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82U -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82U
KR20210000582U KR2020200002256U KR20200002256U KR20210000582U KR 20210000582 U KR20210000582 U KR 20210000582U KR 2020200002256 U KR2020200002256 U KR 2020200002256U KR 20200002256 U KR20200002256 U KR 20200002256U KR 20210000582 U KR20210000582 U KR 202100005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portion
mosquito net
frame structur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ublication of KR20210000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는, 수직부와,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와, 제3수평부와, 제4수평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 수평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는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3수평부와 상기 제4수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구성하여 모기망의 후방 및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중 좌우 양측의 수평바와 양단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기망의 전방이 지지되는 이동바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FRAME STRUCTURE FOR INDOOR TENT AND MOSQUITO NET}
본 고안은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계절에 따라 여름철에는 모기망을 설치해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텐트천을 씌워 난방용 실내텐트로 사용할 수 있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텐트는 일반적으로 캠핑 등의 실외활동을 전제로 제작되었으나, 실내에서도 사용하는 실내용 난방텐트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실내용 난방텐트는 특히 겨울철에 난방비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 실내용 난방텐트인 실내텐트는 일반 텐트처럼 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텐트천과, 텐트천이 씌워지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특히 실내텐트는 가혹한 조건의 실외용과 달리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면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고,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여름철의 실내에서는 모기장이 사용되며, 모기장의 경우에도 모기망과 모기망이 장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기장과 실내텐트는 그 용도가 다르고 사용시기도 달라 별도로 구매하여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보관의 어려움이 있고, 비용면에서도 낭비요소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855(2011.11.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978호(2018.11.23.)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계절에 따라 여름철에는 모기망을 설치해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텐트천을 씌워 난방용 실내텐트로 사용할 수 있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수평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수평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 수평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는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3수평부와 상기 제4수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구성하여 모기망의 후방 및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중 좌우 양측의 수평바와 양단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기망의 전방이 지지되는 이동바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구의 상기 제1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의 직경방향 중심부의 위치 또는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의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모기망이 설치되어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모기망은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이동바에 고리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의 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접혀지고, 상기 이동바의 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상부에는, 상부면은 모기망으로 구성되고 측면부는 불투명 천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상기 제1연결구 및 상기 이동바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상부커버가 씌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텐트천이 씌워져 실내텐트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에는 커튼이 장착되고, 상기 커튼은 펼침 및 접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텐트천의 상기 커튼이 장착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외부를 보기위한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와 제1수평방향 및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하단 수평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계절에 따라 여름철에는 모기망을 설치해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텐트천을 씌워 난방용 실내텐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망의 설치시에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고, 실내텐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커튼을 설치하여, 빛의 차단 및 난방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프레임구조체에 모기망이 장착되어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모기망이 이동바에 의해 한쪽으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4의 모기망이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에 상부커버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5의 모기망이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에 상부커버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프레임구조체에 텐트천이 씌워져 실내텐트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실내텐트에 커튼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1연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간격유지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100)는, 복수의 제1연결구(110),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복수의 수직바(140), 이동바(150)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11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의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112)의 상단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관구조의 제1수평부(114a)와, 상기 수직부(112)의 상단에서 상기 제1수평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관구조의 제2수평부(114b)와, 상기 제1수평부(114a)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114a)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112)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관구조의 제3수평부(116a)와, 상기 제2수평부(114b)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수평부(114b)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112)에서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관구조의 제4수평부(116b)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구(110)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방향은 가로방향(좌우방향)/세로방향(전후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2수평방향은 세로방향(전후방향)/가로방향(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구(110)의 상기 제1수평부(114a) 및 상기 제2수평부(114b)는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114a) 및 상기 제2수평부(114b)에는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결합되어 텐트천(도 9의 300)이 지지되고, 텐트천 지지시에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에 결합되는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커튼(도 9의 33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커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상기 제1수평부(114a) 및 상기 제2수평부(114b)는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직경 또한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튼(330)의 접힘 및 펼침 등의 이동시에 상기 텐트천(3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3수평부(116a)는 상기 제1수평부(114a)와 수직방향으로 전체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4수평부(116b)는 상기 제2수평부(114b)와 수직방향으로 전체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평부(114a) 및 상기 제2수평부(114b)는 상기 수직부(112)의 직경방향 중심부의 위치 또는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는 상기 수직부(112)의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110) 각각의 상기 제1수평부(114a)와 상기 제2수평부(114b)에 수평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하나의 제1연결구(110)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수평부(114a)에 제1수평방향으로 하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결합되고, 상기 제2수평부(114b)에 제2수평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결합되게 된다. 결합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일측 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연결구(110)의 제1수평부(114a) 또는 제2수평부(114b)에 결합되고,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타측 단부가 다른 하나의 제1연결구(110)의 제1수평부(114a) 또는 제2수평부(114b)에 결합되어 4개의 제1연결구(110)와 4개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를 이용하여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직바(140)와 함께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는 텐트천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110) 각각의 상기 제3수평부(116a)와 상기 제4수평부(11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구성하여 모기망의 후방 및 좌우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결합방식은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경우와 동일하며, 하나의 제1연결구(110)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3수평부(116a)에 제1수평방향으로 하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가 결합되고, 상기 제4수평부(116b)에 제2수평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가 결합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일측 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연결구(110)의 제3수평부(116a) 또는 제4수평부(116b)에 결합되고,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타측 단부가 다른 하나의 제1연결구(110)의 제3수평부(116a) 또는 제4수평부(116b)에 결합되어 4개의 제1연결구(110)와 4개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를 이용하여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부(114a), 상기 제2수평부(114b),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 각각은 단부가 개방되며 속이 빈 관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와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각각은 단부가 상기 제1수평부(114a), 상기 제2수평부(114b),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수평부(114a,114b,116a,116b)의 내부에는 각 수평바(120,130)가 삽입되는 경우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고, 일정깊이까지만 속이 빈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수직바(140)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110) 각각의 상기 수직부(112)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는 4개의 수직바(14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수직바(140) 또한 상기 수직부(112)의 내부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부(112) 또한 수직바(140)가 삽입되는 경우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고, 일정깊이까지만 속이 빈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바(150)는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중 좌우 양측의 수평바(130)와 양단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기망의 전방을 지지하여, 모기망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바(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접혀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는 상기 수직바(140)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연결구(17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구(170)와 제1수평방향 및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하단 수평바(180,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는 육면체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측에는 두 개의 수평바(120,130)가 서로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프레임구조체에 모기망이 장착되어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모기망의 펼침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모기망이 이동바에 의해 한쪽으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를 따라 이동가능한 복수의 고리(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150)에도 고리(210)가 장착된다.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중 전방에 위치한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상기 고리(21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모기망(200)의 전방부분이 상기 이동바(150)에 장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전방에 위치한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모기망(200)이 결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모기망(200)은 상기 복수의 고리(210)에 결합되어 좌우 측방 및 후방에 배치된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및 상기 이동바(15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모기망(200)이 펼침상태가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망(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동바(1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모기망(200)이 접힘상태가 되어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종래의 원터치 방식의 모기장이나 기타 잘 알려진 모기장의 경우에는, 한번 펼쳐지면, 사용하지 않을때 접도록 되어 있어,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 공간을 항상 차지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100)가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설치된 상태에서, 답답함이 있거나 일정 작업을 하기 위해 모기망(200)이 방해가 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50)를 이용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모기망(200)을 접을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기망(200)의 하부가 방바닥이나 침대 매트리스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거나 펼쳐지게 되므로, 모기망(200) 안으로 모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가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및 상기 제1연결구(110)의 제1수평부(114a) 및 제2수평부(114b)부분, 상기 제1연결구(110)의 수직바(112)의 상부부분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거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기망(200)이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측에 상부커버(도 6 및 도 7의 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모기망이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에 상부커버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5의 모기망이 설치된 프레임 구조체에 상부커버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50)는 상부면은 모기망으로 구성되고, 측면부는 불투명 천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부에 씌여지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상부커버(250)의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상기 제1연결구(110),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이동바(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상기 제1연결구(110),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이동바(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심미감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상기 모기망(200)이 도 6과 같이 펼쳐진 상태 및 도 7과 같이 접혀진 상태와 관계없이 커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를 실내텐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을 통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프레임구조체(100)에 텐트천이 씌워져 실내텐트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실내텐트에 커튼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에 텐트천(300)이 씌워져 실내텐트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커튼330)이 장착되고, 상기 커튼(330)은 펼침 및 접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튼(330)은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 구비되는 고리(210)에 장착되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텐트천 지지를 위해 상기 이동바(150)와 평행하게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좌우 양측을 잇는 지지바(15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바(150)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커튼(330)은 상기 실내텐트(300)에 투명창(310)이 구비되는 경우에 투명창(310)을 가리거나 투명창(310)을 통해 외부를 보고자 할때 사용할 수도 있지만, 투명창(310)의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실내텐트의 내측 사면에 설치가능하다. 즉 상기 커튼(330)은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및 고리(210)를 이용하여 실내텐트의 내측, 상기 실내텐트의 사면 또는 삼면에 설치가능하다.
설치방식은 상기 모기망의 설치방식과 동일하게도 가능하지만, 이동바(150)를 구비함이 없이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와 고리(210)를 이용하여 설치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150)를 이용하는 경우는 도 4 및 도 5의 경우의 모기망의 경우처럼 펼침 및 접힘도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바(15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텐트의 중앙부분이 절개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투명창(31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내텐트의 내측으로 커튼을 설치하게 되면, 텐트천 하나만 있는 경우보다 난방효과를 더 이룰 수 있고, 빛의 차단도 가능하므로, 편안한 수면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여기서 상기 제1수평부(114a), 상기 제2수평부(114b),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 각각은 단부가 개방되며 속이 빈 관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구(110)의 제1수평부(114a) 및 제2수평부(114b)에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4각 형상으로 조립한 이후에, 상기 제1연결구(110)의 상기 제3수평부(116a) 또는 상기 제4수평부(116b)에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 결합(조립)된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로 인하여 여유 간격이 확보되지 않아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결합이 어렵게 된다.
이는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 또는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단부가 상기 제1수평부(114a), 상기 제2수평부(114b), 상기 제3수평부(116a) 및 상기 제4수평부(116b) 중 어느 하나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구(110)의 제1수평부(114a)에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3수평부(116a)에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가 삽입되도록 하여야, 제대로된 조립이 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조립된 이후에도 용이하게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를 결합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구(110)의 상기 제3수평부(116a)와 상기 제4수평부(116b)의 구조를 변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서 제1연결구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제1연결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1연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1연결구에 수평바 및 수직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서 복수의 제1연결구(310) 각각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의 수직부(312)와, 상기 수직부(312)의 상단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314a)와, 상기 수직부(312)의 상단에서 상기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314b)와, 상기 제1수평부(314a)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314a)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112)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수평부(316a)와, 상기 제2수평부(314b)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수평부(314b)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312)에서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수평부(116b)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구(310)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상기 수직부(312), 상기 제1수평부(314a) 및 상기 제2수평부(314b)는 단부가 개방되며 속이 빈 관구조를 가지는 구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제1연결구(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의 구조는 약간 다르게 구성된다.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는 속이 빈 관구조이면서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물론 단부측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는 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는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조립(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는 단부가 상기 제1수평부(314a) 또는 제2수평바(314b)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는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와 조립시에,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가 수평방향에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의 측면 상부에서 끼움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가 상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측면에서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의 개방부위는 수직방향에서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하여 약간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는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제1연결구(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의 상측 개방부위가 90도 방향의 수직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상측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에 의해 방해를 받아 결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수평부(316a) 또는 제4수평부(316b)의 개방부위는 대략적으로 30~70도 사이의 각도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방향을 향하도록 하거나 110~160도 사이의 각도중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등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와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가 상기 제1연결구(310)에 결합된 상태가 도 12에 도시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제1연결구(310)의 상기 제1수평부(314a) 및 상기 제2수평부(314b)는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6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314a) 및 상기 제2수평부(314b)에는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결합되어 텐트천(도 9의 300)이 지지되고, 텐트천 지지시에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에 결합되는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에는 커튼(도 9의 33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커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상기 제1수평부(314a) 및 상기 제2수평부(314b)는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직경 또한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튼(330)의 접힘 및 펼침 등의 이동시에 상기 텐트천(3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3수평부(316a)는 상기 제1수평부(314a)와 수직방향으로 전체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4수평부(316b)는 상기 제2수평부(314b)와 수직방향으로 전체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평부(314a) 및 상기 제2수평부(314b)는 상기 수직부(312)의 직경방향 중심부의 위치 또는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수평부(316a) 및 상기 제4수평부(316b)는 상기 수직부(312)의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와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지지 및 간격유지를 위해 간격유지부재(35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350)는 일측방향이 개방된 반원형의 고리가 상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고리(352)에는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측면이 삽입되고, 하측고리(354)에는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의 측면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져,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와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를 지지하면서 상기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120)가 처지지 않고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130)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계절에 따라 여름철에는 모기망을 설치해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텐트천을 씌워 난방용 실내텐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망의 설치시에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고, 실내텐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커튼을 설치하여, 빛의 차단 및 난방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제1연결구 120 :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
130 :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140 : 수직바
150 : 이동바

Claims (10)

  1.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수평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수평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 수평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는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제3수평부와 상기 제4수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구성하여 모기망의 후방 및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구 각각의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중 좌우 양측의 수평바와 양단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기망의 전방이 지지되는 이동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의 상기 제1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의 직경방향 중심부의 위치 또는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의 직경방향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모기망이 설치되어 모기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모기망은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이동바에 고리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의 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접혀지고, 상기 이동바의 전방으로 이동시 모기망이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상부에는, 상부면은 모기망으로 구성되고 측면부는 불투명 천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상기 제1연결구 및 상기 이동바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상부커버가 씌워지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텐트천이 씌워져 실내텐트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에는 커튼이 장착되고, 상기 커튼은 펼침 및 접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텐트천의 상기 커튼이 장착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외부를 보기위한 투명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와 제1수평방향 및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하단 수평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 상기 제2수평부,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 각각은 속이 빈 관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 각각은 단부가 상기 제1수평부, 상기 제2수평부,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 및 상기 제2수평부 각각은 속이 빈 관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 각각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속이 빈 관구조로 반원형 단면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텐트천 지지용 수평바 각각은 단부가 상기 제1수평부 또는 상기 제2수평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모기망 지지용 수평바는 상기 제3수평부 또는 상기 제4수평부의 측면에서 끼움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부 및 상기 제4수평부 각각의 상측 개방부위는 상기 제1연결구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KR2020200002256U 2019-08-29 2020-06-29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KR2021000058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3588 2019-08-29
KR2020190003588 2019-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82U true KR20210000582U (ko) 2021-03-10

Family

ID=7487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56U KR20210000582U (ko) 2019-08-29 2020-06-29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582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855A (ko) 2010-05-10 2011-11-16 김민철 편리한 모기장
KR200487978Y1 (ko) 2016-10-28 2018-11-29 주식회사 다샵 실내용 난방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855A (ko) 2010-05-10 2011-11-16 김민철 편리한 모기장
KR200487978Y1 (ko) 2016-10-28 2018-11-29 주식회사 다샵 실내용 난방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369B2 (en)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US7100661B1 (en) Awning topper curtain rod extender
AU2017201527A1 (en) Cellular shade having at least two cellular columns
JP2004183465A (ja) 遮蔽掛架式カーテン布を有するブラインド
TWI572809B (zh) 均光結構
KR20210000582U (ko)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EP1479867A2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KR20170054852A (ko) 블라인드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JP3962706B2 (ja) 透光布面を有するブラインド
JP2001049736A (ja) ベランダ用さく
KR200493114Y1 (ko) 조립식 텐트
US2572720A (en) Ornamental valance unit
KR102148097B1 (ko) 수직 결합 구조를 갖는 창틀을 포함하는 방충창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KR200349174Y1 (ko) 암막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130001881U (ko) 창문 가리개
JP2017066633A (ja) 窓構造
JP4646869B2 (ja) カーテンレールユニット用ボックス
KR200308439Y1 (ko) 커튼
AU783380B2 (en) Combination curtain and blind arrangement
KR20000000189A (ko) 방범용 세로접이식 다목적 셔터
JPH10299352A (ja) 障 子
JPH05256072A (ja) 建物の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