operator
camera
war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토브 filed Critical (주)아이토브
Priority to KR102018011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CCTV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을 운영하는 운영자(H1)와 현장을 출입하는 출입자(H2)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벤트상황 발생시 출입자(H2)에게 그 이벤트상황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CCTV 카메라(100); 및 CCTV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DVR(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CCTV 장치{CCTV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다수의 출입자를 상대하는 현장에 설치되는 CCTV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영자를 위협하는 이벤트 상황 발생시 그 이벤트 상황을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목적 CCTV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는 방범을 위한 건물, 도로, 골목등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출입자들이 이용하는 편의점이나 까페등(이하 현장이라 함)에도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CCTV 는 주위를 방범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예측하지 못하는 이벤트 상황의 원인에 대한 증거 수집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10/0128123A1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편의점이나 많은 까페등이 24 시간 내내 운영되고 있는데, 매우 늦은 야간에는 현실적으로 소수의 사람만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운영자와 출입자만이 대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출입자가 불법적인 목적으로 흉기를 들고 금품 요구할 때, 운영자는 자기 방어를 적절히 할 수 없어 금품을 탈취당하고, 어떤 경우에는 신체적인 피해를 당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CCTV 는 단순히 방범 목적뿐만 아니라, 불법적인 이벤트 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이벤트 상황을 퇴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벤트 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이벤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목적 CCTV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CCTV 장치는, 현장을 운영하는 운영자(H1)와 현장을 출입하는 출입자(H2)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벤트상황 발생시 상기 출입자(H2)에게 그 이벤트상황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CCTV 카메라(100); 및 상기 CCTV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DVR(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100)는, 상기 현장의 천정이나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120)과; 상기 턴테이블(12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영자(H1)의 후방측에서 운영자(H1)와 출입자(H2) 모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131) 및 상기 카메라모듈(131)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2)가 탑재된 카메라본체(130)와; 상기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을 기반으로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때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상황 판단부(140)와; 상기 카메라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출입자(H2)로 이벤트 퇴치를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분사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상황 판단부(140)는, 상기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되는 출입자(H2)의 얼굴에서 그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얼굴가림영상이 식별되었을 때 제1경고신호(S1)를 발생하는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와; 촬영된 영상중에서 상부측으로 올라간 운영자(H1)의 양팔 영상이 기준시간(T0) 이상 식별되었을 때 제2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제2경고신호 발생부(142)와;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에서 이벤트 암시단어가 수신되었을 때, 제3경고신호(S3)를 발생하는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와; 제1,2,3경고신호(S1)(S2)(S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발생부(1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카메라본체(130)의 상부측의 착탈홈(133)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단턱홀(151a)이 형성된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15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가압단(152a)을 가지는 솔레노이드(152)와; 상기 브라켓(151)에 끼어져 상기 가압단(152a)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홀(151a)에 걸치어지는 분무노즐(153a)을 가지는 퇴치액 용기(1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출입자(H2) 측으로 경고를 하는 본체경고부(1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경고부(160)는, 상기 카메라본체(130)의 전방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LED(161) 및 상기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100)는 상기 이벤트신호(S)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CCTV 카메라(100)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CCTV 카메라(100)에서 무선전송되는 이벤트신호에 연동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발생하는 분리경고부(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100)에서 퇴치액의 분사는 물론 상기 분리경고부(300)가 작동되도록 상기 운영자(H1)가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조작스위치(4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출입자에 의한 불법적인 이벤트 상황이 발생될 때, CCTV 카메라 이벤트 상황임을 인식하여 출입자에게 퇴치액을 자동으로 분사함으로써, 그 이벤트 상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상황시 현장의 다른 장소에 설치된 분리경고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불법적인 이벤트 상황을 연출하는 출입자를 당혹스럽게 하여 이벤트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H1)는 인위적으로 CCTV 카메라 및 분리경고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이벤트 상황이 발생될 조짐이 있을 때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CCTV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CCTV 카메라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CCTV 카메라에 설치되는 분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분사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이벤트상황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분사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분리경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분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CCTV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CCTV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2는 도 1의 CCTV 카메라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CCTV 카메라에 설치되는 분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분사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이벤트상황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분사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CCTV 장치는, 현장을 운영하는 운영자(H1)의 후방측에서 현장을 출입하는 출입자(H2)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벤트상황 발생시 상기 출입자(H2)에게 그 이벤트상황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CCTV 카메라(100)와; CCTV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DVR(200)와; CCTV 카메라(100)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CCTV 카메라(100)에서 무선 전송되는 이벤트신호에 연동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발생하는 분리경고부(300)와; CCTV 카메라(100)에서 퇴치액의 분사는 물론 분리경고부(300)가 작동되도록 상기 운영자(H1)가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조작스위치(400);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100)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의 천정이나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120)과; 턴테이블(12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영자(H1)의 후방측에서 운영자(H1)와 출입자(H2) 모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131) 및 상기 카메라모듈(131)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2)가 탑재된 카메라본체(130)와;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을 기반으로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때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상황 판단부(140)와; 카메라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출입자(H2)로 이벤트 퇴치를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분사부(150)와;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출입자(H2) 측으로 경고를 하는 본체경고부(160)와; 이벤트신호(S)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현장이라 함은, 편의점, 까페, 식당, 축사등 다수의 사람이 도어를 통하여 출입하는 건물을 의미한다.
베이스(110)는 현장 운영자(H1)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턴테이블(120)을 좌우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된다.
카메라본체(130)는 턴테이블(1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날개(130a)에 축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카메라본체(130)에는 운영자(H1) 후방측에서 소비를 위하여 현장을 출입하는 현장 출입자(H2)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31)과, 상기 카메라모듈(131)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2)와, 분사부(1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홈(133)과, 분사부(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착탈홈(1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4)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31)은 운영자(H1)의 후방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운영자(H1)의 뒤통수 부분과 현장을 출입하는 출입자(H2) 동영상의 얼굴 부분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된 영상신호 및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DVR(200)에 저장된다.
한편, 카메라본체(130)가 운영자(H1)와 출입자(H2) 사이의 천정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카메라모듈(131)은 운영자(H1)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모듈(미도시)과 출입자(H2)를 찰영하는 제2카메라모듈(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영자(H1)는 분사부(150)에서 분사되는 퇴치액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벤트상황 판단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되는 출입자(H2)의 얼굴에서 그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모자, 마스크, 선글라스와 같은 얼굴가림영상이 식별되었을 때 제1경고신호(S1)를 발생하는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와; 촬영된 영상중에서 상부측으로 올라간 운영자(H1)의 양팔 영상이 기준시간(T0) 이상 식별되었을 때 제2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제2경고신호 발생부(142)와;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에서 이벤트 암시단어가 수신되었을 때, 제3경고신호(S3)를 발생하는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와; 제1,2,3경고신호(S1)(S2)(S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발생부(144);를 포함한다.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는,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되는 출입자(H2)의 동영상에서, 출입자(H2)의 얼굴을 구성하는 눈, 코, 입, 머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리는 대상물인 모자 영상, 마스크 영상, 선글라스 영상을 식별하고, 이러한 영상이 식별되었을 때 제1경고신호(S)를 발생한다.
강도나 협박등의 불법적인 이벤트상황을 준비하는 출입자(H2)는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하여 모자나 선글라스, 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모자, 선글라스, 마스크를 착용한 출입자가 촬영될 경우.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는 제1경고신호(S1)를 발생한다.
제2경고신호 발생부(142)는,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되는 운영자(H1)의 영상에서, 운영자(H1)의 양팔 영상이 식별되고, 식별되는 시간이 기준시간, 예를 들면 3초의 기준시간 이상 식별되었을 때 제2경고신호(S2)를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출입자(H2)가 금품 요구를 위하여 협박할 경우, 운영자는 양 팔을 올려 대응하지 않겠다라는 의사표현을 한다. 따라서 운영자(H1)의 양팔 영상이 식별될 경우, 운영자(H1)가 위협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출입자(H2)가 협박을 하면서 자신의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동안에 운영자(H1)는 소정의 기준시간(T0)동안 양팔을 들고 있다. 따라서 양팔이 소정의 기준시간(T0) 이상 식별되었을 때 위협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는,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에서 이벤트상황임을 암시하는 단어가 수신되었을 때 제3경고신호(S3)를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강도나 협박등의 불법적인 이벤트상황을 실행하는 출입자(H2)는 운영자(H2)의 반항하는 행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흉기들 내밀면서 '꼼짝마', '돈내놔', '움직이면 죽인다'등의 표현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출입자의 협박에 의하여 운영자는 '살려주세요', '돈 다가지고 가세요'등의 의사표현을 한다. 따라서 수신된 음성에서 상기 음성 내용이 포함될 경우,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는 제3경고신호(S3)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벤트신호 발생부(144)는 제1,2,3경고신호(S1)(S2)(S3)중 적어도 2 개 이상 발생되었을 때 상기 이벤트신호(S)를 발생한다.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 및 제2경고신호 발생부(142)에 있어서, 영상에서 특정 얼굴을 식별하거나 양팔등의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기술, 또는 특정 행동분석 알고리즘과 같은 영상분석 기술이나,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에 있어서, 특정 단어를 식별하는 기술은 현재 AI(인공지능)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사부(150)는,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출입자(H2)로 이벤트 퇴치를 위한 퇴치액을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부(1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130)의 상부측의 착탈홈(133)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단턱홀(151a)이 형성된 브라켓(151)과; 브라켓(15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가압단(152a)을 가지는 솔레노이드(152)와; 브라켓(151)에 끼어져 가압단(152a)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서, 단턱홀(151a)에 걸치어지는 분무노즐(153a)을 가지는 퇴치액 용기(153);를 포함한다.
브라켓(151) 내측 후방에는 솔레노이드(152)가 일체로 고정되고, 브라켓(151) 내측에서 가압단(152a)이 솔레노이드(152)로 출몰되면서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러한 브라켓(151)의 후방측에는 착탈홈(133)에 설치되는 제1전원단자(133b)와 접속되어 솔레노이드(15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단자(151b)가 설치되어 있다.
퇴치액 용기(153)에는 이벤트 퇴치를 위한 퇴치액, 예를 들면 최루성분이 포함되거나 형광물질이 함유된 퇴치액이 가스와 합께 내장되고, 전방측의 분무노즐(153a)에 눌리어질 때 퇴치액이 순간 분사된다. 이러한 퇴치액 용기(153)는 브라켓(15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결합될 때 단턱홀(151a)과 솔레노이드 가압단(152a)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현장 상황에 따라 특정 퇴치액 용기로 교체하거나, 사용후 다른 퇴치액 용기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이벤트신호(S)가 발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2단자(133b)(151b)로 전원을 공급하여 가압단(152a)이 퇴치액 용기(153)를 단턱홀(151a) 측으로 가압하여 밀고, 이때 분무노즐(153a)이 단턱홀(151a)에 걸어져 위치 고정되므로 결국 상대이동되는 분무노즐(153a)을 통하여 퇴치액이 토출된다. 이때 카메라모듈(131)이 출입자(H2)를 향하고 있으며, 퇴치액은 출입자(H2)를 향해 토출된다.
본체경고부(160)는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발생될 때 출입자(H2)에게 경고로서 강한 경고광 및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카메라본체(130)의 전방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LED(161)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경고부(160)는 출입자(H2)의 정면에서 빨간색 및 파란색의 강한 광을 교번으로 발생되고, 강한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출입자를 더욱 당혹스럽게 한다.
무선전송부(미도시)는 이벤트상황 판단부(14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신호(S)를 분리경고부(300)로 전송한다.
분리경고부(300)는 현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CCTV 카메라(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발생한다. 이러한 분리경고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신호(S)를 수신하는 수신부(310)와, 이벤트신호(S)가 수신되었을 때 경고광을 발생하는 LED(320) 및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330)와, 조작스위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상황종료신호(T)에 의하여 상기 LED(320) 및 스피커(3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작동종료부(340)를 포함한다.
조작스위치(400)는 CCTV 카메라(100) 및 분리경고부(300)를 인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운영자(H1)의 손이 잘 닿는 위치면서 출입자(H2)가 잘 볼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된다. 조작스위치(400)는 CCTV 카메라(100)나 분리경고부(300)에서 원치않는 오동작이 발생되었을 때 강제적으로 오동작을 정지시키기도 한다.
또한 운영자(H1)는 조작스위치(400)를 작동시켜, 이벤트 상황이 발생될 조짐이 있을 때 CCTV 카메라(100) 및 분리경고부(300)를 인위적으로 작동시켜 적극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분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130)에 형성된 착탈홈(133)에 분사부(150)의 브라켓(151)이 끼어져 결합되고, 브라켓(151)에 퇴치액 용기(153)가 끼어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벤트 상황 발생시, 이벤트신호 판단부(140)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솔레노이드(152)로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52)는 가압단(152a)이 전진하면서 퇴치액용기(153)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전방측의 분무노즐(153a)이 눌러지면서 퇴치액(C)이 출입자(H2)에게 순간적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퇴치액(C)에 최루성분이 포함될 경우 출입자(H2)의 행동을 순간 제압할 수 있고, 형광물질이 포함될 경우 출입자(H2)가 도주하더라도 신체에 형광성분이 남아 있어 추적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퇴치액용기(153)가 사용된 후, 덮개(134)를 열고 새로운 퇴치액용기(153)로 교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출입자에 의한 불법적인 이벤트 상황이 발생될 때, CCTV 카메라(100)가 이벤트 상황임을 인식하여 출입자에게 퇴치액을 자동으로 분사함으로써, 그 이벤트 상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상황시 현장의 다른 장소에 설치된 분리경고부(30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불법적인 이벤트 상황을 연출하는 출입자를 당혹스럽게 하여 이벤트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H1)는 인위적으로 CCTV 카메라(100) 및 분리경고부(300)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이벤트 상황이 발생될 조짐이 있을 때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CCTV 카메라 110 ... 베이스
120 ... 턴테이블 130 ... 카메라본체
130a ... 날개 131 ... 카메라모듈
132 ... 마이크 133 ... 착탈홈
134 ... 덮개 140 ... 이벤트상황 판단부
141 ... 제1경고신호 발생부 142 ... 제2경고신호 발생부
143 ... 제3경고신호 발생부 144 ... 이벤트신호 발생부
150 ... 분사부 151 ... 브라켓
151a ... 단턱홀 152 ... 솔레노이드
152a ... 가압단 153 ... 퇴치액 용기
153a ... 분무노즐 160 ... 본체경고부
170 ... 무선전송부 200 ... DVR
300 ... 분리경고부 310 ... 수신부
320 ... LED 330 ... 스피커
340 ... 작동종료부 400 ... 조작스위치

Claims (8)

  1. 현장을 운영하는 운영자(H1)와 현장을 출입하는 출입자(H2)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벤트상황 발생시 상기 출입자(H2)에게 그 이벤트상황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CCTV 카메라(100); 및
    상기 CCTV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DVR(200);을 포함하고,
    상기 CCTV 카메라(100)는, 상기 현장의 천정이나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120); 상기 턴테이블(12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영자(H1)의 후방측에서 운영자(H1)와 출입자(H2) 모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131) 및 상기 카메라모듈(131)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2)가 탑재된 카메라본체(130); 상기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을 기반으로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때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상황 판단부(140); 상기 카메라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출입자(H2)로 이벤트 퇴치를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분사부(150);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출입자(H2) 측으로 경고를 하는 본체경고부(160); 상기 이벤트신호(S)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카메라본체(130)의 상부측의 착탈홈(133)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단턱홀(151a)이 형성된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15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가압단(152a)을 가지는 솔레노이드(152)와; 상기 브라켓(151)에 끼어져 상기 가압단(152a)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홀(151a)에 걸치어지는 분무노즐(153a)을 가지는 퇴치액 용기(153)를 포함하고,
    상기 CCTV 카메라(100)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CCTV 카메라(100)에서 무선전송되는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발생하는 분리경고부(300); 및
    이벤트 상황이 발생할 조짐이 있을 때 상기 CCTV 카메라(100) 및 상기 분리경고부(300)를 인위적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CCTV 카메라(100) 및 상기 분리경고부(300)의 오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상기 운영자(H1)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본체(130)는 상기 운영자(H1)와 상기 출입자(H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131)은 상기 운영자(H1)가 상기 퇴치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운영자(H1)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출입자(H2)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퇴치액은 최루성분 및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CCTV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상황 판단부(140)는,
    상기 카메라모듈(131)에서 촬영되는 출입자(H2)의 얼굴에서 그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얼굴가림영상이 식별되었을 때 제1경고신호(S1)를 발생하는 제1경고신호 발생부(141)와;
    촬영된 영상중에서 상부측으로 올라간 운영자(H1)의 양팔 영상이 기준시간(T0) 이상 식별되었을 때 제2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제2경고신호 발생부(142)와;
    마이크(132)에서 수신된 음성에서 이벤트 암시단어가 수신되었을 때, 제3경고신호(S3)를 발생하는 제3경고신호 발생부(143)와;
    제1,2,3경고신호(S1)(S2)(S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발생부(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CCTV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경고부(160)는,
    상기 카메라본체(130)의 전방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LED(161) 및 상기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CCTV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110396A 2018-09-14 2018-09-14 다목적 cctv 장치 KR10194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96A KR101945881B1 (ko) 2018-09-14 2018-09-14 다목적 cctv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96A KR101945881B1 (ko) 2018-09-14 2018-09-14 다목적 cctv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881B1 true KR101945881B1 (ko) 2019-05-21

Family

ID=6667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396A KR101945881B1 (ko) 2018-09-14 2018-09-14 다목적 cctv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318A (zh) * 2021-04-28 2022-10-28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459A (ja) * 2001-03-21 2002-12-06 Astem:Kk 能動的監視カメラ
US20100128123A1 (en) * 2008-11-21 2010-05-27 Bosch Security Systems, Inc. Security system including less than lethal deterrent
JP2011257874A (ja) * 2010-06-07 2011-12-22 Isshin Shoji Corp 防犯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建造物付随設備または金品取り扱い設備
JP2013109440A (ja) * 2011-11-18 2013-06-06 Tsukamoto Musen:Kk 防犯カメラ装置
JP2015079298A (ja) * 2013-10-15 2015-04-23 株式会社ネットワークス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459A (ja) * 2001-03-21 2002-12-06 Astem:Kk 能動的監視カメラ
US20100128123A1 (en) * 2008-11-21 2010-05-27 Bosch Security Systems, Inc. Security system including less than lethal deterrent
JP2011257874A (ja) * 2010-06-07 2011-12-22 Isshin Shoji Corp 防犯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建造物付随設備または金品取り扱い設備
JP2013109440A (ja) * 2011-11-18 2013-06-06 Tsukamoto Musen:Kk 防犯カメラ装置
JP2015079298A (ja) * 2013-10-15 2015-04-23 株式会社ネットワークス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318A (zh) * 2021-04-28 2022-10-28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CN115250318B (zh) * 2021-04-28 2023-12-22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844B2 (en) Wearable shield and self-defense device including multiple integrated components
KR100986421B1 (ko)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US20160192164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101945881B1 (ko) 다목적 cctv 장치
KR102045416B1 (ko)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CN110232794A (zh) 一种具有警报系统和喊话系统的驱散器
CN110081781A (zh) 一种防暴驱离盾牌
JP6851654B2 (ja) 携帯用サイレン及び緊急通報装置、並びにその組み合わせ
CN105833451A (zh) 远程值班守卫设备
CN110711332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消防预警灭火系统及方法
KR20140053486A (ko) 휴대폰 케이스용 범죄 예방장치
JP2006079159A (ja) 防犯装置
JP2007100991A (ja) 防護盾および防護システム
JP2003203278A (ja) 防犯システム
KR102464987B1 (ko)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CN205672397U (zh) 远程值班守卫设备
CN216115630U (zh) 安全防护装置及安防系统
CN106647558A (zh) 一种智能消防逃生锁管理系统
CN208285544U (zh) 高声压级的扩声装置
KR101564062B1 (ko) 터널에 구비된 소화전
JP3134146B2 (ja) 噴射式防犯装置及び噴射液
JP2001307251A (ja) キャッシュポット用監視システム
KR20180013431A (ko) 경보싸이렌 및 경광램프 및 긴급구조요청음성 및 전기충격봉이 작동되는 긴급구조요청 및 치한퇴치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착탈형 치한퇴치기
JPH07200956A (ja) 防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