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53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053B1
KR101941053B1 KR1020120140684A KR20120140684A KR101941053B1 KR 101941053 B1 KR101941053 B1 KR 101941053B1 KR 1020120140684 A KR1020120140684 A KR 1020120140684A KR 20120140684 A KR20120140684 A KR 20120140684A KR 101941053 B1 KR101941053 B1 KR 10194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air conditioning
blower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033A (ko
Inventor
한중만
이준강
한영흠
김두훈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블로어 케이스와 공조 케이스의 상호 조립 시 별도의 뒤집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블로어 케이스와 공조 케이스를 용이하게 체결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 유닛과,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블로어케이스 내부에 블로어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를 서로 체결시키는 클램프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블로어케이스와 공조케이스 간의 조립 시 별도의 뒤집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련의 고정 작업이 단순한 구조로 구현되며 조립 방법이 간단할 뿐 아니라,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구별된다.
도 1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블로어 유닛(10) 및 공조 유닛(40)으로 구성된다. 블로어 유닛(10)은 블로어 케이스(19)와, 내,외기 전환도어(23) 및 블로어(35)를 구비한다. 블로어 케이스(19)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21)(22)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23)는 내,외기 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35)는 내,외기 유입구(21)(2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공조 유닛(40)은 공조 케이스(49)와,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49)는 블로어 유닛(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다.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는 공조 케이스(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3)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9)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고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 경우, 공조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블로어 케이스(19)와 공조 케이스(49)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공조 케이스(49)의 공기유입구 부위와 블로어 케이스(19)의 공기배출구 부위를 서로 스크류 체결부(80)로 연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진다. 즉, 블로어 케이스(19)와 공조 케이스(49)는 상부 방향에서 스크류 체결부(80)로 서로 체결되어 있고, 반대 방향인 하부 방향에서도 동일하게 스크류 체결부(80)로 서로 체결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케이스(19)와 공조 케이스(49)의 상호 체결이 있어서, 상측에 스크류 체결을 수행한 후 다시 공조장치 전체를 뒤집어 하측에 스크류 체결을 수행함에 따라, 무거운 공조장치 전체를 뒤집는 공정이 난해하고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로어 케이스와 공조 케이스의 상호 조립 시 별도의 뒤집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블로어 케이스와 공조 케이스를 용이하게 체결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 유닛과,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블로어케이스 내부에 블로어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를 서로 체결시키는 클램프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케이스와 공조케이스 간의 조립 시 별도의 뒤집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련의 고정 작업이 단순한 구조로 구현되며 조립 방법이 간단할 뿐 아니라,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부재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부재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부재가 제2 연장부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부재가 제2 연장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클램프 부재가 제1 연장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블로어 유닛(110) 및 공조 유닛(140)으로 구성된다. 블로어 유닛(110)은 블로어 케이스(119)와, 내,외기 전환도어(123) 및 블로어(135)를 구비한다. 블로어 케이스(119)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121)(122)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123)는 내,외기 유입구(121)(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135)는 내,외기 유입구(121)(12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공조 유닛(140)은 공조 케이스(149)와,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서 냉각 수단은 증발기(141)이며, 가열 수단은 히터코어(142)로 구성된다. 공조 케이스(149)는 블로어 유닛(1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1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144)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증발기(141) 및 히터코어(142)는 공조 케이스(149)의 내부 공기 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141)와 히터코어(142)의 사이에는 증발기(1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1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14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123)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1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149)를 따라 증발기(141)를 통과하게 하고 온도조절도어(1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1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1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클램프 모듈(200)을 구비한다. 클램프 모듈(200)은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를 서로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모듈(200)은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체결 부위 중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를 상측에서 고정한 후 하측을 고정하기 위해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뒤집는 공정을 행하지 않고도 클램프 모듈(200)을 통해 원-터치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프 모듈(200)은 제1 연장부(250)와, 제2 연장부(210) 및 클램프 부재(260)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250)는 블로어케이스(119)와 대면하는 공조케이스(149)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연장부(250)는 걸림턱(253)을 구비한다. 걸림턱(253)은 블로어케이스(119)와 대면하는 제1 연장부(250)의 반대 측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2 연장부(210)는 제1 연장부(250)와 대면하는 블로어케이스(119)의 단부 측에 형성되며, 제1 핀(211)을 구비한다. 제1 핀(211)은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결합 방향에 대해 좌우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클램프 부재(260)는 일 측이 제1 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에 후크부(267)를 구비한다. 후크부(267)는 걸림턱(253)에 걸려 고정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즉, 클램프 부재(260)는 제1 핀(211)에 연결된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피봇 축인 제1 핀(211)과 반대 측에 형성된 후크부(267)가 컬림턱(253)에 접근되게 회전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260)에 소정의 힘을 더 가하면 후크부(267)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턱(253)에 걸려, 클램프 부재(260)의 양측이 제1 연장부(250)와 제2 연장부(21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블로어케이스(119)가 공조케이스(149)에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제1 핀(211)은 제1 돌설 축(212)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1 돌설 축(212)은 제2 연장부(21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핀(211)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1 돌설 축(212)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클램프 부재(260)에는 회전용 슬롯(261)이 형성된다. 회전용 슬롯(261)은 제1 핀(211)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핀(211)과 대응되는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용 슬롯(261)은 제1 핀(211)에 삽입된 상태로 제1 돌석 축(212)에 대해 유격을 가져 소정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클램프 부재(260)가 제1 돌설 축(2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연장부(210)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기부(221,222)가 형성된다. 돌기부(221,222)는 각각 클램프 부재(26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90°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구 형태로 제2 연장부(210)의 측면에서 미세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260)에는 위치고정 홀(262)(263)이 3개 형성된다. 위치고정 홀(262)(263)은 각각 클램프 부재(26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90° 각도 이격되게 배치된다. 위치고정 홀(262)(263)은 제1 핀(211)과 회전용 슬롯(261)이 편심된 상태에서 돌기부(221,222)에 끼워져 클램프 부재(260)를 제2 연장부(210)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하나의 위치고정 홀(262)은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의 체결 방향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며, 다른 두 개의 위치고정 홀(263)은 클램프 부재(260)에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핀(21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한 쌍이 형성되고, 클램프 부재(260)는 후크부(267)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클램프 부재(26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위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제1 핀(211)에 끼워짐으로써, 클램프 부재(260)를 제2 연장부(2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연장부(250)는 제2 핀(251)을 구비한다. 제2 핀(251)은 제2 돌설 축(252)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2 돌설 축(252)은 제1 연장부(25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핀(251)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2 돌설 축(252)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클램프 부재(260)는 고정용 슬롯(264)을 구비한다. 고정용 슬롯(264)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요입 형성되어, 클램프 부재(260)가 회전되어 후크부(267)가 걸림턱(253)에 고정될 때 제2 핀(251)에 걸려 삽입된다. 즉, 고정용 슬롯(264)은 제2 돌설 축(252)에 끼워진 상태로 제2 핀(251)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 간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크부(267)의 양측에는 살빼기부(266)가 형성되며, 돌기부(221,222)의 양측에는 각각 살빼기부(230)가 형성된다. 살빼기부(230,266)는 각각 위치고정 홀(263)이 돌기부(221,222)에 고정될 때 및 후크부(267)가 걸림턱(253)에 고정될 때, 자체 탄성력을 증대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원가절감 및 하중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260)에는 위치고정 홀(263)을 따라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위한 요입부(26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에 따른 작동 예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에 가 조립된다. 이 상태는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가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며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의 상측에서만 고정이 완료된 상태로서,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를 뒤집지 않고 클램프 모듈(200)을 이용하여 하측까지 완전한 고정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블로어케이스(119)와 공조케이스(149)를 조립하기 이전에 먼저 클램프 부재(260)를 블로어케이스(119)에 조립한다. 즉, 클램프 부재(260)의 양측을 벌려 회전용 슬롯(261)에 제1 핀(211)을 끼운다. 클램프 부재(26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측이 다시 오므라지면 회전용 슬롯(261)은 제1 돌설 축(212)에 유격을 가진 상태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클램프 부재(260)를 전진시키면, 도 8과 같이 위치고정 홀(263)에 돌기부(221)(222)가 끼워져 클램프 부재(260)는 블로어케이스(119)에 고정된다.
이때, 제1 핀(211)과 회전용 슬롯(261)이 편심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위치고정 홀(263)에 돌기부(221)(222)가 고정되므로, 클램프 부재(260)는 블로어케이스(119)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일련의 고정 작업이 단순한 구조로 구현되며 조립 방법이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후에, 공조케이스(149)를 블로어케이스(119)에 조립하고,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클램프 부재(26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위치고정 홀(263)에 돌기부(221)(222)가 빠진 상태로 클램프 부재(260)는 회전되며, 조금 더 클램프 부재(260)가 회전된 상태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후크부(267)가 걸림턱(253)에 걸려 공조케이스(149)를 블로어케이스(119)에 완전히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용 슬롯(264)에는 제2 핀(251)이 끼워지고, 돌기부(221)(222)는 인접하는 다른 위치고정 홀(263)에 끼워져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9 : 블로어케이스
149 : 공조케이스 200 : 클램프 모듈
210 : 제2 연장부 211 : 제1 핀
212 : 제1 돌설 축 221,222 : 돌기부
230,266 : 살빼기부 250 : 제1 연장부
251 : 제2 핀 252 : 제2 돌설 축
253 : 걸림턱 260 : 클램프 부재
261 : 회전용 슬롯 262,263: 위치고정 홀
264 : 고정용 슬롯 267 : 후크부

Claims (7)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49)와,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 유닛(140); 및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블로어케이스(119) 내부에 블로어(135)를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1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를 서로 체결시키는 클램프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200)은: 상기 블로어케이스(119)와 대면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53)을 갖는 제1 연장부(250); 상기 제1 연장부(250)와 대면하는 블로어케이스(119)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제1 핀(211)을 갖는 제2 연장부(210); 및 일 측이 상기 제1 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걸림턱(253)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267)를 갖는 클램프 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핀(211)은 상기 제2 연장부(21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형의 제1 돌설 축(212)의 단부에 상기 제1 돌설 축(212)보다 큰 단면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부재(260)에는 상기 제1 핀(211)이 삽입 가능한 회전용 슬롯(261)이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260)가 제1 돌설 축(2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210)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1,222)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부재(260)에는 상기 제1 핀(211)과 회전용 슬롯(261)이 편심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221,222)에 끼워져 상기 클램프 부재(260)를 제2 연장부(210)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 홀(2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49)와,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 유닛(140); 및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블로어케이스(119) 내부에 블로어(135)를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1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를 서로 체결시키는 클램프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200)은: 상기 블로어케이스(119)와 대면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53)을 갖는 제1 연장부(250); 상기 제1 연장부(250)와 대면하는 블로어케이스(119)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제1 핀(211)을 갖는 제2 연장부(210); 및 일 측이 상기 제1 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걸림턱(253)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267)를 갖는 클램프 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핀(21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부재(260)는 상기 후크부(267)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 부재(26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위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제1 핀(21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49)와,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조 유닛(140); 및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블로어케이스(119) 내부에 블로어(135)를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1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의 체결 부위 중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어, 원-터치 구조로 상기 공조케이스(149)와 블로어케이스(119)를 서로 체결시키는 클램프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200)은: 상기 블로어케이스(119)와 대면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49)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53)을 갖는 제1 연장부(250); 상기 제1 연장부(250)와 대면하는 블로어케이스(119)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제1 핀(211)을 갖는 제2 연장부(210); 및 일 측이 상기 제1 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걸림턱(253)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267)를 갖는 클램프 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250)는 제2 핀(251)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260)는 상기 후크부(267)가 걸림턱(253)에 고정될 때 상기 제2 핀(251)에 걸려 삽입되는 고정용 슬롯(2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67)의 양측 및 상기 돌기부(221,222)의 양측에는 자체 탄성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살빼기부(230)(26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140684A 2012-12-06 2012-12-06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84A KR101941053B1 (ko) 2012-12-06 2012-12-0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84A KR101941053B1 (ko) 2012-12-06 2012-12-0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33A KR20140073033A (ko) 2014-06-16
KR101941053B1 true KR101941053B1 (ko) 2019-01-23

Family

ID=5112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684A KR101941053B1 (ko) 2012-12-06 2012-12-0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09U (ja) * 1991-10-08 1993-04-30 株式会社ビーシー製作所 クランプ装置
KR19980046215U (ko) * 1996-12-23 1998-09-25 김욱한 에어컨시스템의 모듈케이스 결합구조
KR101500001B1 (ko) * 2009-10-07 2015-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조립장치
KR101590485B1 (ko) * 2009-12-09 2016-02-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33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615B2 (en) Blower for vehicle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90197517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temperature-adjusting door
JP2008265437A (ja) 車両空調装置用吹出しモードドア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空調装置
KR100885556B1 (ko) 공기 조화기
US1021407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339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10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22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51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828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8830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JP6363535B2 (ja) 開閉ドア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20240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7096B1 (ko)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KR10126605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90115243A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KR10119979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22382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9844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센터피봇도어의 조립구조
JP2003285623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組付構造
KR1021704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939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