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145A -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 Google Patents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145A
KR20200050145A KR1020180132780A KR20180132780A KR20200050145A KR 20200050145 A KR20200050145 A KR 20200050145A KR 1020180132780 A KR1020180132780 A KR 1020180132780A KR 20180132780 A KR20180132780 A KR 20180132780A KR 20200050145 A KR20200050145 A KR 2020005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forms
blower fan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298B1 (ko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박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성 filed Critical 박주성
Priority to KR102018013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the heating medium being the resistiv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로서 구체적으로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히터에서 발열된 열을 송풍팬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실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의 난방을 가능토록한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 컨트롤부(100)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측에 결합된 후방 하우징(20)과 상기 후방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 하우징(20) 내측 센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히터 프레임(40)을 고정 결합키 위한 고정부재(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 프레임(40)은 도넛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에 개방된 상태로서 외주면에는 고정 절연체(5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 절연체(50)와 히터 프레임(40)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열선(60)을 삽입 가능하도록 한 삽입공(50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와,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전원 공급을 위한 접지 프레임(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와,
상기 발열선(60)은 일자형태의 중앙부를 라운딩 형상으로 절곡하여 라운딩부(600)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부(600)의 양측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확개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개절곡부(60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확개절곡부(601)의 끝단은 내측으로 라운딩절곡부(602)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절곡부(602)의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한 수평절곡부(6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송풍팬을 통해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발열부재인 발열선을 히터 프레임에 고정하고 히터 프레임으로 부터 발열된 열을 발열선에 전달하기 위함에 있어 발열선과 히터 프레임간의 접지 및 절연을 위한 고정 절연체를 구비함으로서 전기적 쇼트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발열선의 형상을 특성화하고 각각의 발열선을 독립적으로 상기 히터 프레임 외주면에 상기 고정 절연체로 각각 접지 결합토록 하여 발열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A fan heater}
본 발명은 히터로서 구체적으로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히터에서 발열된 열을 송풍팬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실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의 난방을 가능토록한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란 난방장치의 하나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덥혀 실내 온도를 높이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히터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패널의해 조작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그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히터는 발열부재를 발열시켜 그 후면에 위치하는 반사판의 복사열을 통하여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발열부재로부터 가까운 부분은 매우 뜨겁고 강한 열이 발생하지만, 발열부재로부터 먼 부분은 전혀 열이 미치지 않게 되는 등 발열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에만 의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히터에 인접한 사용자에게는 난방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나,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사용자에게는 전혀 열이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난방의 범위가 일부분에 한정되어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50227호 국내 특허등록 제17977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팬을 통해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상기 발열부재인 발열선을 히터 프레임에 고정하고 히터 프레임으로 부터 발열된 열을 발열선에 전달하기 위함에 있어 발열선과 히터 프레임간의 접지 및 절연을 위한 고정 절연체를 구비함으로서 전기적 쇼트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발열의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하여 발열선의 형상을 특성화하고 각각의 발열선을 독립적으로 상기 히터 프레임 외주면에 상기 고정 절연체로 각각 접지 결합토록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 컨트롤부(100)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측에 결합된 후방 하우징(20)과 상기 후방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 하우징(20) 내측 센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히터 프레임(40)을 고정 결합키 위한 고정부재(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 프레임(40)은 도넛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에 개방된 상태로서 외주면에는 고정 절연체(5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 절연체(50)와 히터 프레임(40)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열선(60)을 삽입 가능하도록 한 삽입공(50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와,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전원 공급을 위한 접지 프레임(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와,
상기 발열선(60)은 일자형태의 중앙부를 라운딩 형상으로 절곡하여 라운딩부(600)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부(600)의 양측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확개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개절곡부(60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확개절곡부(601)의 끝단은 내측으로 라운딩절곡부(602)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절곡부(602)의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한 수평절곡부(6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송풍팬을 통해 발열부재의 발열을 통한 난방과 함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발열부재인 발열선을 히터 프레임에 고정하고 히터 프레임으로 부터 발열된 열을 발열선에 전달하기 위함에 있어 발열선과 히터 프레임간의 접지 및 절연을 위한 고정 절연체를 구비함으로서 전기적 쇼트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발열선의 형상을 특성화하고 각각의 발열선을 독립적으로 상기 히터 프레임 외주면에 상기 고정 절연체로 각각 접지 결합토록 하여 발열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히터 프레임에 발열선이 접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발열선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히터 프레임에 발열선이 접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에 있어서 발열선의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일측에 컨트롤부(100)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측에 결합된 후방 하우징(20)과 상기 후방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후방 하우징(20) 내측 센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히터 프레임(40)을 고정 결합키 위한 고정부재(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 프레임(40)은 도넛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에 개방된 상태로서 외주면에는 고정 절연체(5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 절연체(50)와 히터 프레임(40)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열선(60)을 삽입 가능하도록 한 삽입공(50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전원 공급을 위한 접지 프레임(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열선(60)은 일자형태의 중앙부를 라운딩 형상으로 절곡하여 라운딩부(600)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부(600)의 양측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확개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개절곡부(60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확개절곡부(601)의 끝단은 내측으로 라운딩절곡부(602)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절곡부(602)의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한 수평절곡부(603)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F는 송풍팬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트롤부(100)의 조작하여 송풍팬(F)이 작동하되 바람을 세기를 강, 중, 약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후방 하우징(20) 및 전방 하우징(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축으로 회전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 프레임(40)이 가열되어 발열되면 상기 삽입공(500)에 결합된 발열선(60)이 가열되어 상기 발열선(60)에서 발열된 열이 송풍팬(F)에 의해 전방 하우징(30)을 거쳐 실내에 먼 거리까지 열을 송풍하는 것으로서, 발열선(60)이 상기 삽입공(500) 마다 독립적으로 히터 프레임(40)에 접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기적 쇼트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발열선(60)의 형상이 외부로 열을 발산함에 있어 최적의 조건을 갖춘 형상을 이룸으로서 히터 프레임(40)에서 발열된 열을 송풍팬(F)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실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의 난방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후방 하우징
30 : 전방 하우징 40 : 히터 프레임
50 : 고정 절연체 60 : 발열선
70 : 접지 프레임 100 : 컨트롤부
400 : 고정부재 500 : 삽입공
600 : 라운딩부 601 : 확개절곡부
602 : 라운딩절곡부 603 : 수평절곡부
F : 송풍팬

Claims (3)

  1. 일측에 컨트롤부(100)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측에 결합된 후방 하우징(20)과 상기 후방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 하우징(20) 내측 센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히터 프레임(40)을 고정 결합키 위한 고정부재(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 프레임(40)은 도넛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에 개방된 상태로서 외주면에는 고정 절연체(5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 절연체(50)와 히터 프레임(40)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열선(60)을 삽입 가능하도록 한 삽입공(50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전원 공급을 위한 접지 프레임(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60)은 일자형태의 중앙부를 라운딩 형상으로 절곡하여 라운딩부(600)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부(600)의 양측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확개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개절곡부(60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확개절곡부(601)의 끝단은 내측으로 라운딩절곡부(602)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절곡부(602)의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한 수평절곡부(6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1020180132780A 2018-11-01 2018-11-0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10211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80A KR102117298B1 (ko) 2018-11-01 2018-11-0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80A KR102117298B1 (ko) 2018-11-01 2018-11-0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45A true KR20200050145A (ko) 2020-05-11
KR102117298B1 KR102117298B1 (ko) 2020-06-01

Family

ID=7072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80A KR102117298B1 (ko) 2018-11-01 2018-11-01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27B1 (ko) 2001-12-22 2004-09-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에틸렌 제거용 광촉매 반응기
KR200412165Y1 (ko) * 2006-01-09 2006-03-23 김향선 다기능 냉/온 선풍기
KR20060066472A (ko) * 2004-12-13 2006-06-16 김수대 온풍 겸용 선풍기
KR20140086007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가열 장치
KR101797705B1 (ko) 2015-07-31 2017-12-12 김찬오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27B1 (ko) 2001-12-22 2004-09-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에틸렌 제거용 광촉매 반응기
KR20060066472A (ko) * 2004-12-13 2006-06-16 김수대 온풍 겸용 선풍기
KR200412165Y1 (ko) * 2006-01-09 2006-03-23 김향선 다기능 냉/온 선풍기
KR20140086007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가열 장치
KR101797705B1 (ko) 2015-07-31 2017-12-12 김찬오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298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4367A1 (en) Dual source heater with radiant and convection heaters
CN204629665U (zh) 电暖器
KR102117298B1 (ko) 송풍팬이 구비된 히터
KR20150066086A (ko) 열풍식 히팅장치
KR101797707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CN1979000A (zh) 热风对流加热装置的微波炉
CN107928071A (zh) 一种电吹风导风结构及电吹风
CN205939292U (zh) 微波烹饪器具
JP2012019866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JP2007190319A (ja) ヘアードライヤ
CN217446937U (zh) 远红外发热护发理疗装置
WO2020221345A1 (zh) 取暖设备
CN212057473U (zh) 一种速热踢脚线式取暖器
CN210581447U (zh) 一种干发器
CN113048541A (zh) 一种强制对流取暖器
CN207492536U (zh) 一种电饭锅
CN108131696B (zh) 加热烹调器
KR200455553Y1 (ko) 열풍 토출형 나노 카본 히터
CN202303866U (zh) 一种暖风机装置
CN207400652U (zh) 保温板组件及烹饪器具
CN112344417A (zh) 一种辐射吹风取暖器
CN101737818A (zh) 一种嵌入式微波炉
US2476492A (en) Heater
KR20150124618A (ko) 헤어드라이어
JP3698117B2 (ja) 温風装置及び温風装置付きユニットバ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