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40B1 - 한방침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한방침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40B1
KR101941240B1 KR1020180044653A KR20180044653A KR101941240B1 KR 101941240 B1 KR101941240 B1 KR 101941240B1 KR 1020180044653 A KR1020180044653 A KR 1020180044653A KR 20180044653 A KR20180044653 A KR 20180044653A KR 101941240 B1 KR101941240 B1 KR 10194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agnation
gripping portion
rol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to KR102018004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03Needles for special purposes, e.g. knitting, crochet, hat-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12Securing, cleaning-off burrs, reconditioning polishing, gr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롤에 침병과 침체를 투입하여 한방침을 조립하고 조립된 한방침을 연마기로 이송하는 한방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판 형상으로서 원주면에 각각 침병 또는 침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제1 회전위치로부터 제2 회전위치를 거쳐 제3 회전위치를 향해 일방향으로 회전 제어되어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의 제1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에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2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침병 또는 침체 중 다른 하나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롤에 이미 수용된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3 회전위치에서 상기 침병과 침체를 조립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에서 조립된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상기 회전롤로부터 배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이송받아 상기 침체의 끝단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어가 감긴 공급롤로부터 풀어낸 상기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와 파지 해제한 상태를 번갈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침 제조 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CUPUNCTURE NEEDLE}
본 발명은 한방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롤에 침병과 침체를 투입하여 한방침을 조립하고 조립된 한방침을 연마기로 이송하는 한방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방에서 사용하는 침은 길쭉한 봉 형상의 침체와, 침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손잡이에 해당하는 침병으로 이루어진다. 침병은 통상 금속제 와이어를 코일 형상을 감아 형성되며, 그 내부에 역시 금속제 와이어로부터 만들어진 침체를 삽입하여 상호 고정하고, 침체의 노출된 끝단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방침을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가 특허 제10-16182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원주면에 침병 삽입홀이 형성되어 일정 피치로 각회전하는 피딩롤을 구비하고, 침병 삽입홈에 침병을 공급하고, 침병의 내측에 침체로서 와이어를 공급하며, 이 와이어를 절단함으로써 한방침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침체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와이어는 롤에 권취된 형태로 제공되어 롤러를 통해 이송된다. 그런데, 이송되는 과정에서 와이어는 언제든지 롤러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롤로부터 풀려나오면서 와이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이 누적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는 와이어를 절단할 때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절단하여 침체를 형성하면, 비틀림 응력이 일시에 해소된 결과 침체가 휘어지기 쉽다. 이는 최종적으로 한방침의 불량으로 이어질 것이거니와, 한방침 제조 장치가 자주 작동 중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체 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와이어의 비틀림 응력을 미리 해소할 수 있는 한방침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된 침체 및 침병을 연마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는 한방침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는, 원판 형상으로서 원주면에 각각 침병 또는 침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제1 회전위치로부터 제2 회전위치를 거쳐 제3 회전위치를 향해 일방향으로 회전 제어되어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의 제1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에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2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침병 또는 침체 중 다른 하나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롤에 이미 수용된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3 회전위치에서 상기 침병과 침체를 조립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에서 조립된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상기 회전롤로부터 배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이송받아 상기 침체의 끝단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어가 감긴 공급롤로부터 풀어낸 상기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와 파지 해제한 상태를 번갈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변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 이격 작동되는 한 쌍의 조(jaw)와, 상기 한 쌍의 조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다른 하나는 상기 와이어를 파지 해제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롤로부터 상기 연마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판과, 각각 상기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림판과, 상기 복수의 가림판 중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한 쌍의 가림판을 번갈아 승강 작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는 한 쌍이 상기 경사판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림판 중 홀수 번째의 가림판들로 이루어진 제1 가림판 세트와 짝수 번째의 가림판들로 이루어진 제2 가림판 세트를 각각 번갈아 승강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를 공급하는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가,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와 파지 해제한 상태를 번갈아 가지므로, 특히 와이어를 파지 해제하고 있는 동안 와이어의 비틀림 응력이 자연히 해소될 수 있고, 따라서 침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침체와 침병을 경사면을 통해 이송하면서도 침체 및 침병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송받는 연마부에 균일한 자세로 침체 및 침병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제2 공급부의 제1 작동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제2 공급부의 제1 작동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제2 공급부의 제2 작동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공급부의 제2 작동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송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이송부의 좌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 제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회전롤(110)은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원주면에 침병 또는 침체를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롤(110)은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데, 도 1에 예시된 예에서는 제1 공급부(120)로부터 제2 공급부(130)를 거쳐 조립부(140) 및 이송부(150)에 이르기까지 시계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1 공급부(120)는 침병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공급부(120)는 미리 코일 형상으로 감겨져 형태가 갖춰진 침병을 수용하고 있다가 회전롤(110)의 각 홈에 하나씩 침병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중력에 의해 침병이 공급되도록 제1 공급부(120)의 바닥판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공급부(120)가 침병을 공급하는 위치가 회전롤(110)의 제1 회전위치에 해당한다.
제2 공급부(130)는 침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공급부(130)는 금속제 와이어를 공급받아 회전롤(110)의 홈에 수요된 침병에 삽입하고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와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공급롤에 감긴 채로 공급되며, 제2 공급부(130)는 이 연속적인 와이어를 절단하여 침체를 형성하는데, 이때 절단되는 와이어의 길이는 최종 완제품인 한방침에서의 침체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제2 공급부(130)가 침체를 공급하는 위치가 회전롤(110)의 제2 회전위치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제1 공급부(120)는 침병을, 제2 공급부(130)는 침체를 각각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 1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롤(110)에 대한 침병과 침체의 공급 순서는 반드시 이 순서에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침체를 먼저 공급하고 침병을 나중에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공급부(120)와 제2 공급부(130)의 회전롤(110)에 대한 회전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또는 제1 공급부(120)가 침체를 공급하고 제2 공급부(130)가 침병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침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제2 공급부(130)는 금속제 와이어가 감겨 있는 공급롤로부터 풀려나온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와 파지 해제한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와이어(50)는 도시되지 않은 공급롤로부터 풀려나와 제2 공급부(130)에 공급되는데, 제2 공급부(130)는 제1 파지부(131)와 제2 파지부(13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파지부(131)와 제2 파지부(132)는 와이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적어도 어느 한 쪽의 파지부가 다른 파지부를 향해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변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제1 파지부(131)가 제2 파지부(132)에 비해 회전롤(110)에 더 가까이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2 파지부(132)가 제1 파지부(131)를 향해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파지부(131)와 제2 파지부(132)는 각각이 와이어(50)를 파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조(jaw)와, 이들 한 쌍의 조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파지부(132)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이와 같이 와이어(50)를 파지하기 위한 선형 구동력과 제1 파지부(131)를 향해 근접되거나 제1 파지부(1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선형 구동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형 액츄에이터는 통상의 기술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제2 공급부(130)의 제1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도 4에서, 제2 파지부(132)의 선형 액츄에이터가 상승되어 조가 벌어져 있고, 따라서 와이어(50)를 파지 해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제1 파지부(131)는 선형 액츄에이터가 하강되어 조가 와이어(50)를 사이에 두고 맞물려 있어서 와이어(50)를 파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 파지부(131)가 와이어(50)를 파지 해제하고, 제2 파지부(132)가 와이어(50)를 파지한 채로 제1 파지부(131)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파지부(132)가 이동한 거리만큼 와이어(50)가 회전롤(110)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 다음 제1 파지부(131)가 다시 와이어(50)를 파지하고 제2 파지부(132)는 와이어(50)를 파지 해제한다. 이 상태가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다. 그 다음 제2 파지부(132)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위치로 되돌아 가며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의 작동을 통해 와이어(5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마다 제1 파지부(131) 및 제2 파지부(132)에 의해 번갈아 파지되었다가 파지 해제되기를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와이어(50)에 누적된 비틀림 응력이 해소될 수 있으며, 회전롤(110) 측으로 공급되는 와이어(50)의 변형도 최소화될 수 있다.
조립부(140)는 회전롤(110)의 홈에 수용된 침병과 침체를 서로 고정하여 조립하며, 이에 더하여 침체를 다시 한번 절단하여 완제품인 한방침에서의 침체의 길이로 맞출 수 있다. 이때 절단되는 침체의 단부는 앞서 제2 공급부(130)에서 절단되어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일 수 있다. 아울러, 침병과 침체를 고정하는 동작은 조립부(140)에서 이루어져도 좋지만 제2 공급부(130)에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나아가서 조립부(140) 전체가 제2 공급부(13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조립부(140)의 위치는 회전롤(110)의 제3 회전위치에 해당하는데, 이와 같이 조립부(140)의 기능이 제2 공급부(130)에 통합된 경우에는 제2 회전위치와 제3 회전위치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회전위치일 수도 있다.
이송부(150)는 조립된 침병과 침체를 연마부(16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부(150)는 조립부(140)를 통과한 침병 및 침체의 조립체를 중력에 의해 이송할 수 있도록 경사판(156)을 구비한다. 경사판(156)은 회전롤(110)로부터 연마부(16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된 침병 및 침체는 경사판(156)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또는 굴러서 내려가서 연마부(16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침병 및 침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침병 및 침체의 자세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가림판(155, 15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가림판들은 각각이 경사판(156)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고, 복수 개가 경사판(1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웃하는 한 쌍의 가림판들은 교번하여 상하로 승강 작동된다. 여기서 수직방향 및 상하방향이란 도 1, 도 7, 도 8 또는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판(156)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지칭하지만, 이와 달리 연직방향일 수도 있다. 한편, 가림판들 사이의 최대 간격은 조립된 침병 및 침체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 앞선 가림판이 상승함에 따라 경사판(156)을 따라 미끄러지거나 구르면서 내려오는 침병 및 침체의 조립체가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90도 이상 회전하기 전에 다음 번 가림판(155, 155')에 걸림으로써 가림판(155, 155')의 방향을 따라 다시 배향되므로 처음의 자세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가림판 사이의 최대 거리는 조립된 침병 및 침체의 길이의 1/2 이하일 수 있다.
이웃한 한 쌍의 가림판들이 번갈아 승강 작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가림판들은 제1 가림판 세트(153)와 제2 가림판 세트(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림판 세트(153)와 제2 가림판 세트(154)는 경사판(1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되, 제2 가림판 세트(154)의 각 가림판들(155')이 제1 가림판 세트(153)의 각 가림판들(1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 가림판 세트(153)와 제2 가림판 세트(154)를 번갈아 승강시키면, 즉 제1 가림판 세트(153)가 하강하여 경사판(156)과 접하고 있을 때 제2 가림판 세트(154)는 상승하여 경사판(15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도록 작동시키면, 이웃하는 한 쌍의 가림판은 어느 쌍이든 교번하여 승강 작동될 수 있다. 이 승각 작동을 위해 한 쌍의 선형 액츄에이터(151, 152)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경사판(156)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서, 경사판(156)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보자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가림판(155, 155')은 각각이 대체로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가림판들이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상단은 경사판(156)의 폭보다 좁아져 공통 바(bar)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각 선형 액츄에이터(151, 152)에 연결된다. 각 가림판(155, 155')의 하단은 경사판(156)의 폭에 상응하도록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 특히 도 9는 회전롤(110) 측에서 바라본 이송부(150)로서, 제1 가림판 세트(153)의 첫번째 가림판이 좌우가 반전된 'L'자 형상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반대편에서 바라보면 통상적인 'L'자 형상에 해당한다.
연마부(160)는 이송부(150)를 통해 전달받은 침병 및 침체에서 침체의 끝단을 연마하여 뾰족하게 가공한다. 이때 연마되는 침체의 끝단은 침병이 결합되지 않은 침체의 단부를 의미한다. 한편 이송부(150)의 각 가림판들의 교번 작동에 의해 침병 및 침체가 회전롤(110)을 이탈할 때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연마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연마부(160)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에 따를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원판 형상으로서 원주면에 각각 침병 또는 침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제1 회전위치로부터 제2 회전위치를 거쳐 제3 회전위치를 향해 일방향으로 회전 제어되어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의 제1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에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2 회전위치에 배치되어 침병 또는 침체 중 다른 하나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롤에 이미 수용된 침병 또는 침체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급부와,
    상기 회전롤의 제3 회전위치에서 상기 침병과 침체를 조립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에서 조립된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상기 회전롤로부터 배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침병 및 침체를 이송받아 상기 침체의 끝단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어가 감긴 공급롤로부터 풀어낸 상기 와이어를 파지한 상태와 파지 해제한 상태를 번갈아 가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롤로부터 상기 연마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판과,
    각각 상기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림판과,
    상기 복수의 가림판 중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한 쌍의 가림판을 번갈아 승강 작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한방침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변위될 수 있는 한방침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 이격 작동되는 한 쌍의 조와, 상기 한 쌍의 조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한방침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다른 하나는 상기 와이어를 파지 해제한 상태인 한방침 제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는 한 쌍이 상기 경사판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림판 중 홀수 번째의 가림판들로 이루어진 제1 가림판 세트와 짝수 번째의 가림판들로 이루어진 제2 가림판 세트를 각각 번갈아 승강 구동하는 한방침 제조 장치.
KR1020180044653A 2018-04-17 2018-04-17 한방침 제조 장치 KR10194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53A KR101941240B1 (ko) 2018-04-17 2018-04-17 한방침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53A KR101941240B1 (ko) 2018-04-17 2018-04-17 한방침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240B1 true KR101941240B1 (ko) 2019-01-22

Family

ID=6532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653A KR101941240B1 (ko) 2018-04-17 2018-04-17 한방침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27A (ko) * 2001-06-12 2002-12-18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KR100496183B1 (ko) * 2002-08-30 2005-06-20 주식회사 오엔텍 침 자동제조기
KR101589516B1 (ko) * 2015-08-28 2016-01-28 (주)라바기업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27A (ko) * 2001-06-12 2002-12-18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KR100496183B1 (ko) * 2002-08-30 2005-06-20 주식회사 오엔텍 침 자동제조기
KR101589516B1 (ko) * 2015-08-28 2016-01-28 (주)라바기업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24289A (ja) インナースプリング組立体の自動製造装置
US20080184761A1 (en) Bending machine
ES226983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mover hojas de vidrio durante su mecanizacion.
KR100477045B1 (ko) 금속파이프제조시스템
TWI753917B (zh) 用於處理金屬產品的裝置及方法
KR20180098295A (ko) 파권 장치
KR101941240B1 (ko) 한방침 제조 장치
EP0989089A1 (en) Conveyor for bottles with a mouth-collar
DE102019212482A1 (de) Rollenhalter, Bandzufuhrvorrichtung, Roboterhand, Roboter sowie Teilemontagesystem
JP2001312928A (ja) ハーネス収納装置
CA2816546C (en) Brush-type deburring machine
JP2005089191A (ja) 棒状の物品を引渡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8073707A (ja) 棒材自動供給装置
KR101828462B1 (ko) 코일 스프링의 쇼트피닝장치
JP2002011636A (ja) ワーク供給装置
JP2002272068A (ja) レーベル転位導体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663332B2 (ja) ベルト搬送装置
JP6246850B2 (ja) リング製造装置
JP2846210B2 (ja) フィンコイル自動供給装置
JP2014217925A (ja) 鉄筋切断装置
JP7382805B2 (ja) 加工装置および中空ワークの製造方法
DE2614009A1 (de) Umsetzvorrichtung zum ergreifen von stueckguetern
JP6549475B2 (ja) スチールコードを内包するゴム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3146213A (ja) 引抜き用パイプの自動口付け加工装置
ES2837397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cortar una tira continua en componentes de neumá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