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518B1 - 실내용 난방 텐트 - Google Patents

실내용 난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518B1
KR101421518B1 KR1020120153077A KR20120153077A KR101421518B1 KR 101421518 B1 KR101421518 B1 KR 101421518B1 KR 1020120153077 A KR1020120153077 A KR 1020120153077A KR 20120153077 A KR20120153077 A KR 20120153077A KR 101421518 B1 KR101421518 B1 KR 10142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pace
surface portion
heating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388A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2015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5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둘러싸서, 난방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로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세로로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로부와, 가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부에서 분지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는 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부와, 상기 제1 유로부 또는 상기 제2 유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하여, 실내 바닥뿐만 아니라, 실내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에 열을 공급하여, 방풍 및 보온 성능을 높이고, 실내 공간 전역을 균일하게 난방 함으로써, 포근한 실내 공간을 구현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용 난방 텐트{heating tent for indoor}
본 발명은 실내용 난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어 외풍을 차단하고, 난방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겨울철 추운 날씨에 온열매트, 전기히터 등 계절가전의 이용량이 높아지면서 일반가정에서도 난방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전기요금은 사용량이 많을수록 요금단가가 높아지는 누진세가 적용되는 점을 고려 할 때, 가정에서 느끼는 난방 비용은 큰 부담으로 다가 온다.
또한, 주택이 노후할 수록 겨울철 외풍에 취약한데, 주로 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는 주택 구조를 고려할 때, 외풍은 난방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외풍에 의해 떨어지는 실내 온도를 올리기 위하여, 별도의 난방 가전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비용적인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실내에 외풍이 심하면, 실내 바닥을 가열하더라도, 바닥과,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은 온도 차이가 크게 나기 마련이다. 통상적으로, 난방 비용 문제로, 실내 바닥을 종일 가열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온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외풍에 의해 금새 떨어 질 수 있다. 이에, 포근한 실내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외풍을 차단하여 열 손실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외풍을 차단하기 위해서, 창문이나 창 틈에 방풍 수단들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외풍을 차단하는데 제한적이다. 이에, 실내 공간을 둘러싸서 외풍을 차단하는 텐트가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텐트는, 바닥을 제외한 소정의 실내 공간을 둘러쌈으로써,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 공간을 격리하여, 외풍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텐트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풍 또는 방한 기능이 있는 원단으로 구성되는 텐트벽이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텐트 내부 공간이 작은 경우, 원단만으로 둘러싸도 어느 정도의 방풍 및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텐트 내부 공간이 큰 경우, 외풍을 차단하고 텐트의 내부 공간을 보온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텐트가 작게 되면, 실내 공간의 한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생활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된다. 그렇다고 텐트를 크게 하는 경우, 실내 공간의 대부분을 텐트의 내부 공간으로 하여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 공간의 제약을 받진 않을 수는 있으나, 원단으로 구성되는 텐트벽은 방풍 및 보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방풍 성능 및 보온 성능이 보다 우수한 텐트벽을 갖는 텐트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풍을 차단함과 아울러, 실내 바닥과 실내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포근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풍 및 보온 성능이 우수한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둘러싸서, 난방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로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세로로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로부와, 가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부에서 분지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는 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부와, 상기 제1 유로부 또는 상기 제2 유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열공급부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포함된 열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상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난방 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부는 투시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는 지퍼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천정부는 벨크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는, 외부와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구비한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를 포함함으로써, 외풍을 2중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실내 바닥뿐만 아니라, 실내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에 열을 공급하여, 방풍 및 보온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열을 공급하는 제1 유로부와.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열을 수평으로 확장하여 열을 확장시키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하여, 실내 공간 전역을 균일하게 난방 함으로써, 포근한 실내 공간을 구현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텐트벽을 이루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별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호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 형태의 다양성을 높이고, 설치 공간에 적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텐트벽을 이루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에 각각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난방 공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는, 전면부, 후면부 또는 측면부에서 공기를 빼어 내어 보관함으로써, 보관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천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텐트벽에 공기층(cavity)을 형성시키고, 공기층을 가열하는 열공급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제1 유로부 및 제2 유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는,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가 둘러싸서 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내용 난방 텐트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텐트벽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텐트벽을 가지는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난방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천정부(40)가,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실내용 난방 텐트는 실내 구조물에 고정되는 못과 같은 고정 부재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된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는 외피 및 내피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외피와 내피가 형성하는 공기층이 존재하는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피는 열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피는 되도록 열전달이 용이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0)와, 후면부(20), 측면부(30) 및 천정부(40)는 모서리 상단에 각각 구비된 지지부(2)에 연결된 지지대(1)를 통해 실내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는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내부에 각각 모두 형성되거나,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내부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부(100) 또는 제2 유로부(200)의 내부에는 열공급부(300)가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열공급부(300)가 제1 유로부(100)의 하부를 거쳐 가도록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에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되거나, 제2 유로부(200)의 내부에만 포함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로부(100)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와 난방 공간을 격리하여, 외풍을 2중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풍은 1차적으로,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외피에서 차단되며, 공기층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된다.
제1 유로부(100)에 형성된 공기층은 외부와 난방 공간의 열전달을 막는 단열재로서 역할을 한다. 제1 유로부(100)에 형성된 공기층은 대류가 발생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도록,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1 유로부(100)는 세로 방향(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열공급부(300)에서 가열된 공기를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1 유로부(100)는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로부(100) 사이에는 투시 가능한 투명창(50)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50)을 통해 사용자는 실내용 난방 텐트의 내부를 보거나, 실내용 난방 텐트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다. 또한, 투명창(50)은,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환기 등을 위해 투명창(50)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제1 유로부(100)의 개수 및 길이. 배치 간격은 실내용 난방 텐트의 크기 및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공급부(300)에서 가열된 공기는 제1 유로부(10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가열 공기는 제1 유로부(100)에서 분지된 제2 유로부(200)를 통하여 수평하게 확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유로부(200)는, 제1 유로부(10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와 난방 공간을 격리하여, 외풍을 2중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유로부(200)는 가로 방향(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열공급부(300)에서 가열된 공기를 가로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2 유로부(200)는 전면부(10)와,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역시, 각각의 제2 유로부(200) 사이에는 투시 가능한 투명창(50)이 다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00)의 개수 및 길이. 배치 간격은 실내용 난방 텐트의 크기 및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공급부(300)에서 가열된 공기는 제1 유로부(10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가열 공기는 제1 유로부(100)에서 차례로 분지된 제2 유로부(200)를 통하여 수평하게 확장된다.
이렇게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를 통해, 열공급부(300)에서 가열된 공기가 전면부(10) 또는 후면부(20) 또는 측면부(30)의 각각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퍼짐으로써, 난방 공간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공급부(300)는 제1 유로부(100) 또는 제2 유로부(200)의 공기층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공급부(300)는 전면부(10) 또는 후면부(20) 또는 측면부(30) 각각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열공급부(300)에 가열된 공기는 자연스럽게. 제1 유로부(100)를 통해 상승하게 되고, 제2 유로부(200)를 통해 확장된다.
이러한, 열공급부(300)는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열공급부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열공급부(300)는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열전달 관점에서, 가열된 공기를 통하여, 외부와 난방 공간을 완벽히 격리시키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에 대응하여 난방 공간으로 열을 보충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는 실내 바닥에서 공급되는 열과 이울러, 전면부(10) 또는 후면부(20) 또는 측면부(30) 각각에서 공급되는 열이 난방 공간에 제공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난방 공간의 온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며, 외풍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난방 텐트의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0)와 양 측면부(30)가 각각 결합하여 모서리를 이룬다. 이때, 전면부(10)와 양 측면부(30)는 각각 지퍼 방식(도 3의 A)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지퍼를 해제하여 양 측면부(30)로부터 전면부(10)를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후면부(20)와 양 측면부(30)가 각각 결합하여 모서리를 이룬다. 이때, 후면부(20)와 양 측면부(30)는 각각 지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지퍼를 해제하여 양 측면부(30)로부터 후면부(20)를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렇게,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가 용이하게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맞추어서 실내용 난방 텐트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전면부(10)와 양 측면부(30) 또는, 후면부(20)와 양 측면부(30)의 결합 방식을 지퍼 방식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크로와 같은 다른 형태의 결합 방식으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각각의 상단은 천정부(4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는 각각 벨크로 방식(도 3의 B)으로 천정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각각의 상단을 잡아 당겨, 천정부(40)로부터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 각각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천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난방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천정부(40)가,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천정부(40)부는 조명에서 발하는 빛이 난방 공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정부(40)는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에 각각 형성된 공기 주입구(600)를 통해, 제1 유로부(100) 및 제2 유로부(20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반대로, 공기 주입구(600)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빼어,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부피를 각각 줄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주입구(600)를 통해 공기를 빼어내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부피를 축소하여 보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 각각에는 열공급부(300)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목표하는 난방 방향에 대응하여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난방 공간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에 각각 포함된 열공급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는 전면부(10), 후면부(20) 및 측면부(30)의 발열 온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면부
20 : 후면부
30 : 측면부
40 : 천정부
50 : 투명창
100 : 제1 유로부
200 : 제2 유로부
300 : 열공급부
400 : 전원 연결부
500 : 제어부

Claims (6)

  1.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둘러싸서, 난방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로서,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세로로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로부와, 가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부에서 분지되어 외부와 상기 난방 공간을 격리는 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부와, 상기 제1 유로부 또는 상기 제2 유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열공급부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각각 포함된 열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상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난방 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부는 투시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는 지퍼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천정부는 벨크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난방 텐트.
KR1020120153077A 2012-12-26 2012-12-26 실내용 난방 텐트 KR10142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77A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2-12-26 실내용 난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77A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2-12-26 실내용 난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88A KR20140083388A (ko) 2014-07-04
KR101421518B1 true KR101421518B1 (ko) 2014-07-22

Family

ID=517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077A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2-12-26 실내용 난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5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3U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다샵 실내용 난방텐트
KR20220100316A (ko) 2021-01-08 2022-07-15 박상수 실내용 텐트
KR20220105884A (ko) 2021-01-21 2022-07-28 박상수 벽 이용형 실내텐트
KR20220114421A (ko) 2021-02-08 2022-08-17 박상수 실내용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3947A (en) * 2015-01-08 2016-07-13 Denness Peter Indoor heated chair tent
IT201600103432A1 (it) * 2016-10-14 2018-04-14 Adriano Ribera Struttura di tenda da campeggio con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62Y1 (ko) * 1983-02-10 1984-11-22 김동열 단열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62Y1 (ko) * 1983-02-10 1984-11-22 김동열 단열텐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3U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다샵 실내용 난방텐트
KR20220100316A (ko) 2021-01-08 2022-07-15 박상수 실내용 텐트
KR20220105884A (ko) 2021-01-21 2022-07-28 박상수 벽 이용형 실내텐트
KR20220114421A (ko) 2021-02-08 2022-08-17 박상수 실내용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88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518B1 (ko) 실내용 난방 텐트
KR101475491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KR101801557B1 (ko) 수평축 회오리대류방식 난방 시스템
KR101797707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KR101261876B1 (ko) 온수매트용 컨트롤러
KR20110115890A (ko) 발열 보온 자돈사
US20120006280A1 (en) Weatherized Pet House
KR101811016B1 (ko) 창호 시스템
KR20130097897A (ko) 발열수단이 내장된 도어 프레임
RU143280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отопления юрт
CN206944299U (zh) 一种墙排式取暖器
JP5594156B2 (ja) 床暖房ユニット
US20200378623A1 (en) System for Heating a Room
KR101745922B1 (ko) 냉난방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30502B1 (ko) 텐트
CN205783274U (zh) 一种壁挂式电暖器
CN205560953U (zh) 一种新型柜式节能电暖器
KR101797705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CN210373704U (zh) 石墨烯空气对流墙暖
KR20180086057A (ko) 온풍 매트리스
KR102174460B1 (ko) 냉.온수 순환이 선택적으로 가능토록 하는 냉.온수 순환장치
CN107339733A (zh) 一种墙排式取暖器
CN207050068U (zh) 一种多向出热风组合式取暖器
JP3847099B2 (ja) 窓暖房装置
CN202852955U (zh) 多功能节能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