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605B1 - 파 수확기 - Google Patents

파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605B1
KR101945605B1 KR1020167021690A KR20167021690A KR101945605B1 KR 101945605 B1 KR101945605 B1 KR 101945605B1 KR 1020167021690 A KR1020167021690 A KR 1020167021690A KR 20167021690 A KR20167021690 A KR 20167021690A KR 101945605 B1 KR101945605 B1 KR 10194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section
posture
harvesting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420A (ko
Inventor
노리히코 무네요시
유키히로 후쿠다
하레미츠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6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80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20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7233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05Auxiliary devices for the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A01D25/048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with endless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0Crop collecting devices, with or without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파와 수확부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한 파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
자가 주행 가능한 주행기체에,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를 구비한 파 수확기로서, 수확부는 각 작업부로서 파를 파내는 파냄부와, 파냄부에 의해 파내어진 파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면서 파의 뿌리줄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핑부를 구비한다. 각 작업부는 주행기체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했다. 주행기체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용 스텝부를,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했다.

Description

파 수확기{WELSH ONION HARVESTER}
본 발명은 파 수확기, 상세하게는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어 수집할 때까지의 일련의 수확 작업을 가능하게 한 파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 수확기의 일형태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기체에 각 작업부를 설치하여 파를 수확할 때까지의 일련의 수확 작업을 가능하게 한 파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파 수확기는, 각 작업부로서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는 파냄부와, 파냄부에 의해 파내어진 파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면서 파의 뿌리줄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핑부와, 스크레이핑부에 의해 부착 흙 덩어리가 긁어 떨어뜨려진 파를 수집하는 수집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의 우측 뒷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용 스텝부와, 그 탑승용 스텝부 상에 작업자가 탑승해서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310021호 공보
그런데, 상기 한 파 수확기에서는 탑승용 스텝부 상에 탑승한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작업자의 서는 위치가 기체의 우측부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파의 파내기로부터 부착 흙 덩어리의 긁어 떨어뜨리기에 이르기까지의 파의 반송 공정을, 우측 후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시인하게 되어서 파가 각 작업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확인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파가 손상되거나 하여 있다고 해도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수확부의 각 작업부와 탑승용 스텝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함으로써,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서는 위치에 있어서 각 작업부의 작업 상황, 또한 파의 수확 상황을, 직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하여, 파와 수확부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한 파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자가 주행 가능한 주행기체에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를 구비한 파 수확기로서,
수확부는 각 작업부로서 파를 파내는 파냄부와, 파냄부에 의해 파내어진 파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면서 파의 뿌리줄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핑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각 작업부는 주행기체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하고,
주행기체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용 스텝부를,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수확부의 각 작업부와 탑승용 스텝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서는 위치에 있어서 각 작업부의 작업 상황, 또한 파의 수확 상황을, 직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와 수확부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어 있었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에 대하여 파냄부를 진입시키는 주행기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대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파와 수확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파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으로서,
반송부는 전저 후고의 경사상으로 배치하여 파내어진 기립 자세의 파의 중도부를 협지한 상태에서, 그 파를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파내어진 파가 반송부에 의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그 직후방에 있어서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는 반송부에 의한 파의 반송 상황을 견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파와 파냄부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나, 파냄부에 의한 파냄 깊이의 어긋남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와 수확부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 결과, 파와 수확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파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으로서,
반송부의 직후방 위치에는 반송부에 의해 기립 자세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는 파를 이어받아서, 이어받은 파를 기립 자세로부터 외측방으로 경사진 경도(傾倒) 자세 자세로 자세 변경함과 아울러 정렬시키는 자세 변경·정렬부를 설치하고,
자세 변경·정렬부는 파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일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자세 변경·정렬부가 파를 기립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정렬시켜서 일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서는 위치의 일측방으로 파가 경도 자세 자세로 정렬되어서 이행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각 파의 전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가 작업자에 접근하는 방향인 일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파를 몸 가까이서 만질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파에 남겨진 부착 흙 덩어리를 떨어뜨리는 등의 조정 작업을, 전방을 시인한 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과, 작업자의 피로 저감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으로서,
자세 변경·정렬부의 후하방 위치에는 파를 수집하는 판 형상의 수집부를 설치하여, 자세 변경·정렬부에 의해 자세 변경·정렬된 파가 수집부에 수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서는 위치의 일측방에 있어서 자세 변경·정렬부에 의해 자세 변경된 파가, 판 형상의 수집부 상에 자동적으로 낙하해서 수집 또한 저장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수집 작업이 지장이 되는 일이 없다. 그 때, 수집부 상에는 파가 정연하게 수집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수집된 파의 수집 자세를 수정하는 등의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과, 작업자의 피로 저감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으로서,
탑승용 스텝부를 사이에 두고서 수집부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주행기체 및 각 작업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수집부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조작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가 작업자의 전방 시계를 차단할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수확부의 각 작업부와 탑승용 스텝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함으로써, 탑승용 스텝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서는 위치에 있어서 각 작업부의 작업 상황, 또한 파의 수확 상황을, 직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하여, 파와 수확부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한 파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사시 설명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좌측면 설명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우측면 설명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평면 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정면 설명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단면 좌측면 설명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배면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핑부의 사시 설명도.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핑부의 파의 반송 방향으로부터의 정면 설명도.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핑부의 좌측면 설명도.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동력전달기구의 개념 설명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좌측면 설명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우측면 설명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평면 설명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정면 설명도.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배면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의 파 수확기의 단면 좌측면 설명도.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수확부의 각 작업부의 분해 설명도.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의 이랑 어깨 붕괴부의 정면 설명도.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의 이랑 어깨 붕괴부의 측면 설명도.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의 잎부측 가이드체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의 평면 설명도.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의 잎부측 가이드체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의 측면 설명도.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의 잎부측 가이드체의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I. 제 1 실시형태의 설명
도 1∼도 8에 나타내는 A1은 제 1 실시형태로서의 파 수확기이며, 우선 파 수확기(A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파 수확기의 전체 구성의 개략적인 설명]
파 수확기(A1)는 자가 주행 가능한 주행기체(1)에 파(N)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U)으로부터 파(N)를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파(N)는 뿌리줄기부(Na)와 잎부(Nb)를 갖는 파이다.
주행기체(1)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식의 주행부(10, 10) 사이에 입체 프레임 형상으로 틀을 짜서 형성한 기체 프레임 틀체(11)를 걸쳐서 설치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우측 뒷부에는 엔진(12)을 좌측의 주행부(10)의 후상방에 위치시켜서 탑재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하부에는 미션 케이스(13)를 좌우측의 주행부(10, 10) 사이에 위치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2)에는 미션 케이스(13)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우측 상부에는 주행부(10, 10)의 조향·변속 조작 및 수확부(2)의 수확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14)를 설치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후단부에는 작업자(Op)가 탑승하는 수평 판 형상의 탑승용 스텝부(24)를, 후술하는 수확부(2)의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돌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가상 동일 직선(L)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좌우 폭의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의 직선이다. 15는 주변속 레버, 16은 주행·작업 레버, 17은 좌측 사이드클러치 레버, 18은 우측 사이드클러치 레버, 19는 액셀 레버이다.
탑승용 스텝부(24)는 전반부의 고정측 스텝편(94)과, 고정측 스텝편(94)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피벗 지지 연결부(96)를 통하여 전단 가장자리부를 피벗 지지 연결한 후반부의 가동측 스텝편(95)으로 구성하고 있다. 고정측 스텝편(94)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후단 하부에 설치한 스텝 스테이(97)에 전단 가장자리부를 고정하여, 후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동측 스텝편(95)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사용 자세(P3)와, 상방으로 기립시킨 비사용 자세(P4)의 사이에서, 피벗 지지 연결부(96)를 중심으로 기도(起到) 방향(e)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Op)가 탑승하는 수평 판 형상의 탑승용 스텝부(24)는 후술하는 수확부(2)의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후단부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Op)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용 스텝부(24) 상에 탑승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형으로 간격을 두고 전저 후고의 경사상으로 평행시켜서 배치된 파냄부(20)와 반송부(21)의 직후방 위치에 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Op)는 파냄부(20)와 반송부(21) 사이의 반송 공간 및 반송부(21)의 직상방의 반송 공간에 있어서, 수확된 파(N)가 작업자(Op)의 시선(Ls)을 따라서 직전 하방 위치로부터 작업자(Op)에 접근해 오는 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는 것을, 전방을 시인하는 작업자(Op)의 시계 내에서 견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수확부(2)는 각 작업부로서 파(N)를 파내는 파냄부(20)와, 파냄부(20)에 의해 파내어진 파(N)를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부(21)와, 반송부(21)에 의해 반송하면서 파(N)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핑부(22)와, 반송부(21)로부터 이어받은 파(N)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일측 후상방(제 1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자세 변경·정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작업부인 파냄부(20)와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는 주행기체(1)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설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들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주행기체(1)에 설치한 탑승용 스텝부(24)를 설치하고 있다. 즉, 주행기체(1)의 좌우 중심선인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있어서 파냄부(20)와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와 탑승용 스텝부(24)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하고 있다.
파냄부(20)는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 틀체(30)의 기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피벗축(31)을 통해서 피벗 지지하고 있다. 지지 틀체(30) 상에는, 소위 바 컨베이어인 파냄 컨베이어(32)를 탑재 설치하고 있다. 파냄 컨베이어(32)의 시단부(전단부)에는 파냄날(33)을 전방을 향해서 돌출 형상으로 부착하고 있다. 파냄날(33)은 판 형상으로 형성한 기단측 절반부(33a)를 전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함과 아울러, 선단측 절반부(33b)를 기단측 절반부(33a)의 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튀어오른 형상의 끝이 날카로운 수평날로 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설치한 실린더 스테이(35)와, 피벗축(31)의 중도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승강 암(36)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승강 실린더(37)를 가로로 걸치고 있다. 승강 암(36)의 기단부와 지지 틀체(30)의 좌우 연신편(30a)의 사이에는 연장 설치편(39)을 개재하고 있다. 그리고, 파냄부(20)는 승강 실린더(37)에 의해 승강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도 파냄부(20)와 일체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38은 파냄부(20) 등을 승강 조작하기 위한 승강 조작 레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파냄부(20)에서는 파(N)의 수확 작업을 할 때에는 승강 실린더(37)에 의해 파냄부(20)를 적당하게 하강시켜서 파냄 컨베이어(32)가 전저 후고의 경사 자세로 배치됨과 아울러, 파냄날(33)의 선단측 절반부(33b)가 포장(G)면에 대략 수평으로 근접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기체(1)의 전진 주행에 따라 파냄날(33)의 선단측 절반부(33b)가 파(N)가 재배되고 있는 이랑(U)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진입하여 파(N)의 뿌리줄기부(Na)의 직하방으로부터 파(N)를 파냄과 아울러, 파냄날(33)의 기단측 절반부(33a)가 파(N)를 후상방으로 흙 덩어리(D1)와 함께 슬라이딩 이송시킨다.
그리고, 파내어진 파(N)는 파냄날(33)의 기단측 절반부(33a)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후상방으로 이송되어서 파(N)의 잎부(Nb)가 후술하는 반송부(21)에 협지되어서 후상방으로 반송되는 한편, 흙 덩어리(D1)가 부착된 파(N)의 뿌리줄기부(Na)가 파냄날(33)의 기단측 절반부(33a)로부터 파냄 컨베이어(32) 상에 건네져서 파냄 컨베이어(32)에 의해 더욱 후상방으로 반송된다. 이 때, 파(N)는 이랑(U)에 재배되고 있는 기립 자세인 채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된다.
반송부(21)는 파냄부(20)의 직상방에 있어서 파냄부(20)의 파냄 컨베이어(32)와 평행시켜서 전저 후고의 경사상으로 배치하여, 파내어진 기립 자세의 파(N)의 중도부를 좌우 측방으로부터 협지한 상태에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반송부(21)는 좌우 한쌍의 전·후 지지 프레임(40, 41) 및 반송 지지 프레임(46)을 통해서 파냄 컨베이어(32)의 직상방에 평행하게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21)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쌍의 반송체(42, 42)를 설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반송체(42)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종동 풀리(43)와 구동 풀리(44)에, 반송 벨트(45)를 감아서 형성하고 있다. 좌우로 대향하는 양 반송체(42, 42)의 시단부(전단부)로부터 종단부(후단부)를 향해서 이송하는 반송 벨트 왕로 측부(45a, 45a)끼리는, 대면 상태에서 면접촉시켜서 파(N)의 잎부(Nb)를 협지함과 아울러 협지한 상태에서 파(N)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좌측의 앞측 지지 프레임(40)은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파냄 컨베이어(32)의 좌측부와 좌측의 반송체(42)의 앞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앞측 지지 프레임(40)은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파냄 컨베이어(32)의 우측부와 우측의 반송체(42)의 앞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후술하는 반송부 전동 가로축(170)을 축지지하는 전동 가로축 케이스(47)의 좌우 측부에는, 후술하는 좌우 한쌍의 풀리 구동축(85, 85)을 축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구동축 케이스(48, 48)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좌측의 뒷측 지지 프레임(41)은, 좌측의 구동축 케이스(48)와 좌측의 반송체(42)의 뒷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뒷측 지지 프레임(41)은 우측의 구동축 케이스(48)와 우측의 반송체(42)의 뒷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좌측의 반송 지지 프레임(46)은 좌측의 반송체(42)의 앞부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좌측 앞부의 사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반송 지지 프레임(46)은 우측의 반송체(42)의 앞부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우측 앞부의 사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49는 반송 벨트 왕로 측부(45a)를 탄성 가압하는 텐션 롤러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반송부(21)에서는, 좌우 한쌍의 반송체(42, 42)의 반송 벨트 왕로 측부(45a, 45a)끼리가 파(N)의 잎부(Nb)를 협지함과 아울러, 협지한 상태에서 파(N)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파(N)의 뿌리줄기부(N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해서 반송하는 파냄부(20)의 파냄 컨베이어(32)와 협동하여 파(N)를 기립한 자세로 견실하게 후상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스크레이핑부(22)는, 도 9∼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축 케이스(50)를 가로로 걸치고, 가로축 케이스(50)의 우측부로부터 전하방을 향해서 체인 케이스(51)를 연장시키고 있다. 체인 케이스(51)의 선단부(전단부)에는 축 케이스(52)를 좌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축 케이스(52) 중에 축 설치한 회전체 지지축(53)의 선단부에는 회전체(54)를 동축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회전체(54)는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원통 형상의 둘레벽(55)과, 둘레벽(55)의 좌우 측단면을 폐색하는 좌우 측단벽(56, 56)으로 형성하고 있다. 좌우 측단벽(56, 56)의 중심부에는 회전체 지지축(53)의 선단부를 관통시켜서 부착하고 있다. 즉, 회전체(54)는 반송부(2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 축선을 향해서 배치됨과 아울러, 그 축선 둘레로 회전체 지지축(53)을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회전체(54)의 둘레벽(55)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과 축선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서 다수의 스크레이핑용의 돌출편(57)을 방사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각 돌출편(57)은 그것들의 선단부가 뿌리줄기부(Na)를 따르도록 각 돌출편(57)의 돌출높이에 변화를 가지게 하고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55)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두고서 8개의 돌출편을 돌출시켜서 돌출편 유닛을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55)의 축선 방향으로는 동일 간격을 두고서 이 돌출편 유닛을 5세트 형성하고 있다.
회전체(54)의 외주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편(57a)은 그 돌출 폭을 단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회전체(54)의 외주면의 외측부로 돌출된 돌출편(57b)은 그 돌출 폭을 중앙부의 돌출편의 돌출 폭보다 장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돌출편(57a, 57b)의 선단부는 뿌리줄기부(Na)의 직하방과 측방을 따라 각각이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의 3세트를 단폭의 돌출편(57a)으로 함과 아울러, 외측의 2세트를 장폭의 돌출편(57b)으로 하고 있다.
회전체(54)의 회전 방향(a)은 돌출편(57)이 파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된 흙 덩어리(D1)에 충돌하는 방향과, 반송부(21)의 반송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54)의 회전 방향(a)을 좌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시계 방향으로 설정하여, 돌출편(57)이 파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된 흙 덩어리(D1)에 충돌하는 방향과 반송부(21)의 후상방으로의 반송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회전체(54)의 회전 속도는 반송부(21)의 반송 속도보다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54)의 회전 속도(주속도)를 1m/s로 하고, 반송부(21)의 반송 속도(주속도)를 0.05m/s로 해서, 회전체(54)의 회전 속도(주속도)가 반송부(21)의 반송 속도(주속도)의 20배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스크레이핑부(22)에서는 반송부(21)와 파냄 컨베이어(32)가 협동해서 반송해 온 파(N)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의 대부분을, 회전체(54)의 둘레벽에 돌출시킨 다수의 돌출편(57)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서 흙 덩어리(D2)로 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체(54)는 뿌리줄기부(Na)의 하방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흙 덩어리(D1)에 다수의 돌출편(57)이 연속적으로 충돌(타격)하여 흙 덩어리(D1)를 깨뜨림으로써 흙 덩어리(D2) 나아가서는 흙 덩어리(D3)로 하여,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되어서 잔존하는 흙 덩어리(D3)를 가급적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체(54)의 외주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편(57a)은 그 돌출 폭을 단폭으로 형성하는 한편, 회전체(54)의 외주면의 외측부에 돌출된 돌출편(57b)은 그 돌출 폭을 중앙부의 돌출편의 돌출 폭보다 장폭으로 형성하고, 뿌리줄기부(Na)의 직하방과 좌우 측방을 따라 각각 각 돌출편(57a, 57b)의 선단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돌출편(57a, 57b)에 의해 파(N)에 간섭하지 않고 흙 덩어리(D1)를 견실하게 깨뜨릴 수 있다. 즉, 돌출편(57a)은 뿌리줄기부(Na)의 하방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의 하부에 스크레이핑 작용하는 한편, 돌출편(57b)은 뿌리줄기부(Na)의 좌우 측방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의 좌우 측부에 스크레이핑 작용한다.
여기에서, 도 10 또는 도 11에 있어서, 흙 덩어리(D1)는 돌출편(57)이 스크레이핑 작용하기 전의 블록 형상의 흙 덩어리, 흙 덩어리(D2)는 돌출편(57)이 스크레이핑 작용하고 있을 때의 소형화된 흙 덩어리, 흙 덩어리(D3)는 돌출편(57)이 스크레이핑 작용한 후의 최종적인 소형 흙 덩어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흙 덩어리(D1)의 하부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타격해서 스크레이핑 작용하는 돌출편(57a)과, 흙 덩어리(D1)의 좌우 측부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타격해서 스크레이핑 작용하는 돌출편(57b)의 협동작용에 의해, 흙 덩어리는 흙 덩어리(D1)→흙 덩어리(D2)→흙 덩어리(D3)로 연속적으로 또한 견실하게 깨뜨려진다.
자세 변경·정렬부(23)는 반송부(21)의 직후방 위치에 반송부(21)에 의해 기립 자세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는 파(N)를 이어받고, 이어받은 파(N)를 기립 자세에서 외측방으로 경사진 경도 자세로 자세 변경함과 아울러, 자세 변경한 파(N)를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도록 설치하여, 파(N)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일측 후상방(제 1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자세 변경·정렬부(23)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쌍의 이송체(80, 80)를 전저 후고이고, 또한 후단부가 좌측 바깥쪽을 향하도록 설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이송체(80)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구동 풀리(81)와 종동 풀리(82)에 이송 벨트(83)를 감아서 형성하고 있다. 좌우로 대향하는 양 이송체(80, 80)의 시단부(전단부)로부터 종단부(후단부)를 향해서 이송하는 이송 벨트 왕로 측부(83a, 83a)끼리는 대면 상태에서 면접촉시키고 있다. 구동 풀리(81, 81)는 그것들의 축선을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하는 한편, 종동 풀리(82, 82)는 그것들의 축선을 좌고 우저의 경사 방향(예를 들면 45°)으로 기울여서 배치하여, 이송 벨트 왕로 측부(83a, 83a)끼리의 중도를 비틀림 형상으로 면접촉시키고 있다.
좌측의 반송체(42)의 구동 풀리(44)와 좌측의 이송체(80)의 구동 풀리(81)는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배치한 좌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상단부와 중도부에 동축으로 부착하고 있다. 우측의 반송체(42)의 구동 풀리(44)는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배치한 우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상단부에 체인 전동기구(86)를 개재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이송체(80)의 구동 풀리(81)는 우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중도부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21)의 종단부로부터 파(N)를 이어받은 자세 변경·정렬부(23)는, 이송 벨트 왕로 측부(83a, 83a)끼리가 파(N)의 잎부(Nb)를 협지함과 아울러, 협지한 상태에서 파(N)를 기립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면서 정렬시켜서 좌측 후상방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87은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이송되는 파(N)의 잎 끝측이 아래로 드리워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는 유지 틀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자세 변경·정렬부(23)에서는 파(N)의 반송 자세를 기립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N)를 순차적으로, 또한 견실하게 후술하는 수집부(25)에 수집·저장시킬 수 있다.
자세 변경·정렬부(23)의 후하방 위치에는 파(N)를 수집하는 사각형 판 형상의 수집부(25)를 설치하고,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자세 변경·정렬된 파(N)가 수집부(25)에 수집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종단부의 하방에는 수집부(25)의 전단 가장자리부를 배치하여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반송된 파(N)가 수집부(25) 상에 낙하되어서 수집·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즉, 수집부(25)는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수집부 지지 암(90)을 개재해서 부착하고 있다. 수집부 지지 암(90)은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상하 연신 암편(91)과, 상하 연신 암편(91)의 상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전후 신연 암편(92)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후 신연 암편(92)에는 부착 틀(93)을 좌측 바깥 쪽으로 돌출 형상으로 설치하여, 부착 틀(93)에 수집부(25)의 하면부를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좌측 후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원통 형상 지지부(98)를 설치하고 있다. 수집부 지지 암(90)은 원통 형상 지지부(98) 중에 상하 연신 암편(91)을 상방으로부터 삽통하고, 그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집부(25)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전후 신연 암편(92)의 가로축 둘레 방향(c)으로, 횡와(橫臥) 사용 자세(F1)와, 수하(垂下) 비사용 자세(F2)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상하 연신 암편(91)의 세로축 둘레 방향(d)으로, 기체의 일측방(제 1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방)에 배치한 사용 위치(P1)와, 기체의 직후방에 수하 비사용 자세(F2)로 배치한 수납 위치(P2)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탑승용 스텝부(24)의 가동측 스텝편(95)을 상방으로 기립시킨 비사용 자세(P4)로 함과 아울러, 수집부(25)를 가동측 스텝편(95)의 직후방 위치에서 수하 비사용 자세(F2)로 수납 위치(P2)에 배치함으로써 파 수확기(A1)를 컴팩트하게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25)를 설치한 좌측과는 반대측인 우측에는, 탑승용 스텝부(24)를 사이에 두고 주행기체(1) 및 수확부(2)의 각 작업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수집부(25)에서는, 탑승용 스텝부(24) 상에 기립해서 조향·수확 조작하고 있는 작업자(Op)의 좌측방에 있어서, 수확한 파(N)를 수집부(25) 상에 횡와 자세로 산적해서 견실하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파(N)의 수집 성능과 작업자(Op)의 조향·수확 조작 성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파냄부(20)의 전방에는 수확부(2)의 일부인 좌우 한쌍의 이랑 어깨 붕괴부(60, 60)를 설치하고 있다. 이랑 어깨 붕괴부(60, 60)는 이랑(U)의 양 어깨부를 무너뜨려서 후속의 파냄부(20)의 진입 저항을 경감시킴으로써 파냄부(20)에 의한 파냄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이랑 어깨 붕괴부(60, 60)는 가로축 케이스(50)의 좌우 측부에 전방을 향해서 연신하는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61)의 기단부(후단부)를 부착하고, 각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61)의 선단부(전단부)에 기어 케이스(62, 62)를 부착하고, 기어 케이스(62, 62)에 원판 지지축(63, 63)을 통해서 부착 원판(64, 64)을 부착하고, 각 부착 원판(64, 64)에 4개씩의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 65)를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돌출시키고 있다.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중에는 전방 연신축(66)을 축 설치하고, 전방 연신축(66)에 기어 케이스(62) 내의 기어(67, 68)를 통해서 원판 지지축(63)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부착 원판(64)에 돌출시킨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는 어퍼컷 방향(b)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에 의해 이랑(U)의 어깨부를 무너뜨릴 수 있게 하고 있다. 69는 비산 방지 커버, 70은 흙 덩어리 분쇄 봉이다. 71은 수확부(2)의 전단부의 대지 높이를 결정하는 게이지 링, 72은 게이지 링 지주, 73은 게이지 링 지지기 프레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M은 파 수확기(A1)가 갖는 동력전달기구이며, 동력전달기구(M)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 전동기구부(Ma)와 수확부 전동기구부(Mb)로 형성하고 있다.
즉, 주행기체 전동기구부(Ma)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탑재한 엔진(12)의 구동축(12a)과, 유압펌프(100)의 입력축(101)의 사이에는 제 1 체인 전동기구(110)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12)의 구동축(12a)과,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설치한 변속 케이스(120)의 입력축(121) 사이에는 제 2 체인 전동기구(130)를 설치하고 있다. 변속 케이스(120)의 출력축(122)의 좌측 단부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하부에 설치한 미션 케이스(13)의 입력축(13a) 사이에는 제 1 벨트 전동기구(140)를 설치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3)의 출력축(13b)의 양 단부에는 주행부(10, 10)의 구동륜(10a, 10a)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수확부 전동기구부(Mb)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변속 케이스(120)의 출력축(122)의 우측 단부와, 가로축 케이스(50) 중에 축 설치한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의 우측 단부의 사이에는 제 2 벨트 전동기구(160)를 설치하고 있다.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의 좌측부에는 웜기어 케이스(151)를 연동 연설하고 있다. 웜기어 케이스(151)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동 샤프트(165)를 통해서 파냄 기어 케이스(178)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파냄 기어 케이스(178)는 파냄 컨베이어(32)의 뒷부에 가로로 걸침 형상으로 축 설치한 구동축(34)의 좌측 단부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동 샤프트(165)의 뒷부에는 입·출력 기어(171, 172)를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반송부 전동 가로축(170)의 좌측 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반송부 전동 가로축(170)의 중도 단부에는 입·출력 기어(173, 174)를 통해서 좌측의 풀리 구동축(85)의 하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반송부 전동 가로축(170)의 우측 단부에는 입·출력 기어(175, 176)를 통해서 우측의 풀리 구동축(85)의 하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좌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상단부와 중도부에는 좌측의 반송체(42)의 구동 풀리(44)와 좌측의 이송체(80)의 구동 풀리(81)를 동축에 부착하고 있다. 우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상단부에는 체인 전동기구(86)를 통해서 우측의 반송체(42)의 구동 풀리(44)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우측의 풀리 구동축(85)의 중도부에는 우측의 이송체(80)의 구동 풀리(81)를 부착하고 있다. 177은 반송부 전동 케이스이다.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의 우측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체인 케이스(51)의 후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한편, 체인 케이스(51)의 전단부에는 회전체 지지축(53)의 우측 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회전체 지지축(53)의 좌측 단부에는 스크레이핑부(22)를 부착하고 있다.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의 좌우 측부에는 각각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61) 중에 축 설치한 전방 연신축(66, 66)의 후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한편, 전방 연신축(66, 66)의 전단부에는 기어 케이스(62, 62)를 통해서 원판 지지축(63, 63)의 기단부(좌측 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전방 연신축(66)에는 기어 케이스(62) 내의 기어(67, 68)를 통해서 원판 지지축(63)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동력전달기구(M)에서는 엔진(12)으로부터 각 작업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서, 파(N)의 수확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파 수확기(A1)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파 수확기(A1)에서는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일어난다.
(1) 수확부(2)의 각 작업부와 탑승용 스텝부(24)를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용 스텝부(24)에 탑승한 작업자(Op)의 서는 위치에 있어서 각 작업부의 작업 상황, 또한 파(N)의 수확 상황을, 직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N)와 수확부(2)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어 있었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N)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U)에 대하여 파냄부(20)를 진입시키는 주행기체(1)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대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파(N)와 수확부(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파(N)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2) 파내어진 파(N)가 반송부(21)에 의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그 직후방에 있어서 탑승용 스텝부(24)에 탑승한 작업자(Op)는 반송부(21)에 의한 파(N)의 반송 상황을 견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파(N)와 파냄부(20)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나, 파냄부(20)에 의한 파냄 깊이의 어긋남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N)와 수확부(2)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 결과, 파(N)와 수확부(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파(N)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3) 자세 변경·정렬부(23)가 파(N)를 기립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정렬시켜서 좌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용 스텝부(24)에 탑승한 작업자(Op)의 서는 위치의 좌측방으로 파(N)가 경도 자세로 정렬되어서 이행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Op)는 파(N)의 전체(뿌리줄기부(Na)와 잎부(Nb))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N)가 작업자(Op)에 접근하는 방향인 좌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작업자(Op)는 파(N)를 몸 가끼이서 만질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Op)는 파(N)에 남겨진 부착 흙 덩어리(D3)를 떨어뜨리는 등의 조정 작업을, 전방을 시인한 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과 작업자(Op)의 피로 저감을 꾀할 수 있다.
(4) 탑승용 스텝부(24)에 탑승한 작업자(Op)의 서는 위치의 좌측방에 있어서,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자세 변경된 파(N)가 판 형상의 수집부(25) 상에 자동적으로 낙하해서 수집 또한 저장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작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Op)에게 수집 작업이 지장이 될 일이 없다. 그 때, 수집부(25) 상에는 파(N)가 정연하게 수집되기 때문에, 작업자(Op)는 수집된 파(N)의 수집 자세를 수정하는 등의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과 작업자(Op)의 피로 저감을 꾀할 수 있다.
(5) 수집부(25)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조작부(1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14)가 작업자(Op)의 전방 시계를 가로막을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수확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6) 회전체(54)의 외주면에 다수 돌출된 각 돌출편(57)의 선단부가 뿌리줄기부(Na)를 따르도록, 각 돌출편(57)의 돌출 높이에 변화를 가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돌출편(57)의 선단부가 파(N)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에 충격을 주어서 흙 덩어리(D1)를 깨뜨릴 수 있다. 이 때, 파(N)의 뿌리줄기부(Na)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착 흙 덩어리(D1)뿐만 아니라, 파(N)의 뿌리줄기부(Na)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착 흙 덩어리(D1)도 깨뜨릴 수 있어, 부착 흙 덩어리(D1)를 견실하게 긁어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흙 떨어뜨림의 잔류를 저감시킬 수 있어서, 흙 떨어뜨림의 잔류를 처리하는 작업(조정 작업)의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7) 뿌리줄기부(Na)의 직하방에 위치해서 돌출 폭이 단폭인 돌출편(57a)이, 뿌리줄기부(Na)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에 충격을 주어서 이것을 깨뜨리기 때문에, 뿌리줄기부(Na)의 좌우 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가 좌우로 분리됨과 아울러, 뿌리줄기부(Na)의 좌우 측방에 위치해서 돌출 폭이 장폭인 돌출편(57b)이 뿌리줄기부(Na)의 좌우 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D1)에 충격을 주어서 이것들을 깨뜨리기 때문에, 뿌리줄기부(Na)의 부착 흙 덩어리(D1)가 견실하게 긁어 떨어뜨려진다.
(8) 돌출편(57)이 파(N)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된 흙 덩어리(D1)에 충돌하는 방향과 반송부(21)의 반송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편(57)이 파(N)에 충돌했다고 해도 그 때의 파(N)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파(N)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9) 회전체(54)의 회전 속도가, 반송부(21)의 반송 속도보다 커지도록(예를 들면, 20배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파(N)의 뿌리줄기부(Na)로의 부착 흙 덩어리(D1)에 대하여 회전체(54)에 돌출한 다수의 돌출편(57)을 연속적으로 충돌시켜서 부착 흙 덩어리(D1)에 연속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착 흙 덩어리(D1)가 견실하게 깨뜨려져서 흙 떨어뜨림의 잔류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II. 제 2 실시형태의 설명
도 13∼도 18에 나타내는 A2는 제 2 실시형태로서의 파 수확기이다. 파 수확기(A2)는 도 13∼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로서의 파 수확기(A1)와 기본적 구조를 같이 하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파 수확기(A2)의 기본적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고, 파 수확기(A2)가 갖는 수확부(2)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동력전달기구도, 도 12에 가리키는 제 1 실시형태의 동력전달기구와 같으므로, 그 구성의 설명도 생략한다.
[수확부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의 설명]
수확부(2)는 각 작업부로서 좌우 한쌍의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와, 파냄부(20)와,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와, 자세 변경·정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이랑 어깨 붕괴부(60, 60)는 이랑(U)의 양 어깨부를 무너뜨려서 이랑(U)으로의 파냄부(20)의 진입 저항을 저감한다. 이렇게 하여 진입 저항이 저감된 이랑(U)에는 파(N)가 재배되고 있고, 이 파(N)는 파냄부(20)에 의해 파내어진다. 반송부(21)는 파냄부(20)에 의해 파내어진 파의 잎부(Nb)의 중도부를 협지하고, 협지한 파(N)를 기립 자세인 채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스크레이핑부(22)는 반송부(21)에 의해 반송되는 파(N)의 뿌리줄기부(Na)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린다. 자세 변경·정렬부(23)는 반송부(21)의 종단부로부터 기립 자세로 반송된 파(N)를 이어받음과 아울러 이어받은 파(N)의 중도부를 협지하고, 협지한 파(N)를 기립 자세로부터 외측방으로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경사진 경도 자세 자세로 자세 변경·정렬시키면서 일측 후상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그리고,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와 파냄부(20)와 반송부(21)는, 도 1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주행기체(1)에 기단부(후단부)를 피벗 지지해서 선단부측을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와 반송부(21)의 기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주행기체(1)에 설치한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을 지지하는 가로축 케이스(50)에 동축적으로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와 반송부(21)는 이들 선단 측부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파냄부(20)와 반송부(21)는 이것들의 선단 측부의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냄부(2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설치한 피벗축 수용체(26)에 지지 틀체(30)의 기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피벗축(31)을 개재해서 피벗 지지하여, 후술하는 승강 실린더(37)에 의해 전단부측을 승강 작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반송부(21)는 그 기단부에 반송부 전동 케이스(177)를 늘어뜨린 상태로 연동 연설하고 있다. 반송부 전동 케이스(177)의 배후에는, 후술하는 가로축 케이스(50)을 연장 설치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틀체(11)에 설치한 가로축 케이스 지지 스테이(58)에는 가로축 케이스(50)를 그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반송부(21)에는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시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반송부(21)와 자세 변경·정렬부(23)는, 반송 지지 프레임(46)을 통해서 반송부 전동 케이스(177)에 지지시키고 있다. 즉, 반송부(21)와 자세 변경·정렬부(23)는 가로축 케이스(50)를 통해서 가로축 케이스 지지 스테이(58)에 일체적으로 피벗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축 케이스(50)를 중심으로 반송부(21)가 상승 동작(하강 동작)하면, 자세 변경·정렬부(23)는 반대로 하강 동작(상승 동작)한다.
파냄부(20)의 앞부에 설치한 후술의 파냄 컨베이어(32)와, 반송부(21)의 하면 전단부에 연장 설치한 반송 지지 프레임(46)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연장 설치체(46a)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유단계로 신축 조절 가능하게 한 좌우 한쌍의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 20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 20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조절함으로써 파냄 컨베이어(32)의 전단부와 반송부(21)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는 파냄 컨베이어(32)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제 1 하부측 조절편(210)과, 연장 설치체(46a)로부터 늘어뜨려 설치 한 제 1 상부측 조절편(220)을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각 조절편(210, 2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하부측 조절 구멍(230, 240)을 형성하고 있다. 양 조절편(210, 220)은, 적당하게 내외측에 중합 상태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양 조절 구멍(230, 240)을 부합키켜서, 부합된 양 조절 구멍(230, 240) 중에 연결 볼트(250, 250)를 삽통시켜서 연결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이랑 어깨 붕괴부(60, 60)는, 후술하는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61)를 통해서 가로축 케이스(50)에 동축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각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의 전단부측은 가로축 케이스(50)에 그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전방 연신축 케이스(61, 61)의 앞부와 연장 설치체(46a)의 앞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무단계로 신축 조절 가능하게 한 좌우 한쌍의 제 2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300, 300)를 설치하고 있다. 각 제 2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300, 30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조절함으로써 이랑 어깨 붕괴부(60, 60)의 전단부와 반송부(21)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2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300)는 전방 연신축 케이스(61)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제 2 하부측 조절편(310)과, 연장 설치체(46a)로부터 늘어뜨려 설치한 제 2 상부측 조절편(320)을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제 2 하부측 조절편(3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전후 한쌍의 긴 구멍(330, 330)을 형성하는 한편, 제 2 상부측 조절편(320)에는 전후 한쌍의 조절 구멍(340, 340)을 형성하고 있다. 양 조절편(310, 320)은 적당하게 내외측에 중합 상태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양 구멍(330, 340)을 부합시켜서 부합된 양 구멍(330, 340) 중에 조절 볼트(350, 350)를 삽통해서 연결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양 조절편(310, 320)은 조절 볼트(350, 350)의 조임을 이완시킴으로써 제 2 하부측 조절편(310)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절하고, 그 후에 조절 볼트(350, 350)를 조임으로써 간격 조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랑 어깨 붕괴부(60)의 내측부에는 좌우 측방으로 돌출한 파(N)의 마른 잎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70)를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체(70)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N)가 재배되고 있는 이랑(U)의 상단 위치(Ua)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반송부(21)의 선단부 상방 위치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이랑 어깨 붕괴부(60)의 전후 폭(L1)보다 폭이 넓은 가이드체 전후 폭(L2)에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어 케이스(62)의 둘레벽에는 비산 방지 커버(69)를 부착하고 있다. 비산 방지 커버(69)는 측방 피복 커버편(69a)과 상방 피복 커버편(69b)을 갖고 있다. 측방 피복 커버편(69a)은 기어 케이스(62)에 연동 연결한 부착 원판(64)과, 부착 원판(64)에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시킨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의 외측방을 피복하고 있다. 또한, 상방 피복 커버편(69b)은 부착 원판(64) 및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의 직상방을 피복하고 있다.
상방 피복 커버편(69b)에는 부착체(74)를 통해서 가이드체(70)를 부착하고 있다. 부착체(74)는 사각형 판 형상의 부착편(74a)과, 부착편(74a)의 내측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 수하편(74b)으로 형성하고 있다. 부착편(74a)은 상방 피복 커버편(69b)의 상면에 중합 상태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슬라이딩 조절용 긴 구멍(75, 75)을 통해서 슬라이딩 조절용 볼트(76, 76)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수하편(74b)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곧은 막대 형상으로 연신하는 가이드체(70)의 중도부를 부착하고 있다. 가이드체(70)의 앞부와 수하편(74b)의 상부의 사이에는 가이드체(70)의 앞부를 보강하는 막대 형상의 보강편(77)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일어난다.
(1) 이랑 어깨 붕괴부(60)와 반송부(21)의 선단 측부의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는, 제 2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300)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파(N)가 재배되고 있는 이랑(U)의 형상이나 높이에 적응한 파(N)의 수확이 견실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이랑 어깨 붕괴부(60)에 의해 이랑(U)의 양 어깨를 필요한 깊이까지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에, 이랑(U)에 대한 파냄부(20)의 진입 저항을 견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최저한의 부하와 견인력을 갖는 주행기체(1)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주행기체(1)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반송부(21)는 이랑(U)과 간섭하지 않는 가급적 낮은 위치에서, 또한 파(N)의 잎부(Nb)의 견고한 부위를 협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부(21)에 의한 파(N)의 반송이 안정되고, 파(N)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2) 파냄부(20)와 반송부(21)의 선단 측부의 상대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에 의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상하 상대 위치를 이랑(U)의 높이에 적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송부(21)의 선단부측을 파(N)의 최적인 협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서 파(N)의 반송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3) 이랑 어깨 붕괴부(60)와 반송부(21)의 기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주행기체(1)에 설치한 수확부 전동 가로축(150)에 동축적으로 피벗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파 수확기(A2)의 구조의 간소화와 컴팩트화와 저렴화를 꾀할 수 있다.
(4) 가이드체(70)에 의해 측방으로 돌출한 파(N)의 마른 잎 등은, 파(N)가 재배되고 있는 이랑(U)의 상단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반송부(21)의 선단부 상방 위치까지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측방으로 돌출한 파(N)의 마른 잎 등이 이랑 어깨 붕괴부(60)와 간섭하여, 예를 들면 이랑 어깨 붕괴부(60)의 이랑 어깨 붕괴 클로(65)에 말려들어 파(N)의 자세가 어지럽혀지는 것이나, 파(N)가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부(21)가 파(N)를 최적 위치에서 견실하게 협지해서 반송할 수 있어서 파(N)의 반송성과 상품가치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자세 변경·정렬부(2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자세 변경·정렬부(23)는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N)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주행기체(1)의 일측(제 2 실시예형태서는 좌측)에 있어서 주행기체(1)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외측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중도부가 협지된 파(N)의 잎부(Nb)측과 뿌리줄기부(Na)측에는,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23)를 따라 연신하는 잎부측 가이드체(87)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를 설치하고, 각 가이드체(87, 88)에 의해 파(N)의 잎부(Nb)측과 뿌리줄기부(Na)측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잎부측 가이드체(87)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는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각 가이드체(87, 88)의 종단부는 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단부로 하고 있다. 양 돌출 단부의 하방에는 수집부(25)를 배치하고,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반송된 파(N)가 수집부(25) 상에 낙하되어서 수집되도록 하고 있다. 잎부측 가이드체(87)의 돌출 단부에는 연장 가이드체(89)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있다. 연장 가이드체(89)는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퇴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잎부측 가이드체(87)는 자세 변경·정렬부(23)를 따라 연신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전후 한쌍의 가이드편(87a, 87b)과, 양 가이드편(87a, 87b)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87c)을 구비하고 있다. 각 가이드편(87a, 87b)의 종단부는 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단부(87d, 87e)로 되어 있다. 한편, 연장 가이드체(89)는 평면으로 보아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후 한쌍의 돌출 단부(87d, 87e)에는 연장 가이드체(89)의 양 기단부를 부착하고 있다. 연장 가이드체(89)는 양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퇴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 변경·정렬부(23)를 구성하는 한쌍의 이송체(80, 80)는 반송부(21)를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반송체(42, 42)의 후단부의 직하방 위치에 있어서 기단부(전단부)끼리가 좌우로 대향 배치되는 한편, 반송체(42, 42)의 후단부의 좌측 후방 위치에 있어서 선단부(후단부)끼리가 상하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가 하측의 이송체(8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이송체 프레임(84)을 설치하고 있고, 이송체 프레임(84)의 선단부에는 종동 풀리(82)를 부착하고 있다. 이송체 프레임(84)의 중도부에는 상방을 향해서 상부측 스테이(400)를 돌출하고, 상부측 스테이(400)에 잎부측 가이드체(87)를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이송체 프레임(84)의 기단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하부측 기단부 스테이(500)를 돌출함과 아울러, 이송체 프레임(84)의 선단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하부측 선단부 스테이(510)를 돌출하고, 양 스테이(500, 510)에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를 가로로 걸친 형상으로 지지시키고 있다.
상부측 스테이(400)는 이송체 프레임(84)에 돌출한 스테이 본편(410)과, 스테이 본편(410)의 선단(상단)에 펼쳐 설치한 고정판편(420)과, 고정판편(42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가동용 피벗축(430)과, 가동용 피벗축(430)에 보스부(440)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한 가동판편(450)과, 양 판편(420, 450)에 고정·해제 핀(460)을 관통 형상으로 꽂고 빼기 해서 고정판편(420)에 가동판편(450)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체(47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해제 핀(460)은 압박 스프링(480)의 가압력에 의해 진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가동판편(450)을 고정, 즉 가동용 피벗축(43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한다. 한편, 압박 스프링(480)의 가압에 저항해서 후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가동판편(450)을 고정 해제, 즉 가동용 피벗축(43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한다.
잎부측 가이드체(87)는 가동판편(450)의 상면 뒷부를 따르게 해서 뒤의 가이드편(87b)의 내측 단부를 고정하고, 가동판편(450)의 상면의 우측단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한 입설편(490)을 따르게 해서 앞의 가이드편(87a)의 내측 단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그 중도부로부터 외측 후방을 향해서 하행 경사상으로 연신시켜서 양 가이드편(87a, 87b)의 외측단을 수집부(25)의 직상방 위치에서 전후로 대향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파(N)의 잎부(Nb)측은 양 가이드편(87a, 87b) 상을 내측방으로부터외측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기립 자세로부터 전경 자세 또한 횡와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각 가이드편(87a, 87b)의 종단부(외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 단부(87d, 87e)에는 피벗 지지핀(89c, 89d)을 통해서 연장 가이드체(89)의 양 기단부(89a, 89b)를 피벗 지지 연결하고 있다. 뒤의 가이드편(87b)의 외측 단부에 늘어뜨려 설치한 제 1 스프링 연결편(87f)과, 뒤의 기단부(89b)에 늘어뜨려 설치한 제 2 스프링 연결편(89e)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78)을 개재하고 있다. 79는 돌출 단부(87e)에 돌출시킨 스토퍼 핀이며, 스토퍼 핀(79)에 인장 스프링(78)에 의해서 회동 가압된 기단부(89b)를 하방으로부터 접촉시켜서, 연장 가이드체(89)의 선단부측이 외측 하방으로 내려가게 경사진 소정의 자세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파(N)의 잎부(Nb)는 연장 가이드체(89)를 따라서 수집부(25)를 향해서 하강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있다. i는 피벗 지지핀(89c, 89d)의 축선이다. 연장 가이드체(89)는 축선(i)을 중심으로 하고, 수집부(25)로부터 이격하는 퇴피 방향(f)인 상방향으로 튀어오른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연장 가이드체(89)의 선단부측이 하방으로부터 압박되면, 연장 가이드체(89)는 인장 스프링(78)의 가압에 저항해서 축선(i)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반송부(21)의 전단부측이 상승됨과 아울러 후단부측 및 자세 변경·정렬부(23)가 하강되었을 때에, 연장 가이드체(89)의 선단부측이 수집부(25)와 간섭하면, 연장 가이드체(89)는 상방으로 회동되어서 퇴피 동작한다. 따라서, 연장 가이드체(89)와 수집부(25)의 어느 것이나 손상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퇴피 방향(f)으로 회동된 연장 가이드체(89)는 스토퍼 핀(79)에 기단부가 접촉함으로써 퇴피 회동이 규제된다.
잎부측 가이드체(87)는 가동용 피벗축(430)의 축선(g)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회동 방향(h)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자세 변경·정렬부(23)를 따르게 해서 배치한 사용 위치(슬라이딩 안내 위치)와, 반송부(21)를 따르게 해서 배치한 비사용 위치(수납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는 직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이송체 프레임(84)에 돌출한 하부측 기단부 스테이(500)와 하부측 선단부 스테이(510)의 사이에서 가로로 걸침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의 외측 단부(88a)는 하행 경사 자세의 연장 가이드체(89)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여 하행 경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에는 한쌍의 이송 벨트(83, 83)에 중도부가 협지된 파(N)의 뿌리줄기부(Na)가 외측 후방을 향해서 슬라이딩 안내됨과 아울러, 외측 단부(88a)에는 뿌리줄기부(Na)가 수집부(25)를 향해서 슬라이딩 안내된다. 이 때, 외측 단부(88a)는 파(N)의 잎부(Nb)측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연장 가이드체(89)와 동일 평면 상에 있어서 하행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 가이드체(89)와 협동해서 파(N)의 자세를 어지럽히지 않고 수집부(25)측에 파(N)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집부(25) 상에서는 파(N)가 정연하게 수집되어서 편안히 파(N)를 회수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반송체(42)의 종단부에는 체인 전동기구(86)를 내장하는 편평 판 형상의 체인 전동 케이스(60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반송체(42)의 종단부에는 반송부(21)로부터 자세 변경·정렬부(23)에 파(N)의 중도부를 이어받아 가이드하기 위한 이어받기 가이드체(610)를 부착하고 있다.
즉, 이어받기 가이드체(610)는 막대 형상체를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고, 좌측의 반송체(42)의 종단부에 부착 브래킷(620)을 통해서 기단부(전단부)(630)를 부착하고 있다. 이어받기 가이드체(610)의 중도부(640)는 반송부(21)의 종단부로부터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시단부에 계속되는 파(N)의 반송로를 따르도록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이어받기 가이드체(610)의 선단부(650)은 잎부측 가이드체(87)의 시단부의 상방향에 중합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21)의 종단부로부터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시단부로 이어받아진 파(N)의 잎부(Nb)측이, 이어받기 가이드체(610)로부터 잎부측 가이드체(87)로, 자세를 기립 자세로부터 전경 자세로 변경되면서 원활하고 또한 견실하게 이어받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일어난다.
(1) 자세 변경·정렬부(23)는 파(N)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주행기체(1)의 일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있어서 주행기체(1)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외측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자세 변경·정렬부에 중도부가 협지된 파(N)의 잎부(Nb)측과 뿌리줄기부(Na)측에는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23)를 따라 연신하는 잎부측 가이드체(87)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를 설치하여, 각 가이드체(87, 88)에 의해서 파(N)의 잎부(Nb)측과 뿌리줄기부(Na)측을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파(N)의 잎부(Nb)측과 뿌리줄기부(Na)측이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되는 파(N)는 기립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자세 변경되면서, 주행기체(1)의 일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있어서 주행기체(1)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외측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주행기체(1)의 타물과 간섭할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파(N)의 아래로 드리워짐이나 타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파(N)의 수확 작업 능률이나 상품가치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2)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23)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연신시켜서 형성한 잎부측 가이드체(87)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88)의 종단부는 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단부(87d, 87e)로 하고, 양 돌출 단부(87d, 87e)의 하방에는 수집부(25)를 배치하고, 자세 변경·정렬부(23)에 의해 반송된 파(N)가 수집부(25) 상에 낙하되어서 수집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확된 파(N)는 견실하게 수집부(25)에 수집된다.
(3) 주행기체(1)에 자세 변경·정렬부(23)를 승강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한편, 주행기체(1)에 수집부(25)를 고정시켰을 경우, 자세 변경·정렬부(23)를 상승 회동시키면, 그 회동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연장 가이드체(89)는 하강해서 수집부(25)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지만, 연장 가이드체(89)는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퇴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 가이드체(89)가 수집부(25)에 대하여 퇴피 회전함으로써 어느 것이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잎부측 가이드체(87)가 자세 변경·정렬부(23)를 따라서 연신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편(87a, 87b)과, 양 가이드편(87a, 87b)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87c)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파(N)의 잎부(Nb)측을 폭넓게 하방으로부터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어서, 잎부(Nb)측의 아래로 드리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가이드체(89)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 한쌍의 돌출 단부(87d, 87e)에 연장 가이드체(89)의 양 기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연장 가이드체(89)는 양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퇴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 가이드체(89)가 수집부(25)에 대하여 퇴피 회동함으로써 어느 것이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확부의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
각 작업부인 파냄부(20)와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는 주행기체(1)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동일 직선(L)(도 15 참조) 상에 설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들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주행기체(1)에 설치한 탑승용 스텝부(24)를 설치하고 있다. 즉, 주행기체(1)의 좌우 중심선인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있어서 파냄부(20)와 반송부(21)와 스크레이핑부(22)와 탑승용 스텝부(24)는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하고 있다.
반송부(21)는 좌우 한쌍 앞측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와 뒷측 지지 프레임(41)과 반송 지지 프레임(46)을 개재하여 일으키기 컨베이어(32)의 직상방에 평행 상태로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21)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쌍의 반송체(42, 42)를 설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반송체(42)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종동 풀리(43)와 구동 풀리(44)에 반송 벨트(45)를 감아서 형성하고 있다(도 12 참조). 좌우로 대향하는 양 반송체(42, 42)의 시단부(전단부)로부터 종단부(후단부)를 향해서 이송하는 반송 벨트 왕로 측부(45a, 45a)끼리는 대면 상태에서 면접촉시키고 있고, 반송 벨트 왕로 측부(45a, 45a)끼리가 파(N)의 잎부(Nb)를 협지함과 아울러, 협지한 상태에서 파(N)를 후상방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파냄 컨베이어(32)의 좌측부와 좌측의 반송체(42)의 앞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파냄 컨베이어(32)의 우측부와 우측의 반송체(42)의 앞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후술하는 반송부 전동 가로축(170)을 축지지하는 전동 가로축 케이스(47)의 좌우 측부에는, 후술하는 좌우 한쌍의 풀리 구동축(85, 85)을 축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구동축 케이스(48, 48)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좌측의 뒷측 지지 프레임(41)은 좌측의 구동축 케이스(48)와 좌측의 반송체(42)의 뒷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뒷측 지지 프레임(41)은 우측의 구동축 케이스(48)와 우측의 반송체(42)의 뒷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좌측의 반송 지지 프레임(46)은 좌측의 반송체(42)의 앞부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좌측 앞부의 사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반송 지지 프레임(46)은 우측의 반송체(42)의 앞부와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우측 앞부의 사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용 스텝부(24)의 지상 높이는, 즉 주행부(10)가 지면에 접하는 하면으로부터 탑승용 스텝부(24)의 하면까지의 높이는, 일정 높이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200㎜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파낸 후의 이랑(U) 상에, 후술하는 수확부(2)의 파냄부(20)나 스크레이핑부(22)에 의해 떨어뜨려진 파(N)의 부착토가 퇴적되었다고 해도, 퇴적토(D)의 높이는 최대 150㎜ 정도므로, 퇴적토(D)의 높이가 원인이 되어 주행기체(1)가 주행불능으로 될 일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한 주행기체(1)에서는, 작업자(Op)가 탑승하는 수평 판 형상의 탑승용 스텝부(24)는 후술하는 수확부(2)의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가상 동일 직선(L) 상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 틀체(11)의 후단부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Op)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용 스텝부(24) 상에 탑승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저 후고의 경사상으로 평행시켜서 배치된 파냄부(20)와 반송부(21)의 직후방 위치에 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Op)는 파냄부(20)와 반송부(21)의 사이의 반송 공간 및 반송부(21)의 직상방의 반송 공간에 있어서, 수확된 파(N)가 작업자(Op)의 시선을 따라서 직전 하방 위치로부터 작업자(Op)에게 접근해 오는 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는 것을, 전방을 시인하는 작업자(Op)의 시계 내에서 견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로서의 파 수확기(A2)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자가 주행 가능한 주행기체에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를 구비한 파 수확기로서,
수확부는 각 작업부로서 파를 파내는 파냄부와, 파냄부에 의해 파내어진 파의 중도부를 협지하고, 협지한 파를 기립 자세인 채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반송부의 종단부로부터 기립 자세로 반송된 파를 이어받음과 아울러 이어받은 파의 중도부를 협지하고, 협지한 파를 기립 자세로부터 외측방으로 경사진 경도 자세 자세로 자세 변경·정렬시키는 자세 변경·정렬부를 구비하고,
자세 변경·정렬부는 파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주행기체의 일측에 있어서 주행기체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외측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자세 변경·정렬부에 중도부가 협지된 파의 잎부측과 뿌리줄기부측에는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를 따라서 연신하는 잎부측 가이드체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를 설치하고, 각 가이드체에 의해 파의 잎부측과 뿌리줄기부측을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2) 잎부측 가이드체와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는 각각 자세 변경·정렬부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각 가이드체의 종단부는 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단부로 하고, 양 돌출 단부의 하방에는 수집부를 배치하여 자세 변경·정렬부에 의해 반송된 파가 수집부 상에 낙하되어서 수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기재의 파 수확기.
(3) 잎부측 가이드체의 돌출 단부에는 수집부 상에 파를 안내하는 연장 가이드체의 기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연장 가이드체는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퇴피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기재의 파 수확기.
(4) 잎부측 가이드체는 자세 변경·정렬부를 따라서 연신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편과, 양 가이드편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각 가이드편의 종단부는 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단부로 하는 한편,
연장 가이드체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후 한쌍의 돌출 단부에 연장 가이드체의 양 기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연장 가이드체는 양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퇴피 회동 가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기재의 파 수확기.
상기와 같이 구성한 파 수확기(A2)에 의하면, 파낸 파의 자세를 변경할 때에 파의 아래로 드리워짐이나 타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의 수확 작업 능률이나 상품가치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A1, A2 : 파 수확기 N : 파
Na : 뿌리줄기부 Nb : 잎부
Op : 작업자 1 : 주행기체
2 : 수확부 20 : 파냄부
21 : 반송부 22 : 스크레이핑부
23 : 자세 변경·정렬부 24 : 탑승용 스텝부
54 : 회전체 57 : 돌출편
70 : 가이드체 87 : 잎부측 가이드체
88 : 뿌리줄기부측 가이드체 200 : 제 1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
300 : 제 2 상하 방향 간격 조절체

Claims (5)

  1. 자가 주행 가능한 주행기체에 파를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파를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를 구비한 파 수확기로서,
    수확부는 각 작업부로서 파를 파내는 파냄부와, 파냄부에 의해 파내어진 파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면서 파의 뿌리줄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흙 덩어리를 긁어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핑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반송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쌍의 반송체를 설치해서 구성하고, 파를 좌우의 반송체 사이에 협지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이고,
    각 작업부는 주행기체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함과 아울러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반송체에 의한 파의 협지 위치에 위치하는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하고,
    주행기체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용 스텝부를, 각 작업부의 후방이며 또한 평면으로 보아 상기 가상 동일 직선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부는 전저 후고의 경사상으로 배치하여 파내어진 기립 자세의 파의 중도부를 협지한 상태에서, 그 파를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부의 직후방 위치에는 반송부에 의해 기립 자세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되는 파를 이어받아서, 이어받은 파를 기립 자세로부터 외측방으로 경사진 경도 자세 자세로 자세 변경함과 아울러 정렬시키는 자세 변경·정렬부를 설치하고,
    자세 변경·정렬부는 파를 자세 변경·정렬하면서 일측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자세 변경·정렬부의 후하방 위치에는 파를 수집하는 판 형상의 수집부를 설치하여, 자세 변경·정렬부에 의해 자세 변경·정렬된 파가 수집부에 수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탑승용 스텝부를 사이에 두고서 수집부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주행기체 및 각 작업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수확기.
KR1020167021690A 2014-03-19 2014-12-09 파 수확기 KR101945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6751A JP6228050B2 (ja) 2014-03-19 2014-03-19 ねぎ収穫機
JPJP-P-2014-056751 2014-03-19
JPJP-P-2014-220289 2014-10-29
JP2014220289A JP6317233B2 (ja) 2014-10-29 2014-10-29 ねぎ収穫機
PCT/JP2014/082502 WO2015141079A1 (ja) 2014-03-19 2014-12-09 ねぎ収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420A KR20160133420A (ko) 2016-11-22
KR101945605B1 true KR101945605B1 (ko) 2019-02-07

Family

ID=541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690A KR101945605B1 (ko) 2014-03-19 2014-12-09 파 수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45605B1 (ko)
CN (1) CN106102445B (ko)
WO (1) WO2015141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539B (zh) * 2016-08-17 2019-09-13 山东沃华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履带式大葱收获机的纵向输送装置
CN112930834B (zh) * 2021-01-18 2024-03-19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根茎类作物茎秧夹持输送装置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004A (ja) * 2003-04-30 2004-11-25 Kobashi Kogyo Co Ltd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土落とし装置
JP2005176784A (ja) 2003-12-22 2005-07-07 Kobashi Kogyo Co Ltd ねぎ搬送装置
JP4531967B2 (ja) 2000-12-08 2010-08-25 小橋工業株式会社 ねぎ収穫機における整列搬送装置
JP4599497B2 (ja) 2005-03-18 2010-12-15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作物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021A (ja) 2002-04-25 2003-11-05 Kobashi Kogyo Co Ltd ねぎ収穫機における切断葉落下位置変更装置
JP2004267163A (ja) * 2003-03-11 2004-09-30 Seirei Ind Co Ltd 白ネギ収穫機
JP2013226110A (ja) * 2012-04-27 2013-11-07 Iseki & Co Ltd 作物収穫機
JP2014007978A (ja) * 2012-06-28 2014-01-20 Iseki & Co Ltd 農作物収穫機
CN202679980U (zh) * 2012-08-06 2013-01-23 徐子勇 大葱收获机
CN103597946A (zh) * 2013-10-30 2014-02-26 青岛锐秀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大葱联合收获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967B2 (ja) 2000-12-08 2010-08-25 小橋工業株式会社 ねぎ収穫機における整列搬送装置
JP2004329004A (ja) * 2003-04-30 2004-11-25 Kobashi Kogyo Co Ltd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土落とし装置
JP2005176784A (ja) 2003-12-22 2005-07-07 Kobashi Kogyo Co Ltd ねぎ搬送装置
JP4599497B2 (ja) 2005-03-18 2010-12-15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作物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420A (ko) 2016-11-22
WO2015141079A1 (ja) 2015-09-24
CN106102445B (zh) 2019-02-22
CN106102445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5606B2 (ja) 農作物収穫機
KR101945605B1 (ko) 파 수확기
JP6773083B2 (ja) 根菜類収穫機
JP6006020B2 (ja) 枝豆収穫機
JP2016086643A (ja) ねぎ収穫機
JP5194511B2 (ja) 根菜類収穫機
JP5853467B2 (ja) 根菜類収穫機
JP4364965B2 (ja) 歩行形野菜収穫機
JP6299512B2 (ja) 根菜類収穫機
JP6171582B2 (ja) 根菜類収穫機
JP6408384B2 (ja) 根菜収穫機
JP2014060982A (ja) 作物引抜収穫機
JP2017029059A (ja) 根菜類収穫機
JP4286567B2 (ja) 青葱収穫機
JP3669767B2 (ja) 根菜収穫機の前処理装置
JP6830622B2 (ja) 根菜収穫機
JP3184788B2 (ja) 根茎収穫機
JP2013169179A (ja) 根菜収穫機
JP5861389B2 (ja) 根菜類収穫機
JP6252364B2 (ja) 根菜類収穫機
JP2017131187A (ja) 根菜類収穫機
JP2002272233A (ja) 乗用型根菜類収穫機
KR102492355B1 (ko)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JP3222825B2 (ja) 根菜類収穫機
JP2016116472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