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647A -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 Google Patents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647A
KR20110087647A KR1020100007158A KR20100007158A KR20110087647A KR 20110087647 A KR20110087647 A KR 20110087647A KR 1020100007158 A KR1020100007158 A KR 1020100007158A KR 20100007158 A KR20100007158 A KR 20100007158A KR 20110087647 A KR20110087647 A KR 2011008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electric stove
air
hea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례
Original Assignee
(주)진영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의료기 filed Critical (주)진영의료기
Priority to KR102010000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647A/ko
Publication of KR2011008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탑재되고, 통형태로 형성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발열 코일;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호 그릴; 및 상기 보호 그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리브 사이에는 발열 코일이 배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20~35%의 황토와 65~80%의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에는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발열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RED CLAY ELECTRIC STOVE FOR RADIATING FAR-INFRARED RAY}
본 발명은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스토브는 전열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난방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기스토브는 석유 난로나 연탄 난로에 비해 냄새가 나지 않고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한다. 상기 전기스토브를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 추운 날씨에도 실내 공간을 거의 환기시키지 않더라도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기스토브는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호 그릴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는 복사열을 발생하여 실내 공간을 난방시키고, 상기 보호 그릴은 사용자가 발열체로부터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스토브는 발열체의 복사열만으로 실내를 난방시키므로, 전기스토브에서 가까운 부분에는 효율적으로 열기를 공급하지만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난방시키는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전기스토브는 열기가 사방으로 방사되므로, 특정 방향에 집중적으로 열기가 공급되게 할 수 없다. 또한, 전기스토브가 좁은 공간에 배치될 경우 주위 구조물들이 열기에 의해 타거나 화재 위험이 높았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스토브에서 가까운 부분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난방시키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방향으로 열기가 집중적으로 방사되게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주위 구조물에 열기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강에 이로운 열기가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바닥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탑재되고, 통형태로 형성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발열 코일;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호 그릴; 및 상기 보호 그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리브 사이에는 발열 코일이 배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20~35%의 황토와 65~80%의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에는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발열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체는 상하측이 넓고 중심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그릴의 상측에는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에는 열기의 반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가변 반사판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발열체의 내부 공간측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팬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여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에서 가까운 부분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난방시키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방향으로 열기가 집중적으로 방사되게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주위 구조물에 열기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에 이로운 열기가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발열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발열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반사판이 보호 그릴의 가이드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발열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발열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는 본체(110), 발열체(120), 발열 코일(130), 보호 그릴(140) 및 상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0)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여 질 수 있도록 플랜지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발열 코일(13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스위치(113)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 스위치(11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발열 코일(130)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화력이 조절된다. 또한, 조절 스위치(113)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전원 온/오프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외부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부(1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부(117)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들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발열체(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5)는 본체(110)의 상단에서 단차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베이스부(115)에는 발열체(120)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체(120)는 20~35%의 황토와 65~80%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120)는 발열 코일(130)에 의해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건강에 이로운 물질이 방사되도록 한다.
상기 발열체(1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하부 지지체(121)와 상부 지지체(122)가 고정된다. 상기 하부 지지체(121)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와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체(122)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 열기가 상측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 보호 그릴(140)은 발열체(12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 그릴(14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그릴(140)은 발열체(120)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발열체(120)의 열기에 의해 거의 가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 그릴(140)은 사용자의 신체가 발열체(120)에 접근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 그릴(140)의 상측에는 상판(150)이 결합된다. 상기 상판(150)은 주전자 등의 가열물질이 올려질 수 있도록 대략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50)에는 발열체(120)의 열기 상판(150)을 통과하여 가열물질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20)는 상하측이 넓고 중심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체(120)는 전체적으로 중심부고 오목한 원통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발열체(120)는 하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본체(110)의 공기가 원활하게 발열체(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120)의 상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발열체(120)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판(150)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열체(120)에 흡입된 공기는 발열체(12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열 팽창되고, 상기 가열 팽창된 공기는 발열체(120) 상측의 넓어진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결국,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 공간 넓이가 변화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체(120)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리브(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리브(125)는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리브(125)들 사이 사이에는 발열 코일(130)이 배치되도록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125)들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발열 코일(130)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발열 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체(120)의 각 리브(125)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126)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 배출공(126)들은 발열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됨에 의해 발열체(120)의 둘레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 배출공(126)들은 열기를 대류 순환시킴에 의해 실내 공간을 빠른 시간 동안에 난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공기 유입부(117)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팬장치(160)가 설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팬장치(160)는 선택에 따라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반사판이 보호 그릴의 가이드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 그릴(140)의 상측에는 발열체(120)의 둘레 일부를 따라 가이드바(1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45)에는 발열체(120)에서 발산되는 열기의 반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가변 반사판(171,172)이 겹쳐지게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가변 반사판(171,172)을 합쳐 도번 170이라고 기재하였다.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변 반사판(171)에 다른 반사판(172)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두 개의 가변 반사판(171,172)이 결쳐진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가변 반사판(171,172)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바(145)에 끼워지도록 절곡부(171a,17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171a,172a)는 대략 "ㄱ"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의 표면은 상호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은 가이드바(14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가이드바(145)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은 발열체(120)에서 발생된 열기를 반사하는 기능도 수행하지만 상기 발열체(120)의 열기가 가변 반사판(171,172)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의 폭을 넓히거나 좁힘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방사되는 열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열기의 방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은 좁은 공간에서도 주위 구조물에 열기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를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고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 스위치(113)가 일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발열 코일(13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발열 코일(130)이 발열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120)가 가열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120)는 황토를 포함하므로 원적외선이 열기와 함께 방사된다. 이렇게 발열체(120)와 발열 코일(130)의 복사열이 외부로 방사된다.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에 팬장치(16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열체(120)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120) 내부의 공기는 상측과 상기 공기 배출공(126)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본체(110) 내부의 공기는 발열체(120)의 내부로 상승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부(117)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발열체(120)가 가열됨에 따라 공기가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내부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에 팬장치(16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팬장치(160)가 가동되면 상기 본체(110)의 공기 유입부(117)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10)로 유입된 공기는 팬장치(1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발열체(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120) 내부의 공기는 발열체(120)의 공기 배출공(126)을 통해 발열체(120)의 둘레측으로 배출되어 공기의 대류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상기 팬장치(160)는 열기를 대류시킴에 의해 실내 공간의 난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는 복사열과 공기 대류에 의해 난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가 좁은 공간에 설치되거나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주위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상기 가변 반사판(171,172)의 폭을 가변시켜 상기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의 일측으로 방사되는 열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반사판은 가변 반사판의 반대측으로 집중적으로 열기를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대류열과 방사열을 발산하고, 열기의 방사 방향 및 집중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110: 본체 117: 공기 유입부
120: 발열체 125: 리브
126: 공기 배출공 130: 발열 코일
140: 보호 그릴 145: 가이드바
150: 상판 160: 팬장치
171,172: 가변 반사판 171: 절곡부

Claims (4)

  1. 바닥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탑재되고, 통형태로 형성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발열 코일;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호 그릴; 및
    상기 보호 그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리브 사이에는 발열 코일이 배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20~35%의 황토와 65~80%의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에는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발열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하측이 넓고 중심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그릴의 상측에는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에는 열기의 반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가변 반사판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발열체의 내부 공간측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팬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KR1020100007158A 2010-01-26 2010-01-26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KR20110087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58A KR20110087647A (ko) 2010-01-26 2010-01-26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58A KR20110087647A (ko) 2010-01-26 2010-01-26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647A true KR20110087647A (ko) 2011-08-03

Family

ID=4492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158A KR20110087647A (ko) 2010-01-26 2010-01-26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6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11A (ko) * 2018-05-15 2019-11-25 강민수 복합조리기능을 갖는 광적외선 난방기
KR20210094978A (ko) * 2020-01-22 2021-07-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찌개 조리 겸용 고기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11A (ko) * 2018-05-15 2019-11-25 강민수 복합조리기능을 갖는 광적외선 난방기
KR20210094978A (ko) * 2020-01-22 2021-07-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찌개 조리 겸용 고기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05428A1 (en) Radiant heat lifting device for outdoor flame heater
KR101862126B1 (ko) 캠핑용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KR20110087647A (ko) 황토세라믹 원적외선 전기스토브
KR101591064B1 (ko) 인덕션 히터
KR102501226B1 (ko) 기능성 전기히터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CN206018742U (zh) 一种新型无风扇电炉
KR101139897B1 (ko) 방열 온풍기
KR102026583B1 (ko)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열풍기
KR200448835Y1 (ko) 비닐하우스용 히터
KR101778880B1 (ko) 고효율 구조의 전기로스터
CN104654429A (zh) 电暖器
KR20090132268A (ko) 무한 순환 난방 방식을 적용한 전기 고열 발열 장치
US1727714A (en) Heater
KR20070067437A (ko) 현수형 전기히터
JP5890237B2 (ja) 遠赤外線加熱機
KR20170072172A (ko) 방열판을 적용한 온열기구
EP3112772B1 (en) Fan device with a preheat circulation channel
RU40124U1 (ru) Электроплита и инфракрас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KR100565246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CN219306512U (zh) 烹饪系统和炉
KR200497503Y1 (ko) 휀이 결합된 난방용 전기히터
KR100889808B1 (ko) 전기 온풍장치
JP5511726B2 (ja) 浴室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