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516B1 -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516B1
KR101589516B1 KR1020150121506A KR20150121506A KR101589516B1 KR 101589516 B1 KR101589516 B1 KR 101589516B1 KR 1020150121506 A KR1020150121506 A KR 1020150121506A KR 20150121506 A KR20150121506 A KR 20150121506A KR 101589516 B1 KR101589516 B1 KR 10158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tagnation
feeding roll
wi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판정
Original Assignee
(주)라바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바기업 filed Critical (주)라바기업
Priority to KR102015012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4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for both machining and other metal-working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을 포함하고, 제1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정 피치로 각회전하는 피딩롤;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으로 침병을 하나씩 공급하는 침병공급부;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피딩롤의 회전방향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의 일측 끝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이 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 내에 위치한 각각의 침병의 단부에 대응되어 각각의 침병의 단부를 동일위치로 정렬시키는 제1 침병정렬부; 상기 피딩롤의 회전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침체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가 상기 다수의 침병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들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상기 다수의 침병을 향해 공급하는 침체공급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침체공급부 및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들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상기 침병 내로 삽입된 와이어들의 길이 중 상기 침병의 단부에 근접한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침체절곡부;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침체절곡부에 의해 절곡 및 절단되어 형성된 다수의 침체를 상기 침병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각각의 침체의 절곡부분을 상기 다수의 침병에 결합하는 침체 및 침병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Apparatue for assembling oriental medical acupuncture needles}
본 발명은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를 조립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 침 시술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병과 피부에 삽입되는 침체를 자동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방침은 신체의 경맥을 외부적 자극으로 다스려 특정
질환을 치유하는 외과적 요법으로서 한약의 내과적 치료와 별도로 시행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가 더 많고, 이에 경락과 경혈을 자극하는 한방침 시술과 경구용 한약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편리성과 효율성에 착안한 약침 또는 혈위 주사 요법 등 다양한 형태의 한방침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양국가뿐 아니라 서양국가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한방침은 금, 백금, 스테인레스 등의 생체 적합성 금속으로 만들며, 대개 피부 관통을 위한 침예성을 지닌 침체과, 침 시술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체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침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한방침 조립 방법은 침체의 선단부를 침병내에 삽입하여 조립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바, 작업자가 일일이 침병내에 침체의 선단부를 삽입시켜 고정 시키는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진행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미세한 직경의 침체를 일일이 침병 내에 삽입 조립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작업자의 눈 피로가 가중되어 작업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정 길이의 침체를 침병내에 삽입시키는 장비가 사용되어 왔지만, 침체의 길이를 일정하게 절단하는 공정과, 침병의 후단 날카로운 부분을 절삭하는 등의 후속공정이 별도의 장비에서 진행됨에 따라, 수만 ~ 수백만개를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마찬가지로 원하는 생산성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15617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방침의 제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월등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을 포함하고, 제1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정 피치로 각회전하는 피딩롤;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으로 침병을 하나씩 공급하는 침병공급부;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피딩롤의 회전방향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의 일측 끝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이 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 내에 위치한 각각의 침병의 단부에 대응되어 각각의 침병의 단부를 동일위치로 정렬시키는 제1 침병정렬부; 상기 피딩롤의 회전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침체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가 상기 다수의 침병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들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상기 다수의 침병을 향해 공급하는 침체공급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침체공급부 및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들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상기 침병 내로 삽입된 와이어들의 길이 중 상기 침병의 단부에 근접한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침체절곡부;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의 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침체절곡부에 의해 절곡 및 절단되어 형성된 다수의 침체를 상기 침병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각각의 침체의 절곡부분을 상기 다수의 침병에 결합하는 침체 및 침병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침병정렬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의 대향된 끝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그 이격된 간격은 상기 침병공급부와 멀어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침체절곡부는, 상기 다수의 침병을 향해 공급된 와이어들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는 와이어안착부; 및 상기 와이어안착부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되고, 상기 와이어안착부를 향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와이어안착부에 안착된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절곡 및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안착부는 상기 절곡 및 커팅부에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블록 형상이고, 볼록한 면에는 상기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지그재그로 절곡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및 커팅부는 상기 와이어안착부와 대향하는 면이 오목한 블록 형상이고, 오목한 면에는 상기 제1 절곡홈에 대응하는 제2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및 커팅부는 와이어커팅날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커팅날은 상기 오목한 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들이 상기 제1 절곡홈 및 제2 절곡홈에 의해 절곡되는 동시에 와이어의 절곡 부분의 후단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제1 동력공급부; 상기 제1 동력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공급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축; 상기 원동축에 결합된 편심캠; 및 일단부는 상기 편심캠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절곡 및 커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편심캠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종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수단은 서보 인덱스 모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침체절곡부를 상기 피딩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은, 테이블; 상면부에 상기 침체절곡부가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상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테이블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플레이트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이동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 상기 테이블의 상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이 안착되는 한 쌍의 레일부;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회전수카운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카운터기는 상기 스크류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피딩롤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감소하는 회전수를 나타내고, 상기 스크류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피딩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증가하는 회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절곡홈 및 제2 절곡홈은 역삼각형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 및 상기 침체절곡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침체공급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들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다수의 침병 내로 정확히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부는, 블록 형태이고,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평행한 면에 반원 형상의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부; 블록 형태이고,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반원 형상에 대칭되는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 승하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평상시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어 있고, 상기 침체의 절곡부분을 상기 침병에 결합할 때 상기 제1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된 후 복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의 회전방향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이 회전하여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의 후단부를 연마하기 위한 침병연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병연마부는, 제2 동력공급부; 및 상기 제2 동력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공급부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피딩롤에 인접하여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연마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병연마부는, 상기 연마롤이 상기 다수의 침병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마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이 회전할 때 상기 침병 삽입홈 내에 상기 다수의 침병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침병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병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침병 삽입홈에 다수의 침병이 삽입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침병에 상기 침체의 조립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피딩롤의 상기 침병 삽입홈이 형성된 면을 덮는 팬벨트; 및 상기 팬벨트의 연장된 길이를 안내하며 상기 팬벨트를 지지하고 있는 팬벨트 안내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의 상기 침병 삽입홈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이 회전하여 상기 다수의 침병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경우 상기 팬벨트를 눌러서 상기 다수의 침병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병가압부는,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승하강장치; 및 상기 제2 승하강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기 피딩롤을 향해 하강하여 상기 팬벨트 및 상기 다수의 침병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의 상기 침체 삽입홈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팬벨트를 눌러서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에 의하면, 한방침의 제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월등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래와 같은 장점들이 있다.
(1). 침병공급부를 통해 피딩롤의 침병 삽입홈 내로 공급된 침병들의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제1 침병정렬부가 정렬시키게 되므로 각각의 침병이 각각의 침병 삽입홈 내에 일률적으로 정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공급된 이후의 순차적인 공정들이 오류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2). 침체절곡부의 와이어커팅날이 절곡 및 커팅부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와이어커팅날의 훼손시 침체절곡부의 절곡 및 커팅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와이어커팅날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3). 침체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를 절곡시키는 침체절곡부의 제1 절곡홈 및 제2 절곡홈은 역삼각형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침체의 절곡부분의 절곡된 경사각이 좁아지고, 이에 의해 침체의 절곡부분의 탄성력이 증가하며, 결론적으로 침체의 절곡부분이 침병 내에 삽입되면 침체 및 침병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4). 피딩롤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수단이 서보 인덱스 모터로 이루어지므로 피딩롤을 1피치 회전시킬 때 피딩롤의 1피치 회전 구간을 결정 및 정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센서 또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할 필요 없이 서보 인덱스 모터의 설정만으로 피딩롤을 정확하게 1피치 이동시킬 수 있다.
(5).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에 의해 침체절곡부를 피딩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침체절곡부를 피딩롤로부터 멀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침체절곡부를 보수하는 경우, 예를 들면, 와이어커팅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을 통해 침체절곡부를 피딩롤과 이격시키면 와이어커팅날을 교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침체절곡부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6).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은 회전수카운터기를 포함하므로 회전수카운터기에 의해 침체절곡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침체절곡부를 피딩롤로부터 멀게 이격시킨 후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 침체절곡부를 정확하게 최초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7). 와이어가이드부는 고정부를 구성하는 블록 및 이동부를 구성하는 블록의 분할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이동부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가이드부의 뒤로 위치하는 침체의 절곡부분을 침병 내로 결합할 때 이동부가 상승하여 침체의 절곡부분이 변형 없이 와이어가이드부를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침체의 절곡부분에 변형이 발생되어 침체 및 침병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8). 침병연마부가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피딩롤과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침병연마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마롤이 침병의 후단부를 연삭하는 정도, 예를 들면, 침병의 후단부의 연삭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침병의 후단부를 정밀하게 연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9). 침체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 및 침병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팬벨트 및 침병 삽입홈 내에 위치한 침병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부가 설치됨에 따라 침체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의 침병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침병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침병이 침병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 없이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 및 침병을 결합하는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10). 침병의 후단부를 연마할 때 팬벨트 및 침병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롤러가 구비되므로 연마롤이 침병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침병이 침병 삽입홈 내에서 유동하는 현상 없이 침병의 후단부를 더욱 원활히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병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침체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침체공급부 및 침체절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침체 및 침병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는 도 2에 도시된 침병연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침체절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침병이탈 방지수단, 침병가압부 및 침병가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는 피딩롤(120), 침병공급부(200), 제1 침병정렬부(300), 침체공급부(400), 침체절곡부(500),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 침병연마부(700) 및 침체절단부(800)를 포함한다.
피딩롤(120)은 메인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침병(10)을 피딩롤(12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 및 공급한다. 이를 위해, 피딩롤(120)은 침병(10)이 삽입 및 안착되는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 구동수단에 의해 일정 피치로 각회전한다. 여기서, 제1 구동수단은 서보 인덱스 모터일 수 있다. 피딩롤(120)은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원판 형태이고, 여기서 제1 면은 도 1에서 보이는 면일 수 있고, 제2 면은 제1 면의 이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병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침병공급부(200)는 피딩롤(120)의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 내에 침병(10)을 삽입시킨다. 침병공급부(200)는 다수의 침병(10)이 적층 보관되는 하향 경사진 구조로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10)의 정면에서 일측쪽에 장착되는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과, 이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의 끝단과 수직 배열되면서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수직차단판(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의 끝단과 수직차단판(220)의 하단끝 사이는 이격된 틈새공간을 이루게 되고, 이 틈새공간은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에 쌓여있는 침병(10)이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으로 하나씩 인출되기 위한 침병인출홀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병공급부(200)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차단판(220)의 옆쪽 메인프레임(110)에 안내핀(230)이 장착되는 바, 이 안내핀(230)은 침병인출홀을 빠져나간 침병(10)의 차례대로 눌러줌으로써, 피딩롤(120)의 피치 각회전시 침병 삽입홈(121)으로 침병(10)이 하나씩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내에 침병(10)이 삽입 안착된 후, 피딩롤(120)이 일정한 피치로 각회전을 하게 되면, 이때 피딩롤(120)의 일 피치 각회전 운동시 피딩롤(120)의 전체 원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 중, 예를 들면, 총 30개 침병 삽입홈(121)이 1피치 이송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딩롤(120)이 일정한 피치로 각회전을 하게 되면, 원판형 피딩롤(120)에 형성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 중 30개의 침병 삽입홈(121)이 제2 위치 즉, 침체절곡부(500)의 앞쪽으로 이송되는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총 30개의 침병 삽입홈(121)내의 침병(10)도 침체절곡부(500)의 앞쪽에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제1 침병정렬부(300)는 침병공급부(200)를 통해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 내로 안착된 침병들(10)을 정렬시킨다. 제1 침병정렬부(300)는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침병공급부(200)의 다음의 위치이다. 일 예로, 제1 침병정렬부(300)는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침병정렬부(300)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플레이트의 일면이 피딩롤(120)의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의 일측 끝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때, 플레이트의 일면이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의 대향된 끝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그 이격된 간격은 침병공급부(200)와 멀어질수록 좁아진다. 즉 플레이트의 일면은 구배져있다. 이러한 제1 침병정렬부(300)는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플레이트의 일면이 각각의 침병 삽입홈(121) 내에 위치한 각각의 침병(10)의 단부에 대응되어 각각의 침병(10)의 단부를 동일위치로 정렬시키게 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침체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침체공급부, 침체절곡부와, 침체절곡부를 이동시키는 침체절곡부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침체공급부(400)는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120)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침체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가 다수의 침병(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와이어들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다수의 침병(10)을 향해 공급한다. 일 예로, 침체공급부(400)는 롤러거치대(410), 침체공급롤러(420), 와이어공급블록(430) 및 롤러회전모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거치대(41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지면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침체공급롤러(420)는 롤러거치대(410)의 서로 대향하는 플레이트들 사이에 장착된다. 침체공급롤러(420)는 제1 롤러(421) 및 제2 롤러(422)를 포함하고, 제1 롤러(421) 및 제2 롤러(422)는 상, 하로 대향한다. 제1 롤러(421) 및 제2 롤러(422)는 와이어를 물고 회전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 롤러(421) 및 제2 롤러(422)는 벨트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와이어공급블록(430)은 침체공급롤러(420)의 앞에 위치하며, 다수의 와이어를 나란히 위치시킬 수 있는 다수의 와이어안착홈(4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와이어안착홈(431)은 30개일 수 있다.
롤러회전모터(440)는 침체공급롤러(420)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롤러회전모터(440)는 제1 롤러(421)에 연결되어 제1 롤러(42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1 롤러(421)가 회전됨에 따라 벨트로 연결된 제2 롤러(422)는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침체공급부(400)는 침체공급부(400)와 인접하여 있는 와이어가 감긴 다수의 와이어롤로부터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침체절곡부(500)는 침병(10) 내로 삽입된 와이어들의 길이 중 침병(10)의 단부에 근접한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한다. 이를 위해, 침체절곡부(500)는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2 위치에서 침체공급부(400) 및 피딩롤(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와이어들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와이어들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위치는 제1 위치의 다음의 위치이며, 피딩롤(120)이 일 피치 회전하여 예를 들면, 30개의 침병 삽입홈(121)이 제1 위치로부터 일 피치 이동한 위치이다. 침체절곡부(500)는 와이어안착부(510), 절곡 및 커팅부(520)를 포함한다.
와이어안착부(510)는 다수의 침병(10)을 향해 공급된 와이어들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와이어안착부(510)는 절곡 및 커팅부(520)에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블록 형상이다. 볼록한 면에는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지그재그로 절곡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절곡홈(5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안착부(510)는 피딩롤(120)의 제2 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다수의 제1 절곡홈(511)은 피딩롤(120)에 형성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 중 일부와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개의 침병 삽입홈(121)에 대향할 수 있다.
절곡 및 커팅부(520)는 와이어안착부(510)에 안착된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절곡하고 동시에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곡한다. 이를 위해, 절곡 및 커팅부(520)는 와이어안착부(510)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구동수단(530)과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절곡 및 커팅부(520)는 와이어안착부(510)에 대향하는 면이 오목한 블록 형상이다. 오목한 면에는 제1 절곡홈(511)에 대응하는 제2 절곡홈(521)이 형성된다. 또한 절곡 및 커팅부(520)는 와이어커팅날(522)을 포함하고, 와이어커팅날(522)은 상기 오목한 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들이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에 의해 절곡되는 동시에 와이어의 절곡 부분의 후단을 절단한다.
여기서,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은 역삼각형 형상이 연속된 형상이다. 이에 의해, 와이어들의 절곡된 형상은 역삼각형이 연속하는 형상이 된다.
절곡 및 커팅부(52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2 구동수단(530)은 제1 동력공급부(531), 원동축(532), 편심캠(533) 및 종동축(534)을 포함한다.
제1 동력공급부(531)는 원동축(53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한다. 일 예로, 제1 동력공급부(531)는 구동모터(531a), 구동롤러(531b), 연동롤러(531c) 및 벨트(531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531a)는 회전동력을 공급하고, 구동롤러(531b)는 구동모터(531a)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회전되고, 연동롤러(531c)는 구동롤러(531b)의 옆에 위치하고, 벨트(531d)는 구동롤러(531b) 및 연동롤러(531c)를 연결한다.
원동축(532)은 연동롤러(531c)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고, 연동롤러(531c)가 회전될 때 연동롤러(531c)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편심캠(533)은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위치한 축결합구멍을 포함하고, 편심되어 있는 축결합구멍에 원동축(532)에 결합된다.
종동축(534)은 상단부가 편심캠(533)과 연결되며, 하단부는 절곡 및 커팅부(52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종동축(534)은 캠결합부(534a)를 포함하며, 캠결합부(534a)는 다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중심부에 편심캠(533)과 결합하는 캠결합구멍(534b)이 형성될 수 있다. 캠결합구멍(534b)은 편심캠(53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종동축(534)은 편심캠(533)이 캠결합구멍(534b) 내에서 회전하면 편심캠(533)의 단부가 캠결합구멍(534b)의 내면에 대응된 후 이격되는 과정을 통해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침체 및 침병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침체절곡부(500)에 의해 절곡 및 절단되어 형성된 다수의 침체(20)를 침병(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각각의 침체(20)의 절곡부분을 다수의 침병(1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와이어(1)가 침체절곡부(500)를 지난 후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에 삽입된 침병(10)의 내부를 지나서 관통되는 순간, 관통된 와이어(1)의 전단부를 1차로 파지하고(도 9c 참조), 이어서 와이어(1)의 일부분이 절곡 및 커팅부(520)에 의한 절곡 및 커팅된 후의 침체(20)의 절곡된 부분이 침병(10)내에 삽입 조립되도록 침체(20)의 전단부를 2차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원판형 피딩롤(120)의 제1 면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이때,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메인프레임(110)의 정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레일받침 프레임(610)에 설치된다. 레일받침 프레임(610)의 상부에는 레일(620)이 형성되고, 이 레일(620)에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가 전후진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를 전후진 이송은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수단은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또는 선형모터일 수 있다.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침체(20)의 전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받침블록(630) 및 파지블록(640), 침병(10)이 침체(20)와 함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블록(630)의 상면에는 단차홈(631)이 형성되고, 파지블록(640)의 저면에는 단차홈(631)과 맞물려서 침체(20)의 전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돌기(641)가 일체로 형성된다. 파지블록(640)은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받침블록(630)을 향해 하강하거나 본래 위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파지블록(640)이 받침블록(630) 위로 하강하면 절곡돌기(641)는 단차홈(631)에 맞물리고, 단차홈(631) 상에 위치한 침체(20)의 전단부는 단차홈(631) 및 절곡돌기(641)의 사이에 물리는 상태가 된다.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은 받침블록(630) 및 파지블록(640)의 앞에 배치되고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은 받침블록(630) 및 파지블록(640)이 침체(20)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당길 때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단부가 침병(10)의 전단부에 대응되어 침병(10)이 침체(20)와 함께 당겨지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침병연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침병연마부(700)는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3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3 위치는 제2 위치의 다음의 위치이다. 침병연마부(700)는 침체(20) 및 침병(10)이 결합된 이후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서로 결합된 침체(20) 및 침병(10)이 제3 위치를 지날 때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한다. 침병연마부(700)는 제2 동력공급부(710) 및 연마롤(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력공급부(710)는 연마롤(720)을 회전시킨다. 일 예로, 제2 동력공급부(710)는 구동모터(711), 구동모터(711)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712), 구동풀리(712)의 옆에 배치된 연동풀리(713), 구동풀리(712) 및 연동풀리(713)에 결합되어 구동풀리(712) 및 연동풀리(713)를 연결하는 벨트(714) 및 연동풀리(713)와 결합된 연마롤회전축(7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711), 연마롤회전축(715)은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연마롤 장착부재(73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연마롤 장착부재(730)는 제1 프레임(731) 및 제2 프레임(7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31)은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장착부(731a) 및 제1 장착부(731a)에 수직한 제2 장착부(7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732)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2 프레임(732)의 서로 대향하는 두 면들의 단부는 제1 프레임(731)의 제2 장착부(731b)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모터(711)는 제2 프레임(732)의 면들 중 제1 장착부(731a)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고, 연마롤회전축(715)은 제2 장착부(731b)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연마롤회전축(715)은 메인프레임(110)의 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마롤(720)은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침병들(10)의 후단부를 연삭한다. 연마롤(720)은 연마롤회전축(715)의 끝단부 즉, 연동풀리(713)가 장착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침병연마부(700)는 위치조절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740)는 연마롤(720)이 다수의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연마롤(7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일 예로, 위치조절부재(740)는 위치조절볼트(741) 및 조임너트(74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볼트(741)는 제1 프레임(731)의 제1 장착부(731a) 및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임너트(742)는 위치조절볼트(741)에 결합되어 제1 장착부(731a)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부재(740)는 위치조절볼트(741)를 푸는 경우 제1 장착부(731a)는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위치조절볼트(741)를 조이는 경우 제1 장착부(731a)는 메인프레임(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임너트(742)는 위치조절볼트(741)에 조여져서 위치조절볼트(741)에 의해 이동된 제1 장착부(731a)의 위치를 유지시키며, 제1 장착부(731a)의 위치 조절 후 위치조절볼트(74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침체절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침체절단부(800)는 침병연마부(700)를 통해 침병들(10)의 후단부가 연마된 후 피딩롤(120)이 1피치 각회전할 때 침병들(10) 내에 삽입 조립된 침체(20)의 전단부를 절단한다. 침체절단부(800)는 고정날(810) 및 절단날(820)을 포함한다. 고정날(810)은 피딩롤(120)의 제1 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절단날(820)은 피딩롤(120)의 외곽측에서 고정날(8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단날(820)은 전진 및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절단날(820)은 캠 구동 방식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침체절단부(800)는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침병(10)과 결합된 침체(20)가 고정날(810) 및 절단날(820)을 지날 때 절단날(820)은 구동수단에 의해 전진 및 후진을 빠르게 반복하면서 침체(20)의 전단부를 절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침체절단부(800)는 침체(20)의 전단부에 대한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침체 길이 조절용 수동조작기구(830)가 침체절단부(80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수동조작기구(830)는 침체절단부(80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침체절단부 지지대(831), 침체절단부 지지대(831)의 저면부에 장착되고 스크류홀(832a)을 갖는 스크류홀 블록(832), 스크류홀 블록(83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833) 및 스크류(833)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스크류(833)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회전레버(8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동조작기구(830)는 회전레버(834)를 돌리면 스크류(833)는 회전하고, 스크류(833)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홀 블록(832)이 스크류(833)의 축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홀 블록(832)과 결합되고 침체절단부(800)를 지지하고 있는 침체절단부 지지대(831)는 전진 및 후진되어 침체절곡부(500)가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는 와이어가이드부(900),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 침병가압부(1200), 침병가압롤러(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와이어가이드부(900)는 피딩롤(120) 및 침체절곡부(5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침체공급부(400)를 통해 와이어들(1)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다수의 침병(10) 내로 정확히 삽입되도록 와이어들(1)을 가이드한다. 와이어가이드부(900)는 고정부(910), 이동부(920), 제1 승하강장치(9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910)는 블록 형태이고, 와이어들(1)의 공급 방향에 평행한 면에 반원 형상의 제1 가이드홈(9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920)는 블록 형태이고, 상기 고정부(910)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911)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911)의 반원 형상에 대칭되는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홈(9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하강장치(930)는 상기 이동부(920)에 연결되고, 이동부(920)를 와이어들(1)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승하강장치(930)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가이드부(900)는 평상시 및 와이어들(1)이 침병들(10) 내로 삽입될 때에는 고정부(910) 및 이동부(920)가 서로 대응된 상태이고, 와이어들(1)의 일부분이 침체절곡부(500)에 의해 절곡된 후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에 의해 침체(20)의 절곡된 부분이 침병(10) 내로 결합될 때에는 이동부(920)가 상승한 후 하강되도록 작동한다.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침체절곡부(500)를 피딩롤(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테이블(1010),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 및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테이블(1010)은 테이블(1010)의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는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에 의해 테이블(1010) 위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전방측에는 침체절곡부(500)가 장착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후방측에는 침체공급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는 테이블(10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를 테이블(1010)상에서 수평이동시킨다.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는 슬라이딩 블록(1131), 한 쌍의 레일부(1132), 스크류(1133) 및 핸들(113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131)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저면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블록(1131)은 스크류 구멍(미도시)을 포함한다.
한 쌍의 레일부(1132)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테이블(1010)의 상면부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레일부(1132)의 상면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저면 양측이 안착된다.
스크류(1133)는 일부분이 슬라이딩 블록(1131)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슬라이딩 블록(1131)을 스크류(113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핸들(1134)은 스크류(1133)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스크류(1133)가 회전되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스크류(1133)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회전수카운터기(1040)를 더 포함한다. 회전수카운터기(1040)는 스크류(1133)가 슬라이딩 블록(1131)을 피딩롤(120)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감소하는 회전수를 나타내고, 스크류(1133)가 슬라이딩 블록(1131)을 피딩롤(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증가하는 회전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회전수카운터기(1040)는 스크류(1133)가 슬라이딩 블록(1131)을 피딩롤(120)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표시되는 회전수가 점차 감소하여 나타난 회전수가 '0'인 경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최초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침병이탈 방지수단, 침병가압부 및 침병가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은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침병 삽입홈(121) 내에 다수의 침병(1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은 팬벨트(1110) 및 안내롤러들(1120)을 포함한다.
팬벨트(1110)는 침병 삽입홈(121)에 다수의 침병(10)이 삽입되는 위치로부터 침병(10)에 침체(20)의 조립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을 덮는다.
안내롤러들(1120)은 피딩롤(120)의 주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팬벨트(1110)의 연장된 길이를 안내하며, 팬벨트(1110)가 지지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침병가압부(1200)는 제2 위치에서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다수의 침병(10)이 제2 위치로 위치한 경우 팬벨트(1110)를 눌러서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한다. 침병가압부(1200)는 제2 승하강장치(1210) 및 가압부재(1220)를 포함한다.
제2 승하강장치(1210)는 가압부재(1220)에 연결되고, 가압부재(1220)를 와이어들(1)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승하강장치(1210)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재(1220)는 제2 승하강장치(1210)와 연결되고, 제2 승하강장치(1210)에 의해 피딩롤(120)을 향해 하강하여 팬벨트(1110) 및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한다. 일 예로, 가압부재(1220)는 피딩롤(120)의 제1 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블록 형태일 수 있고, 블록의 피딩롤(120)의 원주면에 대향하는 면은 피딩롤(120)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침병가압롤러(1300)는 상기 제3 위치에서 피딩롤(120)의 원주면 즉,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팬벨트(1110)를 눌러서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한다. 일 예로, 침병가압롤러(1300)는 메인프레임(11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가 침체와 침병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침병의 공급
먼저, 침병공급부(200)에 의해 다수의 침병(10) 예를 들면, 30개의 침병(10)이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내로 공급된다. 이때,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 및 수직차단판(220)의 사이 공간 내에 다수의 침병(10)이 수납되어 있고, 다수의 침병(10)은 침병 공급용 경사판(210)에 의해 침병 삽입홈(121)을 향해 자연 낙하되며, 이때, 안내핀(230)은 침병(10)을 차례대로 눌러줌으로써, 각각의 침병(10) 즉, 30개의 침병(10)이 피딩롤(120)의 1피치 반경을 이루는 30개의 침병 삽입홈(121) 내로 삽입된다.
30개의 침병 삽입홈(121) 내로 침병(10)이 삽입되면 피딩롤(120)은 1피치 회전하고, 피딩롤(120)이 1피치 회전함에 따라 침병 삽입홈(121) 내로 삽입되어 있는 30개의 침병(10)은 제2 위치 즉, 침체절곡부(500)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의 팬벨트(1110)는 피딩롤(120)의 침병들(10)을 덮은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침병들(10)은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침병 삽입홈들(121)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피딩롤(120)이 1피치 회전할 때 침병 삽입홈들(121) 내에 정렬되지 않은 채로 삽입되어 있는 침병들(10)은 제1 침병정렬부(300)에 의해 일률적으로 정렬된다. 즉,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침병들(10)의 전단부는 제1 침병정렬부(300)의 플레이트의 끝에 근접하여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면서 정렬된다.
2. 와이어(침체)의 공급
피딩롤(120)이 1피치 완전히 회전하여 침병들(10)이 제2 위치로 위치하게 되면, 침병가압부(1200)의 제2 승하강장치(1210)에 의해 가압부재(1220)가 하강하여 가압부재(1220)는 팬벨트(1110)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팬벨트(1110)로 덮힌 침병들(10)이 가압되어 침병들(10)은 침병 삽입홈들(121)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어서, 침체공급부(400)는 도 13과 같이 다수의 와이어롤, 예를 들면, 30개의 와이어롤에 감겨져 있는 각각의 와이어 30가닥을 공급한다. 즉, 침체공급롤러(420)가 와이어 30가닥을 물고 회전하면 침체공급롤러(420)의 앞에 위치한 와이어공급블록(430)에 형성된 와이어안착홈들(431)에 수용된 상태로 침병들(10)을 향해 전진하고, 전진하는 와이어들(1)은 도 14와 같이 와이어가이드부(900)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침병(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와이어가이드부(900)는 고정부(910) 및 이동부(920)가 대응되어 있는 상태이고, 와이어들(1)은 와이어가이드부(900)의 제1 가이드홈(911) 및 제2 가이드홈(921)을 통과한 후 침병들(10) 내로 삽입된다. 또한 침병들(10) 내로 삽입된 와이어들(1)의 일부분은 침체절곡부(500)의 와이어안착부(510)의 제1 절곡홈(511) 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3. 침체 및 침병의 결합
이어서, 침체절곡부(500)와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가 동작하여 와이어의 절곡 및 절단, 와이어의 절곡 및 절단 이후의 침체 및 침병의 결합과정을 진행한다.
먼저,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의 파지블록(640)이 하강하여 받침블록(630)에 맞물리고, 이때 도 15와 같이 와이어들(1)의 전단부를 받침블록(630)의 단차홈(631) 및 파지블록(640)의 절곡돌기(641)가 파지하게 된다. 이때,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의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이 상승하여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의 상단부가 침병들(10)의 전단부에 대응된다.
이 상태에서 도 16과 같이 침체절곡부(500)의 절곡 및 커팅부(520)는 하강하여 와이어안착부(510)에 대응되며, 이때 절곡 및 커팅부(520)의 제2 절곡홈(521)에 맞물려서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에 의해 와이어의 일부분은 절곡되며, 이와 동시에 절곡 및 커팅부(520)의 와이어커팅날(522)이 와이어들의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한다. 이후 도 17과 같이 절곡 및 커팅부(520)는 상승한다. 여기서, 와이어들(1)의 절곡된 부분은 와이어가이드부(900)의 뒤로 위치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도 18과 같이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에 연결되어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수단에 의해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후진 동작한다. 이때, 앞서 와이어들(1)의 전단부를 파지하고 있던 파지블록(640) 및 받침블록(630)이 후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침체들(20)은 침병들(10) 측으로 당겨지고, 침병들(10)은 침병 스토퍼용 블록(6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침체들(20)을 따라 당겨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은 침병들(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침병들(10) 내로 삽입된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은 침병(10)의 내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이때 침체(20)의 절곡부분은 탄성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침병(10)의 내경에서 확장되어 침병(10) 내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와이어가이드부(900)의 뒤로 위치한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은 와이어가이드부(9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이 와이어가이드부(900)를 통과할 때 와이어가이드부(900)의 이동부(920)는 제1 승하강장치(930)에 의해 상승하고, 이에 의해 제1 가이드홈(911)은 제2 가이드홈(921)으로부터 이격되어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이 변형 없이 제1 가이드홈(911) 및 제2 가이드홈(921)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침체들(20)의 절곡부분이 통과하면 이동부(920)는 하강된다.
이러한 과정들이 완료되면 와이어의 공급 과정에서 하강하여 팬벨트(1110)를 눌러 침병들(10)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1220)는 상승하고, 침체절곡부(500),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최초 상태로 복귀된다. 즉, 침체절곡부(500)는 이어서 공급되는 와이어들(1)을 다시 절곡 및 절단할 수 있는 처음의 상태로 복귀되고,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는 침체(20)를 당겨서 침체(20)를 침병(10)에 결합할 수 있는 처음의 상태로 복귀된다.
4. 침병의 연마
침체들(20) 및 침병들(10)의 결합이 완료되면 피딩롤(120)은 다시 1피치 회전하여 침체들(20)이 결합된 침병들(10)이 제3 위치 즉, 침병연마부(700)의 앞을 지나도록 침병들(10)을 이동시킨다. 이때, 침병연마부(700)는 동작한다.
피딩롤(120)이 다시 1피치 회전하여 침체들(20)이 결합된 침병들(10)이 제3 위치를 지날 때 각각의 침병(10)의 후단부는 회전하는 연마롤(720)에 대응되고, 도 19와 같이 연마롤(720)은 각각의 침병(10)의 후단부를 연삭하여 각각의 침병(10)의 후단부에 존재하는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연마롤(720)에 의해 연삭되는 각각의 침병(10)은 침병가압롤러(1300)의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침병들(10)의 후단부가 연삭될 때 침병가압롤러(1300)는 팬벨트(1110)를 눌러서 제3 위치를 지나는 각각의 침병(10)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연삭되는 각각의 침병(10)은 침병 삽입홈(121) 내에서 유동 없이 연삭될 수 있다.
5. 침체의 길이 절단
침체들(20)의 연마가 이루어진 후 피딩롤(120)은 다시 1피치 회전하며, 이때 침체절단부(800)가 동작하여 침체들(20)의 전단부를 절단한다.
즉, 피딩롤(120)이 다시 1피치 회전하면 침병들(10)에 결합된 침체들(20)의 전단부는 침체절단부(800)의 고정날(810) 및 절단날(820)의 사이를 지나게 되고, 이때 절단날(820)은 전진 및 후진을 빠르게 반복하면서 도 20과 같이 각각의 침체(20)의 전단부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침체(20)의 전단부의 절단 길이는 미리 설정되며, 그 설정된 길이는 수동조작기구(8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수동조작기구(830)의 스크류(833)를 회전시켜서 침체절단부(800)가 피딩롤(120)의 제1 면과 대향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침체들(20)이 고정날(810) 및 절단날(820)의 사이로 지나갈 대의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수동조작기구(830)를 통해 침체(20)의 절단 길이를 미리 설정하여 장침 또는 단침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6. 결합된 침체 및 침병의 수거
마지막으로, 침병들(10)에 조립된 침체들(20)의 전단부를 일정길이로 잘라주는 절단 공정을 마친 후, 침체와 침병은 피딩롤(120)의 피치 회전시 피딩롤(120)의 하단부까지 이송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팬벨트(1110)의 감김 구간을 지나게 됨에 따라 팬벨트(1110)에 의한 차단이 해제되고, 이에 중력에 의하여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있던 침병(10)이 낙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낙하된 침병 즉, 침체(20)가 삽입 조립 완료된 침병(10)은 수거통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여러 장점이 있다.
(1). 침병공급부(200)를 통해 피딩롤(120)의 침병 삽입홈(121) 내로 공급된 침병들(10)의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제1 침병정렬부(300)가 정렬시키게 되므로 각각의 침병(10)이 각각의 침병 삽입홈(121) 내에 일률적으로 정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공급된 이후의 순차적인 공정들이 오류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2). 침체절곡부(500)의 와이어커팅날(522)이 절곡 및 커팅부(520)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와이어커팅날(522)의 훼손시 침체절곡부(500)의 절곡 및 커팅부(52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와이어커팅날(522)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3). 침체(20)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를 절곡시키는 침체절곡부(500)의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은 역삼각형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침체(20)의 절곡부분의 절곡된 경사각이 좁아지고, 이에 의해 침체(20)의 절곡부분의 탄성력이 증가하며, 결론적으로 침체(20)의 절곡부분이 침병(10) 내에 삽입되면 침체(20) 및 침병(1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4). 피딩롤(12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수단이 서보 인덱스 모터로 이루어지므로 피딩롤(120)을 1피치 회전시킬 때 피딩롤(120)의 1피치 회전 구간을 결정 및 정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센서 또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할 필요 없이 서보 인덱스 모터의 설정만으로 피딩롤(120)을 정확하게 1피치 이동시킬 수 있다.
(5).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에 의해 침체절곡부(500)를 피딩롤(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침체절곡부(500)를 피딩롤(120)로부터 멀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침체절곡부(500)를 보수하는 경우, 예를 들면, 와이어커팅날(52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을 통해 침체절곡부(500)를 피딩롤(120)과 이격시키면 와이어커팅날(522)을 교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침체절곡부(5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6).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회전수카운터기(1040)를 포함하므로 회전수카운터기(1040)에 의해 침체절곡부(500)의 유지보수를 위해 침체절곡부(500)를 피딩롤(120)로부터 멀게 이격시킨 후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 침체절곡부(500)를 정확하게 최초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7). 와이어가이드부(900)는 고정부(910)를 구성하는 블록 및 이동부(920)를 구성하는 블록의 분할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이동부(920)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가이드부(900)의 뒤로 위치하는 침체(20)의 절곡부분을 침병(10) 내로 결합할 때 이동부(920)가 상승하여 침체(20)의 절곡부분이 변형 없이 와이어가이드부(900)를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침체(20)의 절곡부분에 변형이 발생되어 침체(20) 및 침병(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8). 침병연마부(700)가 위치조절부재(740)에 의해 피딩롤(120)과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침병연마부(7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마롤(720)이 침병(10)의 후단부를 연삭하는 정도, 예를 들면, 침병(10)의 후단부의 연삭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침병(10)의 후단부를 정밀하게 연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9). 침체(20)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20) 및 침병(1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팬벨트(1110) 및 침병 삽입홈(121) 내에 위치한 침병(10)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부(1200)가 설치됨에 따라 침체(20)의 형성을 위한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20)의 침병(1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침병(10)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침병(10)이 침병 삽입홈(121)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 없이 와이어의 공급 및 침체(20) 및 침병(10)을 결합하는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10).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할 때 팬벨트(1110) 및 침병(10)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롤러(1300)가 구비되므로 연마롤(720)이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침병(10)이 침병 삽입홈(121) 내에서 유동하는 현상 없이 침병(10)의 후단부를 더욱 원활히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는 침체절단부(800)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침체절단부(800)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침체절단부(800)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침체절단부(800)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메인프레임 120 : 피딩롤
200 : 침병공급부 300 : 침병정렬부
400 : 침체공급부 500 : 침체절곡부
600 : 침체 및 침병 결합부 700 : 침병연마부
800 : 침체절단부 900 : 와이어가이드부
1000 : 침체절곡부 이동수단 1100 : 침병이탈 방지수단
1200 : 침병가압부 1300 : 침병가압롤러

Claims (21)

  1. 원판 형상이고, 상기 원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을 포함하고, 제1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정 피치로 각회전하는 피딩롤(120);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121)으로 침병(10)을 하나씩 공급하는 침병공급부(200);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의 일측 끝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각각의 침병 삽입홈(121) 내에 위치한 각각의 침병(10)의 단부에 대응되어 각각의 침병(10)의 단부를 동일위치로 정렬시키는 제1 침병정렬부(300);
    상기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120)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침체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가 상기 다수의 침병(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들을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상기 다수의 침병(10)을 향해 공급하는 침체공급부(400);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침체공급부(400) 및 상기 원판형 피딩롤(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들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상기 침병(10) 내로 삽입된 와이어들의 길이 중 상기 침병(10)의 단부에 근접한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침체절곡부(500);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판형 피딩롤(120)의 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침체절곡부(500)에 의해 절곡 및 절단되어 형성된 다수의 침체(20)를 상기 침병(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각각의 침체(20)의 절곡부분을 상기 다수의 침병(10)에 결합하는 침체 및 침병 결합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병정렬부(300)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다수의 침병 삽입홈(121)의 대향된 끝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그 이격된 간격은 상기 침병공급부(200)와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절곡부(500)는,
    상기 다수의 침병(10)을 향해 공급된 와이어들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는 와이어안착부(510); 및
    상기 와이어안착부(510)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구동수단(530)과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되고, 상기 와이어안착부(510)를 향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와이어안착부(510)에 안착된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절곡하고 절곡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절곡 및 커팅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안착부(510)는 상기 절곡 및 커팅부(520)에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블록 형상이고, 볼록한 면에는 상기 와이어들의 일부분을 지그재그로 절곡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절곡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및 커팅부(520)는 상기 와이어안착부(510)와 대향하는 면이 오목한 블록 형상이고, 오목한 면에는 상기 제1 절곡홈(511)에 대응하는 제2 절곡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및 커팅부(520)는 와이어커팅날(522)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커팅날(522)은 상기 오목한 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들이 상기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에 의해 절곡되는 동시에 와이어의 절곡 부분의 후단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530)은,
    제1 동력공급부(531);
    상기 제1 동력공급부(5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공급부(531)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축(532);
    상기 원동축(532)에 결합된 편심캠(533); 및
    일단부는 상기 편심캠(533)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절곡 및 커팅부(520)와 연결되어 상기 편심캠(533)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종동축(5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은 서보 인덱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침체절곡부(500)를 상기 피딩롤(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테이블(1010);
    상면부에 상기 침체절곡부(500)가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1010)상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 및
    상기 테이블(10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를 상기 테이블(1010)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이동장치(1030)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저면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1131);
    상기 테이블(1010)의 상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20)의 저면 양측이 안착되는 한 쌍의 레일부(1132);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1131)에 결합된 스크류(1133); 및
    상기 스크류(1133)를 회전시키는 핸들(1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절곡부 이동수단(1000)은,
    상기 스크류(1133)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회전수카운터기(10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카운터기(1040)는 상기 스크류(1133)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1131)을 상기 피딩롤(120)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감소하는 회전수를 나타내고, 상기 스크류(1133)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1131)을 상기 피딩롤(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증가하는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홈(511) 및 제2 절곡홈(521)은 역삼각형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120) 및 상기 침체절곡부(5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침체공급부(400)를 통해 상기 와이어들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다수의 침병(10) 내로 정확히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부(900)는,
    블록 형태이고,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평행한 면에 반원 형상의 제1 가이드홈(911)이 형성된 고정부(910);
    블록 형태이고, 상기 고정부(910)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911)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911)의 반원 형상에 대칭되는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홈(921)이 형성된 이동부(920); 및
    상기 이동부(920)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920)를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 승하강장치(9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920)는 평상시 상기 고정부(910)에 대응되어 있고, 상기 침체(20)의 절곡부분을 상기 침병(10)에 결합할 때 상기 제1 승하강장치(930)에 의해 상기 이동부(920)는 상기 고정부(910)로부터 이격된 후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120)의 회전방향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1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하기 위한 침병연마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연마부(700)는,
    제2 동력공급부(710); 및
    상기 제2 동력공급부(7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공급부(710)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피딩롤(120)에 인접하여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연마롤(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연마부(700)는, 상기 연마롤(720)이 상기 다수의 침병(10)의 후단부를 연마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마롤(7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7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피딩롤(120)이 회전할 때 상기 침병 삽입홈(121) 내에 상기 다수의 침병(1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이탈 방지수단(1100)은,
    상기 침병 삽입홈(121)에 다수의 침병(10)이 삽입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침병(10)에상기 침체(20)의 조립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피딩롤(120)의 상기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을 덮는 팬벨트(1110); 및
    상기 팬벨트(1110)의 연장된 길이를 안내하며 상기 팬벨트(1110)를 지지하고 있는 팬벨트 안내롤러들(1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120)의 상기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딩롤(120)이 회전하여 상기 다수의 침병(10)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한 경우 상기 팬벨트(1110)를 눌러서 상기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부(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가압부(1200)는,
    상기 와이어들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승하강장치(1210); 및
    상기 제2 승하강장치(12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승하강장치(1210)에 의해 상기 피딩롤(120)을 향해 하강하여 상기 팬벨트(1110) 및 상기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치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피딩롤(120)의 상기 침병 삽입홈(121)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팬벨트(1110)를 눌러서 상기 제3 위치를 지나는 다수의 침병(10)을 가압하는 침병가압롤러(1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KR1020150121506A 2015-08-28 2015-08-28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KR10158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506A KR101589516B1 (ko) 2015-08-28 2015-08-28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506A KR101589516B1 (ko) 2015-08-28 2015-08-28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516B1 true KR101589516B1 (ko) 2016-01-28

Family

ID=5530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506A KR101589516B1 (ko) 2015-08-28 2015-08-28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6312A (zh) * 2018-05-25 2018-08-17 浙江益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型胰岛素注射器生产流水线
CN108817976A (zh) * 2018-07-16 2018-11-16 昆山市品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将端子装入壳体的设备
KR101941240B1 (ko) * 2018-04-17 2019-01-22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한방침 제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386A (ja) * 1993-01-28 1995-02-14 Centre Natl Etud Telecommun (Ptt) 安全確保されたファクシミリの送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76934B1 (ko) * 2000-12-07 2003-03-26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KR200415617Y1 (ko) 2006-02-24 2006-05-04 정하철 침관에 침을 삽입하는 장치
KR101292298B1 (ko) * 2012-04-23 2013-08-02 (주)라바기업 일회용 침 싱글 자동조립장치
KR101357293B1 (ko) * 2012-11-12 2014-01-29 (주)라바기업 침체와 침병을 자동 조립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386A (ja) * 1993-01-28 1995-02-14 Centre Natl Etud Telecommun (Ptt) 安全確保されたファクシミリの送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76934B1 (ko) * 2000-12-07 2003-03-26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KR200415617Y1 (ko) 2006-02-24 2006-05-04 정하철 침관에 침을 삽입하는 장치
KR101292298B1 (ko) * 2012-04-23 2013-08-02 (주)라바기업 일회용 침 싱글 자동조립장치
KR101357293B1 (ko) * 2012-11-12 2014-01-29 (주)라바기업 침체와 침병을 자동 조립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40B1 (ko) * 2018-04-17 2019-01-22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한방침 제조 장치
CN108406312A (zh) * 2018-05-25 2018-08-17 浙江益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型胰岛素注射器生产流水线
CN108817976A (zh) * 2018-07-16 2018-11-16 昆山市品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将端子装入壳体的设备
CN108817976B (zh) * 2018-07-16 2023-12-15 昆山市品一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将端子装入壳体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516B1 (ko)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KR101618206B1 (ko) 한방침용 침병 및 침체의 자동 조립장치
US8506295B2 (en) File for working on the interproximal space in orthodontics as well as in conservative treatments and prophylaxis of teeth and relative device able to see connected to an oscillating handpiece
EP178896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enamel from a person's tooth
CN102574292A (zh) 与建筑镶板的边缘加工相关的方法和设备
US2008025440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Scaler Tip Using Powder Injection Molding Process, Mold Used Therein and Scaler Tip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0942191B1 (ko) 석판 가공 장치 및 가공 방법
KR101140928B1 (ko) 교정기용 롤 연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정 장치
US20130183636A1 (en) Rotary dental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337204B2 (en) Rotary dental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274312B2 (ja) 研磨加工装置、研磨加工方法および溶融金属めっき浴中ロールの製造方法
CN104771206A (zh) 手术刀片和手术刀的加工方法
CN209551398U (zh) 一种机器人抛光工作站
US20070042323A1 (en) Grinder guard
US20210053171A1 (en) A tool, a tool assembly and an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edge of a knife
KR101182679B1 (ko) 블레이드 연삭기
AT507504B1 (de) Verstellbares bandschleifwerkzeug
US20070042324A1 (en) Grinder guard
JP2010099774A (ja) 粉末成形体のバリ取り方法とバリ取り用ブラシ
CN101259489B (zh) 不锈钢手表旋钮手柄花枝拉拔的方法及模具组件
CN208068001U (zh) 一种珩磨机的上料校准装置
US20090094903A1 (en) Profiling tool using ultra-hard sintered body and elastic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217118625U (zh) 牙模固定底托、牙模组件、工装组件、用于牙模的打标机
CN213532173U (zh) 一种片材的打磨针装置
KR102358210B1 (ko) 연마패드의 연마 성능 평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연마패드의 연마 성능 평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