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23U - 실내용 난방텐트 - Google Patents

실내용 난방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23U
KR20180001323U KR2020160006281U KR20160006281U KR20180001323U KR 20180001323 U KR20180001323 U KR 20180001323U KR 2020160006281 U KR2020160006281 U KR 2020160006281U KR 20160006281 U KR20160006281 U KR 20160006281U KR 20180001323 U KR20180001323 U KR 201800013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t
cylindrical body
fix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978Y1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샵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샵, 이종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샵
Priority to KR2020160006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7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용 난방텐트에 관한 것으로, 판부와, 상기 판부의 하부에 요입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 프레임 몸체; 상기 몸체의 홈부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체;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공들;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원통체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상의 이동체; 상기 가이드공들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시 상기 스프링을 신축시키는 횡부재; 상기 프레임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 폴대들; 일단이 상기 메인 폴대들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폴대들; 상기 메인 폴대들에 설치되며, 출입구를 갖는 덮개; 상기 덮개의 각 모서리 하단에 연결고리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메인 폴대들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공을 갖는 결속판들; 및 상기 덮개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가 매트 위에 펼쳐질 시 상기 덮개를 매트에 걸어 고정하는 매트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용 난방텐트{TENT}
본 고안은 실내용 난방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의 사용이 우수한 실내용 난방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겨울철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실내에 텐트를 치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난방을 하지 않고 지내는 경우 또는 최소한의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텐트가 방한 난방의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실내에 텐트를 치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518호 "실내용 난방 텐트" 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둘러싸서, 난방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로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세로로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로부와, 가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부에서 분지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는 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부와, 상기 제1 유로부 또는 상기 제2 유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며, 외부와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구비한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를 포함함으로써, 외풍을 2중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실내 바닥뿐만 아니라, 실내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에 열을 공급하여, 방풍 및 보온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518호 "실내용 난방 텐트"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 사용이 우수한 실내용 난방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부와, 상기 판부의 하부에 요입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 프레임 몸체; 상기 몸체의 홈부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체;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공들;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원통체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상의 이동체; 상기 가이드공들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시 상기 스프링을 신축시키는 횡부재; 상기 프레임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 폴대들; 일단이 상기 메인 폴대들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폴대들; 상기 메인 폴대들에 설치되며, 출입구를 갖는 덮개; 상기 덮개의 각 모서리 하단에 연결고리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메인 폴대들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공을 갖는 결속판들; 및 상기 덮개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가 매트 위에 펼쳐질 시 상기 덮개를 매트에 걸어 고정하는 매트걸이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폴대들은 힌지를 통해 절첩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매트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위치시 상기 매트의 바닥에 깔려 상기 덮개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원통체의 선단에는 한쌍의 돌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부들을 가로질러 막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막대부재에 묶어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고정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판들의 고정공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폴대들의 선단에는 중간에 걸림홈을 갖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상기 걸림홈이 걸림으로써 상기 메인 폴대들의 선단을 상기 결속판들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텐트를 간편하게 펴고 접을 수 있고, 메인 폴대 중간이 접히기 때문에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텐트가 매트 위에 펼쳐지거나 매트가 텐트 안에 설치되어도 텐트가 매트에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텐트가 매트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는 일이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용 난방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표시 A부분을 단면하여 나타낸 것이고, 텐트가 펼쳐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표시 A부분을 도 2와는 다른 방향에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텐트가 접혔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내용 난방텐트가 매트 위에 펼쳐져 매트걸이가 매트에 걸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내용 난방텐트 내부에 매트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용 난방텐트는 판부(11)와, 판부(11)의 하부에 요입 형성된 홈부(13)로 이루어진 프레임 몸체(10)를 포함한다. 판부(11)는 상부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하부는 평면이며, 홈부(13)는 그 평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된다.
몸체(10)의 홈부(13)에는 홈부(13)의 바닥으로부터 길이를 갖는 원통체(20)가 돌출 형성되고, 원통체(20)에는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한쌍의 가이드공들(31)(33)이 형성되며, 가이드공들(31)(33)은 서로 대향한다.
이와 같은 원통체(20)의 내부에는 스프링(40)이 삽입 설치되며, 원통체(20)의 외주연에는 이동체(50)가 끼움 설치된다. 이동체(50)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이동체(50)에는 가이드공들(31)(33)을 가로질러 횡부재(60)가 고정되며, 횡부재(60)는 이동체(50)가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시 같이 이동하여 스프링(40)을 신축시킨다. 즉, 횡부재(60)가 이동체(50)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공들(31)(33)을 따라 이동하며 스프링(40)을 압축시키고 신장시킨다.
프레임 몸체(10)에는 메인 폴대들(70)이 힌지 결합되고, 지지폴대들(80)가 일단이 메인 폴대들(7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체(50)에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폴대들(70) 및 지지폴대들(80)이 펼쳐지면 이동체(50)가 원통체(20)를 따라 하향 이동하고, 그에 따라 횡부재(60)가 하향 이동함으로써 스프링(40)이 신장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폴대들(70) 및 지지폴대들(80)이 접히면 이동체(50)가 원통체(20)를 따라 상향 이동하고, 그에 따라 횡부재(60)가 상향 이동함으로써 스프링(40)이 압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40)이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메인 폴대들(70) 및 지지폴대들(80)가 탄력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 텐트를 간편하게 펴고 접을 수 있다.
메인 폴대들(70)에는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지퍼로 열고 닫는 1개 이상의 출입구(91)를 갖는 덮개(90)가 설치되고, 덮개(90)의 각 모서리 하단에는 연결고리(101)를 통해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공(111)을 갖는 결속판들(110)이 설치된다.
결속판들(110)의 고정공(111)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에는 중간에 걸림홈(131)을 갖는 결합부재(130)가 끼움 설치되며, 결합부재(130)가 고정공(111)에 끼워져 걸림홈(131)이 걸림으로써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을 결속판들(110)에 고정하며, 연결고리(101)를 통해 덮개(90)는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에 견고히 고정된다.
덮개(90)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매트걸이(130)가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걸이(130)는 덮개(90)가 매트(120) 위에 펼쳐질 시 덮개(90)를 매트(120)에 걸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텐트가 매트(120)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90)의 하단에는 덮개(90)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93)가 형성되고, 돌출부(93)는 매트(120)가 덮개(90)의 내부에 위치시 매트(120)의 바닥에 깔려 덮개(9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텐트가 매트(120)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원통체(20)의 선단에는 한쌍의 돌부들(21)(23)이 돌출 형성되고, 돌부들(21)(23)을 가로질러 막대부재(25)가 설치되고, 덮개(90)의 상부에는 막대부재(25)에 묶어 덮개(90)를 고정하는 고정끈(95)이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폴대들(70)은 힌지(71)를 통해 절첩됨으로써 길이가 짧아져 텐트의 보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덮개(90)의 하단에는 임의 물체에 고정될 수 있는 다수개의 고리부재들(150)이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텐트를 간편하게 펴고 접을 수 있고, 메인 폴대 중간이 접히기 때문에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텐트가 매트 위에 펼쳐지거나 매트가 텐트 안에 설치되어도 텐트가 매트에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텐트가 매트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는 일이 없다.
상기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몸체 11: 판부
13: 홈부 20: 원통체
21,23: 돌부 25: 막대부재
31,33: 가이드공 40: 스프링
50: 이동체 60: 횡부재
70: 메인 폴대 80: 지지폴대
90: 덮개 91: 출입구
93; 돌출부 95: 고정끈
101: 연결고리 110: 결속판
111: 고정공 130: 결합부재
131: 걸림홈 120: 매트
130: 매트걸이

Claims (5)

  1. 판부(11)와, 상기 판부(11)의 하부에 요입 형성된 홈부(13)로 이루어진 프레임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홈부(13)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체(20);
    상기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공들(31)(33);
    상기 원통체(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40);
    상기 원통체(20)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원통형상의 이동체(50);
    상기 가이드공들(31)(33)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체(50)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50)가 상기 원통체(20)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시 상기 스프링(40)을 신축시키는 횡부재(60);
    상기 프레임 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 폴대들(70);
    일단이 상기 메인 폴대들(7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50)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폴대들(80);
    상기 메인 폴대들(70)에 설치되며, 출입구(91)를 갖는 덮개(90);
    상기 덮개(90)의 각 모서리 하단에 연결고리(101)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공(111)을 갖는 결속판들(110);
    상기 덮개(9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90)가 매트(120) 위에 펼쳐질 시 상기 덮개(90)를 매트(120)에 걸어 고정하는 매트걸이(130)를 포함하는 실내용 난방텐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대들(70)은 힌지(71)를 통해 절첩되는 실내용 난방텐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90)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90)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9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93)는 상기 매트(120)가 상기 덮개(90)의 내부에 위치시 상기 매트(120)의 바닥에 깔려 상기 덮개(90)를 고정하는 실내용 난방텐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0)의 선단에는 한쌍의 돌부들(21)(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부들(21)(23)을 가로질러 막대부재(25)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90)의 상부에는 상기 막대부재(25)에 묶어 상기 덮개(90)를 고정하는 고정끈(95)이 설치되는 실내용 난방텐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들(110)의 고정공(111)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에는 중간에 걸림홈(131)을 갖는 결합부재(130)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130)가 상기 고정공(111)에 끼워져 상기 걸림홈(131)이 걸림으로써 상기 메인 폴대들(70)의 선단을 상기 결속판들(110)에 고정하는 실내용 난방텐트.
KR2020160006281U 2016-10-28 2016-10-28 실내용 난방텐트 KR200487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81U KR200487978Y1 (ko) 2016-10-28 2016-10-28 실내용 난방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81U KR200487978Y1 (ko) 2016-10-28 2016-10-28 실내용 난방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23U true KR20180001323U (ko) 2018-05-09
KR200487978Y1 KR200487978Y1 (ko) 2018-11-29

Family

ID=6216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81U KR200487978Y1 (ko) 2016-10-28 2016-10-28 실내용 난방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691A (zh) * 2018-12-29 2019-05-17 王铎皓 一种基于蓄压弹力自动撑开的野外用帐篷
KR20200029847A (ko) 2018-09-11 2020-03-19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연결부의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KR20200029846A (ko) 2018-09-11 2020-03-19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슬라이딩 커튼 식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82U (ko) 2019-08-29 2021-03-10 김종명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KR20210074576A (ko)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아이두젠 착탈형 루프를 구비한 텐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421Y1 (ko) * 1984-11-30 1988-04-15 벤-케이상사 주식회사 실내용 텐트
KR890007386Y1 (ko) * 1985-12-17 1989-10-25 진웅기업 주식회사 베드 텐트
KR20050045217A (ko) * 2003-11-10 2005-05-17 한덕수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4-07-22 김용철 실내용 난방 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421Y1 (ko) * 1984-11-30 1988-04-15 벤-케이상사 주식회사 실내용 텐트
KR890007386Y1 (ko) * 1985-12-17 1989-10-25 진웅기업 주식회사 베드 텐트
KR20050045217A (ko) * 2003-11-10 2005-05-17 한덕수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4-07-22 김용철 실내용 난방 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47A (ko) 2018-09-11 2020-03-19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연결부의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KR20200029846A (ko) 2018-09-11 2020-03-19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슬라이딩 커튼 식 텐트
CN109763691A (zh) * 2018-12-29 2019-05-17 王铎皓 一种基于蓄压弹力自动撑开的野外用帐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78Y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978Y1 (ko) 실내용 난방텐트
JP2013501170A (ja) テントもしくはシェルタのためのベント
US20210270055A1 (en) Rooftop tent for vehicle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101168239B1 (ko) 낚시텐트의 플라이
KR200352156Y1 (ko) 차량용 텐트
KR20130004129U (ko) 거실 확장형 텐트
KR20130004378U (ko)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KR20170012936A (ko) 접이식 휴대용 가림막
CN105078081A (zh) 轨道式蚊帐架和蚊帐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20100119320A (ko) 텐트의 프레임
KR200416808Y1 (ko) 텐트
KR20060122187A (ko) 캐노피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0131336Y1 (ko) 텐트용 푸라이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200383559Y1 (ko) 절첩식 텐트
KR200491483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