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302B1 -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302B1
KR101941302B1 KR1020137015492A KR20137015492A KR101941302B1 KR 101941302 B1 KR101941302 B1 KR 101941302B1 KR 1020137015492 A KR1020137015492 A KR 1020137015492A KR 20137015492 A KR20137015492 A KR 20137015492A KR 101941302 B1 KR101941302 B1 KR 10194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force
brake
additional
brake device
electromecha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982A (ko
Inventor
프랑크 바엘레-밀러
울리케 뮐러
맛티아스 샨첸바흐
토비아스 풋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both fluid and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7Disposition of hand control with electrical power as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라,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에서 전기 기계적 고정력 성분이 조정되고 추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추가 고정력이 조정된다. 전기 액추에이터의 특성 변수는 정의된 값으로 조절되고, 동시에 추가 고정력을 결정하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는 피드백을 실행하는 폐회로 제어 없이 설정값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ADJUSTING THE CLAMPING FORCE EXERTED BY A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103 61 042 B3호로부터, 액추에이터로서 전기 브레이크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가 공지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 운동은 브레이크 피스톤의 축 방향 작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브레이크 피스톤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단부면 쪽에 압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캐리어이다. 브레이크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통해 고정력의 레벨이 조정된다.
그 외에, 브레이크 모터에 의해 위치 조정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이 추가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압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전기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들도 공지되었다. 이 경우, 총 고정력은 전기 모터로 생성되는 성분과 유압으로 생성되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고정력의 공급 시, 필요한 유압 압력을 생성하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펌프 모터에 기인하는 소음 발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조치들을 이용하고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 추가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내에서 필요한 고정력을 공급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들은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뿐 아니라 연결 가능한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주차 브레이크에서 이용된다. 주차 브레이크의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는 전기 작동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이 액추에이터를 통해서는 전기 기계적 고정력이 생성될 수 있다. 정지 시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를 통해 고정력이 생성된다.
보충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전기 기계적 고정력만으로는 필요한 안전성을 갖추면서 차량을 고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추가 브레이크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부하 완화를 위해서도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며, 그 이유는 고정력의 전기 기계적 성분이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 시 상응하게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브레이크 모터이며, 이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 운동은 브레이크 피스톤의 축 방향 작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브레이크 피스톤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단부면 쪽에 압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캐리어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전기 기계적 고정력을 생성하기 위한 여타의 전기 액추에이터, 예컨대 전자기식 작동 부재도 가능하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보충하는 추가 고정력의 생성을 위해 유압 압력이 이용되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로서 형성된다. 예컨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위치 조정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은 추가로 유압 압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총 고정력은 전기 기계적 성분과 유압 성분으로 구성된다.
전기 기계적 고정력의 생성 시, 전기 액추에이터의 특성 변수는 정의된 값으로 조절되며, 예컨대 액추에이터 내 전류와 같은 전기 특성 변수의 폐회로 제어,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힘의 폐회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와 동시에, 추가 고정력은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할당된 상태 변수를 통해 설정값으로 조정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폐회로 제어 없이, 피드백 없는 개회로 제어를 바탕으로만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경우,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폐회로 제어와 추가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개회로 제어가 상호 작용한다. 그에 따라, 한편으로 전기 기계적 성분과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총 고정력의 충분히 정확한 조정이 보장된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폐회로 제어는 총 고정력의 정확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원의 고정력 조정 방법은, 폐회로 제어되지 않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개회로 제어를 바탕으로 간단하게 구현되고 실행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경우 추가 고정력의 조정 시 피드백 회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소음 발생도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개회로 제어 시,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변동 또는 변화하는 상태 변수들 없이 달성될 수 있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정의된 특정 조정 레벨만이 달성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와 반대로, 폐회로 제어 시,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 변수를 고려해야만 하며, 이는, 음의 고저가 변화하고 불쾌한 것으로 느껴지는 소음을 수반한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가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특히 보통의 차량 브레이크인 바람직한 경우에, 폐회로 제어 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펌프 모터는 목표하는 유압 압력의 생성을 위해 계속해서 변하는 회전수로 조절되어야 한다. 그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는 개회로 제어 시, 펌프 모터에 정의된 특정 회전수 곡선이 인가되며, 그럼으로써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회전수는 방지될 수 있다.
추가의 장점은, 전기 액추에이터의 모터 전류의 피드백에 의한 진동 경향의 위험이 배제된다는 점에 있다. 그와 반대로, 전기 브레이크 모터뿐 아니라, 이 브레이크 모터와 상호 작용하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가 폐회로 제어로 제어되는 주차 브레이크들 내에서는 상기 유형의 진동 경향이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 따라서, 유압 펌프의 펌핑 회전수는 적어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컴포넌트들의 부하 및 차량 전기 시스템의 부하는 감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 특성 변수로서,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측에서 조절된다. 목표하는 전기 기계적 고정력의 달성을 위해, 전기 액추에이터는 특정 전류 레벨을 공급받아야 한다. 추가되거나 대체되는 방식으로, 특히 브레이크 작동 과정의 추가 단계에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력을 통한 폐회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 내에서 생성되는 추가 고정력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과정 중에 연결된다. 연결을 위한 릴리스 요소는 액추에이터의 상태 변수의 정의된 값 범위에 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을 위한 기준으로서 전기 액추에이터가 공급받는 전류를 이용한다.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추가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보조가 요구된다. 고려되는 상태 변수에 대한 값 범위는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거나, 시스템 변수들, 특히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또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들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전기 액추에이터의 전류의 고려에 추가되거나 대체되는 방식으로, 추가 보조는 모터 회전수 임계값을 하회될 때에도 활성화될 수 있다. 이처럼,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내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이용에 관계하는 경우에, 추가의 고정력 보조를 통해, 브레이크 모터가 너무 큰 부하로 인해 멈추게 되는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추가 고정력의 목표하는 값으로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개회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고정력을 결정하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함수 또는 특성 곡선으로서 존재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상태 변수의 설정값은 시간 또는 변위에 따르는 곡선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현재의 시점에, 또는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의 이동된 현재의 조정 경로에서 상태 변수가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로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 상태 변수는 바람직하게는 곡선 파형에 따라 폐회로 제어 없이 상응하는 설정값으로 조정되는 유압 압력이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에 대한, 곡선 파형을 결정하는 매개변수들은,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거나, 여타의 상태 변수 또는 특성 변수들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액추에이터의 상태 변수 또는 특성 변수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에 대한 설정값들의 곡선 파형은 예컨대 정의된 최댓값까지 상승하는 램프로서 형성된다. 램프의 기울기뿐 아니라 최댓값은,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되거나, 작동 진행 중에 주차 브레이크의 추가 변수들에 따라 결정되는 매개변수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컨대 전기 액추에이터 및/또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기능 손실 또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 곡선 파형을 결정하는 매개변수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모터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전기 액추에이터로서, 출력 강하로 인해 요구되는 고정력을 공급할 수 없다면, 추가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설정 곡선의 매칭을 통해, 특히 램프형 상승부에서 기울기의 증가를 통해, 그리고/또는 최댓값의 상승을 통해 출력 강하가 보상될 수 있다. 추가 브레이크 장치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예컨대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로서의 실시예에서 유압 시스템 내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 설정 특성 곡선의 매개변수들의 매칭을 통해, 적어도 출력 강하의 부분 보상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품일 수 있는 차량 내 폐회로 또는 개회로 제어 장치에서 실행된다.
추가 장점들과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도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고정력이 전기 브레이크 모터를 통해 생성되는, 차량용 전기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과정에서 전류, 전압 및 모터 회전수뿐 아니라 유압 압력 및 총 고정력의 시간에 따르는 곡선을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전압의 함수로서 전류-임계값의 곡선을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시간의 함수로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설정 압력의 곡선을 포함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주차 브레이크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개별 절차 단계들을 포함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는 정지 시 차량을 고정하기 위한 전기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1)가 도시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디스크(10)에 겹치는 플라이어(9)를 구비한 브레이크 캘리퍼(2)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로서 주차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모터(3)로서의 전기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모터는, 상부에 스핀들 구조 부재(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핀들(4)을 회전 구동한다. 스핀들(4)의 회전 시 스핀들 구조 부재(5)는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된다. 스핀들 구조 부재(5)는, 브레이크 피스톤(6)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0) 쪽에 압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7)의 캐리어인 브레이크 피스톤(6)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맞은편 측면 상에는 플라이어(9)에 위치 고정되어 파지되는 추가 브레이크 라이닝(8)이 위치된다.
브레이크 피스톤(6)의 내부에서 스핀들 구조 부재(5)는 스핀들(4)의 회전 운동 시 축 방향에서 전방을 향해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스핀들(4)의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 시에는 축 방향에서 후방을 향해 정지부(11)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고정력의 생성을 위해, 스핀들 구조 부재(5)는 브레이크 피스톤(6)의 안쪽 단부면을 가압하며, 그럼으로써 주차 브레이크(1) 내에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피스톤(6)은 브레이크 라이닝(7)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대향 단부면 쪽에 압착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필요한 경우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에 의해 보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고정력은 전기 모터 성분과 유압 성분으로 구성된다. 유압 보조 시에, 브레이크 모터로 향해 있는 브레이크 피스톤(6)의 배면은 압력 상태에 있는 유압 유체에 의해 가압된다.
도 2에는 브레이크 작동 과정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다양한 작동 변수들이 시간별 곡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작동 과정은 실질적으로 4개의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시점 t1에서 단계 I의 개시 시점에, 브레이크 작동 요구가 검출되고 전기 브레이크 모터(3)가 스위치 온된다. 브레이크 모터(3)의 스위치 온 시, 스위치 온 전류 피크가 검출될 수 있다. 그 다음, 브레이크 모터의 전류(I)는 이후 곡선에서, 시점 t2에서 단계 I의 종료 시에 아이들링 전류가 설정될 때까지 강하된다.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수(n)는 단계 I에서 상승하고, 브레이크 모터는 가속화된다. 시점 t2에서 단계 I의 종료 시에,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수(n)는 아이들링 회전수에 도달한다. 브레이크 모터의 전압(U)도 마찬가지로 상승하며, 단계 I의 종료 시에 아이들링 전압이 설정된다.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너트 또는 스핀들 구조 부재는 휠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피스톤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너트는 피스톤 바닥부와 아직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력(F)은 우선 여전히 영(0)과 동일하다. 이 단계에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펌프의 압력(p)도 마찬가지로 영(0)이다.
시점 t2와 t3 사이의 단계 II는, 아이들링 전류, 아이들링 전압 및 아이들링 회전수가 설정되는 아이들링 단계를 표시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휠 브레이크의 고정력은 영(0)인데, 그 이유는 너트가 피스톤 바닥부와 아직도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내 압력(p)도 영(0)과 같다.
시점 t3과 t4 사이의 단계 III에서는 힘 형성이 이루어진다. 너트는 피스톤 바닥부와 접촉하고, 피스톤은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쪽에 압착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모터의 전류(I)가 상승한다. 이 단계에서 브레이크 모터의 전압(U)은 브레이크 모터의 부하로 인해 아이들링 전압의 레벨로부터 약하게 강하한다.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수(n)는 고정력 형성이 증가함에 따라 마찬가지로 감소한다. 사전 설정된 목표 고정력에 도달하기 직전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펌프가 연결되고, 유압 압력(p)이 형성된다. 목표 고정력은 예컨대 브레이크 모터의 최대 고정력에 가까이 있는 값을 취할 수 있다.
시점 t4와 t5 사이의 단계 IV는 목표 고정력의 달성과 함께 개시된다. 이 단계에서 두 브레이크 시스템은 활성화되고 전기 브레이크 장치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보조된다. 이 경우, 총 고정력(F)은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성분과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단계 IV에서 브레이크 모터의 전류(I)는 최대 전류로 제한된다. 유압 압력(p)은, 사전 설정된 총 고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그런 후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펌프 모터 및 브레이크 모터는 스위치 오프된다. 그에 따라, 유압 압력(p), 전류(I), 전압(U) 및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수(n)는 영(0)으로 감소한다. 이 경우, 총 고정력(F)은 유지된다.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는 단계 IV에서 비로소 활성화되며, 그럼으로써 시점 t4와 더불어 유압 압력(p)의 형성이 개시되며, 이 유압 압력은 단계 IV의 종료 시에, 다시 말해 시점 t5에서 최댓값을 달성했다.
그러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압력 보조의 시점이 반드시 단계 IV가 개시되는 시점 t4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보조의 시점은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특성 변수의 함수로서, 특히 브레이크 모터의 전류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브레이크 모터의 전류(I)가 할당 임계값(Ilim)을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만일 초과한다면, 유압 압력 보조가 개시된다.
도 3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전류-임계값(Ilim)은 전압(U)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임계값(Ilim)은 일정한 변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적응하는 방식으로 모터 전압(U)에 따라 매칭된다. 도 3에 따르는 함수 곡선은 특정 전압 값에서 최댓값에 도달하는 램프로서 형성된다. 전류 임계값(Ilim)의 적응형 매칭을 통해, 단계 IV의 릴리스는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 조건에 매칭될 수 있다. 임계값의 적응형 매칭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최대 가능한 모터 전류가 모터 전압에 대해 비례하여 감소하고 그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 내에서 최대 가능한 모터 토크가 그 감소된 정도로만 제공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고정되고 일정한 변수로서 전류-임계값(Ilim)을 사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시간의 함수로서 유압 압력(p)의 압력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압력 곡선은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설정 곡선으로서 사전 설정된다. 상기 조정은 피드백 회로 없이 개회로 제어 방식으로만 이루어진다. 요컨대 전기 브레이크 모터의 특성 변수만이 설정값으로 조절된다. 브레이크 모터의 폐회로 제어는 단계 III에서 전류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와 반대로, 단계 IV에서, 브레이크 모터에 의해 생성된 힘은 브레이크 캘리퍼의 강성 및 이동된 경로를 통해 조절된다.
도 4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압력(p)의 설정 곡선은, pmax에서 최댓값에 도달하는 기울기(dp/dt)를 갖는 램프로서 도시된다. 기울기(dp/dt) 및 최댓값(pmax)은,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되거나,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또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 또는 특성 변수들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매개변수들을 나타낸다. 예컨대 설정 곡선(p)의 파형에서 더욱 높은 기울기 및 더욱 높은 최댓값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내에서 출력 손실이 발생할 때,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는 주차 브레이크 내에서 총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개별 절차 단계들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흐름도는 제1 절차 단계 20에 따라서 시점 t3의 힘 상승 단계(3)에서 이용된다. 단계 21을 통해, 목표 고정력으로서, 차량이 3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력이 사전 설정된다.
추가 절차 단계 22 및 23은 힘 상승 단계 III에 상응한다. 단계 22에 따라서 유압 고정력 보조를 시작하기 위한 릴리스 기준이 결정된다. 이를 위해, 전류-임계값(Ilim)이 도 3에 도시된 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후속하는 절차 단계 23에서는, 현재의 모터 전류(I)가 전류-임계값(Ilim)을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질의된다. 만일 초과하지 않는 경우라면, 아니오-분기("N")를 따라 다시 되돌아가고, 정기적인 간격으로 새로이 모터 전류(I)가 할당 임계값(Ilim)을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모터 전류(I)가 임계값(Ilim)보다 커지면, 곧바로 예-분기("Y")를 따라, 후속하는 절차 단계 25와 마찬가지로 단계 IV(도 2)에 할당되는 다음 절차 단계 24로 진행된다. 절차 단계 24에서는, 개회로 제어되는 압력 램프가 도 4에 따르는 그래프에 따라서 시작되며, 이 경우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내 유압 압력은 도 4에 따르는 사전 설정된 램프 함수에 따라서 상승된다. 다음 단계 25에서, 전기 모터 성분과 유압 성분으로 구성되는 총 고정력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질의된다. 만일 도달하지 않은 경우라면, 아니오-분기를 따라 다시 질의를 위해 되돌아 가고, 정기적인 간격으로 질의가 새로이 시작된다. 그와 반대로, 총 고정력에 도달했다면, 예-분기를 따라, 주차 브레이크 내에서 브레이크 작동 과정의 종료를 표시하는 다음 절차 단계 26으로 진행된다. 절차 단계 26에서 시점 t5(도 2)에 도달한다.

Claims (14)

  1. 주차 브레이크(1)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전기 기계적 고정력을 생성하기 위해 전기 액추에이터(3)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고, 추가 고정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보충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추가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이며,
    상기 전기 기계적 고정력을 결정하는 상기 전기 액추에이터(3)의 특성 변수를 피드백에 의한 폐회로 제어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차 브레이크(1)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에, 상기 전기 액추에이터(3)의 특성 변수를 조절함과 함께, 상기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를 폐회로 제어 없이 설정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차 브레이크(1)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특성 변수로서, 상기 액추에이터(3)에 공급되는 전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성 변수로서, 액추에이터(3)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의 상태 변수가 정의된 값 범위를 벗어나면,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추가 고정력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의 폐회로 제어될 특성 변수, 또는 이 특성 변수와 상관 관계를 갖는 변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추가 고정력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가 시간에 따르는 곡선으로서 존재하며, 현재의 시점에 상응하는 상태 변수의 값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곡선을 결정하는 매개변수들이 고정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곡선을 결정하는 매개변수들이 전기 액추에이터(3)의 매개변수들 또는 상태 변수들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 액추에이터(3)와 추가 브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기능 손실 또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 곡선을 결정하는 매개변수들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 변수는 최댓값에 도달할 때까지 램프형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브레이크 장치는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이고 상태 변수는 유압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의 전기 액추에이터(3)는 전기 브레이크 모터(3)로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모터의 회전수(n)는 전류(I)를 통해 폐회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 조정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고정력 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따르는 회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내 주차 브레이크.
KR1020137015492A 2010-12-17 2011-12-05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941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3345A DE102010063345A1 (de) 2010-12-17 2010-12-17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von einer Feststellbremse ausgeübten Klemmkraft
DE102010063345.3 2010-12-17
PCT/EP2011/071772 WO2012080024A1 (de) 2010-12-17 2011-12-05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von einer feststellbremse ausgeübten klemmkra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982A KR20130129982A (ko) 2013-11-29
KR101941302B1 true KR101941302B1 (ko) 2019-01-22

Family

ID=4521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492A KR101941302B1 (ko) 2010-12-17 2011-12-05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1756B2 (ko)
EP (1) EP2651732B1 (ko)
JP (1) JP5723459B2 (ko)
KR (1) KR101941302B1 (ko)
CN (1) CN103249621B (ko)
DE (1) DE102010063345A1 (ko)
WO (1) WO2012080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7127B4 (de) * 2009-11-25 2023-07-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Fahrzeugs
DE102010040563A1 (de) * 2010-09-10 2012-03-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von einer Feststellbremse ausgeübten Klemmkraft
DE102011101062A1 (de) * 2011-05-10 2012-11-15 Lucas Automotive Gmbh Technik zum Ermitteln einer an einer hydraulisch und mechanisch betätigbaren Fahrzeugbremse anliegenden Betätigungskraft
DE102013106128A1 (de) * 2012-07-16 2014-06-1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mit zumindest einer Steuerungseinrichtung
DE102012223178A1 (de) * 2012-12-14 2014-06-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Feststellbremse mit einem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Feststellbrems-Mechanismus
DE102014202152A1 (de) * 2014-02-06 2015-08-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Auslösebedingung für eine Rekalibrierung einer automatischen Parkbremse
FR3031488B1 (fr) * 2015-01-13 2017-02-17 Faiveley Transp Amiens Systeme de freinage ferroviaire pour vehicule ferroviaire et procede de freinage d'un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un tel systeme
DE102015206034A1 (de) * 2015-04-02 2016-10-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eines Fahrzeugs, Bremssystem
DE102015217118B3 (de) * 2015-09-08 2016-08-18 Robert Bosch Gmbh Fahrerassistenzsystem mit reduzierter Aktivierungszeit
US10137878B2 (en) 2015-10-14 2018-11-27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parking brake system
US10427665B2 (en) * 2016-03-21 2019-10-01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Force feedback fault detection and accommodation for a multi-channel electric brake actuator controller
DE102016205298A1 (de) * 2016-03-31 2017-10-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Bremskraft in einem Fahrzeug
DE102016213645A1 (de) * 2016-07-26 2018-02-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tomatisierten Feststellbremse
DE102016219241A1 (de) * 2016-10-05 2018-04-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tomatisierten Feststellbremse
DE102016223808A1 (de) * 2016-11-30 2018-05-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en Bremssystems, Bremssystem
CN107237848B (zh) * 2017-07-03 2019-01-25 同济大学 基于智能型驱动器的制动器制动力矩调控方法
JP7056301B2 (ja) * 2018-03-26 2022-04-1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制動制御装置
EP3847065A1 (en) * 2018-09-03 2021-07-14 Freni Brembo S.p.A.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s of an electro-actuated brake apparatus of a motor vehicle
JP7392669B2 (ja) * 2021-01-27 2023-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809A (ja) * 1999-09-21 2006-03-30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
JP4033281B2 (ja) 2000-09-06 2008-0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808B1 (en) * 1996-02-09 2001-11-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Combined service and parking brake system
JP2005529289A (ja) * 2002-04-26 2005-09-29 イーストップ・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能を備える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機械ホイールブレーキ
DE10302357B3 (de) * 2003-01-22 2004-07-08 Lucas Automotive Gmbh Fahrzeugbremsanlage mit Feststellbremseinrichtung
DE10361042B3 (de) 2003-12-23 2005-05-25 Lucas Automotive Gmbh Feststellbrems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DE102004004992B4 (de) * 2004-01-30 2008-03-13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remsausrüstung eines Fahrzeugs
DE102006037660A1 (de) * 2005-11-04 2007-07-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Fahrzeugbremse mit integrierter elektromotorisch betätigbarer Feststellbremse
US8408660B2 (en) * 2006-08-31 2013-04-02 Hitachi, Ltd. Disc brake apparatus
WO2008037738A1 (de) * 2006-09-27 2008-04-0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mbinierte fahrzeugbremse mit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r feststellbremse und getriebe zur umsetzung einer rotationsbewegung in eine translationsbewegung
DE102008018749A1 (de) * 2007-09-12 2009-03-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gesicherten Lösen einer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n Feststellbremse
KR101523118B1 (ko) * 2007-10-24 2015-05-26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주차 브레이크 및 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방법
JP2009126501A (ja) * 2007-11-28 2009-06-11 Advics Co Ltd 駐車ブレーキ装置
JP2010241389A (ja) * 2009-04-10 2010-10-28 Toyota Motor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DE102009047127B4 (de) * 2009-11-25 2023-07-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809A (ja) * 1999-09-21 2006-03-30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
JP4033281B2 (ja) 2000-09-06 2008-0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9621A (zh) 2013-08-14
US9031756B2 (en) 2015-05-12
DE102010063345A1 (de) 2012-06-21
US20130338896A1 (en) 2013-12-19
CN103249621B (zh) 2016-05-04
KR20130129982A (ko) 2013-11-29
JP5723459B2 (ja) 2015-05-27
JP2014504231A (ja) 2014-02-20
EP2651732A1 (de) 2013-10-23
WO2012080024A1 (de) 2012-06-21
EP2651732B1 (de)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302B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CN107646001B (zh) 用于在车辆中提供制动力的方法
KR101701125B1 (ko) 유압 작동식 서비스 제동 시스템 및 전자기계 작동식 제동 시스템을 구비한 모터 차량 제동 시스템
US10239503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application force generated by a parking brake
US10023170B2 (en) Method for braking a vehicle
KR101941303B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US9114792B2 (en) Method for setting the clamping force exerted by a parking brake
US20130056315A1 (en) Method for setting the clamping force exerted by a parking brake in a vehicle
CN106240548B (zh) 用于对车辆中的驻车制动器进行操控的方法
KR101890447B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지는 고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CN107878436B (zh) 确定制动系统的功能性能的方法和装置、车辆的制动系统
JP5996090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によって生ぜしめられる締付力を調整する方法、制御装置、及び、パーキングブレーキ
CN108116392B (zh) 用于运行液压的制动系统的方法和设备、制动系统
CN107031583B (zh) 用于调整车辆中的制动踏板反作用力的方法
JP2019531221A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制御器
US11046297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braking force in a vehicle
CN114728641B (zh) 用于操控车辆中的液压的制动系统的方法
JP2019520253A (ja) 電気機械式のブレーキ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KR101822815B1 (ko) Epb 구동 제어 방법
JP4611634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の動作の改善方法
JP2005516838A5 (ko)
CN113242822B (zh) 用于运行制动系统的方法和装置、制动系统
CN109195843B (zh) 用于运行液压的制动系统的方法、液压的制动系统
KR10185993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7516897A (ja) 電子制御可能なブレーキ設備での圧力生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