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51B1 -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51B1
KR101943551B1 KR1020170101811A KR20170101811A KR101943551B1 KR 101943551 B1 KR101943551 B1 KR 101943551B1 KR 1020170101811 A KR1020170101811 A KR 1020170101811A KR 20170101811 A KR20170101811 A KR 20170101811A KR 101943551 B1 KR101943551 B1 KR 10194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ar
fixing
roll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석
Original Assignee
(주)플루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루익스 filed Critical (주)플루익스
Priority to KR102017010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 고정지그는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중 밑면을 지지하는 지그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밑면의 내부방향이 지그 베이스에 지지되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하는 수평 고정부 및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수평 고정부가 전달하는 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Frame fixing jig and co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지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지그는 굴곡이 있는 프레임에 대한 고정에서 들림 현상, 휨 현상, 뒤틀림 현상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자동화 과정에서 불량품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클램프, 진공 등을 이용한 고정지그를 개발하였으나, 이러한 고정지그에서도 반력으로 인한 들림 현상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6189호(2009.11.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의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을 하고,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는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중 밑면을 지지하는 지그 베이스, 상기 프레임의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밑면의 내부방향이 상기 지그 베이스에 지지되면 상기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가 전달하는 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눌러 상기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와 연결되고, 일정한 힘으로 상기 롤러부를 누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동경로로 상기 롤러부를 이송하는 롤러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프레임 중 측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바를 이송하는 서포트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측면 사이의 공차가 보완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바는, 중앙에 핀 이음(pin joint)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핀 이음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의 형상에 맞게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바 이송부는, 상기 서포트바의 타면과 접촉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서포트바를 상기 측면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실린더를 이송하는 실린더 이송부 및 상기 실린더 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이송부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시스템은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지그 및 상기 고정지그로 고정된 프레임에 노즐을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고정지그는, 상기 프레임 중 밑면이 지지하는 지그 베이스, 상기 프레임의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밑면의 내부방향이 상기 지그 베이스에 지지되면 상기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가 전달하는 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고정지그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눌러 상기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롤러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측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바를 이송하는 서포트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은 프레임의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프레임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지그 베이스 및 서포트바의 교체만으로 프레임 고정을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품 교체가 아닌 부분적이 부품 교체로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 고정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평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서포트바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가 대형 사각 프레임을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가 소형 사각 프레임을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바의 핀 이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 시스템이 도포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포 시스템(300)은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도포액을 도포한다. 즉, 도포 시스템(300)은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발생되는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도포액이 원하는 위치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도포 시스템(330)은 프레임 고정지그(100) 및 도포 장치(200)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을 한다.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수평방향의 고정을 기본 고정구조로 하고, 수직방향의 고정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
도포 장치(200)는 프레임 고정지그(100)로 고정된 프레임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한다. 도포 장치(200)는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으며, 노즐은 적어도 일차원 방향으로 도포액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고정지그(100) 및 도포 장치(200)는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 장치(200)는 현재 도포액이 도포되는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프레임 고정지그(100)에 전송하고,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도포되는 위치에 맞추어 해당 위치의 프레임이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 고정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평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서포트바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직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지그 베이스(10), 수평 고정부(30), 수직 고정부(5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고, 통신부(90)를 더 포함한다.
지그 베이스(10)는 프레임 중 밑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그 베이스(10)는 프레임 중 밑면이 삽입되는 베이스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은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되어 삽입이 된다. 지그 베이스(10)는 베이스 홈의 깊이가 밑면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어 밑면의 내부방향이 베이스 홈에 의해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 베이스(10)는 프레임 중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은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다. 지그 베이스(10)는 밑면의 내부방향이 지지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고정부(30)는 프레임이 지그 베이스(10)에 삽입되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한다. 여기서, 프레임은 밑면이 지그 베이스(10)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수평 고정부(30)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수평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수평 고정부(30)는 서포트바(31) 및 서포트바 이송부(33)를 포함한다.
서포트바(31)는 일면이 프레임의 측면 하부에 접촉된다. 서포트바(31)는 프레임과 직접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공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서포트바(31)는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형상에 맞게 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포트바(31)는 측면의 길이방향과 선 또는 면의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서포트바 이송부(33)는 서포트바(31)와 연결되고, 서포트바(31)를 일정한 힘으로 프레임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이송한다. 서포트바 이송부(33)는 실린더(41), 실린더 이송부(43) 및 가이드라인(45)을 포함한다.
실린더(41)는 서포트바(31)의 타면과 접촉된다. 실린더(41)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포트바(31)에 힘의 전달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41)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실린더 이송부(43)는 실린더(41)와 연결되고, 실린더(41)가 서포트바(31)를 프레임의 측면에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실린더(41)를 이송한다. 실린더 이송부(43)는 바퀴, 체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실린더(41)를 이송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이송부(43)는 실린더(41)의 하부와 연결되어 실린더(41)를 이송시킬 수 있다.
가이드라인(45)은 실린더 이송부(43)와 연결되고, 실린더 이송부(43)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라인(45)은 레일형태로 될 수 있으며, 실린더 이송부(43)가 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서포트바 이송부(33)는 실린더(41)를 사용하는 구조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이송 기구를 실린더(41) 대신 적용할 수 있다.
수직 고정부(50)는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눌러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수직 고정부(50)는 롤러부(51), 롤러 지지부(53) 및 롤러 이송부(55)를 포함한다.
롤러부(51)는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와 접촉하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부(51)는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따라 회전하며 이송된다. 롤러부(51)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과의 접촉에서 프레임의 형상에 맞게 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롤러부(51)는 도포 장치(200)와 이송되는 경로 및 속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롤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롤러 사이에 도포 장치(200)의 노즐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포액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 장치(20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프레임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정확한 위치에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 지지부(53)는 롤러부(51)와 연결되고, 롤러부(51)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롤러 지지부(54)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롤러부(51)에 힘의 전달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지지부(54)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롤러 이송부(55)는 롤러 지지부(53)와 연결되고, 일정한 힘으로 롤러부(51)를 누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동경로로 롤러부(51)를 이송한다. 이 때, 롤러 이송부(55)는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되면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롤러 이송부(55)는 롤러부(51)가 도포 장치(200)와 이송되는 경로 및 속도와 동일하도록 구동된다.
한편, 수직 고정부(50)는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평 고정부(30)만으로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수평 고정부(30) 및 수직 고정부(50)를 제어하여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70)는 프레임에 전달되는 힘, 이송되는 경로 및 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프레임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수평 고정부(30) 및 수직 고정부(50)가 프레임에 전달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프레임이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최소의 힘을 프레임에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최소의 힘을 프레임에 전달함으로써, 표면적으로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지만 내부적으로 누적될 수 있는 데미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수평 고정부(30) 및 수직 고정부(50)의 이송되는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프레임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수평 고정부(30)의 실린더 이송부(43) 및 수직 고정부(50)의 롤러 이송부(55)의 이송되는 배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70)는 다양한 크기의 프레임들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90)는 도포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90)는 도포 장치(200)로부터 도포액이 도포되는 위치정보, 이동경로정보, 이동속도정보 등이 포함된 도포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된 도포정보는 제어부(70)가 도포 장치(200)의 노즐이 복수의 롤러 사이에 위치되면서 도포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통신부(90)는 도포 장치(200)에 프레임의 고정 상태에 대한 고정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도포 장치(200)는 고정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포액이 도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도포정보 및 고정상태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는 프레임에 전달되는 힘, 이송되는 경로 및 속도가 포함된 고정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6은 지그 베이스(10)가 베이스 홈(11)을 포함하는 구조 및 롤러부(51)가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고정지그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프레임(400)의 3방향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균일한 품질의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프레임(400)을 고정시킨다.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지그 베이스(10), 수평 고정부(30) 및 수직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지그 베이스(10)는 프레임(400) 중 밑면(410)이 삽입되는 베이스 홈(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홈(11)은 밑면(410)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홈(11)과 밑면(410)이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400)은 측면(430)이 밑면(410)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 홈(11)에 삽입된다.
수평 고정부(30)는 프레임(400)의 측면(410)에 힘을 전달하여 프레임(400)이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상세하게는, 수평 고정부(30)는 베이스 홈(11)에 삽입된 측면(431)이외의 나머지 부분인 노출된 측면(433)에 서포트바(31)를 통해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프레임(400)은 밑면(410)이 베이스 홈(11)에 지지되고, 측면(430)이 서포트바(31)에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고정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서포트바(31)는 삽입된 측면(431)과 노출된 측면(433)의 경계선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일정 높이까지 면의 형태로 접촉되어 일정한 힘을 전달함으로써, 측면(430)이 밑면(410) 방향으로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 고정부(50)는 프레임(400)의 측면(430) 중 상부를 롤러부(51)로 눌러 프레임(400)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상세하게는, 수직 고정부(50)는 제1 롤러(61) 및 제2 롤러(63)를 포함하는 롤러부(51)를 이용하여 측면(430)의 상부를 누르며 프레임(400)을 고정한다. 이 때, 제1 롤러(61) 및 제2 롤러(63)는 서로 간에 이격되고, 이격된 간격은 롤러 지지부(53)를 통해 일정하게 유지를 한다.
한편, 수평 고정부(30) 및 수직 고정부(50)가 프레임(400)을 통해 3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하며 고정함으로써, 프레임(400)은 제1 롤러(61) 및 제2 롤러(63)가 측면(430)의 상부를 누르면서 발생되는 반력으로 밑면(410)의 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가 대형 사각 프레임을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지그가 소형 사각 프레임을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프레임(400)을 프레임(400)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프레임(400)의 가로 및 세로에 대한 길이와 형상에 맞게 서포트바(31)를 교체한다. 즉,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서포트바(31)가 측면(430)의 길이방향과 접촉되도록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400)이 대형 사각 프레임인 경우, 서포트바(31)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대형 사각 프레임과 동일하도록 교체하고, 프레임(400)이 소형 사각 프레임인 경우, 서포트바(31)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소형 사각 프레임과 동일하도록 교체한다.
이 때,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서포트바(31)만 교체할 뿐, 서포트바 이송부(33)는 교체하지 않는다. 즉,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실린더(41), 실린더 이송부(43) 및 가이드부(45)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린더(41)와 접하는 서포트바(31)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프레임(400)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지그 베이스(10)도 서포트바(31)와 마찬가지로 프레임(4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교체를 함으로써, 프레임(400)이 3방향으로 지지되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다양한 프레임(400)을 쉽게 적용하는 동시에 추가 설비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바의 핀 이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트바(31)는 프레임(40)과의 접촉되는 면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즉, 서포트바(31)는 프레임(400)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균일한 직진성을 보완하기 위해 핀 이음(pin joint) 구조(35)를 포함할 수 있다.
핀 이음 구조(35)는 서포트바(31)가 제한된 각도로 회전을 하면서 프레임(40)의 측면(430)과 접촉되는 면이 최대가 되도록 조절한다. 핀 이음 구조(35)는 이음구멍(47) 및 핀(49)을 포함한다.
이음구멍(47)은 서포트바(31)의 중앙에 형성되어 회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무게중심 이동이 균일하도록 한다. 즉, 이음구멍(47)은 서포트바(31)의 회전에 대한 기준점이 된다. 핀(49)은 이음구멍(47)을 관통하여 서포트바(31) 하부에 설치된 서포트바 이송부(33)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프레임 고정지그(100)는 핀 이음 구조(35)를 이용하여 서포트바(31)가 프레임(400)의 형상에 맞도록 회전함으로써, 프레임(400)과 접촉되는 범위가 넓어져 전체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 시스템이 도포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10은 지그 베이스(10)가 베이스 홈(11)을 포함하는 구조 및 롤러부(51)가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도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포 시스템(300)은 프레임 고정지그(100) 및 도포 장치(200)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 지그(100)는 프레임(400)을 3방향으로 지지하며 고정을 한다. 즉, 프레임 고정 지그(100)는 프레임(400)의 밑면(410) 및 측면(430)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한다. 이 때, 프레임 고정 지그(100)는 프레임(400)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을 시킨다.
도포 장치(200)는 노즐(210)을 이용하여 프레임(400)에 도포액(510)을 도포하여 도포층(530)을 형성한다. 도포 장치(200)는 적어도 일차원 방향으로 도포액(510)을 도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차원 방향으로 도포액(510)을 도포하여 두 면에 동시에 도포층(5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 시스템(300)은 프레임 고정 지그(100) 및 도포 장치(200) 간에 도포정보 및 고정상태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두 개의 롤러(61, 63) 사이에 노즐(210)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포액(510)을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프레임(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도포액(510)이 도포하며 기 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도포 시스템(300)은 도포액(510)을 원하는 프레임(400) 위치에 도포하여 도포층(5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지그 베이스 30: 수평 고정부
31: 서포트바 33: 서포트바 이송부
35: 핀 이음 구조 41: 실린더
43: 실린더 이송부 45: 가이드라인
47: 이음구멍 49: 핀
50: 수직 고정부 51: 롤러부
53: 롤러 지지부 55: 롤러 이송부
61: 제1 롤러 63: 제2 롤러
70: 제어부 90: 통신부
100: 프레임 고정지그 200: 도포 장치
210: 노즐 300: 도포 시스템
400: 프레임 410: 밑면
430: 측면 510: 도포액
530: 도포층

Claims (10)

  1.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중 밑면을 지지하는 지그 베이스;
    상기 프레임의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밑면의 내부방향이 상기 지그 베이스에 지지되면 상기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가 전달하는 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프레임 중 측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바를 이송하는 서포트바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눌러 상기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와 연결되고, 일정한 힘으로 상기 롤러부를 누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동경로로 상기 롤러부를 이송하는 롤러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측면 사이의 공차가 보완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중앙에 핀 이음(pin joint)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핀 이음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의 형상에 맞게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 이송부는,
    상기 서포트바의 타면과 접촉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서포트바를 상기 측면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실린더를 이송하는 실린더 이송부; 및
    상기 실린더 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이송부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지그.
  8.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지그; 및
    상기 고정지그로 고정된 프레임에 노즐을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고정지그는,
    상기 프레임 중 밑면이 지지하는 지그 베이스;
    상기 프레임의 측면이 밑면보다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밑면의 내부방향이 상기 지그 베이스에 지지되면 상기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힘을 전달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이 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가 전달하는 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측면의 하부와 접촉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바를 이송하는 서포트바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지그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 중 상부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눌러 상기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롤러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시스템.
KR1020170101811A 2017-08-10 2017-08-10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KR10194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11A KR101943551B1 (ko) 2017-08-10 2017-08-10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11A KR101943551B1 (ko) 2017-08-10 2017-08-10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51B1 true KR101943551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11A KR101943551B1 (ko) 2017-08-10 2017-08-10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127A (ja) * 1991-09-20 1993-03-30 Takahiro Imahashi 加工圧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26189B1 (ko) 2008-01-04 2009-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KR20170049835A (ko) * 2015-10-29 2017-05-11 유상열 접착용 유체 자동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127A (ja) * 1991-09-20 1993-03-30 Takahiro Imahashi 加工圧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26189B1 (ko) 2008-01-04 2009-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KR20170049835A (ko) * 2015-10-29 2017-05-11 유상열 접착용 유체 자동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499B1 (ko) 취성기판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US62805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splicing strip members
KR20140120256A (ko) 브레이크 장치
KR102652174B1 (ko) 기판 정렬 방법, 기판 수취 방법, 기판 액처리 방법, 기판 정렬 장치, 기판 수취 장치, 기판 액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시스템
KR20070070731A (ko) 기판 절단 장치
CN101840156A (zh) 基板处理装置
KR101943551B1 (ko) 프레임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 시스템
KR20150090811A (ko) 브레이크 장치
KR20130040998A (ko) 플레이트 벤딩 장치
KR20150143274A (ko) 취성재료 기판의 브레이크장치
JPH11246046A (ja) 基板搬送装置
KR101583475B1 (ko) 탄성수단을 이용한 기판 이송 안내 장치
JP5424969B2 (ja) 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060116522A (ko) 이송시스템의 자기 조정 장치
KR102400552B1 (ko) 기판 이송 스테이지,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및 기판 이송 방법
JP2019093395A (ja) 鉄筋曲げ加工装置
US119270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ling insulated glass blanks
KR101515328B1 (ko) 글라스 이송 장치
KR20200065585A (ko)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시스템
CN109239957B (zh) 显示基板对盒装置、显示基板对盒系统
KR102630935B1 (ko) 다점 핀 압입용 다중 백업기구 장치
JP7455025B2 (ja) 印字装置
KR930002897Y1 (ko) 패캐이지 마킹장치
KR20150108737A (ko) 브레이크 장치
JP3056096U (ja) パン焼成用天板の変形修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