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01B1 - 자동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01B1
KR101940601B1 KR1020180045516A KR20180045516A KR101940601B1 KR 101940601 B1 KR101940601 B1 KR 101940601B1 KR 1020180045516 A KR1020180045516 A KR 1020180045516A KR 20180045516 A KR20180045516 A KR 20180045516A KR 101940601 B1 KR101940601 B1 KR 10194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microcapsule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묵
Original Assignee
최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묵 filed Critical 최창묵
Priority to KR102018004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화약제 탱크는 청정소화약제가 마이크로 크기의 외피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연소 열에 의한 외피 파열로 청정소화약제를 분출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다량으로 저장한다. 분사헤드는 방호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소화 호스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들을 공급받아 분사한다. 탱크 밸브는 소화 호스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캡슐의 흐름을 개폐한다. 가압용 가스용기는 소화약제 탱크로 가스 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함에 따라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분사헤드로 압송한다. 가스용기 밸브는 가압 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개폐한다. 제어기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분사헤드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분사시키도록 탱크 밸브 및 가스용기 밸브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자동 소화시스템{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 등의 방호 구역 화재시 자동으로 진화할 수 있는 자동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sprinkler) 또는 다른 수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구역방호를 위해 이용되지만, 비수계 소화시스템은 소화수로 인한 손실이 우려되거나 급박한 위험 제거가 필요한 곳의 방호에 이용된다. 예컨대, 옥내/지하 변전소는 주요 설비가 옥내 또는 건물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변전소를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변전소의 방호를 위해 비수계 소화시스템이 이용된다.
한편, 비수계 소화시스템용 소화약제로는 할론(halon)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할론이란 할로겐화 탄화수소(hakogenated Hydrocarbon)의 약칭으로 탄소 또는 탄화수소의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물질을 통칭한다.
그런데, 할론은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적고 소화 후에 잔사를 남기지 않으며 소화 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이기도 하여, 지구의 오존층 보호를 위한 1987년 몬트리얼 협정에 따라 1994년부터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생산이 이미 중단되었고, 한국 등에서도 2010년부터 생산 및 수입 금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할론의 필요시 보충 또는 교체가 곤란하여, 대체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방호 구역 화재시 친환경적인 방식을 통해 자동으로 초기 진화할 수 있는 자동 소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시스템은 화재 감지기와, 소화약제 탱크와, 분사헤드와, 탱크 밸브와, 가압용 가스용기와, 가스용기 밸브,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소화약제 탱크는 청정소화약제가 마이크로 크기의 외피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연소 열에 의한 외피 파열로 청정소화약제를 분출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다량으로 저장한다. 분사헤드는 방호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소화 호스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들을 공급받아 분사한다. 탱크 밸브는 소화 호스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캡슐의 흐름을 개폐한다. 가압용 가스용기는 소화약제 탱크로 가스 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함에 따라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분사헤드로 압송한다. 가스용기 밸브는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개폐한다. 제어기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분사헤드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분사시키도록 탱크 밸브 및 가스용기 밸브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할론을 대체하여 오존층 파괴의 우려가 없는 청정소화약제를 방호 구역 화재시 자동으로 방출시켜 발화원을 소화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신속한 초기 진화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소화시스템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분사헤드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이 분사되어 소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분사헤드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소화시스템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분사헤드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이 분사되어 소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소화시스템(100)은 화재 감지기(110)와, 소화약제 탱크(120)와, 분사헤드(130)와, 탱크 밸브(140)와, 가압용 가스용기(150)와, 가스용기 밸브(160), 및 제어기(170)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기(110)는 방호 구역(101)에 설치되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방호 구역(101)은 변전소의 주요 설비가 설치되는 방호 구역에 해당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10)는 방호 구역(101)의 천장에 화재감지 영역별로 배치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10)는 열화상 카메라(111)와 연기 센서(smoke sensor, 112)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10)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제공되며, 제어기(170)는 열화상 카메라(111)와 연기 센서(112)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11)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감지하여 영상화시켜 주는 카메라이다. 열화상 카메라(111)는 방호 구역(101)의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11)는 방호 구역(101)의 온도 정보를 감지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기(17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열화상 카메라(111)로부터 감지된 방호 구역(101)의 온도가 설정 온도값 이상이면, 화재발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기 센서(112)는 연소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연기 센서(112)로는 광전식 또는 이온식 연기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광전식 연기 센서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가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을 산란시켜 수광소자의 수광량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한다. 이온식 연기 센서는 연소 생성 입자를 이온 전류의 변화로 포착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한다.
연기 센서(112)는 방호 구역(101)의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연기 센서(112)는 방호 구역(101)의 연기발생 여부를 감지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기(17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연기 센서(112)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연기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70)는 열화상 카메라(111)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함께 연기 센서(112)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발생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소화약제 탱크(120)는 마이크로 캡슐(121)을 다량으로 저장한다. 마이크로 캡슐(121)은 청정소화약제(121a)가 마이크로 크기의 외피(121b)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연소 열에 의한 외피(121b) 파열로 청정소화약제(121a)를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 캡슐(121)은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10㎛~15㎛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청정소화약제(121a)는 할로겐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청정소화약제(121a)는 트리플루오로메탄(trifluoromethane, HFC-23)로 이루어지거나, 펜타플루오로에탄(pentafluorethane, HFC-125)으로 이루어지거나, 트리플루오로이오다이드(trifluoroiodide, FIC-13I1)로 이루어지거나, 2-요오드-1,1,1,2,3,3,3-헵타플루오루프로판(heptafluoropropane)(HFC-227ea)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물질로서, 할론을 대체할 수 있게 한다.
외피(121b)는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외피(121b)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Polyisocyanates prepolymer)에 기반하는 폴리우레아(polyurea)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121b)는 110℃~130℃ 온도에서 파열될 수 있는 얇은 두께로 설정된다.
마이크로 캡슐(121)은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에 의해 110℃~130℃의 열을 받으면, 외피(121b)가 파열되어 외피(121b) 내의 청정소화약제(121a)가 분출된다. 이때, 청정소화약제(121a)는 가스 형태로 분출되어 발화원을 포위하여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발화원의 불을 끌 수 있게 된다. 외피(121b) 내의 청정소화약제(121a)가 액상 또는 고상인 경우, 열에 의해 기화되어 가스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또한, 청정소화약제(121a)는 원소가 열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며, 자유 라디칼은 불의 속도론적 연쇄길이를 줄여 수 초 내에 불을 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캡슐(121)은 화재발생시 방호 구역(101)에 분사되어 작동 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스스로 작동하여 소화를 시작하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분사헤드(130)는 방호 구역(101)의 천장에 설치되어 소화약제 탱크(120)로부터 소화 호스(136)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공급받아 분사한다. 분사헤드(130)는 천장에 고정되는 방식인 경우, 방호 구역(101)에 고르게 다수 배열될 수 있다. 분사헤드(130)는 소화 호스(136)를 통해 공급된 마이크로 캡슐(121)을 노즐들을 통해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화 호스(136)는 소화약제 탱크(120)에 연결된 메인 소화 호스(136a)와, 메인 소화 호스(136a)로부터 분기되어 분사헤드(130)들과 연결되는 분기 소화 호스(136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 소화 호스(136b)들에는 선택 밸브(137)들이 각각 설치되어 해당 분사헤드(130)에 대한 마이크로 캡슐(121)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방호 구역(101)의 발화원 위치 및 규모에 따라 마이크로 캡슐(121)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 밸브(137)들은 전기식으로 개폐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 밸브(137)들의 각 개폐 동작은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된다.
탱크 밸브(140)는 소화 호스(136)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캡슐(121)의 흐름을 개폐한다. 즉, 탱크 밸브(140)는 폐쇄 동작시 소화약제 탱크(120)로부터 배출된 마이크로 캡슐(121)이 분사헤드(130)로 공급되지 않게 한다. 탱크 밸브(140)는 개방 동작시 소화약제 탱크(120)로부터 배출된 마이크로 캡슐(121)이 분사헤드(130)로 공급되게 한다. 탱크 밸브(140)는 메인 소화 호스(136a)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 밸브(14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 밸브(140)의 개폐 동작은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된다.
가압용 가스용기(150)는 소화약제 탱크(120)로 가스 공급관(156)을 통해 가스를 공급함에 따라 소화약제 탱크(120)로부터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헤드(130)로 압송한다. 가압용 가스용기(150)는 질소가스 등의 압력가스를 저장한다. 가압용 가스용기(150)의 가스 배출구는 가스 공급관(156)에 의해 소화약제 탱크(120)의 가스 유입구와 연결된다.
가압용 가스용기(150)는 저장된 압축가스를 소화약제 탱크(120)로 공급하여 소화약제 탱크(120)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소화약제 탱크(120) 내의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헤드(130)로 압송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른 예로, 가압용 가스용기(150)가 생략되는 대신, 소화약제 탱크(120)가 축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약제 탱크(120)는 내부에 압력가스가 미리 채워져 내부 압력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헤드(130)로 압송할 수 있다.
가스용기 밸브(160)는 가스 공급관(156)에 설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개폐한다. 즉, 가스용기 밸브(160)는 폐쇄 동작시 가압용 가스용기(150)로부터 배출된 압력가스가 소화약제 탱크(120)로 공급되지 않게 한다. 가스용기 밸브(160)는 폐쇄 동작시 가압용 가스용기(150)로부터 배출된 압력가스가 소화약제 탱크(120)로 공급되게 한다. 가스용기 밸브(16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용기 밸브(160)의 개폐 동작은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170)는 화재 감지기(1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분사헤드(130)로부터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시키도록 탱크 밸브(140) 및 가스용기 밸브(160)를 제어한다. 제어기(170)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스용기 밸브(160)를 개방 동작시켜 가압용 가스용기(150) 내의 압축가스를 소화약제 탱크(120)로 공급하고, 탱크 밸브(140)를 개방 동작시켜 소화약제 탱크(120) 내의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헤드(130)로 압송함으로써, 분사헤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자동 소화시스템(100)은 화재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싸이렌(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소화시스템(100)은 방호 구역(101)에 대한 마이크로 캡슐(121)의 분사 상태를 표시하는 분사 표시램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표시램프(103)는 평상시에 점멸되어 있다가, 마이크로 캡슐(121)이 방호 구역(101)으로 분사될 때 점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싸이렌(102)을 동작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가스용기 밸브(160) 및 탱크 밸브(140)를 개방 동작시킴과 아울러 분사 표시램프(103)를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헤드(130)는 이송기구(180)에 의해 방호 구역의 천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170)는 화재 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치를 판단해서 분사헤드(130)를 화재 발생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이송기구(180)를 제어한다.
즉, 화재 감지기(110)와 분사헤드(130)의 위치 좌표는 제어기(170)에 미리 입력된다. 제어기(170)는 화재감지 영역별로 설치된 화재 감지기(110)들 중 화재발생을 감지한 화재 감지기(11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화재 감지기(110)의 위치로 분사헤드(130)를 이송시키도록 이송기구(18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수의 분사헤드(130)로도 방호 구역(101)의 진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기구(180)는 분사헤드(130)를 장착하는 이송블록(181)과, 이송블록(181)을 X축 방향을 따라 수평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182), 및 X축 이송부(182)를 Y축 방향을 따라 수평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이송부(182)는 이송블록(181)의 X축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X축 가이드레일과, 이송블록(181)을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Y축 이송부(183)는 X축 가이드레일을 Y축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Y축 가이드레일과, X축 가이드레일을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X축 액추에이터 및 Y축 액추에이터의 각 구동은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된다. X축 액추에이터 및 Y축 액추에이터는 통상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X축 액추에이터 및 Y축 액추에이터는 전동기와 기어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 호스(1)는 분사헤드(130)가 설정 범위로 이송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플랙시블한 형태로 분사헤드(130)의 이송에 따라 호스 가이드 레일 등의 안내를 받아 접히고 펼쳐질 수 있다.
이송기구(180)는 변전소의 천장에 설치되어 물건을 옮기는 천장 크레인에 해당할 수 있다. 천장 크레인은 호이스트(hoist)에 물건을 매달아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호이스트는 전동기, 감속 장치, 와인딩 드럼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후크(hook)를 장착하여 권상용 로프를 감아 올려 물건을 들어 올리는 기계이다. 분사헤드(130)는 천장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장착되어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수평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변전소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천장 크레인을 활용하여 분사헤드(130)를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 소화시스템(1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자동 소화시스템(100)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감지기(110)는 방호 구역(101)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제어기(170)로 제공한다. 이때, 열화상 카메라(111)는 방호 구역(101)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제어기(170)로 제공하며, 연기 센서(112)는 방호 구역(101)의 연기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제어기(170)로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방호 구역(101)에 화재가 발생하면, 방호 구역(101)의 온도가 상승하고, 연소에 의한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기(170)는 열화상 카메라(111)를 통해 방호 구역(101)의 온도가 설정 온도값이 이상인 것으로 감지하고 연기 센서(112)를 통해 방호 구역(101)에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기(170)는 가스용기 밸브(160)를 개방 동작시켜 가압용 가스용기(150) 내의 압축가스를 소화약제 탱크(120)로 공급하고, 탱크 밸브(140)를 개방 동작시켜 소화약제 탱크(120) 내의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분사헤드(130)로 압송한다. 그러면, 마이크로 캡슐(121)들은 분사헤드(130)를 통해 방호 구역(101)으로 분사된다. 이와 함께, 제어기(170)는 싸이렌(102)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분사 표시램프(103)를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분사헤드(130)가 이송기구(180)에 의해 이송 가능하게 된 경우, 제어기(170)는 화재 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치를 판단해서 분사헤드(130)를 화재 발생 위치로 이송시킨 후, 분사헤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121)들을 방호 구역(101)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방호 구역(101)으로 분사된 마이크로 캡슐(121)들은 연소 열에 의해 외피(121b)가 파열되어 외피(121b) 내의 청정소화약제(121a)를 가스 형태로 분출시킨다. 이때, 가스 형태의 청정소화약제(121a)는 발화원을 포위하여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발화원의 불을 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 소화시스템(100)에 의하면, 할론을 대체하여 오존층 파괴의 우려가 없는 청정소화약제(121a)를 방호 구역(101) 화재시 자동으로 방출시켜 발화원을 소화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신속한 초기 진화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화재 감지기 111..열화상 카메라
112..연기 센서 120..소화약제 탱크
121..마이크로 캡슐 130..분사헤드
140..탱크 밸브 150..가압용 가스용기
160..가스용기 밸브 170..제어기
180..이송기구

Claims (3)

  1. 방호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감지하여 영상화시킴에 따라 방호 구역의 온도 정보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연소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를 구비하는 화재 감지기;
    청정소화약제가 마이크로 크기의 외피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연소 열에 의한 외피 파열로 청정소화약제를 분출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다량으로 저장한 소화약제 탱크;
    상기 방호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소화 호스를 통해 마이크로 캡슐들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헤드;
    상기 소화 호스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캡슐의 흐름을 개폐하는 탱크 밸브;
    상기 소화약제 탱크로 가스 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탱크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상기 분사헤드로 압송하는 가압용 가스용기;
    상기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흐름을 개폐하는 가스용기 밸브; 및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사헤드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들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탱크 밸브 및 가스용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10㎛~15㎛의 외경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정소화약제는 트리플루오로메탄(trifluoromethane, HFC-23)와, 펜타플루오로에탄(pentafluorethane, HFC-125)와, 트리플루오로이오다이드(trifluoroiodide, FIC-13I1)와, 2-요오드-1,1,1,2,3,3,3-헵타플루오루프로판(heptafluoropropane, HFC-227ea)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Polyisocyanates prepolymer)에 기반하는 폴리우레아(polyurea)로 이루어지고, 110℃~130℃ 온도에서 파열될 수 있는 얇은 두께로 설정되며;
    상기 분사헤드는 후크를 장착한 권상용 로프를 전동기와 감속 장치와 와인딩 드럼에 의해 감아 올리도록 구성된 호이스트에 장착되고, 호이스트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천장 크레인에 의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방호 구역의 천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치를 판단해서 상기 분사헤드를 화재 발생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천장 크레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5516A 2018-04-19 2018-04-19 자동 소화시스템 KR10194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6A KR101940601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6A KR101940601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601B1 true KR101940601B1 (ko) 2019-04-10

Family

ID=6616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16A KR101940601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5631A (zh) * 2019-09-27 2019-12-17 芜湖中集瑞江汽车有限公司 一种罐箱消防安全装置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20230155778A (ko) * 2022-05-04 2023-11-13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350A (ja) * 2006-05-31 2007-12-13 Vision Development Co Ltd 消火材料及びこの消火材料を用いた消火装置及び前記消火材料を用いた消火方法
KR20090072589A (ko) * 2007-12-28 2009-07-02 김인식 함체에 적용되는 자동 소화 장치
JP2012055575A (ja) * 2010-09-10 2012-03-22 Hatsuta Seisakusho Co Ltd 選択弁の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消火システム、並びに選択弁の駆動方法
KR200482283Y1 (ko) * 2016-05-31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기동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350A (ja) * 2006-05-31 2007-12-13 Vision Development Co Ltd 消火材料及びこの消火材料を用いた消火装置及び前記消火材料を用いた消火方法
KR20090072589A (ko) * 2007-12-28 2009-07-02 김인식 함체에 적용되는 자동 소화 장치
JP2012055575A (ja) * 2010-09-10 2012-03-22 Hatsuta Seisakusho Co Ltd 選択弁の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消火システム、並びに選択弁の駆動方法
KR200482283Y1 (ko) * 2016-05-31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기동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0217B1 (ko) 2019-01-18 2021-03-2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75631A (zh) * 2019-09-27 2019-12-17 芜湖中集瑞江汽车有限公司 一种罐箱消防安全装置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20230155778A (ko) * 2022-05-04 2023-11-13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KR102664862B1 (ko) * 2022-05-04 2024-05-08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601B1 (ko) 자동 소화시스템
US10398915B2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KR101998280B1 (ko)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ES2685512T3 (es) Instalación para la extinción o inertización con un agente de extinción sintético líquido
CN112912148A (zh) 用于船舶运输用集装箱内部灭火的管式灭火设备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JP2005185835A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特に航空機の貨物室での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JP2702275B2 (ja) 消火装置
JP3179000U (ja) 自動消火装置
KR102294561B1 (ko) 금속화재 및 금수성물질용 모래 소화장치
KR2017002868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TW20124069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fire suppression
CN106669084A (zh) 一种便携式复合式灭火系统
JP3160699U (ja) 自動消火装置
CN216653217U (zh) 用于扑救火灾事件的系统和控制单元
EP2488259B1 (en) Flame mitigation device and system
US7484567B2 (en) Applying solid carbon dioxide to a hazardous material or fire
KR20090105195A (ko) 화재 진압용 양수장치
KR101412493B1 (ko)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CA2904914C (en) Safety railcar
CN110860054A (zh) 加油机火情自动应急系统
AU2007305146A1 (en) Applying solid carbon dioxide to a target material
KR20220088613A (ko) 순차적으로 화재 제압이 가능한 제어시스템
KR20220105688A (ko) 순차적으로 화재 제압이 가능한 제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