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326B1 -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 - Google Patents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326B1
KR101941326B1 KR1020147011041A KR20147011041A KR101941326B1 KR 101941326 B1 KR101941326 B1 KR 101941326B1 KR 1020147011041 A KR1020147011041 A KR 1020147011041A KR 20147011041 A KR20147011041 A KR 20147011041A KR 101941326 B1 KR101941326 B1 KR 10194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resonator
coating
outer coating
particle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263A (ko
Inventor
마이클 백
올리버 헤이드
마이클 클리만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6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7/00Details of devic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5H9/00, H05H11/00, H05H13/00
    • H05H7/14Vacuum chambers
    • H05H7/18Cavities;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재료로 제조되는 원통형 캐비티를 포함하는 RF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캐비티의 내부면은 캐비티의 측방면을 환상 방식으로 둘러싸는 전기 절연 갭에 의해 제1 내부 코팅 및 제2 내부 코팅으로 분할되는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다. 캐비티의 외부면은 전기 전도성 제1 외부 코팅 및 전기 전도성 제2 외부 코팅을 갖는다. 제1 외부 코팅 및 제2 외부 코팅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RF 공진기는 제1 외부 코팅과 제2 외부 코팅 사이에 고주파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RF RESONATOR AND PARTICLE ACCELERATOR WITH RF RESONATOR}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에 기재된 RF 공진기에 관한 것이고, 특허 청구항 11에 기재된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전자기 진동들은 RF 공진기들에서 여기될 수 있다. RF 공진기들은 캐비티 공진기들로 지정될 수도 있다. RF 공진기들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들에 사용된다.
무선 주파수 전자기 진동을 RF 공진기에서 여기시키기 위해, 그것은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전력을 클라이스트론 또는 4극관에 의해 발생시키고, 전력을 케이블 또는 도파관에 의해 RF 공진기에 전달하고 그것을 방사 윈도우 또는 RF 안테나를 통해 RF 공진기에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매우 높은 RF 전력들은 이러한 타입의 여기에 의해 획득될 수 없다.
유럽 특허 제0 606 870 A1호는 도전성 벽을 갖는 RF 공진기에 복수의 고체 상태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개시하며, 이 트랜지스터들은 무선 주파수 전기 전류 흐름을 RF 공진기의 벽에 유도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전자기 진동을 RF 공진기에서 여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전류 흐름의 여기는 RF 공진기의 벽 내의 전기 절연 슬롯을 통한 무선 주파수 전기 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생한다.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들 내의 RF 공진기들의 사용은 매우 낮은 압력으로의 RF 공진기의 진공처리를 필요로 한다. RF 공진기의 다른 전도성 벽들 내의 유전체 재료로 충전된 전기 절연 슬롯들은 단지 어렵게 그리고 복잡한 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좋게 진공처리될 수 있는 RF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RF 공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좋게 진공처리될 수 있는 RF 공진기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1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발들은 종속항들에서 지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 공진기는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원통형 캐비티를 갖는다. 캐비티의 내측은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가지며, 전기 전도성 코팅은 링 형상으로 캐비티의 측방 표면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절연 갭에 의해 제1 내부 코팅 및 제2 내부 코팅으로 세분화된다. 캐비티의 외측은 전기 전도성 제1 외부 코팅 및 전기 전도성 제2 외부 코팅을 갖는다. 제1 외부 코팅 및 제2 외부 코팅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RF 공진기는 제1 외부 코팅과 제2 외부 코팅 사이에 무선 주파수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러한 RF 공진기의 원통형 캐비티는 간단한 방식으로 진공처리될 수 있고 밀봉하는데 문제가 있는 임의의 구멍들(perforations)을 갖지 않으며, 특히 밀봉하기 어려운 임의의 금속-세라믹 연결들을 갖지 않는다. 유리하게, RF 공진기의 장치는 RF 공진기에서 전도성 외부 및 내부 코팅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전자기 진동을 용량적으로 여기시킬 수 있다.
RF 공진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은 원통형 캐비티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유리하게, RF 공진기는 이 때 미러 대칭 및 회전 대칭을 가지며, 이는 대칭 진동 모드들의 여기를 가능하게 한다.
RF 공진기의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코팅 및 제2 외부 코팅은 링 형상으로 캐비티의 측방 표면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유리하게, RF 공진기의 외측은 이 때 또한 미러 대칭 및 회전 대칭을 가지며, 이는 대칭 진동 모드들의 여기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외부 코팅은 캐비티의 측방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향으로 제1 내부 코팅에 인접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 이 때 제1 외부 코팅과 제1 내부 코팅 사이에 강한 용량성 결합이 존재한다.
제2 외부 코팅은 캐비티의 측방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향으로 제2 내부 코팅에 인접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유리하다. 유리하게, 이 때 제2 외부 코팅과 제2 내부 코팅 사이에 높은 용량성 결합이 존재한다.
RF 공진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개발에서, 장치는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의 경우, RF 공진기에 결합될 RF 전력은 결합 위치에 가깝게 발생될 수 있다.
RF 공진기의 하나의 개발에서, 장치는 링 형상으로 캐비티의 측방 표면 주변에 배열되는 복수의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복수의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들의 제공은 RF 공진기에서 특히 높은 RF 전력의 여기를 가능하게 한다.
RF 공진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전체 재료는 유리 또는 세라믹이다. 유리하게, 유리 및 세라믹은 진공 용기로서의 사용에 적절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다.
캐비티는 원형-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 원형-원통형 방식으로 구체화되는 캐비티는 충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데 적절한 진공 모드들의 여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는 캐비티의 주위들과 비교하여 감소된 공기 압력으로 진공처리되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 RF 공진기는 이 때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가속기는 상술된 타입의 RF 공진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러한 입자 가속기 내의 RF 공진기는 낮은 압력으로 진공처리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밀봉하기 어려운 어떤 이음매들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성들, 특징들 및 장점들 및 그들이 달성되는 방법은 도면들과 연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과 연관하여 더 분명하고 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RF 공진기를 통과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RF 공진기의 벽 부분을 통과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RF 공진기(100)를 매우 개략적인 예시로 도시한다. 무선 주파수 전자기 진동 모드는 RF 공진기(100)에서 여기될 수 있다. RF 공진기(100)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입자 가속기에서 가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F 공진기(100)는 캐비티(200)를 포함한다. 캐비티(200)는 중공 실린더로 구체화되고 제1 원형 디스크 형상 커버 표면(210), 제2 원형 디스크 형상 커버 표면(220) 및 제1 커버 표면(210)을 제2 커버 표면(220)에 연결하는 측방 표면(230)을 갖는다. 도 1의 예시에서, 캐비티(200)는 도면의 평면 상에서 커팅된다. 따라서, 도 1은 캐비티(200)의 반만을 예시한다.
중공 원통형 방식으로 구체화되는 캐비티(200)는 길이 방향(201) 및 방사 방향(202)을 정의하며, 이는 길이 방향(201)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제1 커버 표면(210) 및 제2 커버 표면(220)은 각각의 경우에 길이 방향(201)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은 길이 방향(201)을 따라 제1 커버 표면(210)과 제2 커버 표면(220) 사이에 연장된다.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제1 커버 표면(210) 및 제2 커버 표면(220)은 원형 디스크 형상 방식과 다르게 구체화될 수 있다. 예로서, 커버 표면들(210, 220)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캐비티(200)는 전기 절연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200)는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다. 유리하게, 유리 및 세라믹 재료들은 캐비티(200)의 내부와 캐비티(200)의 주위들 사이에서 높은 압력 차이에 견디어 내기에 충분히 강하다.
RF 공진기(100)의 캐비티(200)는 중공 공간을 완전히 둘러싸고 바람직하게 밀봉하기 어려운 어떤 이음매들도 갖지 않으며, 특히 어떤 금속-세라믹 전이들도 갖지 않는다. 이것은 캐비티(200)가 캐비티(200)의 주위들의 공기 압력과 비교하여 감소된 압력으로 진공처리될 수 있게 한다. 캐비티(200)를 진공처리할 목적으로, 캐비티(200)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적절한 플랜지들을 가질 수 있다. 캐비티(200)의 제1 커버 표면(210) 및 제2 커버 표면(220)은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의 빔이 캐비티(200)의 내부에 전달될 수 있고 캐비티(200)의 내부에서 나갈 수 있는 적절한 개구부들 또는 윈도우들을 부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캐비티(200)는 캐비티(20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중공 공간에 면하는 내측(240)을 갖는다. 더욱이, 캐비티(200)는 캐비티(200)의 주위들에 면하는 외측(250)을 갖는다.
전기 전도성 내부 코팅(300)은 캐비티(200)의 내측(240) 상에 배열된다. 전기 전도성 내부 코팅(300)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코팅(300)은 제1 내부 코팅(310) 및 제2 내부 코팅(320)으로 세분화된다. 전기 절연 내부 갭(330)은 제1 내부 코팅(310)과 제2 내부 코팅(320)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내부 갭은 제2 내부 코팅(320)으로부터 제1 내부 코팅(31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내부 갭(330)의 영역에서, 어떤 전도성 코팅도 캐비티(200)의 내측(240)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갭(330)은 링 형상으로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 상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에, 내부 갭(330)은 캐비티(200)의 길이 방향(201)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커버 표면들(210, 220)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내부 갭(330)은 제1 커버 표면(210)과 제2 커버 표면(220) 사이의 중심에 배열된다.
제1 내부 코팅(310)은 제1 커버 표면(210)의 내측(240) 및 제1 커버 표면(210)에 인접하는 측방 표면(230)의 일부의 내측(240)을 커버한다. 제2 내부 코팅(320)은 제2 커버 표면(220)의 내측(240) 및 제2 커버 표면(220)에 인접하는 측방 표면(230)의 일부의 내측(240)을 커버한다.
길이 방향(201)에서, 내부 갭(330)은 매우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길이 방향(201)으로의 내부 갭(330)의 폭은 길이 방향(201)으로의 캐비티(200)의 길이와 비교하여 작고 RF 공진기(100)에서 여기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진동 모드의 파장과 비교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전도성 외부 코팅(400)은 캐비티(200)의 외측(250) 상에 배열된다. 외부 코팅(400)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코팅(400)은 제1 외부 코팅(410) 및 제2 외부 코팅(420)을 포함한다. 외부 갭(430)은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배열된다. 외부 갭(430)의 영역에서, 어떤 전기 전도성 코팅도 캐비티(200)의 외측(250)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외부 갭(430)은 제1 외부 코팅(410) 및 제2 외부 코팅(4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도 2는 내부 갭(330)의 영역 및 외부 갭(430)의 영역에서 RF 공진기(100)의 캐비티(200)에 대한 측방 표면(230)의 일부를 통과한 단면을 도시한다. 외부 갭(430)은 길이 방향(201)으로의 내부 갭(330)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방사 방향(202)에서, 외부 갭(430)은 내부 갭(330)에 인접한다. 외부 갭(430)은 링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측방 표면(230)의 외측(250) 상에 배열된다. 내부 갭(330)이 캐비티(200)의 길이 방향(201)으로 제1 커버 표면(210)과 제2 커버 표면(220)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면, 이 때 외부 갭(430)은 또한 제1 커버 표면(210)과 제2 커버 표면(220) 사이에서 중심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201)으로의 외부 갭(430)의 폭은 길이 방향(201)으로의 내부 갭(330)의 폭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부 코팅(410) 및 제2 외부 코팅(420)은 링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측방 표면(230)의 외측(250) 상에 마찬가지로 각각 배열된다. 이 경우에, 링 형상으로 구체화되는 외부 코팅들(410, 420)은 캐비티(200)의 길이 방향(201)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201)으로의 제1 외부 코팅(410)의 폭 및 길이 방향(201)으로의 제2 외부 코팅(420)의 폭은 캐비티(200)의 길이 방향(201)으로의 외부 갭(430)의 폭에 거의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외부 코팅(410) 및 제2 외부 코팅(420)은 길이 방향(201)으로의 외부 갭(430)보다 더 큰 폭을 갖거나 더 작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201)으로의 제1 및 제2 외부 코팅들(410, 420)의 폭은 캐비티(200)에서 여기될 수 있는 전자기 진동 모드의 파장에 비해 작다.
제1 외부 코팅(410)은 유전체 측방 표면(230)에 의해 제1 내부 코팅(310)으로부터 절연된다. 제2 외부 코팅(420)은 유전체 측방 표면(230)에 의해 제2 내부 코팅(320)으로부터 절연된다. 제1 내부 코팅(410), 유전체 측방 표면(230) 및 제1 내부 코팅(310)은 제1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제2 외부 코팅(420), 유전체 측방 표면(230) 및 제2 내부 코팅(320)은 제2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커패시터들은 제1 외부 코팅(410)과 제1 내부 코팅(310) 사이에 그리고 제2 외부 코팅(420)과 제2 내부 코팅(320) 사이에 용량성 결합을 초래한다.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 전압은 제1 내부 코팅(310) 및 제2 내부 코팅(320)에 용량 결합되어,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 전압은 제1 내부 코팅(310)과 제2 내부 코팅(320)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기 전압을 초래한다.
RF 공진기(100)는 구동 장치(500)를 포함하며, 구동 장치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 전력을 RF 공진기(100)의 캐비티(200)에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동 장치(500)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무선 주파수 전기 전압을 인가하도록 설계된다. 구동 장치(500)는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 또는 일부 다른 고체 상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500)는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의 외측(250) 상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외부 갭(430)의 영역에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500)가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무선 주파수 전기 AC 전압을 인가하면, 이 때 무선 주파수 전기 AC 전압은 또한 외부 코팅들(410, 420)과 내부 코팅들(310, 320) 사이의 용량성 결합들로 인해 제1 내부 코팅(310)과 제2 내부 코팅(320) 사이에 발생한다. 제1 내부 코팅(310) 및 제2 내부 코팅(320)에서, 결합되는 무선 주파수 전기 전압은 무선 주파수 전기 전류 흐름을 여기시킨다.
제1 외부 코팅(410)과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구동 장치(500)에 의해 인가되는 AC 전압의 주파수가 RF 공진기(100)의 공진 주파수에 상응하면, 이 때 내부 코팅들(310, 320)에서 유도되는 전류 흐름은 캐비티(200)의 내부에서 공진 무선 주파수 진동 모드의 여기를 초래한다.
따라서, 구동 장치(500)는 캐비티(200)의 내부에서 공진 무선 주파수 진동을 여기시키고 증폭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전자기 전력이 RF 공진기(100)의 캐비티(200)에 용량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하게, RF 공진기(100)의 캐비티(200)는 동시에 진동처리될 용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전기 전도성 내부 코팅(300)을 위한 캐리어로서의 역할을 한다. 용량성 여기(capacitive excitation)의 가능성에 의해, 캐비티(200)는 임의의 전기 전도성 구멍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또한 밀봉하기 어려운 임의의 금속-세라믹 전이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변형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당업자에 의해 그것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Claims (19)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원통형 캐비티(200)를 갖는 RF 공진기(100)로서,
    상기 캐비티(200)의 내측(240)은 전기 전도성 코팅(300)을 가지며, 전기 전도성 코팅은 링 형상으로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절연 갭(330)에 의해 제1 내부 코팅(310) 및 제2 내부 코팅(320)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캐비티(200)의 외측(250)은 전기 전도성 제1 외부 코팅(410) 및 전기 전도성 제2 외부 코팅(420)을 갖고,
    상기 제1 외부 코팅(410) 및 상기 제2 외부 코팅(420)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며,
    상기 RF 공진기(100)는 상기 제1 외부 코팅(410)과 상기 제2 외부 코팅(420) 사이에 무선 주파수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500)를 포함하는, RF 공진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코팅(410) 및 상기 제2 외부 코팅(420)은 링 형상으로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RF 공진기(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코팅(410)은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향(202)으로 상기 제1 내부 코팅(310)과 인접하는, RF 공진기(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코팅(420)은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향(202)으로 상기 제2 내부 코팅(320)과 인접하는, RF 공진기(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코팅(420)은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향(202)으로 상기 제2 내부 코팅(320)과 인접하는, RF 공진기(1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500)는 고체 상태(solid-state)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RF 공진기(100).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500)는 고체 상태(solid-state)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RF 공진기(100).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500)는 고체 상태(solid-state)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RF 공진기(100).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500)는 상기 캐비티(200)의 측방 표면(230) 주변에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체 상태 파워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RF 공진기(10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재료는 유리 또는 세라믹인, RF 공진기(100).
  11. 제1항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갭(330)은 상기 원통형 캐비티(200)의 길이 방향(201)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RF 공진기(100).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200)는 원형-원통형 형상을 갖는, RF 공진기(100).
  13.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200)는 상기 캐비티(200)의 주위에 비해 감소된 기압으로 진공처리되도록 설계되는, RF 공진기(100).
  14.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1항, 제2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15.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3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16.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4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17.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5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18.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9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19.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을 가속하는 입자 가속기로서,
    제13항에 기재된 RF 공진기(100)
    를 포함하는 입자 가속기.
KR1020147011041A 2011-09-29 2012-09-05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 KR101941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3668A DE102011083668A1 (de) 2011-09-29 2011-09-29 HF-Resonator und Teilchenbeschleuniger mit HF-Resonator
DE102011083668.3 2011-09-29
PCT/EP2012/067266 WO2013045236A1 (de) 2011-09-29 2012-09-05 Hf-resonator und teilchenbeschleuniger mit hf-reso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263A KR20140069263A (ko) 2014-06-09
KR101941326B1 true KR101941326B1 (ko) 2019-01-22

Family

ID=4700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041A KR101941326B1 (ko) 2011-09-29 2012-09-05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77311B2 (ko)
EP (1) EP2749151B1 (ko)
JP (1) JP5763277B2 (ko)
KR (1) KR101941326B1 (ko)
CN (1) CN103959921B (ko)
DE (1) DE102011083668A1 (ko)
PL (1) PL2749151T3 (ko)
RU (1) RU2606188C2 (ko)
WO (1) WO2013045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3668A1 (de) * 2011-09-29 2013-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Resonator und Teilchenbeschleuniger mit HF-Resonator
KR101641135B1 (ko) 2015-04-21 2016-07-29 한국원자력연구원 집속용 솔레노이드, 차폐체, 및 가속관이 일체형으로 정렬된 입자 가속 장치
DE102016109343A1 (de) 2016-05-20 2017-11-23 Christof-Herbert Diener Schaltungsanordnung zur Bereitstellung von Hochfrequenzenergie und System zur Erzeugung einer elektrischen Entladung
DE102018220967B4 (de) * 2018-12-04 2020-06-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mit einer funkerkenn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derselb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0288B2 (ja) 2001-08-16 2010-05-12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板処理装置及び電力分配方法
WO2011061026A1 (de) 2009-11-17 2011-05-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kavität sowie beschleuniger mit einer derartigen hf-kavitä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0767A1 (de) 1983-01-12 1984-07-12 Bruker Analytische Meßtechnik GmbH, 7512 Rheinstetten Hohlraumresonator
DE4037091C2 (de) * 1990-11-22 1996-06-20 Leybold Ag Vorrichtung für die Erzeugung eines homogenen Mikrowellenfeldes
US5497050A (en) 1993-01-11 1996-03-05 Polytechnic University Active RF cavity including a plurality of solid state transistors
US5532210A (en) 1994-06-08 1996-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dielectric slow wave structures for accelerators and traveling wave tubes
CA2346878A1 (en) * 1998-10-16 2000-04-27 Xubai Zhang Voltage tunable laminated dielectric materials for microwave applications
US6417499B2 (en) 2000-07-06 2002-07-09 Heatwave Drying Systems Ltd. Dielectric heating using inductive coupling
JP3868322B2 (ja) * 2002-04-10 2007-0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製加速空洞、当該加速空洞を備えた加速器及びセラミックス製加速空洞の製造方法
US20040198660A1 (en) * 2002-11-06 2004-10-07 Petersen Lars Christian Tissue factor antagonist and protein C polypeptide compositions
US20040143099A1 (en) * 2002-11-06 2004-07-22 Petersen Lars Christian Tissue factor antagonist and blood glucose regulator compositions
US8190458B2 (en) * 2007-01-17 2012-05-2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performing integrated oilfield operations
DE102008006392A1 (de) * 2008-01-28 2009-07-30 Herrenknecht Vertic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r Tiefbohrung
US20100161361A1 (en) * 2008-12-23 2010-06-2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Performing enterprise planning and economics analysis for reservoir-related services
DE102009036418B4 (de) 2009-08-06 2011-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80333 Wellenleiter, insbesondere beim Dielektrikum-Wand-Beschleuniger
US9164859B2 (en) * 2009-09-25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Computing device for enabling concurrent testing
US9199446B2 (en) * 2010-06-25 2015-12-01 Global Web Finishing, Llc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11082580A1 (de) * 2011-09-13 2013-03-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Resonator und Teilchenbeschleuniger mit HF-Resonator
DE102011083668A1 (de) * 2011-09-29 2013-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Resonator und Teilchenbeschleuniger mit HF-Reson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0288B2 (ja) 2001-08-16 2010-05-12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板処理装置及び電力分配方法
WO2011061026A1 (de) 2009-11-17 2011-05-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kavität sowie beschleuniger mit einer derartigen hf-kavit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6949A1 (en) 2014-11-27
EP2749151A1 (de) 2014-07-02
RU2606188C2 (ru) 2017-01-10
JP2014528151A (ja) 2014-10-23
PL2749151T3 (pl) 2015-12-31
KR20140069263A (ko) 2014-06-09
EP2749151B1 (de) 2015-07-15
US9577311B2 (en) 2017-02-21
CN103959921B (zh) 2016-08-24
WO2013045236A1 (de) 2013-04-04
CN103959921A (zh) 2014-07-30
JP5763277B2 (ja) 2015-08-12
RU2014116552A (ru) 2015-11-10
DE102011083668A1 (de)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326B1 (ko) Rf 공진기 및 rf 공진기를 갖는 입자 가속기
JP5840783B2 (ja) 高周波共振器および高周波共振器を有する粒子加速器
WO2013125260A1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高周波発生器
CN111326389A (zh) 一种电容耦合等离子体刻蚀设备
CN111326387B (zh) 一种电容耦合等离子体刻蚀设备
CA1078962A (en) Magnetron slot mode absorber
JP7199423B2 (ja) イオンビーム加速のためのrf共振器
EP1804269A2 (en) Magnetron
JP3846908B2 (ja) 電子ビーム管
JP2004200113A (ja) マイクロ波プラズマ発生装置
GB2303243A (en) Linear electron beam tube arrangements
US9000670B2 (en) Harmonic mode magnetron
JP4263896B2 (ja) マグネトロン
JP4815146B2 (ja) マグネトロン
JP2006245978A (ja) 方向性結合器
US2832050A (en) Electron discharge devices
KR20240028934A (ko) 플라스마 처리 장치
US20220165534A1 (en) Magnetron
JP3001097U (ja) 高周波発振装置
JPS63152900A (ja) Ecrプラズマ発生装置
JP3300497B2 (ja) ジャイロトロン装置
JP2000048997A (ja)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KR20030089310A (ko) 마그네트론의 배기관구조
KR20040106731A (ko) 마그네트론의 상부 폴피스 조립구조
JPH1074460A (ja) マグネト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