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79B1 -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79B1
KR101944679B1 KR1020187006381A KR20187006381A KR101944679B1 KR 101944679 B1 KR101944679 B1 KR 101944679B1 KR 1020187006381 A KR1020187006381 A KR 1020187006381A KR 20187006381 A KR20187006381 A KR 20187006381A KR 101944679 B1 KR101944679 B1 KR 10194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water
dtex
polyest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547A (ko
Inventor
유코 야기
데츠하루 오바야시
히로코 쿠라타니
Original Assignee
유니티카 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티카 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티카 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03D15/04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04B1/20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crimp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Abstract

경량성이 뛰어나고 탄력감이 충분한 데다, 로터스 효과에 의한 발수성이 현저하게 뛰어난 발수성 직편물을 제공한다.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된 발수성 직편물이다.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며, 총섬도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이 1 / 20 ~ 1 / 5의 범위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이다.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정하중법, 하중 14.7 N)가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3 % 이하이며,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120 % 이하이다.

Description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수성능을 가지는 직편물이 유니폼 의류, 스포츠 의류 등의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많은 발수성 직편물이 제안되고 있다. 요즘에는, 직편물에 부가가치를 갖게하는 관점에서 보다 저렴하고, 높은 발수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직편물 표면에 미세한 요철구조(돌출부)를 설치하고, 이에 따라, 물방울을 점으로 유지하는 로터스 효과를 발현시키고, 또한, 공기 유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수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있다. 이러한 기술로 직편물의 구조를 특별히 궁리하지 않고도, 종래 공지의 저렴한 불소계 발수제 등을 사용하여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제 2015-98661 호 공보
스포츠웨어, 유니폼웨어 용도의 직편물에 있어서는, 쾌적성 또는 착용감의 관점에서 발수성뿐만 아니라, 뛰어난 경량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경량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총섬도가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경량화를 위해서, 총섬도가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사용량을 늘리면, 초측에 있는 총섬도가 비교적 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볼륨이 줄기 때문에, 미세한 돌출부를 유지하지 못해, 직편물 표면이 평탄하도록 하기 위해서 발수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탄력(resilience)감도 부족하다. 이에, 본 발명은 경량성이 뛰어나 탄력감이 충분하고, 로터스 효과에 의한 발수성이 현저하게 뛰어난 발수성 직편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구성섬유로 섬도가 다른 2 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며, 한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열수처리에 의해 수축하는 것을 사용한 혼섬교락사(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을 포함하는 직편물에 대해서, 열수수축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섬유를 충분히 돌출 시키는 동시에, 돌출부를 유지시키기 쉽고, 또한, 직편물의 신축성이 억제되어 공극이 저감되기 때문에, 해당 직편물에 발수가공을 실시하면, 세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발수성이 뛰어나고, 또한, 탄력감이 뛰어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법으로 얻을 수 있는 발수성 직편물은, 하기 (i) ~ (iv)의 특성을 갖는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되어있는,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이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3 % 이하,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120 % 이하인 특징을 구비하는 것을 발견했다.
(i)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고, 총섬도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된다.
(ii)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가 1 / 20 ~ 1 / 4의 범위이다.
(iii)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질량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이다.
(iv)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제시하는 양태의 발명을 제공한다.
(1)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된 발수성 직편물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가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가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3 % 이하이며,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120 % 이하인, 발수성 직편물.
(2) 제 (1)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의 교락수가 90 ~ 300 개 / m 의 범위인, 발수성 직편물.
(3) 제 (1) 또는 제 (2)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질량이 200 g / m2 이하인, 발수성 직편물.
(4) 제 (1) 내지 제 (3)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버팩터(CF)가 1500 ~ 3000의 범위에 있고, 물방울 회전(roll) 각도가 40도 이하인, 발수성 직편물.
(5) 제 (1) 내지 제 (4)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발수성 직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장도(extensibility)가 18 ~ 50 % 인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직편하여, 생기(gray fabric)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생기를 열수수축 처리하여, 저신축성 직편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저신축성 직편물을 발수가공하여, 발수성 직편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6) 제 (5)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이,
(1) 단사섬도가 1.0 ~ 10.0 dtex, 총섬도가 30 ~ 200 dtex, 신장도가 80 ~ 15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배율 1. 3 ~ 1.7 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얻는 연신공정, 또는,
단사섬도가 0.6 ~ 4.8 dtex, 총섬도가 18 ~ 96 dtex, 신장도가 15 ~ 6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준비하는 공정과,
(2) 단사섬도가 0.20 ~ 1.44 dtex, 총섬도가 30 ~ 160 dtex, 신장도가 80 ~ 150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공속도 100 ~ 700 m / 분, 연신배율 1.1 ~ 1.6 배의 조건에서 가연하고,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 가연공정과,
(3) 상기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유체노즐을 이용하여, 공기압 0.1 ~ 1.0 Mpa,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의 오버피드율 차가 0 ~ 10.0 %의 조건으로 혼섬교락하는 혼섬교락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7) 제 (5) 또는 제 (6)에 있어서,
상기 생기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발수성 직편물의 두께가 1.01 ~ 2.00 배인,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8) 혼섬교락사를 포함하는 저신축성 직편물로 이루어진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의 중간체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며, 총섬도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가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정하중법, 하중 14.7 N)가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3 % 이하이며,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120 % 이하인, 제조 중간체.
본 발명에서는, 경량성을 높이기 위해서, 세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해도 직편물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 유지되기 쉽고, 공극이 저감된다. 이 직편물에 발수가공하면, 돌출부에 물방울이 접촉했을 때, 물의 표면장력이 충분히 발휘되기 때문에, 직편물에 뛰어난 발수특성(구체적으로는, 물방울을 얹은 직편물에 각도를 붙이면, 물방울이 굴러 떨어지는 로터스 효과)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있어도, 지나치게 부드러워지게 되지않고, 탄력감이 뛰어난 감촉의 직편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처럼 뛰어난 높은 발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게다가, 탄력감이 뛰어난 직편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단면부분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2]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공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발수성 직편물의 단면부분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특정의 구성을 갖는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으며,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N)이,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3 % 이하,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1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혼섬교락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된다. 이 혼섬교락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어, 해당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요철부)가 형성되어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를 각각 상술의 특정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양자를 충분히 얽히게 할 수 있다. 이 얽힘에 의한,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기 쉬워져,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 표면에서는, 소위 로터스 효과가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는,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루프, 늘어짐 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외측에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혼섬교락사의 돌출부의 상에 물방울이 얹힌 경우, 물방울이 혼섬교락사의 내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돌출부에 의한 소위 로터스 효과가 발현되고, 뛰어난 발수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술대로, 이 혼섬교락사는, 특정의 단사섬도를 갖는 2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 B를 특정의 질량비로 혼섬한 것이기 때문에, 표면부분에 상대적으로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완만하게 결합한 부분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이 가는 섬유가 결합한 부분은, 공기를 유지하기 쉬운 층(공기 유지층)을 형성한다. 돌출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결합한 이 부분에서 돌출하고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돌출부의 내측(혼섬교락사의 측)에는,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완만하게 결합해 형성된 상기의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에 수분이 이행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또한, 혼섬교락사에서 공기 유지층의 더욱 내측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결합하고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총섬도를 각각 상술의 특정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뛰어난 발수성을 갖추게 되고, 경량성이 뛰어나 탄력감이 뛰어난 발수성 직편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단순히 구성섬유의 섬도를 가늘게 하는 것만으로는, 볼륨이 저감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유지되기 어려워 발수성 떨어지고, 또한, 탄력감이 떨어지는 직편물 밖에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재료섬유로서, 열수수축성의 높은 것을 이용하고, 열수수축 처리가 된 혼섬교락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 섬유 B는, 충분히 열 수축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현저하게 유지시키기 쉽고, 세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섬도를 충분히 가늘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돌출부가 유지된다. 또한, 직편물의 신축성이 억제되고, 스트레치성이 약해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평탄한 구조로 되기 어렵고, 구성섬유 사이의 공극이 저감된다. 그 결과, 발수성이 현저하게 뛰어난 직편물로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충분히 열수축한 상태이기 때문에, 부드러워지게 되고, 탄력감이 뛰어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직편물에 대해서,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혼섬교락사로 한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단사섬도로는, 바람직하게는 0.2 ~ 0.8 dtex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 .6 dtex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5 dtex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0.5 dtex 정도가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단사섬도가 0.2 dtex 미만이 되면, 섬유가 지나치게 가늘어져서 개섬효과가 부족해지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얽힘효과가 작아지고, 교락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단사섬도가 0.9 dtex를 넘어서면, 섬유가 강직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혼섬이 불충분하게 되어, 교락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굵어지면, 직편물로 했을 때,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더욱이 섬유가 강직되기 때문에, 상술과 같은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소망의 발수성능을 얻기 힘들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총섬도는, 30 ~ 100 dtex이며, 30 ~ 85 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80 dtex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0 dtex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얽힘이 충분하고, 교락상태가 양호하게 되며, 돌출부 및 공기 유지층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100 dtex 이하이면, 경량성이 뛰어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가, 1.0 dtex미만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해 형성된 상기의 미세한 돌출부를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와 같은 정도가 되면, 혼섬교락사를 갖는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서, 탄력이 없는 직편물이 되기 쉬워진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가 5.0 dtex를 넘어서면, 상기 범위의 단사섬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혼섬한 경우에도, 직편물 전체적으로 딱딱한 감촉의 것으로 된다. 이러한 직편물은, 의류용 직편물 등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가 5.0 dtex를 넘어서면, 교락상태가 나빠져 직편물의 표면에 상기와 같은 미세한 돌출부를 형성하기 어렵게 되고, 직편물에 대해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뛰어난 발수성을 갖추면서, 뛰어난 탄력감을 효과적으로 갖추게 한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단사섬도로는, 바람직하게는 1.5 ~ 4.0 dtex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5 dtex 정도가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총섬도는, 30 ~ 100 dtex이며, 32 ~ 90 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90 dtex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75 dtex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0 dtex이상이면, 돌출부 및 공기 유지층을 형성, 유지하기 쉬워진다. 100 dtex 이하이면, 경량성이 뛰어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는, 1 / 20 ~ 1 / 4로 설정하면 되지만, 1 / 20 ~ 1 / 5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5 ~ 1 / 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 10 ~ 1 /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보다 경량으로 만들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섬도를 충분히 작게해도,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되기 쉬우면서도, 유지하기 쉬운 혼섬교락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이, 공극이 저감되기 때문에 발수성에서 현저하게 뛰어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 혼섬교락사에서의 가연권축의 정도, 즉, 권축율(捲縮率)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혼섬교락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열 수축에 의해, 표면부분에 상기와 같은 돌출부를 형성 또는 유지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열 수축하기 때문에, 혼섬교락사로서의 권축율은, 실질적으로는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혼섬교락사의 권축율이 10 %를 넘어서면, 열수축처리가 불충분하고, 소망의 발수성 및 직편물로서의 양호한 탄력감이 발현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혼섬교락사의 권축률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먼저, 틀 주위 1.125 m의 검척기를 이용하여, 감은 수 5 회로 혼섬교락사를 실패에 감은 후, 실패를 실온 하 프리상태에서 스탠드에 하루낮밤 매달아 놓는다. 다음에, 실패에 0.000147 cN / dtex의 하중을 건 채로 비수 중에 투입하고, 30분간 습열 처리한다. 그 후, 실패를 꺼내어 수분을 여과지로 가볍게 취하고, 실온 하 프리상태에서 30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실패에 0.000147 cN / dtex의 하중 및 0.00177 cN / dtex(경하중)을 걸고, 길이 X를 측정한다. 이어, 0.000147 cN / dtex의 하중은 걸어둔 채로, 경하중을 대신하여 0.044 cN / dtex의 하중(중하중)을 걸고, 길이 Y를 측정한다. 그 후, 권축율 (%) = (Y - X) / Y Х 100 되는 식에 기초해 산출한다. 권축률의 측정은, 혼섬교락사의 5 본에 대해 실시하고, 각각의 평균을 그 실의 권축율로 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질량 비율(A / B)은,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질량 비율(혼율)이 20 % 미만의 경우, 혼섬교락사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비율이 너무 적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돌출부를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져, 직편물에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혼율이 80 %를 넘어서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비율이 너무 적어서, 상기의 돌출부를 표면부분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미세한 돌출부가 무너지기 쉬워, 직편물에 대해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질량 비율(A / B)으로는, 바람직하게는 30 / 70 ~ 70 / 30 정도가 들 수 있다.
혼섬교락사는, 실 전체로서 혼섬교락되고 있으며, 그 교락수로는, 바람직하게는 90 ~ 300 개 / m 정도를 들 수 있고, 130 ~ 300 개 / 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 300 개 / m가 더욱 바람직하다. 교락수가 90 개 / m 미만인 경우, 교락상태가 풀리기 쉬워,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상기와 같은 미세한 돌출부를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교락상태가 풀리기 쉬워지면, 직편물의 제조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받는 가이드마모에 의해 사조내부에 엉킴이 발생하여, 직편물의 결점을 유발하기 쉽게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교락수가 300 개 / m를 넘어서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너무 얽혀짐으로써, 상기의 돌출부도 형성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직편물에 높은 발수성능을 부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혼섬교락사의 교락수는, JIS L1013 8.15 후크법에 기초하여 측정해서 얻은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섬교락사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적당한 첨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부차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첨가제에 의해 부여되는 기능은, 통상 첨가제의 사용량(절대량)이 커질수록 증대되는 것을 근거로 하면, 단사섬도가 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A보다도 첨가제의 사용량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태양광 차단물질, 적외선 흡수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섬교락사가 태양광차단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차단효과로 발수성 직편물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혼섬교락사가 태양광차단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태양광차단물질이 포함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양광차단물질은, 태양광의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물질이며,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중에 분산가능한 것이라면 좋다. 뛰어난 태양광 차단성을 구비하고, 발수성 직편물에 양호한 청량감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태양광차단물질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화티타늄, 티탄산칼륨, 산화아연, 인듐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차단물질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태양광차단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 10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3 ~ 7 질량% 정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함유량을 충족함으로써, 방사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소망의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섬유단면을 동심심초형으로 심부와 초부에 포함되는 태양광 차단물질의 양에 차이를 둬도 좋다. 예를 들어, 초부에 포함되는 태양광차단물질의 양을 0.8 질량 % 이하로 하는 동시에, 섬유전체에서는 태양광차단물질이 3 ~ 10 질량 % 정도 포함되도록 하면 좋다. 초부의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제조공정에서 가이드마모를 받기 어렵게 되고, 실 조각이나 보풀이 발생하기 어려워 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섬교락사가 적외선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수성 직편물에 보온성을 부여할 수 있다. 혼섬교락사가 적외선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적외선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흡수물질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할 수 있는 물질이면서, 폴리에스테르 중에 분산가능한 것이라면 좋다. 뛰어난 적외선 흡수성을 갖추고, 발수성 직편물에 양호한 보온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적외선흡수물질의 바람직한 예로는, 탄화지르코늄, 탄화규소, 안티몬 도핑된 산화인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흡수물질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에 적외선흡수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5 ~ 5 질량% 정도가 들 수 있다. 이러한 함유량을 충족함으로써, 방사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소망의 보온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섬유단면을 동심심초형으로 심부와 초부에 포함된 적외선흡수물질의 양에 차이를 둬도 좋다. 예를 들어, 심부에 포함된 적외선흡수물질의 양을 5 ~ 25 질량%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7 질량% 정도로 하는 동시에, 섬유전체에서는 적외선흡수물질이 0.5 ~ 5 질량% 정도 포함되도록 하면 좋다. 초부의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제조공정에서 가이드마모를 받기 어렵게 되고, 실 조각이나 보풀이 발생하기 어려워 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서, 양이온 가염(可染)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도 좋다.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염색가공 시에 양이온 염료로 염색을 실시하여 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로는, 양이온 염료로 염색되는 것임을 한도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에 5-설포이소프탈산이 전 산 성분에 대해 0.5 ~ 5.0 몰% 정도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매우 적합하다.
[발수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직편물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되어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후술하는 투습방수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습방수층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으면 좋고, 후술하는 투습방수층을 적층하지 않는 경우에는, 직편물의 한쪽의 면 또는 양쪽의 면에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수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성이나 가격 등의 점에서, 불소계 발수제가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화학구조 중에 폴리플루오로 알킬기(Rf기)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불소계 발수제가 적합하다. Rf기로는, 알킬기의 수소원자의 2개 이상이 불소원자로 치환된 기를 말한다. Rf기의 탄소수는 2 ~ 20개가 바람직하고, 2 ~ 8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6개가 더 바람직하다. Rf기는, 직쇄구조라도, 분기 사슬구조라도 좋다. 특히, 분기 사슬구조의 경우, 분기 사슬부분이 Rf 기의 말단부분에 존재하면서, 탄소수 1 ~ 8 정도의 짧은 사슬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6가 보다 바람직하다. Rf기로서는, 알킬기의 수소원자가 모두 불소원자에 치환된 기 (퍼플루오로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불소계 화합물로는, 상기 퍼플루오로 알킬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해 중합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다른 중합성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스티렌,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크릴계 화합물, 초산비닐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등을 적당히 혼합하여도 좋다.
불소계 발수제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사히글라스주식회사 제의 「아사히 가드 (상품명), 닛카화학주식회사 제의 「NK 가드 (상품명)」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발수제로서는, 특히 환경보호의 점에서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을 포함하지 않는 불소계 발수제가 적합하다. 불소계 발수제는, 수성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수제로는, 환경배려 면에서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발수제(즉, 비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비불소계 발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계, 실리콘계, 왁스계 등을 들 수 있다. 비불소계 발수제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탄화수소계라면 예를 들어, 닛카화학주식회사 제의 「네오시도 (상품명)」, 오하라팔라듐 제의 「팔라듐 ECO (상품명)」; 실리콘계라면 예를 들어, 닛카화학주식회사 제의 「드라이폰 600E (상품명)」, 신에츠화학공업주식회사 제의 「포론 (상품명)」; 왁스계라면 예를 들어, 닛카화학주식회사 제의 「TH-44 (상품명)」, 다카마츠유지 제의 「네오락스 (상품명)」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다른 약제와의 병용으로 세탁 내구성이 높도록 하기 쉬운 탄화 수소계가 적합하다.
직편물에 부착되는 발수제의 양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발수제의 종류, 목적으로 하는 발수성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지만, 발수제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양으로는, 예를 들어, 0.05 ~ 10 g / m2, 바람직하게는 0.1 ~ 7 g / m2가 들 수 있다.
[발수성 직편물의 구조·특성]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구성하는 경사 및/또는 위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혼섬교락사가 사용되고 있으면 좋지만, 뛰어난 발수성 및 탄력감을 갖추게 한다는 관점에서, 직편물에서의 상기 혼섬교락사의 사용량으로, 2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90 질량% 이상, 95 질량% 이상, 또는 100 질량%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현저하게 뛰어난 발수성을 가지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혼섬교락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보유층에 의해 발수성능이 더 높아지고, 또한 구성섬유 사이의 공극이 저감되어 물방울이 통과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종래 공지의 저렴한 불소계 발수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직편물의 구조를 특별한 궁리하지 않아도 높은 발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큰 물방울은 물론, 작은 물방울도 돌출부에 의해 버틸 수 있으며, 또한, 공기 유지층의 존재 및 공극의 저감에 의해 물방울이 발수성 직편물의 내부로 이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위 로터스 효과와 같은 발수성능이 현저히 향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 형성된 돌출부가 어느 정도 미세인지의 지표로서, KES-F 시스템에 의한 직편물 표면거칠기의 평균편차(SMD)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KES-F 시스템에 의한 직편물 표면거칠기의 평균편차(SMD)가 1.5 ~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평균편차(SMD)가 1.5 ㎛미만의 경우, 혼섬교락사의 돌출부가 미세하게 된 평탄한 형상에 가까워진다. 그러면, 물방울과 직편물의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커져, 물방울에 충분한 표면장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직편물에서 높은 발수성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한편, 해당 평균편차(SMD)가 5.0 ㎛를 넘어서면, 혼섬교락사의 돌출부가 너무커져, 돌출부의 사이에 물방울이 떨어지고 쉬워지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그 결과, 물방울이 직편물의 내부로 이행하기 쉬워져, 소망의 발수성능이 발휘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해당 직편물 중에 상기의 혼섬교락사를 상술하는 사용량의 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평균편차(SMD)를 소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섬유 A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서 세섬도의 것을 사용하여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열수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혼섬교락사의 돌출부를 쉽게 형성 및 유지시킬 수 있고 1.5 이상의 SMD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KES-F 시스템에 의한 직편물 표면거칠기의 평균편차(SMD)는, 자동화 표면시험기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조건에서 요구되는 값이다.
(1) 측정 대상이 되는 발수성 직편물을 20 ㎝ 사방의 시험편에 잘라내고, 시험편에 400 g의 장력을 걸어 자동화 표면시험기에 설치한다.
(2) 금속 마찰자를 포함하여, 50 g의 수직 방향의 하중을 시험편에 걸고, 스프링의 접촉압에 의한 10 g의 힘으로 마찰자를 접촉시킨 상태로 시험편을 전후로 30 ㎜ 이동시켜 시험편의 표면 거칠기의 변화를 계측한다.
(3) 측정은, WARP, WEFT의 2 방향으로 각 3 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평균편차(SMD)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수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직물의 커버팩터(CF)가 1500 ~ 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0 ~ 2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F가 1500을 밑돌면, 조직점이 거친 직물로 되고, 직물내에 공극이 늘어난다. 따라서, 그 공극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향이 되고, 발수성능의 향상이 기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한편, CF가 3000을 상회하면, 조직점에 의한 구속이 강해져, 직물로서의 인열 강력이나 파열 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커버팩터(CF)는, 직편물의 조밀을 수치화 한 것이며, 직물의 경우,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식 중에서 D는, 경사의 총섬도를 나타낸다. E는 위사의 총섬도를 나타낸다.
CF = D1/2 ⅹ 경사밀도(본 /2.54 ㎝) + E1/2 ⅹ 위사밀도(본 /2.54 ㎝)
또한, 직물의 경우, 발수성 직편물의 표면의 밀도가 55 ~ 150 코스 /2.54 ㎝이면서, 45 ~ 100 웨일 /2.54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00 코스 /2.54 ㎝이면서, 45 ~ 85 웨일 /2.5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코스밀도, 웨일밀도의 각각의 범위를 밑도는 조직점이 거친 편물이 되고, 편물내에 공극이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그 공극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향이 되고, 발수성능의 충분한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코스밀도, 웨일밀도의 각각의 범위를 상회하면 조직점에 의한 구속이 강해지고, 편물로서의 인열 강력이나 파열 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가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3 % 이하이며,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120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신장율이, 직물인 경우는 2 % 이하, 편물인 경우는 110 % 이하이다. 신장율(신축성)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혼섬교락사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충분히 열 수축되는 것으로, 탄력감이 뛰어난 직편물인 것의 지표가 된다. 또한, 혼섬교락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충분히 열수수축되고,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기인하는 미세한 돌출부가 충분히 형성,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직편물로서의 발수성능이 높아지고 있다는 지표가 된다. 또한, 신축성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스트레치성이 지나치게 강해지지 않고, 혼섬교락사가 너무 늘어나 평탄한 구조가 되지 않으면서, 구성섬유 사이의 공극도 저하되기 때문에, 직편물로서의 발수성이 보다 뛰어나다는 지표가 된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열수축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신축성이 억제된 것이 된다. 또한, 신축성의 하한은, 너무 감촉이 딱딱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직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0.5 %, 편물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1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신장율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B를 상기의 질량 비율로 이용한 혼섬교락사를 20 질량 % 이상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이 직물의 형태인 경우, 상기의 신장율로 0.5 ~ 3 %, 바람직하게는 0.5 ~ 2.5 %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이 편물의 형태인 경우, 상기의 신장율로 100 ~ 120 %, 바람직하게는 100 ~ 110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구성섬유로서 세섬도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경량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단위면적당질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0g / 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g / 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질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80g / m2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단위면적당질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80 ~ 200g / m2,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50g / m2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직편물의 조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조직(직물이라면 평직, 능직, 주자직, 필요에 따라 다중조직, 편물이라면 환편의 천축, 스무드, 경편의 트리코트, 필요에 따라 다중조직)를 채용해도 좋다. 편물의 쪽이 직물에 비해 생지(生地) 표면의 요철이 적절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혼섬교락사의 돌출부와의 상승효과로 물방울 회전성이 현저히 뛰어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뛰어난 발수성능을 갖는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발수제가 부착된 측의 표면의 물방울 회전각도가 4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물방울 회전각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5 ~ 40 도가 바람직하고, 5 ~ 35 도가 더 바람직하고, 5 ~ 30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방울 회전각도는, 로터스 효과와 같은 발수성능의 우열을 평가하는 지표이며, 본 발명에서의, 뛰어난 발수성능은, 높은 로터스 효과를 갖는 것과 같은 뜻이다. 물방울 회전각도는, 수평판 상에 부착된 수평형의 시료(직편물)에 0.02 ㎖의 물을 조용히 적하하고, 그 후 수평판을 조용히 경사지게하고, 물방울이 구르기 시작할 때의 각도를 말한다. 물방울 회전각도가 40도를 넘는 경우는, 실제로 직편물을 봉제하여 제품으로 했을 때, 빗물 등에 의한 물방울을 그 물방울 형상을 무너뜨리지 않고 떨쳐내기 곤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 중에 상기의 혼섬교락사를 50 질량% 이상 함유하면서, 또한, 커버팩터(CF)를 상기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물방울 회전각도를 40도 이하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두께 부분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배율: 100 배). 도 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열 수축되어 있는 것으로, 직편물 자체가 밀어 넣어지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구성섬유의 섬도를 가늘게 하여 경량성을 높인 경우라도,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섬도를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 비교하고, 더 가늘게 한 경우라도, 돌출부가 충분히 유지되고, 평탄한 직편물 표면이 되지 않더라도, 구성섬유 사이의 공극이 저감되어 발수성이 현저히 뛰어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편면(片面)에 투습방수층을 적층시키고, 적층 생지로 만들어도 된다. 이렇게 투습방수층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투습성과 방수성을 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발수제가 한 쪽의 표면에만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습방수층은,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측에 구비하면 좋다.
투습방수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주성분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수성 직편물과 투습방수층의 사이에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투습방수층 상에, 또 다른 섬유 포백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기타 가공]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필요에 따라, 항균가공, 염색가공, 발수 뒷면 흡수가공, UV컷가공, 축열가공, 제균가공, 항균방취가공, 소취가공, 방오가공, 방문가공, 캘린더가공, 프린터가공 등의 후 가공이 되어 있어도 좋다. 어떤 가공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상실하는 정도까지 돌출부가 부서지지 않는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성 직편물의 용도]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발수성 및 경량성이 뛰어나고, 더욱이, 적당한 탄력감이 있다. 따라서, 유니폼 의류, 스포츠 의류, 캐주얼 웨어, 아웃 도어 제품 등의 용도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은, 신장도가 18 ~ 50 %인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공정)과,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직편하여 생기를 제조하는 공정(생기 제조공정)과, 생기를 열수수축 처리하여, 저신축성 직편물을 얻는 공정(열수수축 처리공정)과, 저신축성 직편물을 발수가공하여,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을 얻는 공정(발수 가공 공정),을 이 순서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투습방수층을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발수가공공정 후의 발수성 직편물의 편면에 투습방수층을 적층시키는 공정(투습방수층 적층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공정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열수축 혼섬교락사 준비공정)
열수축 혼섬교락사 준비공정은, 신장도가 18 ~ 50 %인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면 좋다. 준비하는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신장도로서, 바람직하게는 18 ~ 4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40 %를 들 수 있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신장도는, JIS L1013 8.5.1에 따라, 정속 신장형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 길이 200 ㎜, 인장 속도 200 ㎜ / 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구해지는 값이다.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및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신장도의 측정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공정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1) 단사섬도가 1.0 ~ 10.0 dtex, 총섬도가 30 ~ 200 dtex,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 신장도가 80 ~ 150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배율 1.3 ~ 1.7 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얻는 연신 공정.
(2) 단사섬도가 0.2 ~ 1.44 dtex, 총섬도가 30 ~ 160 dtex, 신장도가 80 ~ 150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공속도 100 ~ 700 m / 분, 연신배율 1.1 ~ 1.6 배의 조건에서 가연하여,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 가연공정.
(3) 연신공정에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가연공정에서 가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유체노즐을 이용하여, 공기압 0.1 ~ 1.0 Mpa,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의 오버피드율 차가 0 ~ 10.0 %의 조건으로 혼섬교락하는 혼섬교락 공정.
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는. 생기 제조공정, 열수수축 처리공정 및 발수가공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포함되는 혼섬교락사를 얻을 수 있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 공정에서는, 특정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 (혼섬교락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이다)를 미리 특정의 연신배율에서 연신하고,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로 하는 연신공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혼섬교락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이다) 및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신장도는, 거의 같거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쪽이 다소 낮아진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미리 가연하고,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 가연공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가 개섬하고,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교락하기 쉬워진다. 그 후, 연신공정에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혼섬의 상대방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복합하는 혼섬교락 공정을 실시하고,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는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에서는, 양자의 오버피드율을 조정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가 외측(표면측)에 많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기 제조공정, 열수수축 처리공정 및 발수가공공정을 거쳐 얻어진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가 혼섬교락사를 구성하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되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가 혼섬교락사를 구성하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된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2000 ~ 4000 m / 분 정도의 속도로 방사하여 권취한 멀티필라멘트 실을 말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복수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이어도 좋다. 공중합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5-알칼리이소프탈산, 3,3'- 페닐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호박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 복실산;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올; P-히드록시 벤조산 등의 공중합 성분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필요에 따라, 무광제, 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등의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는, 복수의 고배향 미연신 섬유가 다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섬유단면을 동심심초형 으로 하는 경우에는, 심부, 초부 각각에 배치되는 폴리머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양자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는, 단사섬도가 0.2 ~ 1.44 dtex, 총섬도가 30 ~ 160 dtex, 신장도가 80 ~ 150 %이면 좋지만, 단사섬도가 0.2 ~ 0 .9 dtex, 총섬도가 30 ~ 130 dtex, 신장도가 85 ~ 1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사섬도가 0.22 ~ 0.9 dtex, 총섬도가 30 ~ 100 dtex, 신장도가 85 ~ 1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단사섬도가 0.22 ~ 0.85 dtex, 총섬도가 33 ~ 100 dtex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단사섬도가 0.2 dtex 미만에서는, 단사가 너무 가늘어져, 개섬효과가 없어지고, 후술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와의 충분한 혼섬이 어려워지고, 교락 불량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돌출부가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 형성되기 어렵게 되고, 실 조각이나 보풀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단사섬도가 1.44 dtex를 넘어서면, 사조 내에 큰 공극이 생기기 쉬워,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와 충분히 혼섬하기 어렵게 되고, 교락 불량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돌출부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비수 수축률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 보다 저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5 ~ 35 %, 바람직하게는 15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20 % 미만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비수 수축률은, JIS L1013 8.18.1에 규정되어있는 「실패 치수변화율 A법」에서 100 ℃의 열수 중에 30 분간 침지하는 조건에서 측정되는 실패 치수변화율이다. 또한,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비수 수축률의 측정방법도 마찬가지이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총섬도가 30 dtex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와의 얽힘이 양호해져, 돌출부 및 공기 유지층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160 dtex 이하이면, 경량성이 뛰어난 발수성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신장도가 80 % 미만인 경우, 후술의 가연공정에서 실 조각이 다발할 우려가 있다. 한편, 신장도가 150 %를 넘어서는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으려고 하면, 제조시에 실 조각이나 품질 저하 등이 발생하여, 안정 공급이 어려워진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는, 단사섬도가 1.0 ~ 10.0 dtex, 총섬도가 30 ~ 200 dtex,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 신장도가 80 ~ 150 %이면 좋지만, 단사섬도가 1.0 ~ 5.0 dtex, 총섬도가 30 ~ 100 dtex, 비수 수축률이 20 ~ 50 %, 신장도가 85 ~ 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사섬도가 1.5 ~ 5.0 dtex, 총섬도가 30 ~ 90 dtex, 비수 수축률이 20 ~ 40 %, 신장도가 90 ~ 1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단사섬도가 1.0 dtex 미만의 경우, 발수성 직편물에 포함되는 혼섬교락사가 된 후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A로 구성되는, 돌출부를 공고하게 유지하지 못해, 돌출부가 무너지기 쉬워진다. 게다가, 사조전체가 가늘어 지거나, 직편물의 감촉이 탄력감이 부족한 것이 된다. 또한, 단사섬도가 10.0 dtex를 넘어서면, 교락상태가 나빠진다. 또한, 직편물의 감촉으로 적당한 볼륨감이 부족하여, 딱딱한 감촉의 것 밖에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총섬도가 30 dtex 이상이면, 돌출부 및 공기 유지층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200 dtex 이하이면, 경량성이 뛰어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이면, 후술의 열수수축 처리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신축성 및 SMD를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할 수 있고, 발수성이 현저히 뛰어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력감이 뛰어나고, 더불어 감촉이 그다지 딱딱하지 않은 발수성 직편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비수 수축률은, JIS L1013 8.18.1에 규정되어있는「실패 치수변화율 (A 법)」에서 100 ℃의 열수 중에 30 분간 침지하는 조건에서 측정되는 실패 치수변화율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신장도가 80 % 미만이 되면, 후술의 연신공정에서 실 조각이 다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신장도가 150 %를 넘어서면, 혼섬교락사의 신장도가 너무 높아져서, 품질 안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열수축성 혼섬교락사 준비공정을 도 2의 모식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먼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B의 패키지YA, YB를 각각 크릴에 설치한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제 1 공급롤러(1)에 도입한다. 그리고, 제 1 공급롤러(1)과 제 1 인취롤러(3)과의 사이에서, 히터(2)에 열을 가하면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하는 연신공정을 실시한다.
연신공정에서 연신배율은, 1.3 ~ 1.7배로 설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35 ~ 1.7배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1.7배 정도이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신장도는 거의 같게 된다. 여기서, 연신공정에서의 연신배율은, 제 1 공급롤러(1)의 표면속도와 제 1 인취롤러(3)의 표면속도의 비 (연신배율 = 제 1 인취롤러(3)의 표면속도 / 제 1 공급롤러(1)의 표면속도)를 말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함으로써, 그 단사섬도를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미세하게 조정함과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혼율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연신은, 히터 등을 설치하여 열을 주면서 실시한다.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사 물성의 안정된 연신사 B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연신배율이 1.3배 미만인 경우, 혼섬교락사 전체의 신장도가 높아지고, 후가공 (예를 들어, 염색가공 등도 포함하는 일련의 가공)에서, 필연적으로 부가되는 장력에 의해, 혼섬교락사의 물성이 변화하기 쉽게 되어, 직편물의 품위품질 면에서의 트러블 발생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연신배율이 1.7배를 넘어서면, 실 조각이 다발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연신공정에 대신해서, 단사섬도가 0.6 ~ 4.8 dtex, 총섬도가 18 ~ 96 dtex, 신장도가 15 ~ 60 %, 비수 수축률이 20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시판 등으로 준비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혼섬교락 공정으로 제공하여도 좋다. 준비하는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사섬도가 0.8 ~ 3.8 dtex, 총섬도가 26 ~ 76 dtex, 신장도가 16 ~ 40 %, 비수 수축률이 20 ~ 45 %가 들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소정조건하에서 가연하는 가연공정을 실시한다. 즉,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공속도 100 ~ 700 m / 분, 연신배율 1.1 ~ 1.6배의 조건에서 가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제 2 공급롤러(4)에 도입하고, 히터(5), 가연구(6)을 거치고, 제 2 인취롤러(7)에서 인출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다. 여기서, 도 2의 제 2 공급롤러(4) 및 제 2 인취롤러(7)과의 사이가 복합가연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공급롤러(4)와 가연구(6)의 사이가 가연영역(T1) 이고, 가연구(6)와 제 2 인취롤러(7)과의 사이가 해연영역(T2)이다.
가연공정에서 가공속도는, 제 2 인취롤러(7)에서 실을 인출할 때의 실 속도를 말하며, 즉,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를 말한다.
가연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스핀들 방식과 프릭션(friction)방식으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어느 방식도 채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연구(6)은, 스핀들 방식의 경우는 핀 타입의 것을 사용하며, 프릭션 방식의 경우는, 디스크 타입의 것을 사용한다.
가연공정에서 가공속도는, 100 ~ 700 m / 분이면 좋지만, 스핀들 방식과 프릭션 방식은, 바람직한 가연조건이 약간 다르다. 예를 들어, 가공속도에서, 스핀들 방식으로는, 100 ~ 200 m / 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프릭션 방식으로는, 200 ~ 700 m / 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 온도는, 스핀들 방식으로는 150 ~ 2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프릭션 방식은 접촉식 히터로 170 ~ 200 ℃ 정도, 점접촉식 히터로 200 ~ 300 ℃ 정도의 범위가 각각 바람직하다. 히터 온도가 상기 범위를 밑돌면, 어느 방식에서도 충분한 권축을 부여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어느 방식에서도 섬유끼리 융착하기 쉬워져, 섬유가 충분히 개섬하지 않게 되므로, 후에 혼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스핀들 방식과 프릭션 방식으로는, 가연·해연의 기구도 약간 다르다.
스핀들 방식으로는,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핀 타입의 가연구(6)가 회전하여, 실이 가연된다. 이 때의 가연의 정도, 즉 가연계수를 20000 ~ 34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000 ~ 3000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연계수는, K = T Х D1/2 되는 식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또한, 식 중에서, K는 가연계수, T는 가연수(T / M), D는 복합 가연사의 총섬도(dtex)이다. 가연 등급은, T = 스핀들 회전수(rpm) /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m / 분)에서 산출되는 것이다. 가연계수가 20000 미만이면, 권축이 약해지고, 가연사 A에 충분한 크림프를 부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포함된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상술의 미세한 돌출부가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한편, 가연계수가 34000을 넘어서면, 크림프 형상이 너무 치밀하게 되어,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상술의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한편, 프릭션 방식은, 일반적으로 가연의 정도를 가연계수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K 값 및 디스크 매수로 관리한다. 이것은 양 방식의 가연· 해연기구의 차이에 의한다. K 값은, 해연장력(F2)와 가연장력(F1)의 비(F2 / F1)을 말하며, F2는, 디스크를 통과한 직후의 실 장력을, F1은, 디스크에 도입되기 직전의 실 장력을 말한다. 프릭션 방식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꼬임이 걸린다. 그러므로, 가연의 정도는, 디스크 스피드와 디스크 매수에 의해 결정 지어지게된다. 그러나, 디스크 스피드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공정 관리상에 그다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크 스피드의 변동에 따라 K 값이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K 값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프릭션 방식에서 디스크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제의 것이 사용된다. 디스크 매수로는, 일반적으로 5 ~ 7장 바람직하고, 디스크의 두께로는, 5 ~ 10 ㎜가 바람직하다. 또한, K 값으로는, 0.6 ~ 1.2가 바람직하다. K 값이 0.6 미만이 되면, 실 조각이 늘어나는 데다 보풀이 많은 가연사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2를 넘어서면, 서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서징은, 가연된 꼬임이 해연영역에서 풀리지 않고 꼬임이 남은 상태를 말한다.
가연공정에서 연신배율은, 1.1 ~ 1.6배이면 좋지만, 1.1 ~ 1.55배 정도가 바람직하고, 1.15 ~ 1.5배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 가연공정에서의 연신배율은, 제 2 공급롤러(4)의 표면속도와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의 비(연신배율 =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 / 제 2 공급롤러(4)의 표면속도)를 말한다. 연신배율이 1.1배 미만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의 품질 안정화도 어려워진다. 또한, 연신배율이 1.6배를 넘어서면, 가연 공정에서 보풀이나 실 조각이 다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가연공정의 후,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는,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함께 유체노즐(8)에 이끌려, 유체노즐(8)을 이용하여 공기압 0.1 ~ 1.0 Mpa,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 오버피드율 차가 0 ~ 10.0 %의 조건으로 혼섬교락 공정에 제공되어, 열수축성 혼섬교락사가 된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에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의 실 길이를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실 길이보다 10 % 이하 정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 ~ 8 % 정도 길게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0 %를 초과하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보다 길어지면,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숭고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 표면의 돌출부가 지나치게 커져, 발수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혼섬교락 공정에 사용되는 유체노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타스랜 노즐 또는 인터레이스 노즐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때의 오버피드율은, 동일 공급속도(오버피드율 차가 0 %)로 공급하는 정렬된 혼섬법은, 1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속도를 변화시키는 이른바 심/초 혼섬법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의 오버피드율 차를 1 ~ 7 %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 (심)의 오버피드율 0.5 ~ 3.0 %,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 (초)의 오버피드율 4.0 ~ 9.5 %의 조건하가 바람직하다. 오버피드율은, 유체노즐에 도입되기 직전의 실 속도를 V1, 유체노즐을 통과한 직후의 실 속도를 V2라고 했을 때, 오버피드율 = (V1 - V2) / V2 Х 100 (%) 하는 식으로 산출된다. 도 2의 경우에는, 오버피드율 = (제 1 인취롤러(3)의 표면속도 - 제 3 인취롤러(9)의 표면속도) / 제 3 인취롤러(9)의 표면속도 Х 100 (%), 또는 오버피드율 =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 - 제 3 인취롤러(9)의 표면속도) / 제 3 인취롤러(9)의 표면속도 Х 100 (%)되는 식으로 산출된다. 상기 조건으로 혼섬교락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를 동반한 상술의 공기 유지층이 형성된다. 혼섬교락의 조건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적당한 크기의 것이 되지 않고,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는, 제 3 인취롤러(9)를 통과한 후 권취롤러(10)에 의해 패키지(11)에 귄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포함되는 혼섬교락사에서는, 기준으로 교락수가 90 ~ 300 개 / m 정도의 범위에 있으면, 적당한 혼섬교락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두꺼우면 강직하게 되고, 가늘면 부드럽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섬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연공정 및 혼섬교락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사이에 생기는 큰 공극에 상대적으로 가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넣음으로써, 직편물로 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섬유 A를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생기 제조공정)
생기 제조공정에서는 상기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제직편하여 생기를 얻는다. 직물편은, 공지의 직기, 편기를 이용하여 실시하면 좋고, 제직편에 앞선 준비공정도 공지의 설비를 사용하면 좋다.
(열수수축 처리공정)
열수수축 처리공정에서는, 열수 중에 생기를 소정시간 침지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충분히 열 수축시키고, 저신축성 직편물을 얻는다. 열수수축 처리는, 예를 들어, 80 ~ 135 ℃ 정도에서 10 ~ 30 분 정도로 행할 수 있다. 특정 범위의 비수 수축율이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이용하여, 열수수축 처리시킴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충분히 열 수축시키고, 돌출부가 충분히 유지되어 신축성이 저감된 직편물로 할 수 있다. 열수수축 처리공정은, 정련가공 및 염색가공에서 실행되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열수수축 처리공정은, 정련처리로 80 ~ 120 ℃ 정도에서 10 ~ 30 분 정도, 염색 처리로 100 ~ 135 ℃ 정도에서 10 ~ 30 분 정도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련 처리로서 80 ~ 100 ℃ 정도에서 10 ~ 30 분 정도, 염색 처리로 120 ~ 135 ℃ 정도에서 10 ~ 30 분 정도의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련 및 염색을 함께 실시하여도 상관 없다.
이하에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생기를 정련한다. 정련은, 80 ~ 130 ℃의 온도 하에서 연속방식 또는 배치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통상은 100 ℃ 이하에서 배치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트 노즐을 갖춘 고압 액체류 염색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련한 후에 필요에 따라, 프리 세팅(pre-setting)을 해도 좋다. 프리 세팅은, 통상 핀텐더(pin tenter)를 이용하여 170 ℃ ~ 200 ℃에서 30 ~ 120초 동안 건조 처리한다. 그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색가공을 실시한다.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를 구성 소재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양이온 염료로 염색가공을 실시하면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파이널 세팅(final-setting)를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생기(생기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것)의 두께에 대한 발수성 직편물의 두께가 1.01 ~ 2.0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 1 .80배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01 배 이상이며, 폴리에스테르 섬유 B가 충분히 열 수축되거나, 혼섬교락사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충분히 유지되고, 발수성 및 탄력감이 뛰어난 직편물이 된다. 2.00배 이하이면, 얻어진 발수성 직편물이 과도하게 딱딱해지지 않고, 적절한 감촉을 구현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저신축성 직편물을 후술하는 발수가공공정에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해당 저신축성 직편물은,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 중간체로 사용할 수 있다.
(발수가공공정)
발수가공공정에서는, 저신축성 직편물을 발수가공한다. 예를 들어, 먼저, 발수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고, 다음에, 패딩법, 스프레이법, 키스롤코터법, 슬릿코터법 등에 따라 저신축성 직편물에 상기 수용액을 부여하고, 105 ~ 190 ℃에서, 30 ~ 150 초간 건조처리하면 된다. 상기 수용액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 유연제, 대전방지제 등을 함께 포함시켜도 좋다. 발수가공 후에 얻어지는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은, 캘린더가공 등이 되어있어도 좋다.
(투습방수층·섬유 포백의 적층공정)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투습방수층을 적층시키는 경우는, 공지의 수법에 따라 투습방수층을 적층시키면 된다. 또한, 투습방수층 상에 섬유 포백을 적층시키는 경우는, 공지의 수법에 따라 섬유 포백을 적층시키면 된다.
[기타 가공]
본 발명의 발수성 직편물에 항균가공, 염색가공, 발수 뒷면 흡수가공, UV컷가공, 축열가공, 제균가공, 항균방취가공, 소취가공, 방오가공, 방문가공, 캘린더가공, 프린트가공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가공은 상기 발수 가공공정의 전 또는 후, 혹은 상기 투습방수층 적층공정의 전 또는 후에 하면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1. 발수성 직편물 또는 생기의 두께, 2. 고배향 미연신사 및 혼섬교락사의 단사섬도, 총섬도, 3. 단위면적당질량, 4. 고배향 미연신사·고배향 연신사의 신장도, 5. 혼섬교락사의 교락수, 6. 직편물 표면거칠기의 평균편차(SMD), 7. 직편물의 발수성능(물방울 회전각도), 8. 비수 수축률, 9. 발수성 직편물의 신장율, 10. 감촉(관능평가)는 각각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실시했다.
1. 발수성 직편물 또는 생기의 두께
얻은 발수성 직편물 또는 생기를 커터 나이프로 절단하여, 광학 현미경 (주식회사키엔스 제 「마이크로 스코프 VHX-900」)를 사용하여, 단면을 100 배로 관찰하고 두께를 측정했다.
2. 고배향 미연신사, 연신사 및 혼섬교락사의 단사섬도, 총섬도
고배향 미연신사 및 혼섬교락사의 단사섬도, 총섬도는, 각각 JIS L1013 8.3.1의 규정에 따라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시료를 틀 주위 1.125 m의 검척기 또는 동등한 성능을 가진 감기틀(winding frame)를 이용하여, 2.94 mN Х 표시 tex 수의 하중을 걸고, 120 회 / 분의 속도로 감아, 900 m의 실 길이의 작은 실패를 만들고, 그 질량을 측정하여, 겉보기 섬도를 구했다. 이 겉보기 섬도와 별도로 측정 평형 수분율에서 다음의 식에 의해서 정량섬도(tex)를 산출하고, 5 회 측정에 의한 평균값을 사사오입으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로 반올림했다. 또한, 단위를 dtex로 하는 경우는, tex 섬도를 10 분의 1로 하면 좋다(1 tex = 10 dtex).
Figure 112018022202652-pct00001
여기서, Fo: 정량섬도(tex)
D': 겉보기섬도(tex)
Ro: JIS L 0105의 4.1(공정 수분율)로 규정하는 공정 수분율 (%)
Re: 평형 구분율 (%)
상기 식에서, RO(공정 수분율)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의 공정 수분율인 0.4 %를 사용했다.
또한, 상기 식에서, Re (평형 수분율)는, 수분 평형에 도달한 시료에서 약 5 g을 취하여, 그 질량 및 절대 건조질량을 재어, 다음의 식에 따라 평형 수분율(%)을 산출하고, 2 회의 평균값을 사사오입으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로 반올림한 값을 사용했다. 수분 평형에 도달했다면, 표준상태(온도 20 ± 2 ℃, 상대습도 65 ± 4 %의 표준상태의 시험실 내에서 1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질량을 측정하여, 그 전후의 질량 차가 후의 질량의 0.1 % 이내가 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22202652-pct00002
여기서, Re: 평군 수분율(%)
m: 시료의 채취 시의 질량(g)
m': 시료의 절대 질량(g)
3. 단위면적당질량
JIS L1096 : 2010 8.3.2에 따라 단위면적당질량을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료에서 약 200 mm Х 200 mm의 시험편 2 장을 채취하여, 각각의 표준 상태에서의 질량 (g)를 달고, 1 m2 당의 질량 (g / m2)를 구했다. 그 평균값을 산출하고,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로 반올림했다.
4. 고배향 미연연신사·연신사의 신장도
JIS L1013 8.5.1에 따라 고배향 미연신사의 신장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정속 신장형의 인장 시험기(시마즈제작소(주)제, 오토 그래프 「AGS-5KNG」)를 이용하여, 시료 길이 200 mm로 설정하고, 초하중 (8.82 mN Х 표시 텍스)를 걸어, 인장 시험기의 잡는 부에 설치하고, 인장속도 200 mm / min로 시료를 인장해, 하기의 계산식에서 늘어남을 산출했다. 또한, 10 회의 평균값을 구했다.
늘어남 (%) = 최대 강력 시의 늘어남 (mm) / 시료 길이 (mm) Х 100
5. 혼섬교락사의 교락수
얻어진 발수성 직편물을 풀어 혼섬교락사를 채취하여 시료로 하였다. JIS L1013 8.15 후크법에 따라 혼섬교락사의 교락수 (개 / m)를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교락수는 교락도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시료의 일 단을 적절한 성능을 가진 수하(hanging)장치의 상부를 그립(grip)에 장착 하고, 그립부부터 70 cm 정도 하방의 위치에 추(2.94 mN Х 표시 tex 수)를 매달고, 시료를 수직으로 늘어뜨린다. 그립부 하방 약 2 cm 부분의 개소와 붙잡은 부분 하방 약 52 cm의 개소로 표시했다.
하중을 제거한 후 시료의 2cm 표시부 개소에서 하방으로 실 뭉치를 2 분할하도록 후크(직경이 0.5 mm ~ 1.0 mm 침상, 측면이 매끄럽게 마무리 처리되어 있음)를 삽입하고, 후크가 52 cm 표시부 개소에서 실의 엉킴에 의해 정지된 개소까지의 길이(L) (단위; mm)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1 m당의 개수로 환산했다. 50 회의 평균치를 구했다.
교락수 = 1000 / L
6. 직편물 표면 거칠기의 평균편차(SMD)
자동화 표면 시험기(카토테크주식회사 제 「KESFB4-AUTO-A」)을 사용하여 SMD를 측정했다. 먼저, 20 cm 사방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400 g의 장력을 가하고, 시험편을 상기 시험기에 설치했다. 다음에, 금속 마찰자를 포함하여, 50 g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걸고, 스프링의 접촉압에 의해 10 g의 힘으로 마찰자를 접촉시켜, 시험편을 전후로 30 ㎜ 이동하여 시험편의 표면 거칠기의 변동을 측정했다. 측정은, WARP, WEFT의 2 방향으로 각 3 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SMD라고 했다. SMD는, 표면거칠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값이 클수록 돌출부에 의한 요철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7. 직편물의 발수성능(물방울 회전각도)
물방울 회전각도는, 수평판 상에 부착된 수평형의 시료(직편물)에 0.02 ㎖의 물을 조용히 적하하고, 그 후 수평판을 천천히 경사시키고, 물방울이 구르기 시작할 때의 각도를 측정하여 물방울 회전각도로 했다.
8. 비수 수축률
JIS L1013 8.18.1에 규정되어있는 「실패 치수변화율 (A 법)」에 따라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시료에 대해서, 틀 주위 1.125m의 검척기 또는 동등한 성능을 가진 감기틀을 이용해 2.94 mN Х 표시 tex 수의 초하중을 걸었다. 감은 수 20 회의 작은 실패를 만들고, 초하중의 40 배를 걸고 실패 길이를 쟀다. 다음에, 하중을 제거하고, 100 ℃의 열수 중에 30 분간 침지한 후에 취출하여 흡취지 또는 천으로 물을 제거하고, 수평 상태에서 자연 건조했다. 이어, 다시 초하중의 40 배의 하중을 걸어 실패 길이를 재고, 다음 식에 따라 열수치수변화율(%)을 산출하고, 5 회의 평균값을 사사오입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로 반올림하고, 비수 수축률로 했다.
Figure 112018022202652-pct00003
여기서, △L: 열수치수변화율 (%)
L1: 처리전 길이 (㎜)
L2: 처리 후 길이 (㎜)
9. 발수성 직편물의 신장율
JIS L 1096 : 2010에 따라 발수성 직편물의 신장율을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세로 방향에 처음 약 60 ㎜ Х 약 300 ㎜의 시험편을 각각 3 개 채취하여, 폭의 양쪽에서 거의 동수의 실을 제거하고, 50 ㎜ 폭으로 했다.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일단을 상단 클램프로 고정하고, 타단에 시험편의 폭으로 1 m 길이에 걸리는 중력에 상당하는 하중(N) (정수 정도까지의 값)의 초하중을 더했다. 다음으로, 200 ㎜ 간격으로 표시를 했다. 초하중을 제거하고, 그 후, 조용히 14.7 N의 하중을 더했다. 1 분간 유지 후의 표시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따라 신장율(%)을 구했다. 또한, 3 회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에서 반올림했다.
Figure 112018022202652-pct00004
여기서, Ep: 신장율 (%)
L0: 원 표시 사이의 길이 (㎜)
L1: 14.7 N의 하중을 더해 1분간 유지 후의 표시 사이의 길이(㎜)
10. 감촉 (관능평가)
얻어진 발수성 직편물에 대해, 감촉으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탄력감이 좋다.
△: 탄력감이 보통이다.
×: 너무 부드러워 탄력감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딱딱하다.
[발수성 직편물 제조]
(실시예 1)
신장도 104 %, 단사섬도 0.54 dtex, 비수 수축률 19.3 %, 총섬도 45 dtex, 8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했다. 한편, 신장도 118 %, 단사섬도 4.7 dtex, 총섬도 56 dtex, 12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22.3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준비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와 B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였다. 가연구(6)로서, 디스크 타입의 것을 사용하고, 복합 가연 조건 및 혼섬 교락 조건은 하기와 같으며, 신장도 26.6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연신조건>
제 1 공급롤러(1)의 표면속도: 284 m / 분
히터(2) (비접촉식 히터)의 온도: 245 ℃
폴리에스테르 고배향미연신사 B의 연신배율: 1.6 배
제 2 인취롤러(3)의 표면속도: 455 m / 분
<가연조건>
제 2 공급롤러(4)의 표면속도: 367 m / 분
히터(5) (접촉식 히터) 온도: 160 ℃
가연 방향: Z 방향
가연구(6) (디스크)의 구조: 1-6-1
가연구(6) (디스크)의 두께: 9 ㎜
K 값: 1.0
제 2 인취롤러(7)의 표면속도: 477 m / 분
가연 시의 연신배율: 1.3 배
<혼섬교락조건>
제 2 인취롤러(9)의 표면속도: 450 m / 분
유체노즐(8): 타스란 노즐
공기압: 0.735 MPa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의 오버피드율: 6 %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의 오버피드율: 1 %
다음에,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 위사와 함께 상기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무연상태로 각각 배치하여, 경사밀도 156 본 / 2 .54 ㎝, 위사밀도 114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리고, BOILOFF 정련기(후쿠신공업주식회사 제)를 이용하여 생기를 80 ℃에서 정련했다. 다음에, 하기 처방 1에 나타낸 조성의 염색액을 조제한 후, 이 염색액을 이용하여 직물을 135 ℃에서 30 분간 염색하였다. 그 후, 쉬링크 서퍼형 건조기(주식회사히라노테쿠시도 제)를 이용하여, 140 ℃에서 건조하였다.
<처방 1>
염료: 다이스타재팬주식회사 제, 분산염료「Dianix Blue UN-SE (상품명)」 2 % omf
분산제: 닛카화학주식회사 제, 「닛카선솔트 SN-250E (상품명)」 0.5 g / L
초산 (98 %) 0.1 ㎖ / L
또한, 하기 처방 2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을 제조한 후, 팟타 가공기를 이용하여, 압축율 80 %에서 수용액을 직물에 부여하고, 120 ℃에서 120 초간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180 ℃에서 30 초간 파이널 세팅하여,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97 본 /2.54 ㎝, 위사밀도 144 본 /2.54 ㎝, 커버팩터(CF) 2720)을 얻었다.
<처방 2>
불소계 발수제: 닛카화학주식회사 제, 「NK 가드 S-07 (상품명)」(Rf기의 탄소수가 6 개) 고형분 20 질량 %」50 g / L
가교제: DIC주식회사 제, 멜라민 수지 「벳카밍 M-3 (상품명)」 3 g / L
촉매: DIC주식회사 제, 「캬타리스토 ACX (상품명) 고형분 35 질량 %」3 g / L
(실시예 2)
표면에 상기에서 얻은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무연상태로 사용하고, 뒷면에 56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무연상태로 사용하고, 후쿠하라정밀기계주식회사 제의 환편기(LPJ- H 형, 33 인치, 32 게이지)에서 편밀도가 45 코스 /2.54 ㎝, 34 웨일 /2.54 ㎝의 메쉬조직의 편지(knit)를 제편(knitting)했다. 이 편지를 이용하여, 이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정련, 염색가공 및 발수가공하여, 실시예 2의 발수성 직편물 (편밀도 78 코스 /2.54 ㎝, 55 웨일 /2.54 ㎝)을 얻었다. 이 발수성 직편물에서 혼섬교락사의 혼율은, 39 질량 %였다.
(실시예 3)
처방 2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 대신에, 하기 처방 3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발수가공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97 본 / 2.54 ㎝, 위사밀도 144 본 /2.54 ㎝, 커버팩터(CF) 2720)을 얻었다.
<처방 3>
탄화수소 계 발수제 (비 불소계 발수제): 닛카화학식회사 제 「네오시도 NR-7080 (상품명) 고형분 30 질량 %」100 g / L
가교제: DIC주식회사 제, 멜라민 수지 「벳카밍 M-3 (상품명)」 7g / L
촉매: DIC주식회사 제, 「캬타리스토 ACX (상품명) 고형분 35 질량 %」5g / L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은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 (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40 본 /2.54 ㎝, 위사밀도 103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하여,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77 본 /2.54 ㎝, 위사밀도 130 본 /2.54 ㎝, 커버팩터(CF) 2449)을 얻었다.
(실시예 5)
신장도 105 %, 단사섬도 0.60 dtex, 비수 수축률 17.3 %, 총섬도 90 dtex, 15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7.5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08 본 /2.54 ㎝, 위사밀도 90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하여,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35 본 /2.54 ㎝, 위사밀도 112 본 /2.54 ㎝, 커버팩터(CF) 2470)을 얻었다.
(실시예 6)
신장도 104 %, 단사섬도 0.54 dtex, 비수 수축률 19.3 %, 총섬도 45 dtex, 8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했다. 한편, 신장도 29.9 %, 단사섬도 2.8 dtex, 총섬도 66 dtex, 24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26.0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를 준비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및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 중 제 1 공급롤러(1), 히터(2), 제 1 인취롤러(3)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7.8 %의 열수축성 혼섬 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11 본 /2.54 ㎝, 위사밀도 90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하여,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38 본 /2.54 ㎝, 위사밀도 113 본 /2.54 ㎝, 커버팩터(CF) 2452)을 얻었다.
(실시예 7)
신장도 104 %, 단사섬도 0.54 dtex, 비수 수축률 19.3 %, 총섬도 45 dtex, 8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했다. 한편, 신장도 25.9 %, 단사섬도 1.8 dtex, 총섬도 33 dtex, 18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16.0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를 준비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및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 중 제 1 공급롤러(1), 히터(2), 제 1 인취롤러(3)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4.3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연 하면 비수 수축률은 14.2 %였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 (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56 본 /2.54 ㎝, 위사밀도 114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예 7의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84 본 /2.54 ㎝, 위사밀도 137 본 /2.54 ㎝, 커버팩터(CF) 2561)을 얻었다.
(실시예 8)
신장도 116 %, 단사섬도 0.85 dtex, 비수 수축률 18.5 %, 총섬도 119 dtex, 14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섬교락사를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9.1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 (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90 본 /2.54 ㎝, 위사밀도 71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하여, 실시예 8의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11 본 /2.54 ㎝, 위사밀도 79 본 /2.54 ㎝, 커버팩터 (CF) 2105)을 얻었다.
(실시예 9)
신장도 104 %, 단사섬도 0.54 dtex, 비수 수축률 19.3 %, 총섬도 45 dtex, 8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했다. 한편, 신장도 27.8 %, 단사섬도 2.8 dtex, 총섬도 33 dtex, 12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23.0 %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준비했다.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및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 B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 중 제 1 공급롤러(1), 히터(2), 제 1 인취롤러(3)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0.5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56 본 /2.54 ㎝, 위사밀도 114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예 9의 발수성 직편물 (경사밀도 197 본 /2.54 ㎝, 위사밀도 144 본 /2.54 ㎝, 커버팩터(CF) 2720)을 얻었다.
(비교예 1)
경사, 위사와 함께 72 dtex, 15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각각 무연상태로 배치하여, 경사밀도 141 본 /2.54 ㎝, 위사밀도 112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염색가공 및 발수가공 하여, 직물(경사밀도 144 본 /2.54 ㎝, 위사밀도 119 본 /2.54 ㎝, 커버팩터(CF)가 2290)를 얻었다.
(비교예 2)
표면에 84 dtex, 72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뒷면에 84 dtex, 36f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각각 무연상태로 사용하고, 후쿠하라정밀주식회사 제의 환편기(LPJ-H 형, 33 인치, 28 게이지)를 이용하여, 편밀도가 38 코스 /2.54 ㎝, 32 웨일 /2.54 ㎝의 메쉬조직의 편지를 제편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염색가공 및 발수가공, 편물 (편밀도 54 코스 /2.54 ㎝, 39 웨일 /2.54 ㎝)을 얻었다.
(비교예 3)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제 2015-98661 호 공보)의 실시예 2의 기재대로, 비교예 3의 발수성 직물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신장도 92 %, 단사섬도 0.54 dtex, 총섬도 180 dtex, 336f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비수 수축률 19.5 %)을 준비했다. 한편, 직물단면이 동심심초형으로 그 질량비율(심/초)이 75/25이고, 태양광차단물질로서 산화티타늄을 심부에 5 질량 %, 초부에 0.3 질량 % 각각 함유함과 동시에, 섬유전체에 산화티타늄을 3.825 질량 % 포함하는 고배향 미연신 섬유로 구성된 신장도 147 %, 단사섬도 2.7 dtex, 총섬도 130 dtex, 48f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 (비수 수축률 19.7 %)을 준비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및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이용하여, 가연구로서 디스크 타입의 것을 사용하고, 복합가연과 혼섬교락함으로써, 신장도 25.4 %의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즉, 폴리에스테르 배향미연신사 A를 단독으로 가연하지 않으면서, 소정의 비수 수축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사용하지 않고,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이것을, 워터제트직기(츠다코다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고, 경위사에 상기에서 얻어진 혼섬교락사를 무연상태로 각각 배치하여, 경사밀도 78 본 /2.54 ㎝, 위사밀도 50 본 /2.54 ㎝의 능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리고 BOILOFF 정련기(후쿠신공업주식회사 제)를 이용하여, 생기를 95 ℃에서 정련하고, 이어서, 연속 이완기(relaxer)(와카야마철공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이완시켰다. 그 후, 직물을 130 ℃에서 건조하고, 190 ℃에서 30 초간 프리 세팅했다.
다음에, 상기 처방 1에 나타낸 조성의 염색액을 조제한 후, 이 염색액을 이용하여 직물을 130 ℃에서 40 분간 염색 하였다. 그 후, 쉬링크 서퍼형 건조기(주식회사히라노테크시드 제)를 이용하여 130 ℃에서 건조 하였다.
또한, 상기 처방 2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을 제조한 후, 팟타 가공기를 이용하여 압축율 80 %에서 수용액을 섬유에 부여하고, 120 ℃에서 120 초간 건 조처리했다. 그리고, 180 ℃에서 30 초간 파이널 세트한 후, 160 ℃에서 캘린더 가공했다. 얻어진 직물은, 경사밀도 83 본 /2.54 ㎝, 위사밀도 56 본 /2.54 ㎝, 커버팩터(CF)은 2176이었다.
(비교예 4)
신장도 104 %, 단사섬도 0.54 dtex, 총섬도 45 dtex, 8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했다. 한편, 신장도 131 %, 단사섬도 3.3 dtex, 총섬도 40 dtex, 12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5.1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준비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와 B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8.8 %의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다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45 본 /2.54 ㎝, 위사밀도 115 본 / 2. 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하여, 발수성 직편물(경사밀도 165 본 /2.54 ㎝, 위사밀도 120 본 /2.54 ㎝, 커버팩터(CF) 2157)을 얻었다.
(비교예 5)
신장도 92 %, 단사섬도 0.54 dtex, 총섬도 180 dtex, 300f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7.4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70 본 /2.54 ㎝, 위사밀도 52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하고, 비교예 5의 발수성 직편물(경사밀도 81 본 /2.54 ㎝, 위사밀도 60 본 /2.54 ㎝, 커버팩터(CF) 1804)을 얻었다.
(비교예 6)
신장도 28.7 %, 단사섬도 3.48 dtex, 총섬도 167 dtex, 48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22.0 %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사용한 것, 및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 중 제 1 공급롤러(1), 히터(2), 제 1 인취롤러(3)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7.7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 (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67 본 /2.54 ㎝, 위사밀도 50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 가공을 하고, 비교예 6의 발수성 직편물(경사밀도 83 본 /2.54 ㎝, 위사밀도 65 본 /2.54 ㎝, 커버팩터 (CF) 2020)을 얻었다.
(비교예 7)
처방 2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을 직물에 부여하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발수가공을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직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8)
신장도 131 %, 단사섬도 3.3 dtex, 총섬도 40 dtex, 12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5.1 %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수축성 혼섬교락사의 제조공정에 제공하여, 신장도 26.5 %의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얻었다.
얻어진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경사, 위사에서 무연상태로 각각 이용하고, 워터제트직기(츠다코마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145 본 /2.54 ㎝, 위사밀도 115 본 /2.54 ㎝의 평조직의 생기를 제직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정련, 염색, 발수가공을 실시하여, 발수성 직편물(경사밀도 180 본 /2.54 ㎝, 위사밀도 143 본 / 2.54 ㎝, 커버팩터(CF) 2483)을 얻었다.
(비교예 9)
처방 2에 나타낸 조성의 수용액을 직물에 부여하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발수가공을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발수성 직편물(경사밀도 197 본 /2.54 ㎝, 위사밀도 144 본 /2.54 ㎝, 커버팩터(CF) 2720)을 얻었다.
[시험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발수성 직편물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단사섬도
(dtex)
총섬도(dtex) 미연신사 B 및 연신사 B의 비수 수축율 (%) 질량비율 (A/B) 교락수 (개/ m)
섬유 A 섬유 B 섬유 A 섬유 B 혼섬교락사
실시예 1 0.41 2.9 35 35 70 22.3
(미연신사)
51.2/48.8 251
실시예 2 0.41 2.9 35 35 70 22.3
(미연신사)
51.2/48.8 251
실시예 3 0.41 2.9 35 35 70 22.3
(미연신사)
51.2/48.8 251
실시예 4 0.41 2.9 35 35 70 22.3
(미연신사)
51.2/48.8 251
실시예 5 0.5 2.9 75 69 144 22.3
(미연신사)
67.5/32.5 240
실시예 6 0.41 2.9 35 70 105 26.0
(미연신사)
35.8/64.2 235
실시예 7 0.41 1.9 35 34 69 16.0
(미연신사)
52.7/47.3 250
실시예 8 0.68 2.9 98 35 133 22.3
(미연신사)
73.8/26.2 226
실시예 9 0.41 2.9 35 35 70 24.5
(연신사)
52.7/47.3 248
비교예 1 0.48 - 72 - - - - 69
비교예 2 1.17 - 84 - - - - 60
비교예 3 0.45 1.84 158 87 245 19.7
(미연신사)
63.4/36.6 115
비교예 4 0.41 2.3 37 27 64 5.1
(미연신사)
58.4/41.6 245
비교예 5 0.5 2.9 150 35 185 22.3
(미연신사)
81.5/18.5 220
비교예 6 0.41 3.7 35 177 212 22
(연신사)
17.9/82.1 219
비교예 7 0.48 - 72 - - - - 69
비교예 8 2.8 2.9 33 35 68 22.3
(미연신사)
44.7/55.3 245
비교예 9 0.41 2.9 35 35 70 22
(미연신사)
51.2/48.8 251
SMD 직물의 CF 코스밀도/
웨일밀도
물방울 회전각도 직편물의 신장율 생기의 두께 직편물의 두께 생기의 두께에 대한 발수성 직편물의 두께 단위면적당질량 감촉
(㎛) 2.54㎝ 당 (도) (%) (㎛) (㎛) (배) (g/m2)
실시예 1 1.908 2720 - 13.3 1.7 150 250 1.67 130
실시예 2 2.923 - 78/55 8.6 102 550 700 1.27 133
실시예 3 1.957 2720 - 15.5 1.7 150 250 1.67 130
실시예 4 2.036 2449 - 21.1 1.8 140 225 1.61 115
실시예 5 2.249 2470 - 19.5 1.9 210 270 1.29 140
실시예 6 1.763 2452 - 26.8 1.1 200 300 1.50 159
실시예 7 1.842 2561 - 20.8 2.1 190 230 1.21 125
실시예 8 2.369 2105 - 35.4 1.7 250 350 1.40 109
실시예 9 2.017 2720 - 12.7 1.7 150 250 1.67 147
비교예 1 1.947 2289 - 44.3 3.2 150 150 1.00 85 ×
비교예 2 2.564 - 54/39 17.8 125.6 750 650 0.87 131 ×
비교예 3 6.364 2176 - 45.7 4 170 170 1.00 134 ×
비교예 4 1.538 2157 - 36.2 2.7 140 140 1.00 84 ×
비교예 5 4.134 1804 - 32.1 2 270 290 1.07 167 ×
비교예 6 3.697 2020 - 51.2 0.9 280 380 1.36 98 ×
비교예 7 2.671 2290 - - 3.1 150 150 1.00 85 ×
비교예 8 2.968 2483 - 63.7 1.6 145 240 1.66 144 ×
비교예 9 1.884 2720 - 34.6 1.7 150 240 1.60 129
실시예 1 ~ 9의 발수성 직편물에서 구성하는 혼섬교락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루프나 늘어짐 등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돌출부의 내측(혼섬교락사의 내부측)에는,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가 완만하게 결합해서 형성된 공기 유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 9에서는, 경량성이 뛰어나고, 탄력감이 충분하면서도, 로터스 효과에 의해 발수성이 현저하게 뛰어난 발수성 직편물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3에서는, 열수수축성이 높은 실을 포함하는 혼섬교락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편물의 신장율이 높아지고, 그 결과, 탄력감이 불충분한 데다 로터스 효과에 의한 발수성에 뒤떨어진 발수성 직편물이 되었다. 비교예 2에서는, 열수수축성이 높은 실을 포함하는 혼섬교락사를 사용하지 않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단사 섬도가 굵었기 때문에, 편지를 얻은 실시예 2와 비교하면, 발수성이 떨어지고, 또한, 탄력감도 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총섬도가 30 dtex 미만이며, 탄력감이 불충분했다. 비교예 5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총섬도가 100 dtex 넘고,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혼율이 낮았기 때문에, 볼륨감이 크지만, 탄력감이 부족한 것이었다. 비교예 6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총섬도가 100 dtex 넘고,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혼율이 낮았기 때문에, 탄력감이 너무 강하고, 너무 딱딱한 감촉이며, 생지 표면의 미세 기모감이 적고, 회전 발수성도 나빴다. 비교예 7은, 비교예 1과 동일의 편물에 대해서, 발수가공을 하지않아, 탄력감이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발수성이 현저히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8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A의 단사섬도가 0.9 dtex를 넘고, 볼륨감이 크지만, 탄력감이 부족하고, 발수성도 불충분했다. 발수가공을 하지 않은 비교예 9에서는, 실시예 1에 비해서 발수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단, 비교예 9에 대해서, 발수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뛰어난 발수성의 부여가 기대되며, 비교예 9는, 발수성 직편물의 제조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도 3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직편물에서, 두께 부분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배율: 100 배).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충분히 열수수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혼섬교락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직 편물이 평탄하게 되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구성섬유 사이의 공극도 커지는 것을 이해할 수있다.
YA: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의 패키지
YB: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의 패키지
A: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
B: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
1: 제 1 공급롤러
2: 히터
3: 제 1 인취롤러
4: 제 2 공급롤러
5: 히터
6: 가연구
7: 제 2 인취롤러
8: 유체노즐
9: 제 3 인취롤러
10: 권취롤러
11: 패키지
T1: 가연영역
T2: 해연영역

Claims (16)

  1.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된 발수성 직물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가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섬교락사의 교락수가 200 ~ 300 개 / m 의 범위이고,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이 2.1 % 이하인, 발수성 직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질량이 200 g/m2 이하인, 발수성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커버팩터(CF)가 1500 ~ 3000의 범위에 있고, 물방울 회전각도가 40도 이하인, 발수성 직물.
  5. 제 1항에 따른 발수성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장도가 18 ~ 50 %인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제직하여, 생기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생기를 열수수축 처리하여, 저신축성 직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저신축성 직물을 발수가공하여, 발수성 직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직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이,
    (1) 단사섬도가 1.0 ~ 10.0 dtex, 총섬도가 30 ~ 200 dtex, 신장도가 80 ~ 15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배율 1. 3 ~ 1.7 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얻는 연신공정, 또는
    단사섬도가 0.6 ~ 4.8 dtex, 총섬도가 18 ~ 96 dtex, 신장도가 15 ~ 6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준비하는 공정과,
    (2) 단사 섬도가 0.20 ~ 1.44 dtex, 총섬도가 30 ~ 160 dtex, 신장도가 80 ~ 150 %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공속도 100 ~ 700 m / 분, 연신배율 1.1 ~ 1.6 배의 조건에서 가연하여,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 가연공정과,
    (3) 상기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유체노즐을 이용하여, 공기압 0.1 ~ 1.0 Mpa,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의 오버피드율 차가 0 ~ 10.0 %의 조건으로 혼섬교락하는 혼섬교락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직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기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발수성 직물의 두께가 1.01 ~ 2.00 배인, 발수성 직물의 제조방법.
  8. 혼섬교락사를 포함하는 저신축성 직물로 이루어진 발수성 직물의 제조중간체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며, 총섬도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이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섬교락사의 교락수가 200 ~ 300 개 / m 의 범위이고,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이 2.1 % 이하인 제조 중간체.
  9. 혼섬교락사를 포함하고, 표면에 발수제가 부착된 발수성 편물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고,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가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섬교락사의 교락수가 200 ~ 300 개 / m 의 범위이고,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이 102 % 이하인, 발수성 편물.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질량이 200 g/m2 이하인, 발수성 편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커버팩터(CF)가 1500 ~ 3000의 범위에 있고, 물방울 회전각도가 40도 이하인, 발수성 편물.
  13. 제 9항에 따른 발수성 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장도가 18 ~ 50 %인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제편하여, 생기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생기를 열수수축 처리하여, 저신축성 편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저신축성 편물을 발수가공하여, 발수성 편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편물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혼섬교락사를 준비하는 공정이,
    (1) 단사섬도가 1.0 ~ 10.0 dtex, 총섬도가 30 ~ 200 dtex, 신장도가 80 ~ 15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B를 연신배율 1. 3 ~ 1.7 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얻는 연신공정, 또는
    단사섬도가 0.6 ~ 4.8 dtex, 총섬도가 18 ~ 96 dtex, 신장도가 15 ~ 60 %, 비수 수축률이 20 %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준비하는 공정과,
    (2) 단사 섬도가 0.20 ~ 1.44 dtex, 총섬도가 30 ~ 160 dtex, 신장도가 80 ~ 150 %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미연신사 A를 가공속도 100 ~ 700 m / 분, 연신배율 1.1 ~ 1.6 배의 조건에서 가연하여,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를 얻는 가연공정과,
    (3) 상기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를 유체노즐을 이용하여, 공기압 0.1 ~ 1.0 Mpa,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B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A와의 오버피드율 차가 0 ~ 10.0 %의 조건으로 혼섬교락하는 혼섬교락공정,을 포함하는 발수성 편물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생기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발수성 편물의 두께가 1.01 ~ 2.00 배인, 발수성 편물의 제조방법.
  16. 혼섬교락사를 포함하는 저신축성 편물로 이루어진 발수성 편물의 제조중간체에 있어서,
    상기 혼섬교락사는 단사섬도가 0.2 ~ 0.9 dtex이며, 총섬도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단사섬도가 1.0 ~ 5.0 dtex이며, 총섬도가 30 ~ 10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B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와의 단사섬도 비(A / B)이 1 / 20 ~ 1 / 4의 범위에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A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B의 질량 비율(A / B)이 20 / 80 ~ 80 / 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혼섬교락사의 표면부분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A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섬교락사의 교락수가 200 ~ 300 개 / m 의 범위이고,
    JIS L 1096 : 2010에 따라 측정된 신장율 (정하중법, 하중 14.7 N)이 102 % 이하인 제조 중간체.
KR1020187006381A 2016-06-15 2017-06-15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9041 2016-06-15
JPJP-P-2016-119041 2016-06-15
JPJP-P-2016-140404 2016-07-15
JP2016140404 2016-07-15
PCT/JP2017/022101 WO2017217484A1 (ja) 2016-06-15 2017-06-15 撥水性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547A KR20180028547A (ko) 2018-03-16
KR101944679B1 true KR101944679B1 (ko) 2019-01-31

Family

ID=6066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81A KR101944679B1 (ko) 2016-06-15 2017-06-15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354777B1 (ko)
KR (1) KR101944679B1 (ko)
WO (1) WO2017217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4168B2 (ja) * 2018-03-22 2022-09-29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混繊糸、織編物、及び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JP6695582B1 (ja) 2019-12-03 2020-05-20 株式会社finetrack 撥水性編地、撥水性編地の製造方法、撥水性編地で構成される衣類およびその衣類を含むレイヤリン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8661A (ja) * 2013-11-19 2015-05-28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6759B2 (ja) * 1990-03-14 1999-08-23 東レ株式会社 高密度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07683A (ja) * 2007-06-26 2009-01-15 Teijin Fibers Ltd 撥水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2009287128A (ja) * 2008-05-27 2009-12-10 Teijin Fibers Ltd 撥水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5178481B2 (ja) * 2008-12-04 2013-04-10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軽量織物および衣料
JP2011047068A (ja) * 2009-08-26 2011-03-10 Teijin Fibers Ltd 撥水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2012122144A (ja) * 2010-12-06 2012-06-28 Teijin Fibers Ltd 撥水性織物および衣料
EP2650430B1 (en) * 2010-12-07 2018-03-14 Teijin Frontier Co., Ltd. Water-repellent woven fabric and garment
KR102046198B1 (ko) * 2012-12-17 2019-11-18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패브릭 및 섬유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8661A (ja) * 2013-11-19 2015-05-28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547A (ko) 2018-03-16
EP3354777A4 (en) 2018-12-26
WO2017217484A1 (ja) 2017-12-21
EP3354777B1 (en) 2020-02-12
EP3354777A1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162B2 (ja) 編地およびスポーツ衣料
TWI762645B (zh) 多層構造布帛及纖維製品
JP6174464B2 (ja)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JP2015108204A (ja) 複合紡績糸からなる織物
JP2020186503A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ストレッチ性織編物、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870833B1 (ko) 다중 수축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44679B1 (ko) 발수성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9127672A (ja)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6214056A (ja) 織物
JP2014210988A (ja) 多層構造織編物
JP6247414B1 (ja)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JP7193912B2 (ja) 吸水性編物
JP6242528B2 (ja)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JP2010150675A (ja) 保温編地
JP6228718B1 (ja) 撥水性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53414A (ja) 混繊交絡糸、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交絡糸を用いた織編物
JPWO2018092736A1 (ja) ナイロン混繊交絡糸、織編物、ナイロン混繊交絡糸の製造方法、及び積層生地
JPWO2018092737A1 (ja) ナイロン混繊交絡糸、織編物、ナイロン混繊交絡糸の製造方法、及び積層生地
JP2018062714A (ja) 吸水速乾性織編物
EP3466671A1 (en) Laminated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194854B1 (ja) 仮撚加工糸からなる編地
TWI830821B (zh) 布帛及纖維製品
JP2009299244A (ja) 仮撚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058245A (ja)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糸および織編物
TW202106190A (zh) 布帛及纖維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