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66Y1 - 천막 - Google Patents
천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266Y1 KR200275266Y1 KR2020020003472U KR20020003472U KR200275266Y1 KR 200275266 Y1 KR200275266 Y1 KR 200275266Y1 KR 2020020003472 U KR2020020003472 U KR 2020020003472U KR 20020003472 U KR20020003472 U KR 20020003472U KR 200275266 Y1 KR200275266 Y1 KR 2002752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rizontal
- tent
- folded
- horizonta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와 상부골조를 일체의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펼쳐서 설치하거나 접어서 보관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진 천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막은 지주와 상부골조가 각각 구성부재마다 별도로 구성되어 설치시엔 이들 구성부재들을 각각 조립하여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사용후 분해하여 보관하기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성부재가 각각 나뉘어져 있는 관계로 분실의 위험이 있는 등 여러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지주, 수평골조, 지붕골조 등을 절첩식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일체형의 연결된 골조를 구성하여 설치할 때나 접어서 보관할 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골조를 이루는 구성부재에 보강효과를 강화하여 설치 강도를 높히고, 또한, 별도의 차양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천막분야에서 폭이 넓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와 상부골조를 일체의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펼쳐서 설치하거나 접어서 보관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진 천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막은 천막을 구성하는 지주와 상부골조가 각각 구성부재마다 별도로 나뉘어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설치시엔 이들 구성부재들을 각각 조립하여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하여, 천막을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골조를 조립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숙련자가 아닌 경우엔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사용후엔 조립하는 순서와는 반대로 분해하여야 하고 이들 골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부재들을 모아서 보관하기도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골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부재가 각각 나뉘어져 있는 관계로 취급상 부주의나 보관시 부주의로 인하여 분실의 위험이 있는 등 여러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종래에도 절첩식으로 골조를 구성한 형태가 일부 공지되어 있으나, 이 경우엔 수평골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관계로 절첩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는 문제점과 차양을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기술 구성이 없어 천막으로서 사용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골조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지붕골조 등을 절첩식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일체형의 연결된 골조를 구성하여 설치할 때나 접어서 보관할 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접었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면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조를 이루는 구성부재중 수평골조에 보강효과를 강화하여 설치 강도를 높히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양을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차양골조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차양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천막분야에서 폭이 넓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모서리 고정부재와 슬라이드부재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3은 도2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4는 도1에 있어서, 중앙 상부고정부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5는 도1에 있어서, 수평부재의 중간에 별도의 보강힌지부재를 설치한 변형례를 나타낸 일부 절결 요부 확대 사시도,
도6은 도1에 사용된 모서리 고정부재의 변형례를 예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7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예를 적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일부 생략 외관 사시도,
도8은 도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변형례를 예시한 일부 생략 외관 사시도,
도9는 도8의 요부 확대도,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일부 생략 외관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일부 생략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주, 2:수평골조, 3:고정부재, 4:슬라이드부재, 5:천막시트,
6:지붕골조, 7:받침골조, 60:중간연결부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복수개의 지주와 복수개의 수평골조를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 모서리 고정부재와 지주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위치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수평골조를 상호간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지주와 수평골조의 상부엔 천막시트를 덮어 씌워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막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마주하는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 사이에 중간고정부재를 중심으로 각각 절첩이 가능한 복수개의 지붕골조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지붕골조사이엔 받침골조가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붕골조가 상향 경사지게 펼쳐질 수 있게 이루어지는 천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평골조의 중간 연결부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보강고리를 설치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고정부재 사이에 별도의 가요성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천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와 슬라이드부재에 절첩이 가능한 차양골조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천막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천막은 복수개의 지주(1)와 복수개의 수평골조(2)를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 모서리 고정부재(3)와 지주(1)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위치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4)를 이용하여 수평골조(2)를 상호간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지주(1)와 수평골조(2)의 상부엔 천막시트(5)를 덮어 씌워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막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3)(3,3) 사이에 중간연결부재(60) 및 중간고정부재(65)를 중심으로 각각 절첩이 가능한 복수개의 지붕골조(6)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와 상기 지붕골조(6) 사이엔 받침골조(7)가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붕골조(6)가상향 경사지게 펼쳐질 수 있게 이루어지는 천막을 제공한다.
이때,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엔 양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일측이 힌지부 형태로 수평골조(2,2)(2,2)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수평골조(2,2)는 서로 X자로 교차되게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며, 수평골조(2,2)와 이와 인접되는 수평골조(2,2)는 서로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22)가 힌지부 형태로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주(1)로부터 슬라이드부재(4)를 상승시켜 소정의 위치로서 지주(1)에 설치된 스토퍼(10)에서 정지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수평골조(2,2)가 펼쳐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0)의 경우, 예를 들면, 지주(1)에 통공(12)을 형성하고 지주(1)의 내측엔 스프링(14)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정지돌기(16)를 설치하며, 상기 정지돌기(16)가 상기 통공(12)을 경유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이루어져, 슬라이드부재(4)가 단지 지주(1)를 타고 통과하는 상태에서는 통공(12) 내측으로 정지돌기(16)가 들어갔다가 일단 이 부위를 통과하게 되면 통공(12) 외측으로 정지돌기(16)가 돌출되어 슬라이드부재(4)의 상승위치에서 통공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자리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주(1)의 경우 종래와 같이 단일체형으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2중 또는 3중 형태로 끼구고 빼서 신축이 가능한 형태로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붕골조(6)는 한 쌍의 골조부재(62,62)가 중간연결부재(60)와 힌지부(64,64)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고, 그 중 일측 골조부재(62)는 모서리고정부재(3)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고 나머지 일측 골조부재(62)는 중간고정부재(65)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U자 단면형태로서 막힌 지지부(66)를 제외하고 개방부가 형성된 범위에서만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받침골조(7)는 일측이 슬라이드부재(4)와 힌지 고정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지붕골조(6)와 힌지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지붕골조(6)와 힌지 고정되는 부위가 일측 골조부재(62)에 고정 설치된 고정구(61)와 힌지부(63)에 의하여 상호간 힌지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평골조(2)의 중간 연결부(22)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보강고리(2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골조(2)를 펼쳐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중간 연결부(22)를 이루는 힌지부(24,24')는 상호간 별도의 고정부재나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불안정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상기 힌지부(24,24') 상호간을 보강고리(20)에 의하여 당겨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그 설치방법은 예를 들면 일측 힌지부(24)에 미리 보강고리(20)의 일측을 힌지 결합하고 보강고리(20)의 나머지 일측 후크부(26)는 자유단 형태로 놓아 두었다가 수평골조(2)를 펼친 다음에 상기 후크부(26)를 수평골조(2)를 당긴 상태에서 나머지 힌지부(24')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고정부재(3,3) 사이에 별도의 가요성부재(8)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펼쳐 놓게 되면, 전체적으로 4각 형태를 갖게 되는 수평골조(2)가 단순히 인접된 수평골재 상호간 절첩이 가능한 상태로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를 갖게 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는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4각 형태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모서리고정부재(3)중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모서리고정부재(3,3)(3,3) 상호간 잡아 당긴 상태를 유지하고자 함인데, 이는 모서리 고정부재(3)에 미리 고리부(80)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고리부(80)를 이용하여 직조 밴드, 와이어, 로우프 또는 고무줄과 같이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부재(8,8)로 상호간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그리고 모서리고정부재(3,3)(3,3) 상호간 팽팽하게 잡아 당기는 상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고안은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에 절첩이 가능한 차양골조(9,9)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차양(90)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들 상기 차양골조(9,9)의 경우 동일하게 상기 모서리고정부재(3)엔 주골조(91)를 힌지부(92)에 의하여 힌지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와 상기 주골조(91) 사이엔 받침골조(93)를 힌지부(94)에 의하여 상호간 힌지 고정한 형태로 구성하여 슬라이드부재(4)가 지주(1)를 타고 승, 하강함에 따라 이들 차양골조(9)도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골조(91,91)의 선단부 사이에 절첩이 가능한 별도의 가로골조(96)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가로골조(96)는 한 쌍의 골조부재(97,97)가 U형 단면부(98a)를 갖는 중간부재(98)에 의하여 개방부가 형성된 일측으로만 접어질 수 있게 각각 힌지부(99,99)로 연결 설치되고 주골조(91,91)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95,95)와 힌지부(95a,95a)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차양골조(9)의 경우, 별도로 예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평골조(2)의 전면으로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양측이나 아니면 전,후,좌,우 모든 4방향에 걸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지주(1)와 복수개의 수평골조(2)를 연결 설치하고 서로 대향되는 수평골조(2)(2)의 중간부 상호간은 중심의 고정부재(66)와 중심기둥(68)을 갖춘 별도의 복수개 수평골조(2')를 상호간 결합하여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 모서리 고정부재(3)와 지주(1)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위치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4)를 이용하여 수평골조(2)(2')를 상호간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지주(1)와 수평골조(2) 및 중심기둥(68)의 상부엔 천막시트(5)를 덮어 씌워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막에 있어서, 상기 수평골조(2)의 중간부로서 상기 별도의 수평골조(2')의 끝단부에 보강고리(20)를 설치하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에 절첩이 갖능한 차양골조(9)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차양(9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의 천막을 보여준다.
다음, 도11은 본 고안의 또다은 변형례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도8에 예시한 형태의 천막을 인접되게 복수개의 골조를 갖도록 설치한 형태를 보여주는데, 즉 복수개의 지붕골조(6,6)와 차양골조(9,9)가 별도로 마련된 지주(1) 및 수평골조(2)와 함께 인접되게 설치되어 천막이나 차양(90)의 크기를 보다 넓게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여기에서 보강고리(20)를 별도로 설치한 형태를 나타내지는 아니하였으나, 이 또한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미설명부호로서, 18은 지주(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1)의 고정용 모래주머니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경우, 다음과 같이 작동 및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1, 도7, 도8, 도10 및 도11에 예시한 여러 실시예를 중심으로 4개의 지주(1,1,1,1) 또는 6개의 지주(1,1,1,1,1,1)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우선 지주(1)를 포함한 여러 골조(2,6,7)를 펼쳐서 천막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엔, 각각의 지주(1)를 중심으로 슬라이드부재(4)를 상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스토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를 고정시키면 수평골조(2)는 X자 형태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호간 펼쳐지면서 4개의 지주(1,1,1,1) 또는 6개의 지주(1,1,1,1,1,1)를 중심으로 살펴 볼 때, 지주(1,1)(1,1)(1,1)(1,1) 상호간 중간 연결부(22)를 중심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고 지주(1)는 세워지며 상기 수평골조(2)는 상부에서 볼 때 4각형 형태로 펼쳐져 골조의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지붕골조(6)는 받침골조(7)가 하부에서 슬라이드부재(4)와 함께 밀어올려지면서 한 쌍의 골조부재(62,62)는 중간연결부재(60)에 의하여 상향 경사지게 펼쳐지고 상기 지붕골조(6)는 중간고정부재(65)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모서리고정부재(3)가 위치한 4 방향으로 방사상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골조부재(62,62)는 개방부가 위치한 부위에서만 펼쳐지므로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막힌부분의 내측면에 일부가 밀착된 상태, 즉 더 이상 굽혀질 수 없는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예의 경우엔 수평골조(2,2,2,2)와 별도의 수평골조(2',2',2',2')도 펼쳐지면서 고정부재(66)의 상부에 위치한 중심기둥(68)이 세워지는 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차양골조(9)를 채택한 경우엔 차양골조(9)의 받침골조(92)가 슬라이드부재(4)와 함께 상승하면서 받침골조(92)는 이와 힌지 연결된 주골조(91)를 밀어올리고 받침골조(92)가 주골조(91)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에서 차양골조(9)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로골조(96)가 채택되어 있는 경우엔 중간부재(98)를 중심으로 접혀져 있던 한 쌍의 골조부재(97)97는 상기 주골조(91)와 함께 상승하면서 펼쳐져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펼쳐진 상태를 갖게 된다.
다음, 수평골조(2)의 경우, 중간 연결부(22)의 힌지부(24,24') 상호간을 보강고리(20)를 이용하여 걸어 고정하면 수평골조(2)의 보다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요성부재(8)를 이용하여 모서리고정부재(3,3)(3,3)의 상호간 대각선 방향으로 당겨서 설치하게 되면 수평골조(2)나 지붕골조(6)의 상호간 보다 견고한 구조의 골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주(1)의 하부는 고정팩이나 모래주머니(18)와 같은 고정체를 이용하여 지면과 단단하게 고정하여 모든 골조의 설치가 완료되면, 천막시트(5)와차양(90)을 상기와 같이 펼쳐진 골조 위에 덮어 씌워 설치하면 된다.
물론, 골조(2,6,9)에 미리 천막시트(5)나 차양(90)을 설치한 상태로 골조(2,6,9)를 접어 놓은 상태에서는 그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골조(2,6,9)를 펼치게 되면 천막시트(5)나 차양(90)이 함께 펼쳐지면서 그대로 천막을 펼치고 설치하는 과정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겠다.
이와 같이, 천막을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엔 전술한 설치순서와는 반대로 골조를 접어서 보관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천막시트(5)나 차양(90)을 골조(2,6,9)로부터 미리 제거하거나 아니면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고리(20)의 힌지부(24')로부터의 분리, 가요성부재(8)의 분리, 지주(1)로부터 슬라이드부재(4)의 하강동작을 거쳐 전체적인 골조(2,6,9)의 접는 과정을 거쳐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골조(2)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지붕골조(6), 차양골조(9) 등을 절첩식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일체형의 연결된 골조를 구성하여 설치할 때나 접어서 보관할 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접었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골조를 이루는 구성부재중 수평골조(2)에 보강고리(20)를 설치하여 보강효과를 강화하여 설치 강도를 높힐 수 있으며, 차양(90)을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차양골조 (9)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천막분야에서 폭이 넓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 복수개의 지주(1)와 복수개의 수평골조(2)를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 모서리 고정부재(3)와 지주(1)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위치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4)를 이용하여 수평골조(2)를 상호간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지주(1)와 수평골조(2)의 상부엔 천막시트(5)를 덮어 씌워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막에 있어서,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3)(3,3) 사이에 중간연결부재(60) 및 중간고정부재(65)를 중심으로 각각 절첩이 가능한 복수개의 지붕골조(6)를 설치하고,상기 슬라이드부재(4)와 상기 지붕골조(6) 사이엔 받침골조(7)가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붕골조(6)가 상향 경사지게 펼쳐질 수 있게 이루어지고,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엔 양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일측이 힌지부 형태로 수평골조(2,2)(2,2)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상기 수평골조(2,2)는 서로 X자로 교차되게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며,상기 수평골조(2,2)와 서로 인접되는 수평골조(2,2)는 서로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22)가 힌지부 형태로 각각 연결 설치되고,상기 수평골조(2)의 중간 연결부(22)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보강고리(2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붕골조(6)는 한 쌍의 골조부재(62,62)가 중간연결부재(60)와 힌지부(64,64)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고, 그 중 일측 골조부재(62)는 모서리고정부재(3)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고 나머지 일측 골조부재(62)는 중간고정부재(65)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U자 단면형태로서 막힌 지지부(66)를 제외하고 개방부가 형성된 범위에서만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상기 받침골조(7)는 일측이 슬라이드부재(4)와 힌지 고정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지붕골조(6)와 힌지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붕골조(6)와 힌지 고정되는 부위가 일측 골조부재(62)에 고정 설치된 고정구(61)와 힌지부(63)에 의하여 상호간 힌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 제1항에 있어서,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고정부재(3,3) 사이에 별도의 가요성부재(8)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에 절첩이 가능한 차양골조(9,9)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차양(9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차양골조(9,9)가 상기 모서리고정부재(3)엔 주골조(91)를 힌지부(92)에의하여 힌지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와 상기 주골조(91) 사이엔 받침골조(93)를 힌지부(94)에 의하여 상호간 힌지 고정한 형태로 구성하여 슬라이드부재(4)가 지주(1)를 타고 승, 하강함에 따라 이들 차양골조(9)도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주골조(91,91)의 선단부 사이에 절첩이 가능한 별도의 가로골조(96)를 설치하되, 상기 가로골조(96)는 한 쌍의 골조부재(97,97)가 U형 단면부(98a)를 갖는 중간부재(98)에 의하여 개방부가 형성된 일측으로만 접어질 수 있게 각각 힌지부(99,99)로 연결 설치되고 주골조(91,91)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95,95)와 힌지부(95a,95a)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 복수개의 지주(1)와 복수개의 수평골조(2)를 연결 설치하고 서로 대향되는 수평골조(2)(2)의 중간부 상호간은 중심의 고정부재(66)와 중심기둥(68)을 갖춘 별도의 복수개 수평골조(2')를 상호간 결합하여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 모서리 고정부재(3)와 지주(1)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위치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4)를 이용하여 수평골조(2)(2')를 상호간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지주(1)와 수평골조(2) 및 중심기둥(68)의 상부엔 천막시트(5)를 덮어 씌워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막에 있어서,상기 수평골조(2)의 중간부로서 상기 별도의 수평골조(2')의 끝단부에 보강고리(20)를 설치하고,상기 모서리 고정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에 절첩이 갖능한 차양골조(9)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차양(9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3472U KR200275266Y1 (ko) | 2002-02-04 | 2002-02-04 | 천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3472U KR200275266Y1 (ko) | 2002-02-04 | 2002-02-04 | 천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266Y1 true KR200275266Y1 (ko) | 2002-05-11 |
Family
ID=7307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3472U KR200275266Y1 (ko) | 2002-02-04 | 2002-02-04 | 천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26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41211A (zh) * | 2018-11-22 | 2019-03-08 | 路华(厦门)贸易有限公司 | 一种可收折帐篷架杆改进结构 |
CN114592749A (zh) * | 2020-12-07 | 2022-06-07 | 培轸产业株式会社 | 组合型大型帐篷框架 |
-
2002
- 2002-02-04 KR KR2020020003472U patent/KR2002752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41211A (zh) * | 2018-11-22 | 2019-03-08 | 路华(厦门)贸易有限公司 | 一种可收折帐篷架杆改进结构 |
CN114592749A (zh) * | 2020-12-07 | 2022-06-07 | 培轸产业株式会社 | 组合型大型帐篷框架 |
CN114592749B (zh) * | 2020-12-07 | 2024-06-21 | 培轸产业株式会社 | 组合型大型帐篷框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5016B1 (ko) | 절첩식 텐트 | |
KR100558356B1 (ko) |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 |
US6868858B2 (en) | Roof structure for folding tent frame | |
KR200331661Y1 (ko) | 이동식 천막프레임 | |
JP2020529542A (ja) | 折り畳み可能なテント | |
WO2002068779A1 (fr) | Tente pliable pourvue d'avancees | |
JP2009257080A (ja) | テント | |
CN214996572U (zh) | 一种具有自动开合中心小顶结构的折叠帐篷 | |
CN101490351B (zh) | 角撑 | |
JP2001003604A (ja) | 折り畳み式テントの屋根の支持構造 | |
KR200275266Y1 (ko) | 천막 | |
KR200494358Y1 (ko) | 차량용 접이식 어닝 프레임 | |
KR100643157B1 (ko) |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 |
JP4358260B2 (ja) | テント | |
KR200392044Y1 (ko) | 낚시용 그늘막 텐트 | |
KR100735013B1 (ko) |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 |
KR101153274B1 (ko) | 접철식 천막 | |
KR200347258Y1 (ko) |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 |
JP3244443U (ja) | 折り畳みブラケット | |
KR100705712B1 (ko) |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 |
KR200247918Y1 (ko) | 우산,텐트,천막의 절첩장치 | |
KR102029799B1 (ko) | 팝 아웃 접이식 일체형 텐트 | |
KR20100077460A (ko) | 천막의 절첩식 프레임 | |
KR101296763B1 (ko) | 절첩식 천막 프레임 | |
KR200304876Y1 (ko) | 다용도 파라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402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