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21B1 - 캐노피 - Google Patents

캐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21B1
KR101944621B1 KR1020170076990A KR20170076990A KR101944621B1 KR 101944621 B1 KR101944621 B1 KR 101944621B1 KR 1020170076990 A KR1020170076990 A KR 1020170076990A KR 20170076990 A KR20170076990 A KR 20170076990A KR 101944621 B1 KR101944621 B1 KR 10194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post
movable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371A (ko
Inventor
홍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웃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웃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웃팅
Priority to KR102017007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6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서, 네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가동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가동 포스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가동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가동 브라켓; 두 개의 프레임이 " X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힌지부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링크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절첩 틀; 상기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고 포스트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노피는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바퀴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캐노피를 설치작업 또는 철거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로 간단하게 상기 캐노피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노피{Canopy}
본 발명은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간단히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한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차양이나 간이 하우스 즉, 캐노피(canopy)란 야지에서 바람이나 햇볕을 가리기 위해 소정 높이로 골조를 세우고, 골조 위에 지붕시트를 덮는 것으로, 야영지나 길거리행사, 체육대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노피는 지면에 대하여 기립 설치되는 4개의 지주프레임,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다수의 링크대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천정프레임부, 상기 천정프레임부의 중앙에 결합된 센터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프레임은 아우터 센터폴의 내부에 이너 센터폴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프레임을 잡고 측방으로 펼치면 상기 링크대에 의해 센터 프레임은 자동으로 승강함으로써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캐노피를 임시로 가설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캐노피는 설치작업 또는 철거작업시 다수의 사람이 작업에 참여해야만 함으로써, 상기 캐노피의 설치 및 철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캐노피의 위치조절시 여러 번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캐노피는 적어도 두 사람 이상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을 잡고 외부로 펼치거나 내부로 접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캐노피의 위치 조절과정에서 작업자 간에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캐노피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969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0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바퀴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캐노피를 설치작업 또는 철거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캐노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노피는 네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가동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가동 포스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가동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가동 브라켓; 두 개의 프레임이 " X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힌지부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링크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절첩 틀; 상기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고 포스트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부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몸체; 상기 핀 결합공이 형성된 외면에 장착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고정핀이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가동 포스트를 구성하는 위치 결합공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힌지 작동부; 상기 고정 브라켓 몸체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브라켓은 중공 또는 상부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일 면에 고정 결합공이 형성되는 가동 브라켓 몸체; 상기 가동 브라켓 몸체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 고정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는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정 포스트의 지지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바퀴 연결홈이 형성되는 포스트 지지부;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바퀴; 및 상기 이동바퀴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 지지부의 바퀴 연결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기둥의 상부에는 기둥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장착홈에는 일부가 절개된 탄성링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캐노피는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바퀴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캐노피를 설치작업 또는 철거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로 간단하게 상기 캐노피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가동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가동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이동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이동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가동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가동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이동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를 구성하는 이동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노피(100)는 고정 포스트(200), 가동 포스트(300), 고정 브라켓(400), 가동 브라켓(500), 절첩 틀(600), 이동구(7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포스트(200)는 네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200)는 소정의 높이와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가동 포스트(300)의 작동을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포스트(200)는 원활한 결합 및 고정을 위하여 단면이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동 포스트(200)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00)의 핀의 이동을 위한 핀 결합공(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포스트(200)의 외면에는 원활한 파지 및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포스트(300)는 고정 포스트(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포스트(300)는 소정의 높이와 크기를 가지며 내부는 무게 경감을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 포스트(300)의 외면은 고정 포스트(200)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가동 포스트(300)는 단면이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 포스트(300)의 하부 외면에는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4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고정 포스트(20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가동 포스트(300)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40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핀 결합공(412)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몸체(410), 상기 핀 결합공(412)이 형성된 외면에 장착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고정핀(430)이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가동 포스트(300)의 위치 결합공(320)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힌지 작동부(420), 상기 고정 브라켓 몸체(4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400)은 고정 포스트(200)의 상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힌지 작동부(420)의 작동을 통해 고정핀(430)을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가동 포스트(300)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440)를 통해 절첩 틀(600)의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400)을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부(440)는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400)의 내면은 고정 포스트(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브라켓(5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가동 포스트(30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브라켓(500)은 중공 또는 상부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일 면에 고정 결합공(512)이 형성되는 가동 브라켓 몸체(510), 상기 가동 브라켓 몸체(5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520), 상기 프레임 고정부(520)를 연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연결부(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동 브라켓(500)은 가동 포스트(300)의 고정 결합공(512)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520)를 통해 절첩 틀(600)의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브라켓(500)을 구성하는 프레임 고정부(520)는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 틀(600)은 포스트(200, 300)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200, 300)의 작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그리고 절첩 틀(600)은 두 개의 프레임(620)이 " X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620)의 연결부분에 힌지부(630)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링크(610)와 상기 프레임(620)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링크(610)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6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절첩 틀(600)은 다수개의 링크(610)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하면서 힌지 연결부(640)를 통해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프레임(620)은 프레임 연결부(440)와 프레임 고정부(520)에 각각 고정장착되어, 상기 포스트(200, 3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상기 이동구(700)는 고정 포스트(2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700)는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공(712)이 형성되는 수평판(710), 상기 수평판(7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정 포스트(200)의 지지홈(72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바퀴 연결홈(724)이 형성되는 포스트 지지부(720), 상기 수평판(7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스토퍼(732)가 구비된 이동바퀴(730), 상기 이동바퀴(7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 지지부(720)의 바퀴 연결홈(724)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 기둥(7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구(700)는 수평판(710)의 상부에 지지홈(722)과 바퀴 연결홈(724)이 형성된 포스트 지지부(720)를 일체로 하고, 상기 바퀴 연결홈(724)에 이동바퀴(730)의 고정 기둥(740)을 끼움 결합하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동구(700)는 고정 포스트(200)의 하부에 포스트 지지부(720)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포스트 지지부(720)의 하부에 이동바퀴(730)의 고정 기둥(740)을 끼움 결합하여, 상기 캐노피(100)를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노피(100)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포스트 지지부(720)에서 이동바퀴(730)를 분리한 후 상기 수평판(710)의 체결공(712)에 고정팩 등을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기둥(740)의 상부에는 포스트 지지부(720)의 지지홈(722)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기둥 장착홈(742)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장착홈(742)에는 일부가 절개된 탄성링(744)이 장착된다.
즉, 상기 이동바퀴(730)는 고정 기둥(740)에 장착되는 탄성링(744)을 통해 포스트 지지부(720)의 지지홈(722)에 고정 및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노피(100)를 구성하는 포스트(200, 300)의 사이에는 중앙 고정부(800)가 절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고정부(800)는 상부 돌출부(820)와 상기 고정 브라켓(400)의 프레임 연결부(440)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상부 돌출부(820)에 연결되는 프레임(8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 고정부(800)는 상부에 장착되는 천막(900)의 중앙부분을 돌출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840)의 길이가 링크(610)를 구성하는 프레임(620)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캐노피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높이와 크기를 가지며,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는 핀 결합공(220)이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포스트(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200)의 내부로 소정의 높이와 크기를 가지며, 단면이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공(320)이 형성되는 가동 포스트(300)를 삽입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포스트(200)의 상부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핀 결합공(412)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몸체(410), 상기 핀 결합공(412)이 형성된 외면에 장착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고정핀(430)이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가동 포스트(300)의 위치 결합공(320)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힌지 작동부(420), 상기 고정 브라켓 몸체(4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440)로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400)을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포스트(300)의 상부에 중공 또는 상부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일 면에 고정 결합공(512)이 형성되는 가동 브라켓 몸체(510), 상기 가동 브라켓 몸체(5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600)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520), 상기 프레임 고정부(520)를 연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연결부(530)로 구성되는 가동 브라켓(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스트(200, 300)의 사이로 두 개의 프레임(620)이 " X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620)의 연결부분에 힌지부(630)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링크(610)와 상기 프레임(620)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링크(610)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640)로 구성되는 절첩 틀(6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200)의 하부로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공(712)이 형성되는 수평판(710), 상기 수평판(7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정 포스트(200)의 지지홈(72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바퀴 연결홈(724)이 형성되는 포스트 지지부(720), 상기 수평판(7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스토퍼(732)가 구비된 이동바퀴(730), 상기 이동바퀴(7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 지지부(720)의 바퀴 연결홈(724)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 기둥(740)로 구성되는 이동구(700)를 각각 장착하면 캐노피(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캐노피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캐노피(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포스트(200, 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포스트(200, 300)를 당기면, 캐노피(100)는 펼쳐지고 반대로, 상기 포스트(200, 300)를 내측으로 밀면 캐노피(100)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캐노피 200 : 고정 포스트
220 : 핀 결합공 240 : 미끄럼 방지 돌기
300 : 가동 포스트 320 : 위치 결합공
400 : 고정 브라켓 410 : 고정 브라켓 몸체
412 : 핀 결합공 420 : 힌지 작동부
430 : 고정핀 440 : 프레임 연결부
500 : 가동 프라켓 510 : 가동 브라켓 몸체
512 : 고정 결합공 520 : 프레임 고정부
530 : 프레임 연결부 600 : 절첩 틀
610 : 링크 620 : 프레임
630 : 힌지부 640 : 힌지 연결부
700 : 이동구 710 : 수평판
712 : 체결공 720 : 포스트 지지부
722 : 지지홈 724 : 바퀴 연결홈
730 : 이동바퀴 740 : 고정 기둥

Claims (6)

  1. 네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가동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가동 포스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가동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가동 브라켓;
    두 개의 프레임이 " X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힌지부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링크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절첩 틀;
    상기 고정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고 포스트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 포스트의 상부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몸체; 상기 핀 결합공이 형성된 외면에 장착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고정핀이 전진 또는 후진작동하여 가동 포스트를 구성하는 위치 결합공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힌지 작동부;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몸체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브라켓은 중공 또는 상부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일 면에 고정 결합공이 형성되는 가동 브라켓 몸체; 상기 가동 브라켓 몸체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절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 고정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고정 포스트의 지지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바퀴 연결홈이 형성되는 포스트 지지부;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바퀴; 및
    상기 이동바퀴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 지지부의 바퀴 연결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둥의 상부에는 기둥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장착홈에는 일부가 절개된 탄성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사이에 중앙 고정부가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중앙 고정부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를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상부 돌출부에 연결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KR1020170076990A 2017-06-17 2017-06-17 캐노피 KR10194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90A KR101944621B1 (ko) 2017-06-17 2017-06-17 캐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90A KR101944621B1 (ko) 2017-06-17 2017-06-17 캐노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71A KR20180137371A (ko) 2018-12-27
KR101944621B1 true KR101944621B1 (ko) 2019-02-01

Family

ID=6495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90A KR101944621B1 (ko) 2017-06-17 2017-06-17 캐노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2631A1 (en) * 2022-11-07 2024-05-16 The Coleman Company, Inc. Wheeled shel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62B1 (ko) * 2010-05-25 2011-12-19 휴먼전자 주식회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726A (ko) * 2008-10-06 2010-04-15 정봉균 천막용 바닥지지구
KR101397032B1 (ko) 2012-02-23 2014-05-20 (주)엔지아이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KR20130096950A (ko) 2012-02-23 2013-09-02 신재기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62B1 (ko) * 2010-05-25 2011-12-19 휴먼전자 주식회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71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686B2 (en) Collapsible canopy having reduced length
US8701692B2 (en)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CN101542058B (zh) 工艺圆顶
GB2535603A (en) Car roof tent
US11293196B1 (en) Six-device-in-one robot-assembled arthritic-assisting noise-canceling friction-reducing dog-run-adaptable anti-wobbling gazebo
KR101944621B1 (ko) 캐노피
KR20180001323U (ko) 실내용 난방텐트
CN101490351B (zh) 角撑
JP2016023420A (ja) 折り畳み式組立家屋
KR100679741B1 (ko) 접철식 천막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1840998B1 (ko) 이동식 캐노피
TWM539540U (zh) 可擴充的帳篷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JP3132914U (ja) 折畳式テント
KR20130004378U (ko) 텐트
KR101504586B1 (ko) 텐트 겸용 우산
JP3013187U (ja) 折畳み形テント
KR200275266Y1 (ko) 천막
CN114182915B (zh) 一种上支撑角度翻折结构
JP3084798U (ja) 移動式ユニットハウス用、雨よけ下屋フレーム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JP2005343663A (ja) バケット用テント及びバケット構造体
KR200304423Y1 (ko) 돔형텐트의 실내공간 확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