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05B1 -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 Google Patents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05B1
KR101797705B1 KR1020150109105A KR20150109105A KR101797705B1 KR 101797705 B1 KR101797705 B1 KR 101797705B1 KR 1020150109105 A KR1020150109105 A KR 1020150109105A KR 20150109105 A KR20150109105 A KR 20150109105A KR 101797705 B1 KR101797705 B1 KR 10179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rame
heater
pl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986A (ko
Inventor
김찬오
이명희
Original Assignee
김찬오
이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오, 이명희 filed Critical 김찬오
Priority to KR102015010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7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3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ors on a metallic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첩되는 발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절첩되는 프레임수단(10); 및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지지되어 상호 절첩되면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발열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FOLDABLE ELECTRIC HEATER}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첩되는 발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할 때 사용하는 난방용 히터는 사용목적 및 구성에 의해 전기 히터, 혼합형 히터, 스팀형 히터 등이 있다.
이 중 전기히터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직접 복사 방출하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편리하며,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제조단가가 낮기 때문에 공장이나 소규모 사무실 또는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발열체로서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나노 카본 히터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나노 카본 히터는 약 2만 가닥의 탄소섬유를 꼬아서 약 1,800℃의 온도로 열처리를 하여 만들어진 탄소발열체를 사용한 히터로서, 카본의 화학적 우수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의 염려가 적고, 전열체로서 가장 중요한 전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웰빙시대에 각광받는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숯성분으로 인해 난방의 효과와 더불어 건강 및 피부에도 아주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나노 카본 히터는 작동 후 3초 정도 후 난방이 수행되는 것으로 쾌속 난방이 가능하며, 높은 복사율과 열효율을 가져 일반 니크롬 열선 대비 최대 36%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전자파를 방출하지 않고, 할로겐 램프와 달리 눈부심이 적은 장점이 있다.
상기 나노카본 히터는 외부의 찬 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발열체를 통해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난방을 하게 되나, 종래의 나노 카본 히터는 발열체가 히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찬 공기가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시간이 짧아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낮아 난방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형난방기에는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전기히터, 기름히터, 가스히터로 구분된다.
상기 전기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넓은 공간의 온도를 높여주고, 기름 또는 가스히터에 비해서 냄새가 없고, 유해가스 성분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온풍기의 경우 전기료가 많이 나오고, 필터를 자주 교환해야되며 공기가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름히터는 열효율이 높아 넓은 면적을 난방하는데 효과적인 장점이 있으나, 연료비가 비싸고, 전기히터에 비해 산소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하며, 유해성분 가스가 발생하고, 화재의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가스히터는 열효율이 높고, 연료비가 적게드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히터에 비해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지고, 전기히터에 비해 산소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하며, 유해성분가스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5553호(2011.09.05. 등록)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휀(60)과, 중앙관체(80)와, 열전달부재(30) 및 카본발열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공기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10) 상방으로 송풍하는 휀(60)과,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부는 밀폐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에 일시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80a)이 형성된 중앙관체(80)와, 상기 중앙관체(80)의 외측 둘레에 직립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체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80a)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중앙관체의 통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공(30a)이 형성된 열전달부재(30)와, 상기 열전달부재(30)의 외측에 직립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반사판과 중앙관체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체 내부에 일시 저장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카본발열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은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된 휀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된 공기는 카본발열체를 통해 가열된 후 외부로 배출되며 동시에 상기 카본 발열체의 열이 반사판을 통해 복사되어 히터 주위를 따뜻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중앙관체와 반사판이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설치되는 것이며, 특히 반사판은 다수개의 판이 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인접하여 결합되되 각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상기 중앙관체의 외측에 복수 방향에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금속판을 만곡 형성한 뒤 이를 용접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제조시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사판을 통해 배출되는 열의 방향이 다방향으로 배출되어 열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은 방향으로도 열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즉 종래기술의 히터를 벽면측에 가깝게 배치한 상태에서는 벽면측으로 배출되는 열에 의해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형태가 평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카본발열체를 전방으로 돌출된 양면을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전방측으로만 열을 배출시켜 화재의 염려를 줄일 수 있으나, 이때 후방으로 배출되는 열이 전혀 없어 난방의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발열히터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입형식으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정형화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열히터 또는 휴대용, 소형 난방기는 겨울철과 같이 내부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내부의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여름과 같이 일정온도 이상의 경우에 불필요함에 따라 다음 사용을 위해 어느 한 공간에 보관한다. 이 경우, 종래의 발열히터는 정형화된 부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엔 겨울철에도 오토캠핑과 같은 레저를 즐기기 때문에 발열히터를 챙겨가져 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정형화된 부피만큼 차량의 탑재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발열히터 또는 소형 난방기는 휴대성 및 보관성이 떨어져 제품 경쟁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35243호(2011.05.19.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75020호(2011.10.1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8891호(2012.03.15.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첩되는 발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절첩되는 프레임수단; 및 상기 프레임수단에 지지되어 상호 절첩되면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수단은,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과 제2프레임 사이에 구성되고 사방을 감싸도록 하면서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수의 절첩판이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절첩프레임; 및 상기 절첩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구성된 발열수단의 보호 및 외부로 발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절첩프레임과 동반하여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은, 상기 프레임수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의해 동반절첩되도록 다수의 히터판이 구성되는 발열판; 및 상기 발열판에 고정되어 상기 절첩되는 발열판과 함께 절첩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일정온도 발열하는 발열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은, 상기 프레임수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발열판으로 구성되는 발열판; 및 상기 다수의 발열판 각각에 고정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발열판에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발열판에는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발열판 각각에 구성되는 발열선들에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는 단자;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판은, 일면에 발열선이 위치되는 제1히터판; 상기 제1히터판에 위치된 발열선을 감싸도록 상기 제1히터판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열선을 통해 발열되는 열을 확산시켜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제2히터판; 및 상기 제2히터판의 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히터판의 타면으로 열이 방열되는 것을 차단시켜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수단에는, 상기 발열수단을 통해 발열되는 열을 흡기하여 외부에 온풍을 제공하여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수단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첩되는 발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히터기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함으로써, 야외용 예컨대, 오토캠핑과 같은 레저활동에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적용범위의 확대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풍 토출형 카본히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히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신장된 상태의 접이식 히터기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축된 상태의 접이식 히터기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히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수단(10)과, 발열수단(20) 및 송풍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수단(10)은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수단(10)은 지면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12)과, 상기 제1프레임(12)에 대응되도록 상방에 위치되는 제2프레임(14) 및 상기 제1과 제2프레임(12)(14) 사이에 구성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절첩프레임(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2)은 상기 절첩프레임(16)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첩프레임(16)이 절첩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단축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2)의 일측에는 상기 발열수단(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패널 즉, 온/오프(ON/OFF) 스위치와, 온도조절스위치 및 시간조절스위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스위치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4)은 상기 제1프레임(12)과 대응되도록 상방에 위치되고, 하단에 상기 절첩프레임(16)의 상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4)에는 상기 송풍수단(30)으로 발열수단(20)에서 발열된 열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소통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14)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절첩프레임(16)의 상단이 끌어 올려져 상기 절첩프레임(16)이 펼쳐지도록 신장시킨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14)은 생략가능하다. 즉, 상기 제2프레임(14)을 대체하여, 상기 송풍수단(30)의 하단부에 상기 절첩프레임(16)의 상단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첩프레임(16)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14) 사이에 구성되어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함으로써, 발열수단(20)을 통한 발열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절첩프레임(16)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복수의 절첩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첩프레임(16)은 상기 제1프레임(12)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절첩판(162) 및 상기 제2프레임(14)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절첩판(16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절첩판(162)(164)은 상호 절첩에 의해 길이를 가변시켜 발열수단(20)이 절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절첩판(162)(164) 사이에는 가변길이가 증폭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첩판을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발열수단(20)의 길이에 맞춰 다양한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첩판(162)은 내측에 상기 제2절첩판(164)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상단부에 상기 제2절첩판(164)의 하단부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절첩판(164)의 하단부는 상기 제1절첩판(162)의 수납공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첩판(162)에서 상기 제2절첩판(164)을 신장시켰을 때 상기 제1절첩판(162)의 삽입홈에 상기 제2절첩판(164)의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절첩판을 절첩 즉, 단축 또는 신장시켰을 때 원활하게 단축 또는 신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볼플런저 방식과 같이, 상기 제2프레임(164)의 하단부에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이 상기 제1프레임(162)의 삽입홈에 걸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첩프레임(16)의 제1 및 제2절첩판(162)(164)의 개방된 전면에는 내측에 구성되는 발열수단(20)을 보호하면서 상기 발열수단(20)에서 발열되는 열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망(18)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망(18)은 상기 제1 및 제2절첩판(162)(164)과 함께 동반 절첩되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절첩을 간섭하지 않도록 절첩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안전망(18)은 상기 제1절첩판(162)에 의해 고정되는 제1안전망(182)과 상기 제2절첩판(164)에 고정되는 제2안전망(18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첩판(162)에서 제2절첩판(164)이 절첩될 때 상기 제1안전망(182)에서 제2안전망(184)이 절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안전망(18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프레임(16)의 절첩판의 개수에 맞춰 보조안전망(186)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안전망(184)이 신장될 때 하방으로 상기 보조안전망(186)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안전망(18)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발열수단(20)은 상기 프레임수단(10)에 거치되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단축 또는 신장상태에 따라 연동되고, 신장상태일 때 제어패널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수단(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열판(22) 및 상기 발열판(22)에 고정되는 발열선(24)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판(22)은 복수로 구성되고 이웃하는 부분에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수단(10)의 단축 또는 신장될 때에 이와 연동되어 상기 복수의 발열판(22)이 단축 또는 신장된다.
또한, 상기 발열판(22)은 제1히터판(222)과, 상기 제1히터판(222)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2히터판(224) 및 상기 제2히터판(224)의 일면에 밀착되는 차단판(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은 상기 발열선(24)을 통해 발열되는 열을 확산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 사이에는 상기 발열선(24)이 구성된다. 즉, 상기 발열선(24)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발열선(24)에서 발열하면, 발생한 열이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을 가열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을 통해 발열이 확산된다.
상기 차단판(226)은 상기 제2히터판(224)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선(24)을 통해 발열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 사이에 구성된 발열선(24)을 통해 발열이 상기 제1히터판(222)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히터판(224)의 일면에 구성된 차단판(226)에 의해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히터판(222)을 통해 발열되는 열 즉, 난방효율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이다.
또한, 상기 차단판(226)은 상기 제2히터판(224)에 구성되어 발열선(24)에 의해 가열되는 제2히터판(224)의 열이 상기 제1히터판(222) 측으로 발열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에 의한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차단판(226)은 스테인리스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재 등이다.
상기 발열선(24)은 상기 제1 및 제2히터판(222)(224) 사이에 구성되고, 일단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일정온도의 열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열선(24)은 중앙에 전류에 의해 일정온도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외주에 형성되어 이를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일정온도의 열을 발산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열판(22)은 제2히터판(224)을 생략하고, 상기 제1히터판(222)의 일면에 상기 발열선(24)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1히터판(222)의 타면에 차단판(226)을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열선의 발열을 통해 난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조이든 채택가능하다.
즉, 상기 발열수단(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24)이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에 삽입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발열선(24) 사이에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을 맞댄 후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1히터판(222)에 발열선(24)을 위치시킨 후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접착테이프를 접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발열판(22)에 발열선(24)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면 어느 구조이든 채택 가능하다.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발열수단(20)에서 발열되는 열을 흡기하여 온풍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송풍수단(30)은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일측에 구성되는 송풍모터(34) 및 상기 송풍모터(34)의 일측에 구성되는 송풍팬(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2)는 상기 프레임수단(10) 즉, 제2프레임(14)의 상단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32)의 일측에는 상기 제2프레임(14)에 구성되는 소통공과 통공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32)에 구성된 송풍팬(36)으로 발열수단(20)에서 발열된 열기가 용이하게 흡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32)의 타측에는 상기 송풍팬(36)에 의해 흡기되는 열기의 온풍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공이 구성된다.
상기 송풍모터(34)는 상기 본체(3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송풍팬(3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송풍모터(34)는 상기 본체(32)의 내측 일부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36)은 상기 송풍모터(34)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터(34)를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32)의 통공을 통해 발열수단(20)의 열기를 흡기하여 데워진 바람 즉, 온풍을 상기 본체(32)의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온풍에 의해 광범위한 범위에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32)의 배기공 측에는 상기 송풍모터(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을 가열시켜 온풍온도가 상승시킴으로써,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조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히터는 PTC히터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전원을 통해 일정온도 가열되는 발열체이면 어느 구조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축된 상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수단(10)의 제1 및 제2절첩판(162)(164) 등의 다수의 절첩판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된 송풍수단(30)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30)의 하단에 고정된 제2프레임(14)이 잡아 당겨지면서 상기 제2프레임(14)이 제1프레임(12)에서 일정길이 펼쳐지도록 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2)의 내측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2프레임(14)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2프레임(14)의 하단부에 위치한 돌기가 상기 제1프레임(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2)에 대하여 상기 제2프레임(14)이 일정길이 상승되고 상기 제1프레임(12)의 삽입홈에 상기 제2프레임(14)의 돌기가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여 프레임수단(10)이 신장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14) 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도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신장길이가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14) 내측 일단에 일단이 고정된 안전망(18)의 제2안전망(184)이 제1안전망(182)에 대하여 펼쳐지게 되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전면 개방부분을 보호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수단(10)의 내측에 구성된 발열수단(20)의 복수의 발열판(22)이 펼쳐지게 된다.
즉, 상기 복수의 발열판(22) 중 하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12)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14)에 고정된 상태임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14)의 상승에 의해 상기 발열판(22)의 상단부가 끌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발열판(22)은 지그재그로 이웃하는 부분이 힌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그재그방식으로 절첩된 다수의 발열판(22)이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2)의 일측에 구성된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발열수단(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열수단(20)에서 일정온도의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패널에 구성되는 온도조절스위치를 통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온풍스위치를 통해 송풍수단(30)으로 제어신호를 발송하여 온풍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패널에 구성된 시간조절스위치를 통해 발열수단(20) 또는 송풍수단(30)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은 상기 제1프레임(12)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접촉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사용 중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접이식 히터기가 넘어질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예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14) 중 어느 하나에 근접센서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14)이 상호 펼쳐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프레임(12)의 제어패널에서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여도 전원인가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예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이식 히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수단 또는 센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접이식 히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방에 위치한 송풍수단(30)을 하방으로 강제로 누르면, 제1프레임(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서 제2프레임(14)의 돌기가 이탈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12)의 수납공간을 따라 제2프레임(14)이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14)에 일측이 고정된 보조안전망(186)이 구성된 제2안전망(184) 및 발열판(22)이 상호 절첩되어 단축된다.
이 경우, 제1프레임(12)의 일측에 구성된 제어패널에서 온(ON) 스위치가 온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14)이 단축되는 상태가 센서에 의해 센싱되면 자동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화재예방을 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발열수단(20)은 상호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발열판(23) 및 상기 발열판(23)에 구성되는 발열선(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판(2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2)에 고정되는 제1발열판(232), 및 상기 제1발열판(232)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제2발열판(23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발열판(232)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제2발열판(234)이 상,하 슬리아딩될 때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발열판(232)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의해 상기 제2발열판(234)의 양단이 안내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발열판(232)의 하단에는 상기 제1프레임(12)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발열판(232)의 상단부에는 상방에 구성되는 제2발열판(234)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단자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발열판(234)에는 상기 제1발열판(232)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단자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발열판(232)(234) 사이에는 신장길이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연결판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 및 사용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발열판(232)(234)은 제1실시 예의 발열판(22)의 구조와 동일하게 발열선(24)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히터판(222)(224)이 고정되고, 상기 제2히터판(224)의 일면에 차단판(226)이 구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수단 12: 제1프레임
14: 제2프레임 16: 절첩프레임
162: 제1절첩판 164: 제2절첩판
18: 안전망 20: 발열수단
22: 발열판 222: 제1히터판
224: 제2히터판 226: 차단판
24: 발열선 30: 송풍수단
32: 본체 34: 송풍모터
36: 송풍팬

Claims (6)

  1. 길이가 가변되도록 절첩되는 프레임수단(10); 및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지지되어 상호 절첩되면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발열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수단(10)은, 제1프레임(12)과;
    상기 제1프레임(12)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2프레임(14)과;
    상기 제1과 제2프레임(12)(14) 사이에 구성되고 사방을 감싸도록 하면서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수의 절첩판이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절첩프레임(16); 및
    상기 절첩프레임(16)의 개방된 전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구성된 발열수단(20)의 보호 및 발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절첩프레임(16)과 동반하여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망(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20)은,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절첩에 의해 동반절첩되도록 다수의 히터판이 구성되는 발열판(22); 및
    상기 발열판(22)에 고정되어 상기 절첩되는 발열판(22)과 함께 절첩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일정온도 발열하는 발열선(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20)은,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절첩에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발열판(23); 및
    상기 다수의 발열판(23) 각각에 고정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발열판(23)에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24)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발열판(23)에는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발열판(23) 각각에 구성되는 발열선(24)들에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는 단자;
    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22)(23)은,
    일면에 발열선(24)이 위치되는 제1히터판(222);
    상기 제1히터판(222)에 위치된 발열선(24)을 감싸도록 상기 제1히터판(222)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열선(24)을 통해 발열되는 열을 확산시켜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제2히터판(224); 및
    상기 제2히터판(224)의 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히터판(224)의 타면으로 열이 방열되는 것을 차단시켜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단판(2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6. 청구항 1과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수단(10)에는,
    상기 발열수단(20)을 통해 발열되는 열을 흡기하여 외부에 온풍을 제공하여 난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송풍수단(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KR1020150109105A 2015-07-31 2015-07-31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KR10179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05A KR101797705B1 (ko) 2015-07-31 2015-07-31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05A KR101797705B1 (ko) 2015-07-31 2015-07-31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86A KR20170014986A (ko) 2017-02-08
KR101797705B1 true KR101797705B1 (ko) 2017-12-12

Family

ID=5815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05A KR101797705B1 (ko) 2015-07-31 2015-07-31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45A (ko) 2018-11-01 2020-05-11 박주성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85A (ja) 1999-01-19 2000-07-25 Nippon Kosumotekku:Kk 折り畳み式ヒ―タ―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325B2 (ja) 1996-04-30 2007-01-10 東京瓦斯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85A (ja) 1999-01-19 2000-07-25 Nippon Kosumotekku:Kk 折り畳み式ヒ―タ―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45A (ko) 2018-11-01 2020-05-11 박주성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86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264B1 (ko) 세라믹히터를 갖는 헤어드라이기
US6327427B1 (en) Space heater and enclosure
US7218848B2 (en) Diffuse-pattern radiant heater with non-parabolic reflector apparatus and method
KR101797707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US20190162441A1 (en) Portable hot water supply tank
US7046918B1 (en) Space heater with pretreated heat exchanger
KR101764248B1 (ko) 온열 텐트
KR200456940Y1 (ko) 구조개선된 이동형 소형 히터
KR101797705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CN204629665U (zh) 电暖器
KR101797706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WO2021227960A1 (zh) 干燥设备
JP4671293B2 (ja) イオン供給装置
KR101139897B1 (ko) 방열 온풍기
KR200426540Y1 (ko) 전기난로 겸용 온풍기
KR102120111B1 (ko) 휴대용 온풍기
CN210432252U (zh) 一种便于散热的移动数据盒
KR101741095B1 (ko) 전기 버너
CN105333612B (zh)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KR200455553Y1 (ko) 열풍 토출형 나노 카본 히터
KR200497503Y1 (ko) 휀이 결합된 난방용 전기히터
US9599367B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heater
CN202207232U (zh) 暖脚器
CN105003859A (zh) 具有空气温度调节功能的台灯
CN217978989U (zh) 一种改进隔热的气电两用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