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32B1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Google Patents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7032B1 KR101397032B1 KR1020120018575A KR20120018575A KR101397032B1 KR 101397032 B1 KR101397032 B1 KR 101397032B1 KR 1020120018575 A KR1020120018575 A KR 1020120018575A KR 20120018575 A KR20120018575 A KR 20120018575A KR 101397032 B1 KR101397032 B1 KR 101397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frame
- posts
- canopy
-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접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가 개시된다.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4개의 포스트 사이에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링크되는 대칭 연결 프레임과 비대칭 연결 프레임이 연결된다. 대칭 연결 프레임은 교차부 연결 지점과 로드 양단부 연결 지점의 길이가 동일하게 함으로써 수평부를 형성하고, 비대칭 연결 프레임은 교차부 연결 지점과 로드의 양단부 연결 지점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경사부를 형성한다.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되면, 수평부와 경사부에 의하여 천막에 경사면부가 형성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특정 방향으로만 배수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포스트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의 접철 방식이 동일하므로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만으로 보관과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관한 것으로, 접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그늘막 또는 텐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다수개의 포스트(Post)와 각각의 포스트에 X자 형태로 연결된 접철 가능한 연결 프레임에 의하여 천막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막 상부로 비가 고이거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막 중앙부가 외곽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천막 중앙부가 외곽 부분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하여 1)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천막 중앙부로 X자 형태의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고, 천막 중앙부의 연결 프레임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 또는 2)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천막 중앙부로 신축성 부재를 연결하는 아치형 폴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로는, 미국 공개 특허 2006/0070649, 미국 특허 7,240,686, 미국 특허 7,360,549, 한국 특허 제10-0679741호, 제10-109566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 특허들은 공통적으로 천막 중앙에 설치된 수직 지지대의 무게로 인하여 천막의 처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막의 중앙부로부터 외곽부 전체로 균일하게 경사가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이 천막의 테두리 전체로 흘러내리게 되어 사람의 출입시 낙수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캐노피 프레임을 건물의 실내를 확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건물과 캐노피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낙수가 발생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다.
아치형 폴을 갖는 구조로는, 미국 특허 5,632,293호, 일본공개특허 2003-227249, 미국 특허 6,666,223, 미국 공개 특허 2006/0162759 등이 알려져 있다. 위 특허에 의하면, 상술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와 달리 천막의 처짐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아치형 폴은 각각의 포스트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접철 방식이 달라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상술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와 마찬가지로, 우천시 천막의 중앙부로부터 외곽부 전체로 빗물이 흘러내리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포스트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의 접철 방법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며,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는 천막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만 흘러내리도록 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동 브라켓을 각각 구비하며, 반시계 방향 순서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포스트;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이 동일한 다수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 및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측의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1, L2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포스트 사이의 제1중간연결부와, 상기 제3, 제4포스트 사이의 제3중간연결부가 양측보다 각각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포스트 사이와 상기 제3, 제4포스트 사이에 각각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 이상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제3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상부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은,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에 연결된 상, 하부의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가 각각 L2, L1 라 할 때, L1<L2와 L1+L2=2L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제3포스트 사이와, 상기 제4, 제1포스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상부수평부보다 낮은 위치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2 이상의 상기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제2하부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비대칭 연결 프레임은,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연결된 상, 하부의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가 각각 L3, L4 라 할 때, L3<L4와 L3+L4=2L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하부수평부, 상기 제1상부수평부 및 상기 제2하부수평부에 각각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제3경사부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을 이용한 캐노피는, 상술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의 상부에 천막이 결합되며, 상기 천막은, 양방향으로 경사진 상부의 경사면부; 상기 경사면부 둘레의 수직 하방으로 상기 대칭 및 비대칭 연결 프레임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상기 제1, 제2하부수평부가 형성된 상기 테두리부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접혀져 탈부착되는 빗물 받이부; 및 우천시 상기 빗물 받이부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빗물 받이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탈부착되는 2개 이상의 형상유지부재;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빗물 받이부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형상유지부재와, 상기 빗물 받이부 중간 하부에 연결된 1 이상의 중간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되, 우천시 빗물이 일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제1, 제2형상유지부재 및 상기 중간형상유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캐노피 프레임은, 상기 제2, 제3포스트 사이의 제2중간연결부와, 상기 제4, 제1포스트 사이의 제4중간연결부가 양측보다 각각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제3 포스트 사이와 상기 제4, 제1포스트 사이에 각각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제4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수평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제4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상부수평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천막 중앙부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중앙 수직 지지대가 없으므로 하중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의 중앙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모든 포스트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의 접철 방식이 동일하므로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만으로 보관 및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캐노피 전체를 펼쳤을 때, 천막에 2개 또는 4개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빗물이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우천시에도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건물의 실내 공간 확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건물과 캐노피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서의 낙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특히 2개의 경사부가 형성된 캐노피의 경우, 경사면 하부에 빗물 받이부를 부가함으로써 빗물을 포스트가 설치된 부분으로 유도하여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우천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방향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방향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제1경사부와 제1상부수평부의 연결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에서 제1포스트에 연결되는 제1경사부와 제2하부수평부의 연결 부분 확대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제1,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된 캐노피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빗물 받이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C방향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된 캐노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방향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방향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제1경사부와 제1상부수평부의 연결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에서 제1포스트에 연결되는 제1경사부와 제2하부수평부의 연결 부분 확대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제1,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된 캐노피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빗물 받이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C방향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된 캐노피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은, 공통적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4개의 제1 내지 제4포스트(100~400)와, 각각의 포스트(100~40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때 연결 프레임은 비대칭 연결 프레임과,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포스트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포스트(100~400)와 대칭 또는 비대칭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포스트(100~400) 상단에는 고정 브라켓(fixed bracket : 110, 210, 310, 410)이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동 브라켓(movable bracket ; 120, 220, 320, 420)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특징적인 부분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스트(100~40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다. 연결 프레임은 비대칭 연결 프레임(130a, 140a, 150a, 160a, 330a, 340a, 350a, 360a)과, 다수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230, 240, 250, 260, 430, 440, 450, 460, 630, 640, 650, 660)으로 이루어진다(설명의 편의상 비대칭 연결 프레임은, 대칭 연결 프레임과의 구별을 위하여 도면 부호 뒤에 'a'를 병기한다).
각각의 고정 브라켓(110, 210, 310, 410)과 가동 브라켓(120, 220, 320, 420)은, 비대칭 연결 프레임 중 일부(130a, 160a, 330a, 360a) 또는 대칭 연결 프레임 중 일부(230, 260, 430, 460)와 링크된다. 나머지 연결 프레임은 다른 연결 프레임과 상호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캐노피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천막은 양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지붕을 갖게 된다. 캐노피 프레임의 전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연결 프레임과 비대칭 연결 프레임을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그룹화할 수 있다.
S1 : 제1경사부(130a, 140a, 150a, 160a)
S3 : 제3경사부(330a, 340a, 350a, 360a)
UH1 : 제1상부수평부(630, 640, 650, 660)
LH1 : 제1하부수평부(230, 240, 250, 260)
LH2 : 제2하부수평부(430, 440, 450, 460)
그리고 제1, 제3경사부(S1, S3)를 구성하는 비대칭 연결 프레임 중간에 상호 연결되는 로드 양단부의 연결 지점을 각각 제1, 제3중간연결부(M1, M3)라 한다.
위에서 정의한 기호를 이용하여, 제1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 구조를 각각의 포스트(100~400)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제2포스트(100, 200)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S1)가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양측보다 높게 위치한 제1중간연결부(M1)가 형성된다.
도 5는 제1중간연결부(M1)에 연결되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140a, 150a)과 이에 직교하는 대칭 연결 프레임(63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대칭 연결 프레임(630)은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핀으로 연결되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제1중간연결부(M1)까지의 길이 L이 동일하다.
비대칭 연결 프레임(140a, 150a)은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하부와 상부의 제1중간연결부(M1)까지의 길이는 각각 L1, L2이다.
이때, 제1중간연결부(M1)는 경사부(S1)의 최고점에 위치하므로, L1<L2를 만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캐노피 프레임을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중간연결부(M1)에 연결되는 3개의 연결 프레임(140a, 150a, 630)은 수직 상태로 접혀져야 하므로 L1+L2=2L의 관계를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L1<L2과, L1+L2=2L의 2개의 관계식을 만족하여야 하므로, L1<L<L2의 관계 또한 만족하게 된다.
제2, 제3포스트(200, 300) 사이에는 지면에 평행하게 제1하부수평부(LH1)가 형성된다. 제1하부수평부(LH1)를 이루는 대칭 연결 프레임의 개수는, 도면에서는 4개로 구성하였으나, 캐노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3, 제4포스트(300, 400) 사이에는 제1경사부(S1)와 마찬가지로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3경사부(S3)가 형성되며, 그 중간에는 양측보다 높게 위치한 제3중간연결부(M3)가 형성된다. 제3중간연결부(M3)에서도 제1중간연결부(M1)와 마찬가지로 L1<L2과, L1+L2=2L의 2개의 관계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때 각 포스트(100~400)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L1과 L2의 길이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제3경사부(S1, S3)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4, 제1포스트(400, 100) 사이에는 제1하부수평부(LH1)와 평행한 제2하부수평부(LH2)가 형성된다.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는 제1, 제3경사부(S1, S3)의 양단에 직교하여 연결됨으로써, 제1, 제3경사부(S1, S3)를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제2, 제3포스트(200, 300)의 간격과, 제4, 제1포스트(400, 1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6은 제1포스트(100)에 제1경사부(S1)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130a)과 제2하부수평부(LH2)의 대칭 연결 프레임(46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 브라켓(120)은 상하로 슬라이딩 되며 제1포스트(10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142)가 구비된다. 비대칭 연결 프레임(130a)은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110)과 연결되는 상부 로드 단부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3와, 가동 브라켓(120)과 연결되는 하부 로드 단부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4를 갖는다.
이때, 비대칭 연결 프레임(130a)은 수직한 제1포스트(100)에 상향 경사지도록 연결되므로 L3<L4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캐노피 프레임을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되도록, 제1포스트(100)에 연결된 2개의 연결 프레임(130a, 460)은 수직하게 접혀야 하므로 L3+L4=2L의 관계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L3<L<L4의 관계 또한 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식은 나머지 포스트(200~4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에서는 제1, 제3경사부(S1, S3)를 각각 4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제1포스트(100)로부터 제1중간연결부(M1)까지 1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을 사용하고, 제1중간연결부(M1)로부터 제2포스트(200) 사이에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양방향의 경사 각도를 달리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은, 도 7, 도 8과 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 전부를 포함한 상태에서 비대칭 연결 프레임(530a, 540a, 550a, 560a)으로 이루어진 중간경사부(IS)를 더 구비한다. 중간 경사부(IS)는, 제1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이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가 길게 형성된 경우, 천막의 경사면에 발생될 수 있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간경사부(IS)는 제1하부수평부(LH1), 제1상부수평부(UH1) 및 제2하부수평부(LH2)에 각각 순차적으로 직교하도록, 제1, 제3경사부(S1, S3)와 평행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캐노피 프레임 전체의 중앙에는 제1상부수평부(UH1)를 이루는 2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640, 650)과, 중간경사부(IS)를 이루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540a, 550a)이 각각 직교하여 연결되는 중앙연결부(MO)가 형성된다.
이때, 중앙연결부(MO)과 제1하부수평부(LH1)의 연결 부분에서, 1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530a)과 2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240, 250)은 상술한 L3<L4와 L3+L4=2L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중앙연결부(MO)와 제2하부수평부(LH2)의 연결 부분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제1, 제2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700)을 결합한 캐노피는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천막(700)은 양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부(710)와, 경사면부(710) 둘레 즉, 제1, 3경사부(S1, S3)와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의 수직 하방으로 연결 프레임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720)를 구비한다. 따라서 우천시 빗물은 경사면부(710)에 낙하하여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빗물은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 전체에 걸쳐서 흘러내리므로, 빗물을 양측으로 배수하기 위한 빗물 받이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빗물 받이부(730)는, 도 10과 같이,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가 형성된 테두리부(720)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평상시 테두리부(720) 내측으로 접혀져 테두리부(720) 내측에 형성된 내부 탈착부(722)에 결합된다. 우천시에는 빗물 받이부(730)가 빗물의 배수를 위하여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2 이상의 형상유지부재(740)를 구비한다.
형상유지부재(740)는 도 9와 같이, 빗물이 양측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빗물 받이부(730) 하단 양측 부분에 제1, 제2형상유지부재(742, 744)와, 그 중간에 1 이상의 중간형상유지부재(746)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형상유지부재(740)는 테두리부(720)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 탈착부(724)에 결합된다.
이때 빗물이 양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형상유지부재(746)의 길이를 제1, 제2형상유지부재(742, 744)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빗물 통로가 되는 빗물 받이부(730)의 중앙을 높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형상유지부재(742, 744)와 중간형상유지부재(746)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길게 또는 짧게 구성하여 빗물이 빗물 통로의 일방향으로만 배수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빗물의 배수 방향을 캐노피가 설치되는 공간적 특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제3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천막이 각각의 4개의 포스트(100~400) 방향으로 오목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캐노피 프레임의 전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연결 프레임과 비대칭 연결 프레임을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그룹화할 수 있다.
S1 : 제1경사부(130a, 140a, 150a, 160a)
S2 : 제2경사부(230a, 240a, 250a, 260a)
S3 : 제3경사부(330a, 340a, 350a, 360a)
S4 : 제4경사부(430a, 440a, 450a, 460a)
UH1 : 제1상부수평부(630, 640, 650, 660)
UH2 : 제2상부수평부(530, 540, 550, 560)
그리고 제1 내지 제4경사부(S1~S4)를 구성하는 비대칭 연결 프레임 중간에 상호 연결되는 로드 양단부의 연결 지점을 각각 제1 내지 제4중간연결부(M1~M4)라 한다. 또한 제1, 제2상부수평부(UH1, UH2)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대칭 연결 프레임의 연결 지점을 중앙연결부(MO)로 정의한다. 참고로, 제3실시예의 구성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1, 제3수평부(S1, S3), 제1상부수평부(UH1)가 형성된 점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제1, 제2하부수평부(LH1, LH2)가 제2, 제4경사부(S2, S4)로 대치되고, 제2, 제4경사부(S2, S4)의 중간을 연결하는 제2상부수평부(UH2)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4경사부(S2, S4) 각각의 사이에는 제2, 제4중간연결부(M2, M4)가 양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2, 제4중간연결부(M2, M4)와 상술한 중앙연결부(MO)에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2상부수평부(UH2)가 형성된다. 제2상부수평부(UH2)는 제1상부수평부(UH1)와도 직교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제2중간연결부(M2)에서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240a, 250a)과 1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530)이 연결되고, 제4중간연결부(M4)에서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440a, 450a)과 1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560)이 연결된다. 제2, 제4중간연결부(M2, M4)의 경우에도 도 5와 마찬가지로, L1<L2와 L1+L2=2L의 관계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중앙연결부(MO)에서는 4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540, 550, 640, 650)이 직교하여 연결된다. 중앙연결부(MO)에서는 교차부 연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로드 단부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가 모두 동일하므로, 캐노피 프레임을 접었을 때 각각의 로드는 수직한 형태로 접혀지므로 보관시 캐노피 프레임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된다.
상술한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800)을 결합한 캐노피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천막(800)은, 상부면에 중앙연결부(MO)에서 방사 방향으로 4개의 산과 4개의 골이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면부(810)과, 제1 내지 제4경사부(S1~S4)를 구성하는 비대칭 연결 프레임의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820)를 구비한다.
경사면부(810)는 각각의 포스트(100~400) 방향으로 각각 골이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은 각각의 포스트(100~400) 방향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캐노피의 출입구로 사람이 드나들 때 천막(800)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맞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의 설치는, 사용자가 4개의 포스트(100~400)를 잡고 중앙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펼치는 동작으로 완성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의 보관은, 사용자가 4개의 포스트(100~400)를 잡고 중앙 방향으로 모으는 동작만으로 완성되므로, 보관 역시 편리하다. 캐노피 프레임의 높이는 각각의 포스트 길이 조절부재(102, 202, 302, 402)에 의하여 조절되며, 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캐노피 프레임은 모두 제1, 제3경사부(S1, S3)와, 제1상부수평부(UH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캐노피 프레임의 조합으로 넓은 공간과 다양한 형태를 갖는 캐노피를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실시예의 제1경사부(S1)와, 제2실시예의 제3경사부(S3)를 밀착시키고, 제2실시예의 제1경사부(S1)에는 제3실시예의 제3경사부(S3)를 밀착시켜 3개의 캐노피 프레임을 일렬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캐노피 프레임이 밀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포스트들은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넓은 공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이와 균등의 영역에 해당되는 다양한 변형물에까지 미친다.
100, 200, 300, 400 : 제1 ~ 제4포스트
102, 202, 302, 402 : 포스트 길이 조절부재
110, 210, 310, 410 : 고정 브라켓
120, 220, 320, 420 : 가동 브라켓
142 : 스토퍼
130a, 140a, 150a, 160a, 230a, 240a, 250a, 260a, 330a, 340a, 350a, 360a, 430a, 440a, 450a, 460a, 530a, 540a, 550a, 560a : 비대칭 연결 프레임
230, 240, 250, 260, 430, 440, 450, 460, 530, 540, 550, 560, 630, 640, 650, 660 : 대칭 연결 프레임
M1, M2, M3, M4: 제1 ~ 제4중간연결부
M0 : 중앙연결부
700, 800 : 천막
710 : 경사면부
720 : 테두리부
730 : 빗물 받이부
740 : 형상유지부재
S1 : 제1경사부(130a, 140a, 150a, 160a)
S3 : 제3경사부(330a, 340a, 350a, 360a)
S2 : 제2경사부(230a, 240a, 250a, 260a)
S4 : 제4경사부(430a, 440a, 450a, 460a)
IS : 중간경사부(530a, 540a, 550a, 560a)
LH1 : 제1하부수평부(230, 240, 250, 260)
LH2 : 제2하부수평부(430, 440, 450, 460)
UH1 : 제1상부수평부(630, 640, 650, 660)
UH2 : 제2상부수평부(530, 540, 550, 560)
102, 202, 302, 402 : 포스트 길이 조절부재
110, 210, 310, 410 : 고정 브라켓
120, 220, 320, 420 : 가동 브라켓
142 : 스토퍼
130a, 140a, 150a, 160a, 230a, 240a, 250a, 260a, 330a, 340a, 350a, 360a, 430a, 440a, 450a, 460a, 530a, 540a, 550a, 560a : 비대칭 연결 프레임
230, 240, 250, 260, 430, 440, 450, 460, 530, 540, 550, 560, 630, 640, 650, 660 : 대칭 연결 프레임
M1, M2, M3, M4: 제1 ~ 제4중간연결부
M0 : 중앙연결부
700, 800 : 천막
710 : 경사면부
720 : 테두리부
730 : 빗물 받이부
740 : 형상유지부재
S1 : 제1경사부(130a, 140a, 150a, 160a)
S3 : 제3경사부(330a, 340a, 350a, 360a)
S2 : 제2경사부(230a, 240a, 250a, 260a)
S4 : 제4경사부(430a, 440a, 450a, 460a)
IS : 중간경사부(530a, 540a, 550a, 560a)
LH1 : 제1하부수평부(230, 240, 250, 260)
LH2 : 제2하부수평부(430, 440, 450, 460)
UH1 : 제1상부수평부(630, 640, 650, 660)
UH2 : 제2상부수평부(530, 540, 550, 560)
Claims (7)
-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동 브라켓을 각각 구비하며, 반시계 방향 순서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포스트;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이 동일한 다수개의 대칭 연결 프레임; 및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일측의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 L1, L2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포스트 사이의 제1중간연결부와, 상기 제3, 제4포스트 사이의 제3중간연결부가 양측보다 각각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포스트 사이와 상기 제3, 제4포스트 사이에 각각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 이상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제3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상부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비대칭 연결 프레임은, 상기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제3중간연결부에 연결된 상, 하부의 상기 로드 단부 각각의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가 각각 L2, L1 라 할 때, L1<L2와 L1+L2=2L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2, 제3포스트 사이의 제2중간연결부와, 상기 제4, 제1포스트 사이의 제4중간연결부가 양측보다 각각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제3 포스트 사이와 상기 제4, 제1포스트 사이에 각각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비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제4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수평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제4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2 이상의 상기 대칭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상부수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 제1항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의 상부에 천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575A KR101397032B1 (ko) | 2012-02-23 | 2012-02-23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CN201210190672.4A CN102704740B (zh) | 2012-02-23 | 2012-06-11 | 折叠式棚架及使用其的帐篷 |
CN201220273259XU CN202706660U (zh) | 2012-02-23 | 2012-06-11 | 一种折叠式棚架及使用其的帐篷 |
PCT/KR2013/001342 WO2013125857A1 (ko) | 2012-02-23 | 2013-02-20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575A KR101397032B1 (ko) | 2012-02-23 | 2012-02-23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952A KR20130096952A (ko) | 2013-09-02 |
KR101397032B1 true KR101397032B1 (ko) | 2014-05-20 |
Family
ID=4689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575A KR101397032B1 (ko) | 2012-02-23 | 2012-02-23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7032B1 (ko) |
CN (2) | CN102704740B (ko) |
WO (1) | WO201312585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371A (ko) | 2017-06-17 | 2018-12-27 | 주식회사 아웃팅 | 캐노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7032B1 (ko) * | 2012-02-23 | 2014-05-20 | (주)엔지아이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CN103410374A (zh) * | 2013-08-09 | 2013-11-27 | 厦门宏朋工贸有限公司 | 一种折叠帐的冲顶内芯结构 |
NL2011527C2 (nl) * | 2013-09-30 | 2015-04-01 | Peter Vogel Holding B V | Tent; en een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een tent. |
CN104060882A (zh) * | 2014-06-20 | 2014-09-24 | 杭州绿洲休闲用品有限公司 | 一种折叠帐篷 |
CN104499768B (zh) * | 2014-12-11 | 2017-01-04 | 客贝利(厦门)休闲用品有限公司 | 一种帐篷架杆结构 |
AT520647B1 (de) * | 2018-04-30 | 2019-06-15 | Schade Maximilian | Transportables Bauwerk |
CN114476414B (zh) * | 2021-12-09 | 2023-08-22 |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 一种可伸缩顶棚式垃圾池及其工作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803A (ja) | 2002-06-25 | 2004-01-29 | Yuji Morinobu | 折り畳み式テント |
KR100679741B1 (ko) | 2004-06-30 | 2007-02-07 |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 접철식 천막 |
KR100756531B1 (ko) * | 2004-10-01 | 2007-09-10 |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 맞배지붕의 천막프레임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6200A (ko) * | 2003-11-28 | 2003-12-24 | 김대환 | 경량형 안락 캐노피 하우스의 구조 |
JP3102408U (ja) * | 2003-12-22 | 2004-07-08 | 昌子 野村 | 片流式の折畳テント |
JP3934639B2 (ja) * | 2004-10-14 | 2007-06-20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野外用テント |
JP2009257080A (ja) * | 2006-07-05 | 2009-11-05 | Newtec Japan Co Ltd | テント |
CN201495831U (zh) * | 2009-06-17 | 2010-06-02 | 佛山市安力电器实业有限公司 | 折叠帐篷 |
KR101397032B1 (ko) * | 2012-02-23 | 2014-05-20 | (주)엔지아이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
2012
- 2012-02-23 KR KR1020120018575A patent/KR1013970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6-11 CN CN201210190672.4A patent/CN10270474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6-11 CN CN201220273259XU patent/CN202706660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2-20 WO PCT/KR2013/001342 patent/WO20131258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803A (ja) | 2002-06-25 | 2004-01-29 | Yuji Morinobu | 折り畳み式テント |
KR100679741B1 (ko) | 2004-06-30 | 2007-02-07 |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 접철식 천막 |
KR100756531B1 (ko) * | 2004-10-01 | 2007-09-10 |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 맞배지붕의 천막프레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371A (ko) | 2017-06-17 | 2018-12-27 | 주식회사 아웃팅 | 캐노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952A (ko) | 2013-09-02 |
CN102704740A (zh) | 2012-10-03 |
CN202706660U (zh) | 2013-01-30 |
CN102704740B (zh) | 2014-12-03 |
WO2013125857A1 (ko) | 2013-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7032B1 (ko)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
KR20130096950A (ko) |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 |
AU2021102827A4 (en) | A canopy frame for alleviating standing water | |
US10487530B1 (en) | Folding hexagonal tent | |
US20210301551A1 (en) | Improved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 |
US6848461B2 (en) | Tent structure | |
AU2005227923B2 (en) | Canopy cover having a meshed portion | |
US20040020526A1 (en) | Collapsible canopy | |
KR101397640B1 (ko)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
KR200482801Y1 (ko) | 폴딩 텐트 프레임 | |
CN214786496U (zh) | 一种倾斜式帐篷架 | |
KR101268221B1 (ko) | 텐트 | |
KR20200014612A (ko) |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 |
KR101792688B1 (ko) |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 |
KR100893107B1 (ko) | 옥외용 천막 구조물 | |
KR102211321B1 (ko) |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 |
KR102556943B1 (ko) | 시공 안정성이 확보된 캐노피 | |
KR102173162B1 (ko) |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 |
JP5984034B1 (ja) |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 |
KR102230500B1 (ko) | 텐트 | |
KR20030096200A (ko) | 경량형 안락 캐노피 하우스의 구조 | |
CN211736535U (zh) | 景观棚结构 | |
JP5716226B2 (ja) | 寄せ棟型テント | |
ES2978738T3 (es) | Tienda de campaña infantil con elemento de fijación a presión de seguridad para tensar la lona de tienda de campaña | |
WO2008136679A1 (en) | Tent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