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87B1 -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 Google Patents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87B1
KR102464987B1 KR1020200123693A KR20200123693A KR102464987B1 KR 102464987 B1 KR102464987 B1 KR 102464987B1 KR 1020200123693 A KR1020200123693 A KR 1020200123693A KR 20200123693 A KR20200123693 A KR 20200123693A KR 102464987 B1 KR102464987 B1 KR 10246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injection nozzle
handle
gas inj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693A (ko
Inventor
권용길
Original Assignee
권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길 filed Critical 권용길
Priority to KR102020012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6Shields
    • F41H5/08Shields for personal use, i.e. hand held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43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 F41H13/005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the high-energy beam being a laser beam
    • F41H13/0056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the high-energy beam being a laser beam for blinding or dazzling, i.e. by overstimulating the opponent's eyes or the enemy's sensor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칸막이로 이용하고 있다가 유사시 신속하게 상대를 제압하고 상대의 공격도 방어할 수 있는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칸막이(100)와, 상기 칸막이의 하단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개방 슬릿홈(101)과,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개방 슬릿홈(210)을 통해 상기 상부개방 슬릿홈에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를 직립시키는 받침대(200)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Self-defense safety shield that can be used as a partition}
본 발명은 평상시 칸막이로 이용하고 있다가 유사시 신속하게 상대를 제압하고 상대의 공격도 방어할 수 있는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복잡해지고 강,절도사건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은 물론 출입시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상점이나 사무실에 있어서 외부인의 침입을 비롯한 방재상황을 파악 통제할 수 있는 방범 및 호신용 장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중,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종래의 방범 및 호신용 장비로는 최루성이나 마취성 물질을 고압의 가스로 분사시키고 의식을 잃게 하는 가스분사기(가스총),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기, 강한 빛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플래셔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범 및 호신용 장비들은 주로 주머니나 가방안에 휴대하고 다니므로 신속한 사용이 어려워 실제 상황에서 활용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의 방범 및 호신용 장비들은 사건 발생시의 현장 상황과 범인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못하므로 범인 검거나 사후처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 지진 발생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나, 지진 발생시 낙하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구의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며, 종래의 방범 및 호신용 장비들은 지진 발생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10-09864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사시 상대에 대한 신속한 공격과 방어가 가능한 것은 물론 범인 검거나 사후처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지진 발생시 보호장구로도 사용이 가능한 방범 및 호신용 안전방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 하단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개방 슬릿홈과,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개방 슬릿홈을 통해 상기 상부개방 슬릿홈에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를 직립시키는 받침대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의 하단 중앙에 창구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마취가스나 최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기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분사기는 최루액이나 마취액 등이 저장된 가스분사기 본체와, 상기 가스분사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끼워져 연통되는 분사노즐 및 작동스위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가스분사기 본체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된 손잡이 본체와, 상기 가스분사기의 작동스위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홈부를 커버하는 손잡이 커버와, 상기 손잡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관통공까지 안내하는 분사노즐 가이드부와, 상기 분사노즐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칸막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분사노즐 가이드부와 관통공을 연통시키며 분사노즐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 전면에 부착된 손잡이 가림용 부재와, 상기 칸막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된 방탄필름과, 상기 칸막이의 전면 가장 자리에 부착되어 전방을 비추거나 전방으로 강한 빛을 조사하여 일시적으로 상대의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복수의 조명과,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현장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기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현장의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칸막이는 전면칸막이와 후면칸막이로 분할구성되며, 상기 전면칸막이와 후면칸막이에는 각각 방탄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 칸막이나 창구용 칸막이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사시 방패로써 신속한 방어는 물론 지진발생시 보호장구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칸막이의 후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취가스나 최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기가 결합되는 경우, 별도의 가스분사기를 소지하고 다니거나 몸체 후면에 별도로 부착시키지 않고도 유사시 가스분사기를 통한 상대의 공격과 제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칸막이의 후면에 카메라, 조명, 스피커, 무선 통신기, 무선 비상벨 등이 설치되는 경우, 범인 검거나 사후처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맞는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에 방탄필름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총기를 비롯한 상대의 치명적인 모든 물리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후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방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는 평상시 탁상에 직립상태로 거치하여 칸막이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대면이 가능하도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칸막이(1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칸막이(100)는 강도가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유리나 아크릴 플라스틱이나 폴리카본 플라스틱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100)의 하단 양측에는 수직으로 하부개방 슬릿홈(10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개방 슬릿홈(101)에는 받침대(20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대(200)의 상단에는 수직으로 하부개방 슬릿홈(101)에 끼워지는 상부개방 슬릿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200)는 칸막이(100)와 직각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개방 슬릿홈(101)에 상부개방 슬릿홈(210)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100)는 양측의 받침대(200)를 통해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대(200)는 칸막이(10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 양측에는 손잡이(30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평상시 칸막이(100)로 사용하고 있다가 유사시 상기 손잡이(300)를 잡고 자신을 공격하는 상대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상대를 밀어내는 방패로 사용이 가능하며, 지진 발생시 낙하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보호구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칸막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는 칸막이(100)와 동일하되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칸막이(100)의 전방으로 손잡이(300) 및 칸막이(100)의 전면에 고정된 손잡이 고정용 볼트(도시 안됨)가 노출되는 것을 막아 칸막이(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칸막이(100)로의 위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칸막이를 대면하는 일반인들이 손잡이(300)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해준다.
상기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칸막이(10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면, 손잡이(300)의 정비시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를 칸막이(10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손잡이 고정용 볼트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 가림용 부재(102)의 전면에는 광고문구나 안내문구가 기재된 스티커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후방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100)의 하단 중앙에는 창구용 홈부(5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를 창구용 칸막이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의 후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30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취가스나 최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기(3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분사기(310)는 최루액이나 마취액 등이 저장된 가스분사기 본체(311)와, 상기 가스분사기 본체(311)에 구비된 분사노즐(313) 및 작동스위치 버튼(3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100)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분사노즐(313)과 연통되는 관통공(14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300)는 가스분사기 본체(311)가 안착되는 홈부(321)가 형성된 손잡이 본체(320)와, 상기 가스분사기(310)의 분사노즐(313)과 작동스위치 버튼(3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홈부(321)를 커버하는 손잡이 커버(330)와, 상기 손잡이 본체(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홈부(321)에 안착된 가스분사기 본체(311)에 구비된 분사노즐(313)을 관통공(140)까지 안내하는 분사노즐 가이드부(340)와, 상기 분사노즐 가이드부(340)로부터 칸막이(100)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40)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분사기 본체(311)가 안착되는 홈부(321)는 분사노즐(3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 가이드부(340)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 가이드부(350)의 상부에는 상기 홈부(321)와 연통되는 분사노즐 안착홈(341)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잡이 본체(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320)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탄성밀착단(342)이 구비된다.
따라서, 분사노즐 가이드부(340)를 손잡이 본체(320)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밀착단(342)이 손잡이 본체(320)를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손잡이 본체(320)에 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 본체(320)에는 탄성밀착단(342)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밀착단 삽입홈(3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 가이드부(350)가 손잡이 본체(32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면, 가스분사기(310)의 유무 따라 분사노즐 가이드부(340)를 착탈시켜 가면서 손잡이(300)를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삽입부(350)는 분사노즐 가이드부(340)와 관통공(140)을 연통시키는 연통공(351)을 가지며, 상기 연통공(351)으로 분사노즐(313)의 단부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가스분사기(310)의 작동스위치 버튼(314)을 누르게 되면 최루액이나 마취액이 분사노즐(313)을 통해 칸막이(100)에 형성된 관통공(140)에서 전방을 향해 분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300)에 가스분사기(310)가 결합되면 별도의 가스분사기(310)를 휴대하거나 칸막이(100)의 후면에 별도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칸막이(100)의 후면 구조가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유사시 가스분사기(310)의 사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0a)는 칸막이(100)의 후면에 고정되며 가스분사기(310a)의 하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부개방부(361)를 가진 하부고정편(360)과,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분사기(310a)의 상부가 안착되는 고정부(371)와 상기 고정부(3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371)에 안착된 가스분사기(310a)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회동부(372)를 구비한 상부고정편(37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고정편(370)의 고정부(371)와 회동부(372)는 가스분사기(310a)와 밀착되도록 가스분사기(310a)의 상부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분사기(310a)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편(370)의 고정부(371)와 회동부(37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373,374)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373,374)에는 가스분사기에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마주하는 플랜지부(373,374)를 결속시키는 조임볼트(375)가 체결된다. 상기 플랜지부(373,374)에는 조임볼트(375)가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371)와 회동부(372)의 내측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376)가 부착되어 상기 가스분사기가 상부고정편(3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분사기(320)는 후단을 하부고정편(360)의 상부개방부(361)에 끼운 상태에서 상부를 개방된 상부고정편(370)의 고정부(371)에 안착시키고, 상기 칸막이(10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40)에 분사노즐(324)이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가스분사기(31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한 후에, 회동부(372)를 닫고 상기 플랜지부(373,374)의 나사홈에 조임볼트(375)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300a)는 상부고정편(370)과 하부고정편(360)과 가스분사기(310a)로 분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분사기(310a)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공용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며, 가스분사기(310a) 설치시 가스분사기(310a)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상기 칸막이(100)에 형성된 관통공(140)에 분사노즐(313a)을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100)의 전면 가장 자리에 부착되어 전방을 비추거나 전방으로 강한 빛을 조사하여 일시적으로 상대의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복수의 조명(410)과,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현장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420)와,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430)와,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기(440)와, 상기 칸막이(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현장의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벨(4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410)은 칸막이(100)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전방을 비추어 야간 및 어두운 상황에서 전방시야를 확보하거나 조난시 사용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고휘도의 섬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상대방의 시력을 일시적으로 무력화시키는 플래셔(flasher)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명(410)의 동작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는 칸막이(10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420)는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감시수단으로서, 상기 카메라(420)는 상기 칸막이(100)의 전면에 부착된 카메라렌즈(421)와, 칸막이(10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렌즈(4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본체부(422)와, 전원 공급 배터리(4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420)는 평상시에는 PC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사시 현장상황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사후 처리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430)와 무선 통신기(440)와 무선 비상벨(450)은 유사시 무선 비상벨(450)을 누르게 되면 스피커(430)를 통해 강력한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무선 통신기(440)를 통해 외부에 있는 제3자(경찰서)에게 음성신호에 의한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430)는 침입 예상 장소에 미리 설치된 FM열감지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FM열감지센서가 침입자의 미세한 열을 감지하면 상기 스피커(43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스피커(430)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강력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무선 통신기(440)는 무선 주파수(RF)를 이용한 근거리용 무선 통신장치로서, 장치 고유 ID를 가지고 있으며 마스터 통신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무선으로 연결된 마스터 통신 장치에서는 위치 정보 및 무선 신호 수신 시간을 기억 장치에 저장하여 상기 무선 통신기(440)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소지자 고유 ID와 소유자의 신상 정보, 비상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하게 되며 도난 및 강탈시에도 위치를 추적하여 회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칸막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대의 총격을 막아낼 수 있는 방탄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칸막이(100)를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에 각각 방탄필름을 부착하면 보다 확실하게 상대의 총격을 막아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는 관통볼트(130)와 너트(135)를 통해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의 사이에 상품광고나 안내용 P.O.P(POINT OF SALE) 등을 삽입하여 평상시 광고판이나 안내판으로 위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는 평소에 칸막이 또는 창구용 칸막이로 위장하여 사용하고 있다가 유사시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방패로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시에는 낙하물로부터 자신의 머리를 보호하는 보호장구로도 이용이 가능하며, 상기 칸막이(100)의 전후면에 장착된 가스분사기(310), 조명(410), 카메라(420), 스피커(430), 무선 통신기(440), 무선 비상벨(450), 호신경보기(460) 등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 사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사고대응 및 처리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받침대(200a)는 유사시 칸막이(100)로부터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대(200a)는 칸막이(100)의 전방을 지지하는 몸체부(201)와, 상기 몸체부(201)와 함께 상부개방 슬릿홈(210)을 형성하면서 칸막이(100)의 후방을 지지하며 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201)에 힌지결합된 회동몸체부(202)와, 상기 회동몸체부(202)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201)에 구비된 가이드홈부(203)와, 상기 가이드홈부(203)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몸체부(202)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몸체부(202)는 평상시 탄성부재(220)에 의해 칸막이(100)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유사시 사용자가 손잡이(300)를 잡고 칸막이(100)를 후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탄성부재(220)를 압축시키면서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몸체부(202)가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부개방 슬릿홈(210)의 폭이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칸막이(100)를 후방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려 받침대(200a)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되며 유사시 빠른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칸막이 101...하부개방 슬릿홈
102...손잡이 가림용 부재 110...전면칸막이
120...후면칸막이 140...관통공
200...받침대 210...상부개방 슬릿홈
300...손잡이 310,310a...가스분사기
313...분사노즐 314...작동스위치 버튼
320...손잡이 본체 321...홈부
330...손잡이 커버 340...분사노즐 가이드부
350...삽입부 351...연통공
410...조명 420...카메라
430...스피커 440...무선 통신기
450...무선 비상벨 500...창구용 홈부

Claims (6)

  1.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칸막이;
    상기 칸막이의 하단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개방 슬릿홈;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개방 슬릿홈을 통해 상기 하부개방 슬릿홈에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를 직립시키는 받침대; 및
    상기 칸막이의 후면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의 하단 중앙에 창구용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마취가스나 최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기가 결합되며,
    상기 가스분사기는 최루액이나 마취액이 저장된 가스분사기 본체와, 상기 가스분사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끼워져 연통되는 분사노즐 및 작동스위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가스분사기 본체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된 손잡이 본체와, 상기 가스분사기의 작동스위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홈부를 커버하는 손잡이 커버와, 상기 손잡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관통공까지 안내하는 분사노즐 가이드부와, 상기 분사노즐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칸막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분사노즐 가이드부와 관통공을 연통시키며 분사노즐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통공을 구비하는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홈부와 연통되는 분사노즐 안착홈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잡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탄성밀착단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본체에는 탄성밀착단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밀착단 삽입홈이 형성되는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전면에 부착된 손잡이 가림용 부재와, 상기 칸막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된 방탄필름과, 상기 칸막이의 전면 가장 자리에 부착되어 전방을 비추거나 전방으로 강한 빛을 조사하여 일시적으로 상대의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복수의 조명과,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현장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기와, 상기 칸막이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현장의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전면칸막이와 후면칸막이로 분할구성되며;
    상기 전면칸막이와 후면칸막이에는 각각 방탄필름이 부착된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KR1020200123693A 2020-09-24 2020-09-24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KR10246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93A KR102464987B1 (ko) 2020-09-24 2020-09-24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93A KR102464987B1 (ko) 2020-09-24 2020-09-24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93A KR20220040693A (ko) 2022-03-31
KR102464987B1 true KR102464987B1 (ko) 2022-11-09

Family

ID=8093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93A KR102464987B1 (ko) 2020-09-24 2020-09-24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9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2950A (zh) * 2018-06-15 2018-10-16 浙江映甫防护科技有限公司 分散式防爆盾
KR102133947B1 (ko) * 2020-02-07 2020-07-14 권용길 방범 및 호신용 안전방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21B1 (ko) * 2008-09-25 2010-10-08 권용길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KR200480320Y1 (ko) * 2014-07-01 2016-05-10 전은희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2950A (zh) * 2018-06-15 2018-10-16 浙江映甫防护科技有限公司 分散式防爆盾
KR102133947B1 (ko) * 2020-02-07 2020-07-14 권용길 방범 및 호신용 안전방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93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421B1 (ko)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US20190268454A1 (en) Emergency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tegrated with mobile devices
KR102133947B1 (ko) 방범 및 호신용 안전방패
US10514237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9615235B2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10013337A1 (en) Wearable shield and self-defense device including multiple integrated components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20110095792A (ko) 개인 보안용 배낭 및 사용방법
US5635908A (en) Portable audio, alarm, electric stun and spray deterrent apparatus
US11029127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10112575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10757379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KR102464987B1 (ko)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CN105054940B (zh) 安全定位监护仪及其监护方法
US5644296A (en) A-1-2-3, body guard alarm
KR101945881B1 (ko) 다목적 cctv 장치
GB2433148A (en) Traffic bollard alarm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ram-raiding
KR200453024Y1 (ko) 보안 장치
GB2393301A (en) Personal defence system
CN105069925A (zh) 一种atm机监控安防系统
JP2003203278A (ja) 防犯システム
AU2021101242A4 (en) Women safety hidden malicious chip using deep learning and iot based tracking technology
KR20180061780A (ko) 호신용 스프레이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8256262A (ja) 護身用盾
CA2931888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