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897B1 - 방열 온풍기 - Google Patents

방열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97B1
KR101139897B1 KR1020090070776A KR20090070776A KR101139897B1 KR 101139897 B1 KR101139897 B1 KR 101139897B1 KR 1020090070776 A KR1020090070776 A KR 1020090070776A KR 20090070776 A KR20090070776 A KR 20090070776A KR 101139897 B1 KR101139897 B1 KR 10113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er
plate
housing
radi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877A (ko
Inventor
이호재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09007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에 수용된 반사판(10)에서 열이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우징(1) 내에 설치된 히타(20); 및 히타(20) 전방에서 히타(20)의 열을 투과하며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에 설치된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를 하우징(1) 흡입구(2)를 통해 흡기하여 히타(20)에서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온풍 발생수단(40)을 내열 글래스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공간에 부가하며;
상기, 온풍발생수단(40)은 하우징(1)의 적어도 한 면의 흡입구(2)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히타(20)로 보내는 송풍팬(42); 송풍팬(42)에서 흡입 외기를 흡기하여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히타(20)에서 열교환한 온풍을 송풍하되 반사판(10)의 상단에서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상단과 이격상태로 연장되어 배출구(3)로 송풍을 배출하는 배출안내판(44)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은 하우징(1)의 전방 안쪽으로 설치된 방사판고정대(4,5)에 고정되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전방의 방사판고정대(4,5)에는 안전망(6)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온풍기이다.
방열기,온풍기,방열온풍기

Description

방열 온풍기{A radiater blowing with warm wind}
본 발명은 방열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열을 전방으로 방사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히타, 히타 전방에서 히타의 열을 투과하며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내열 글래스 방사판, 및 히타와 반사판 사이에서 온풍용 열교환을 하고 전방으로 온풍을 송풍하는 온풍발생수단을 포함하는 방열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열기는 가열기름이나 온수를 사용한 열교환매체를 통한 열교환열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라디에이타 개념의 방열기가 알려져 있으나 단순히 열 만을 제공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자는 피부로 열을 느낄 뿐 시각적으로 방열이 되는지는 알 수 없어 사용자가 부주위로 방열기에 피부를 닿아서 화상을 입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실내가 어두운 경우는 더더욱 접촉의 위험이 있는 현실이다.
또한, 온풍기는 설치한 히타 사이의 공간으로 팬을 통한 외기가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전방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기술구조의 예로는 국내특허출원 제 10-2007-0138081호, 제10-2007-0119462호, 제10-2007-0085643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20121호, 20-2005-0000076호, 20-2002-0022743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중 특허출원 제 10-2007-0138081, 제10-2007-0119462호, 제10-2007-0085643호 및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7-0020121호는 히타에 반사판 구조가 없어 히타의 열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20121호, 20-2005-0000076호는 일반적인 선풍기 방식의 외관구조에 코일형 히타를 설치하고, 히타의 내부 및 외부를 팬을 통한 외기가 통하도록 하면서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이어서 온풍의 배출이 일정하지 않고 배출위치를 조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단순히 외기가 통과하는 방식이어서 열교환효율이 낮아서 온풍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히타의 열이 단순히 방열 위주인 경우 온풍은 보조 기능이고, 온풍 위주인 경우는 방열이 미비한 실정으로, 이들이 조화를 이루어 열효율을 극대화한 구조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반사판 구조를 이루어 눈부심을 방지하는 보조반사판 구조의 종래 실용신안등록20-0415335호와 특허등록 제 10-0767731호가 알려져 있으나 보조반사판이 전방에서 단순히 열을 차단 및 반사하여 눈부심을 방지하는 구조이지 빛과 열을 투과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며 눈부심을 동시에 방지하는 구조는 찾을 수 없으며, 온풍구조역시 실용신안등록20-0415335호는 반사판 뒤로 열교환하는 방식이어서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고 한참 가열된 후에야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특허등록 제 10-0767731호는 전방에 방열판이 있기는 있으나 반사판을 전부 덮는 방식이 아닌 일부만을 덮어서 빛의 투과를 일부 막아서 반사토록 함으로써 눈부심은 막아주나 가열시간이 지나야 방열판이 방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열효율이 떨어지며 잠열이 남게 되며, 열과 외기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을 제공하되 시각적으로 은은한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눈을 보호하면서 온풍도 가능하도록 한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에 사용한 히타가 동시에 온풍을 제공하는 열원으로도 사용되도록 하여 온풍과 방열을 조화를 이루어 동시에 수행 가능토록 하는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기의 전면에 빛을 투과하는 방사판을 두어 열이 전방으로 방열 되도록 함과 동시에 히타의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은 수개의 만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흡입 외기가 와류를 일으켜 서서히 열교환 되도록 하여 방열수단과 온풍수단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방열판이 열을 투과하는 방식이어서 히타를 턴온시키면 빛으로 열이 투과하여 순식간에 열을 제공하고, 히타의 전원을 끄면 순식간에 빛이 꺼지므로 투과하는 열이 차단되어 잠열 없이 사용 가능한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하우징에 수용된 반사판에서 열이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히타, 및
히타 전방에서 히타의 열을 투과하며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내열 글래스 방사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방열 온풍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필요시 외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하우징 흡입구를 통해 흡기하여 히타로 보낸다음 히타에서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온풍 발생수단을 방사판과 반사판 사이의 공간에 부가한 방열 온풍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방열을 제공하되 시각적으로 은은한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눈을 보호하면서 온풍도 가능하도록 한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열에 사용한 히타가 동시에 온풍을 제공하는 열원으로도 사용되도록 하여 온풍과 방열이 조화를 이루어 동시에 수행 가능토록 하는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열기의 전면에 빛을 투과하는 방사판을 두어 열이 전방으로 방열 되도록 함과 동시에 히타의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은 수개의 만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흡입 외기가 와류를 일으켜 서서히 열교환 되도록 하여 방열수단과 온풍수단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킨 방열 온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직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단면 사시도로,
하우징(1)에 수용된 반사판(10)에서 열이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우징(1) 내에 설치된 히타(20); 및
히타(20) 전방에서 히타(20)의 열을 투과하며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에 설치된 내열 칼라 방사판(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외기를 하우징(1) 흡입구(2)를 통해 흡기하여 히타(20)에서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온풍 발생수단(40)을 내열 글래스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공간에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온풍발생수단(40)은 하우징(1)의 적어도 한 면의 흡입구(2)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히타(20)로 보내는 송풍팬(42);
송풍팬(42)에서 외기를 흡기하여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히타(20) 에서 열교환한 온풍을 송풍하되, 반사판(10)의 상단에서 방사판(30) 상단과 이격상태로 연장되어 배출구(3)로 송풍을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판(4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반사판(10) 하단에는 외기의 흡입을 흡입구(2)에서부터 안내하는 흡입안내판(4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 좋다.
상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하단은 하우징(1)의 방사판 고정대(4)에 고정되며, 방사판 고정대(4)에는 흡입 외기를 히타(20)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흡입안내판(47)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은 하우징(1)의 전방 안쪽으로 설치된 방사판고정대(4,5)에 고정되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전방의 방사판 고정대(4,5)에는 안전망(6)을 부가한 것이 좋다.
상기, 반사판(10)은 히타(20)에 대응하는 수 개의 만곡면을 포함하고, 만곡면은 히타(20)에서 열교환하는 공기의 잔류시간을 증대시키는 와류발생수단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만곡면은 중앙의 히타(20)를 통한 방열을 위해 반경이 큰 메인 만곡면(12)과,
메인 만곡면(12) 상하에서 연속하여 형성한 직경이 작은 보조 만곡면(14)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7)은 조작버튼, (8)은 조작제어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히타는 나노카본히타는 국내특허등록제 0909881호를 들 수 있고, 이는 나선형 카본체가 일정 길이를 이루고, 나선형 카본체를 진공 관 체 내에 내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나선형카본체의 양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를 부가하여 발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체형 히타는 도 2 나 도 3 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 수평으로 반사판(10) 전면에 오도록 하우징(1)의 양 측벽에서 고정시키고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전원공급수단의 도시는 생략하고, 도 2 와 같이 조작버튼(7)의 조작 선택에 따라 출력 레벨이나 온오프를 선택하고, 이의 동작은 조작제어부(8)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어수단 자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의 설명은 역시 생략한다. 본 발명의 히타(20)는 막대형이나 유자형, 원형이 가능하고, 막대형이나 유자형은 도 2 및 3에 보인 반사판 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원형일 경우는 만곡면이 동심형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응하는 히타도 직경이 다른 동심형으로 설치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풍발생수단(40)을 작동시키지 않고 히타(20)만 온시키면, 히타(20)가 턴온되면서 발열하여 반사판(10)의 만곡면(12,14)을 따라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열이 이동하고, 이동하는 열은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은 열이 95% 이상 투과되는 실리카그래스 재질로 만든 것을 사용하는 것이 열전달 효율면에서 유리하고, 바람직하기는 진한 자주빛으로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면, 히타(20)의 열과 빛으로 눈이 부시는 것을 막아주고, 예를 들어 메인만곡면(12)을 통한 열반사는 전방으로 제공되므로, 이 열을 거의 95% 이상 전방으로 제공하면서, 균일한 조도를 제공하는 요인이 된다. 이는 메인반사판(12)의 반사가 전방으로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경을 가지 는 만곡면을 구성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아울러 보조만곡면(14)을 통하여 추가로 전방으로 열을 수평방향으로 반사하므로 전방에서 보면 방사판(30)의 각 지점마다 균일한 밝기와 균일한 열을 제공하여 전방의 어느 지점에서도 비슷한 열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이 하우징(1)의 전방 일정 거리의 안쪽에 오도록 방사판 고정대(5,4)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고, 방사판 고정대(5,4) 전방에는 노인이나 어린이가 손과 접촉하여 화상 입는 것을 막아주도록 안전망(6)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히타(20)가 전방에서는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종이나 이물질이 히타(20)에 닿아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
한편, 본원발명은 온풍발생수단(40)을 설치한 경우 각 히타(20)가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므로 아래로부터 위로 각 히타마다 외기가 지나치면서 열교환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온풍 상태로 전방으로 배출 가능하여 온풍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그리고 외기가 흡입구(2)를 지나 히타 부위로 이동할 때 통로가 흡입안내판(46,47)를 지나면서 좁아지므로 히타(20)에 빨리 전달되어 급속 가열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배출안내판(44)을 지나면서는 전방으로의 배출 통로가 넓어져서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온도의 대류 현상과 같은 자연스런 온풍의 공급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한편, 본원발명은 반사판(10)을 도 2 와 같이 메인만곡면(12)과 보조만곡면(14)의 결합구성방식이나, 균일한 만곡면 방식으로 하여 외기가 히타(20)를 거치면서 각 만곡면에 의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고, 와류는 결과적으로 외기를 히타 대응 부위에서 잔류하는 시간을 오래가도록 작용하여 더욱 높은 온도로의 열교환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방열과 온풍을 겸하면서 히타(20)가 반사판(10)에서 전반사로 작용함으로써 거의 전방으로 열을 반사함과 동시에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이 95% 정도의 열을 투과하므로 열 손실 없이 전방으로 방열을 가능토록 한다. 이 경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으로 방열하도록 이루어져 히타(20)와 외부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나 시력장애의 요인을 차단하고, 반사판을 통하여 열기가 전방으로 균일하게 반사됨과 동시에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이 빛의 투과를 어느 정도 중화시켜 눈부심을 막아주고, 은은힌 숯불과 같은 친근감을 준다.
그리고 이러한 방열을 함에도 온풍발생수단에서 수직상으로 배열된 히타(20)를 차례로 통과하여 차례로 열교환 하도록 이루어져 높은 열 교환 효율로 온풍을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기여한다. 그리고 반사판(10)에 만곡면을 가지도록 하면 외기가 히타를 통과하면서 와류를 발생시켜 열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아울러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은 관체형 히타(20)의 특성상 빛으로 열을 제공하므로 전원을 켜는 순간 발생하는 열을 방사판(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고, 전원을 끄는 순간 열이 차단되어 잠열이 없이, 화재 위험도 없고, 사용시에도 전방 어느 부분도 균일하게 눈부심을 방지토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수단 예로는 전방에서 반사판 구조를 이루어 눈부심을 방지하는 보조반사판 구조의 종래 실용신안등록20-0415335호와 특허등록 제 10-0767731호가 잇기는 있으나 열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열 및 눈부심 차단원리가 본원발명과는 전혀 다르다. 또한, 온풍열 역시 본원발명은 밀폐된 방사판과 반사판 사이의 히타를 외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므로 열교환 효과가 크지만, 종래 실용신안등록20-0415335호는 반사판 뒤로 열교환하는 방식이어서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고 한참 가열된 후에야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특허등록 제 10-0767731호는 전방에 방열판이 있기는 있으나 반사판을 전부 덮는 방식이 아닌 일부만을 덮어서 빛의 투과를 일부 막아서 반사토록 함으로써 눈부심은 막아주나 가열시간이 지나야 방열판이 방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열효율이 떨어지며 잠열이 남게되며, 열과 외기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빛을 투과하는 방사판과 반사판을 히타 앞에서 전부 막아주는 구조로 빛과 열을 투과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빛이 발생하는 순간 열을 공급토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방열기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직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단면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 2;흡입구 3;배출구 4,5;방사판 고정대 6;안전망 7;조작버튼 8;조작제어부 10;반사판 12;메인만곡면 14;보조만곡면 20;히타 30;내열 글래스 방사판 40;온풍발생수단 42;송풍팬 44;배출안내판 46;흡입안내판 47;흡입안내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우징(1)에 수용된 반사판(10)에서 열이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우징(1) 내에 설치된 히타(20); 및
    히타(20) 전방에서 히타(20)의 열을 투과하며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에 설치된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를 하우징(1) 흡입구(2)를 통해 흡기하여 히타(20)에서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온풍 발생수단(40)을 내열 글래스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공간에 부가하고;
    상기, 온풍발생수단(40)은 하우징(1)의 적어도 한 면의 흡입구(2)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히타(20)로 보내는 송풍팬(42);
    송풍팬(42)에서 흡입 외기를 흡기하여 방사판(30)과 반사판(10) 사이의 히타(20)에서 열교환한 온풍을 송풍하되 반사판(10)의 상단에서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상단과 이격상태로 연장되어 배출구(3)로 송풍을 배출하는 배출안내판(44)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은 하우징(1)의 전방 안쪽으로 설치된 방사판고정대(4,5)에 고정되며, 내열 글래스 방사판(30) 전방의 방사판고정대(4,5)에는 안전망(6)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온풍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0)은 히타(20)에 대응하는 수 개의 만곡면을 포함하고, 만곡면은 히타(20)에서 열교환하는 공기의 잔류시간을 증대시키는 와류발생수단으로 기능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온풍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면은 중앙의 히타(20)를 통한 방열을 위해 반경이 큰 메인 만곡면(12)과,
    메인 만곡면(12) 상하에서 직경이 작은 보조 만곡면(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온풍기.
KR1020090070776A 2009-07-31 2009-07-31 방열 온풍기 KR10113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76A KR101139897B1 (ko) 2009-07-31 2009-07-31 방열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76A KR101139897B1 (ko) 2009-07-31 2009-07-31 방열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77A KR20110012877A (ko) 2011-02-09
KR101139897B1 true KR101139897B1 (ko) 2012-04-30

Family

ID=4377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776A KR101139897B1 (ko) 2009-07-31 2009-07-31 방열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6547A (zh) * 2011-05-06 2011-10-26 山东科技大学 弯曲形暖气片热反射板
CN103939970B (zh) * 2014-04-18 2017-01-04 嘉兴市新家族电器有限公司 一种反射式取暖器
CN207247338U (zh) * 2017-07-17 2018-04-17 吴雁军 一种新型电暖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35Y1 (ko) * 2006-02-16 2006-05-02 정승호 저전압 전기히터
KR100767731B1 (ko) * 2006-07-04 2007-10-19 헵시바주식회사 전기 발열램프용 히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35Y1 (ko) * 2006-02-16 2006-05-02 정승호 저전압 전기히터
KR100767731B1 (ko) * 2006-07-04 2007-10-19 헵시바주식회사 전기 발열램프용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77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1988A1 (en) Radiant heater comprising a heating tube element
CN204513543U (zh) 一种日光浴装置
KR101139897B1 (ko) 방열 온풍기
CN204629665U (zh) 电暖器
US8463113B2 (en) Fan heater applying a carbon fiber ribbon secured in each heating cartridge
CN109237469A (zh) 提高安全性的燃烧器装置
KR20180094813A (ko) 가습 난방기
KR200455553Y1 (ko) 열풍 토출형 나노 카본 히터
CN204358828U (zh) 多功能取暖器
KR200271704Y1 (ko) 열차단판을 가지는 전기히터
KR100987318B1 (ko) 대류난방이 가능한 복사열히터
KR200231763Y1 (ko) 램프 겸용 할로겐 히터가 장착된 가스 오븐레인지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JP3849497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KR200406514Y1 (ko) 방열기
CN209840243U (zh) 一种新型浴室取暖装置
KR101339089B1 (ko) 양면 원적외선 히터
JP3997900B2 (ja) 暖房装置
KR200190440Y1 (ko) 팬을 구비한 원적외선 온풍기
CN201429149Y (zh) 电加热取暖器
CN208952202U (zh) 温度可调式供暖设备
KR20110087647A (ko)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KR20180052299A (ko) 전구열을 이용한 온풍 가습기
KR20090107628A (ko)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