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493B1 -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 Google Patents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493B1
KR101412493B1 KR1020130050151A KR20130050151A KR101412493B1 KR 101412493 B1 KR101412493 B1 KR 101412493B1 KR 1020130050151 A KR1020130050151 A KR 1020130050151A KR 20130050151 A KR20130050151 A KR 20130050151A KR 101412493 B1 KR101412493 B1 KR 10141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test
gas
protection zone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백남근
박용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선박용 가스소화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가스소화설비는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유닛과,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가 배치되는 소화가스실 및 소화가스용기와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방호구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접근 가능한 노즐유닛의 바디부에는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연결배관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위한 테스트부재가 삽입되는 테스트 홀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선박용 가스소화설비{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가스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소화설비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호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설비는 크게 수계 소화설비와 가스계 소화 설비로 대별되며, 수계 소화설비는 방호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압에 소화수나 소화약제와 같은 액상의 소화수단을 사용하는 것이고, 가스계 소화설비는 방호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압에 이산화탄소나 질소 등과 같은 소화가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중 가스계 소화설비는 화재의 진압과정에서 방호구역에 존재하는 각종 주변기기들이 소화수 등에 의하여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화재의 진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화재의 진압 이후에도 방호 구역의 정리와 같은 후처리 작업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선박의 경우는 이러한 가스소화설비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에 적용되는 가스소화설비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562호에는 선박 내부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호구역으로부터 배관라인을 통해 CO2룸에 설치된 소화가스용기와 연결시켜 소화가스용기로부터 분사되는 소화가스가 배관라인을 따라 각각의 방호구역으로 분출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한편 이러한 가스소화설비는 CO2룸에서부터 각 방호구역까지 배관라인의 막힘 또는 누수가 없는지를 시험하는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험방법은 작업자가 CO2룸에 배치되는 배관라인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작업자는 방호구역(1)(예로서, 화물창)의 해치 코밍(2) 위에서 화물창 격벽(3)에 설치되는 노즐(4)의 출구 근방에 길이가 긴 막대의 끝 부분에 부착된 브러시(5a)를 갖는 시험부재(5)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노즐(4)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브러시(5a)가 흩날리는 정도를 눈으로 파악하여 배관라인의 막힘 또는 누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방법은 부득이하게 작업자의 고소작업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시 화물창의 아래로 추락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소화설비의 블로워 테스트(배관의 막힘 또는 누수 검사)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유닛과,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가 배치되는 소화가스실 및 상기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구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노즐유닛의 바디부에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배관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위한 테스트부재가 삽입되는 테스트 홀이 구비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테스트 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구역은 화물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화가스용기는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소화가스용기는 하나의 가스공급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 후 밸브유닛을 통해 상기 연결배관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유닛과,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가 배치되는 소화가스실 및 상기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구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노즐유닛과 결합되는 연결배관의 부분은 상기 노즐유닛과 결합되는 중공의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수직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의 개방된 단부는 상기 연결배관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위한 테스트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개를 통해 개폐 가능한 테스트 홀을 형성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내부의 가스소화실에 배치된 연결배관에 소정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외측공간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상기 격벽에 설치된 노즐유닛의 바디부에 형성된 테스트 홀에 브러시부를 갖는 테스트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노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방호구역 내측공간으로 노출된 상기 브러시부가 상기 노즐유닛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흩날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의 검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블로워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피할 수 있게 되므로 고소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소화설비의 블로워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가스소화설비를 나타낸 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가스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외측공간에 설치된 노즐유닛을 통해 블로워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벽에 설치된 노즐유닛을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소화설비의 블로워 테스트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로워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홀이 연결배관에 형성된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가스소화설비를 나타낸 배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가스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가스소화설비(10)는 복수의 방호구역(20)으로 구획된 선박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방호구역(20)에 이산화탄소(CO2) 등의 소화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일부 구역에 형성되는 소화가스실(30) 내부에 배치되며 화재진압용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복수의 소화가스용기(31)와, 소화가스용기(31)로부터 연장되어 복수의 방호구역(20) 각각에 설치된 노즐유닛(40)과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배관(50)을 포함한다.
방호구역(20)은 선박 내부에 구획되어 배치되는 엔진실, 화물창(cargo hold) 또는 기계적 공간 등을 포함하고, 소화가스실(30)은 선박 내부의 어느 일정 공간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화가스실(30)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내부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호구역(2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배관(50)을 통해 연결되는 연기감지유닛(33) 및 연결배관(50)을 통해 각 방호구역(20)의 내부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팬유닛(32)이 구비될 수 있다.
연기감지유닛(33)은 배기덕트(36)를 거쳐 팬유닛(32)과 연결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의하여 휠하우스(미도시) 또는 소화가스실(30)에 배치되는 화재경보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소화가스용기(31)는 가스공급관(34)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가스공급관(34)은 밸브장치(35)를 통해 연결배관(50)과 접속될 수 있다. 밸브장치(35)는 수동식 3-way 볼밸브가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자동식 전자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팬유닛(32)의 송풍력에 의하여 방호구역(20)의 내부공기를 연결배관(50)을 거쳐 연기감지유닛(33)으로 흡인시키는 동시에, 연기감지유닛(33)의 내부에서 각 연결배관(50)의 출구측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로 방호구역(20)의 화재발생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며, 화재의 발생시에는 연기감지유닛(33)이 휠하우스 또는 소화가스실(30)에 배치되는 화재경보패널로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여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20)을 알리게 된다.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20)이 파악되면 소화가스실(30)에 상주하는 작업자는 해당 방호구역(20)과 연결된 연결배관(50)의 밸브장치(35)를 작동시켜 소화가스용기(31)로부터 가스공급관(34) 및 연결배관(50)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20)으로 소화가스를 공급시키면, 방호구역(20)의 격벽(21)에 설치된 노즐유닛(40)을 통해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화재가 발생된 방호구역(20)의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선박용 가스소화설비(20)는 선박건조과정에서 소화가스실(30)로부터 각 방호구역(20)까지 연결된 연결배관(50)들의 막힘 또는 누수가 없는지를 시험하는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소화가스실(30)에 배치된 연결배관(50) 쪽에 소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고, 다른 작업자는 방호구역(20)의 격벽(21)에 설치된 노즐유닛(40)의 토출구 근방에 테스트부재를 위치시켜 테스트부재가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흩날리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유닛(40)에는 테스트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테스트 홀(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외측공간에 설치된 노즐유닛을 통해 블로워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벽에 설치된 노즐유닛을 확대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소화설비의 블로워 테스트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노즐유닛(40)은 방호구역(20)을 형성하는 격벽(2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홀(21a) 주위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는 바디부(41)와, 바디부(41)에서 연장되어 연결배관(50)의 단부에 배치된 플랜지(51)와 볼트 결합되도록 복수의 체결공(42)이 형성된 결합플랜지(43)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41)는 확산 노즐 형태를 가지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디부(41)의 일측에는 소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테스트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테스트 홀(44)은 테스트 홀(44)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바디부(41)의 외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보스부(45)에 의해 둘러 싸여지고, 보스부(45)의 개방된 입구는 탄성재질의 마개(46)를 통하여 밀폐될 수 있다.
테스트 홀(44)에 삽입되는 테스트부재(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부(61)와, 로드부(61)의 단부에 가늘고 얇은 솔빔을 다수개의 묶음으로 구성한 브러시부(63)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부(61)는 테스트 홀(44)에 삽입 가능하도록 테스트 홀(44)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길이가 짧은 용접 봉 또는 철사와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브러시부(63)는 바람에 흩날릴 수 있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로드부(61)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가스소화설비(20)의 블로워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소화실(30)에 배치된 연결배관(50)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공기를 공급하고(S10), 작업자가 격벽(21)의 외측 공간에 배치되는 이동통로(passage way)(23)에서 테스트 홀(44)의 마개(46)를 개방한 후 테스트부재(60)를 테스트 홀(44)에 삽입시키면(S20), 테스트부재(60)의 브러시부(63)는 노즐유닛(40)을 관통하여 방호구역(20)으로 노출되게 되고, 다른 작업자는 노즐유닛(4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방호구역(20)에 노출된 브러시부(63)가 흩날리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S30). 따라서, 기존의 테스트 방법시 필요한 고소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은 월등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가스소화설비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소화설비는 테스트부재(60)가 삽입되는 테스트 홀이 노즐유닛(40)의 바디부(41)에 형성되지 않고, 노즐유닛(40)과 결합되는 연결배관(50)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배관(50)의 단부는 노즐유닛(40)의 결합플랜지(43)와 결합되는 플랜지(5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수평관(50a)과, 수평관(50a)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수직관(50b)을 구비하고, 수평관(50a)의 개방된 단부에 마개(46)를 통해 개폐 가능한 테스트 홀(4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테스트부재(60)가 테스트 홀(44a)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에는 테스트부재(60)의 브러시부(63)는 노즐유닛(40)을 관통하여 방호구역(20)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가스소화설비, 20: 방호구역,
31: 소화가스용기, 33: 연기감지유닛,
34: 가스공급관, 35: 밸브장치,
40: 노즐유닛, 41: 바디부,
44: 테스트 홀, 46: 마개,
50: 연결배관, 50a: 수평관,
50b: 수직관, 60: 테스트부재,
61: 로드부, 63: 브러시부.

Claims (6)

  1.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유닛;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가 배치되는 소화가스실; 및
    상기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구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노즐유닛의 바디부에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배관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위한 테스트부재가 삽입되는 테스트 홀이 구비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테스트 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구역은 화물창을 포함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가스용기는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소화가스용기는 하나의 가스공급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 후 밸브유닛을 통해 상기 연결배관에 접속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5.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유닛;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가 배치되는 소화가스실; 및
    상기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구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노즐유닛과 결합되는 연결배관의 부분은 상기 노즐유닛과 결합되는 중공의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수직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의 개방된 단부는 상기 연결배관의 블로워 테스트(blower test)를 위한 테스트부재가 삽입되도록 마개를 통해 개폐 가능한 테스트 홀을 형성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6. 선박 내부의 가스소화실에 배치된 연결배관에 소정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방호구역을 형성하는 격벽 외측공간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에서 상기 격벽에 설치된 노즐유닛의 바디부에 형성된 테스트 홀에 브러시부를 갖는 테스트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노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방호구역 내측공간으로 노출된 상기 브러시부가 상기 노즐유닛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흩날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가스소화설비의 검사방법.
KR1020130050151A 2013-05-03 2013-05-03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KR10141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51A KR101412493B1 (ko) 2013-05-03 2013-05-03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51A KR101412493B1 (ko) 2013-05-03 2013-05-03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493B1 true KR101412493B1 (ko) 2014-06-27

Family

ID=511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51A KR101412493B1 (ko) 2013-05-03 2013-05-03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20220090696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이치티에프 헬기 탑재 구축함용 소화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04B1 (ko) 2008-05-19 2009-12-01 이주아 배관의 누출 탐지방법 및 누출부 보수시스템
KR20100038580A (ko) * 2008-10-06 2010-04-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스모크 시스템의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10010175A (ko) * 2009-07-24 2011-02-01 최수정 기능성목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04B1 (ko) 2008-05-19 2009-12-01 이주아 배관의 누출 탐지방법 및 누출부 보수시스템
KR20100038580A (ko) * 2008-10-06 2010-04-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스모크 시스템의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10010175A (ko) * 2009-07-24 2011-02-01 최수정 기능성목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20220090696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이치티에프 헬기 탑재 구축함용 소화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188B1 (ko)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KR101144821B1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KR100995148B1 (ko) 셔틀탱커의 보우로딩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JP3179000U (ja) 自動消火装置
KR101940601B1 (ko) 자동 소화시스템
KR101412493B1 (ko)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US20170136274A1 (en) Installed Fire Fighting Apparatus For Flammable Objects
CN102682563A (zh) 主动气味剂报警
FI129672B (en) Extinguishing system and extinguishing procedure
KR20120036049A (ko) 선박용 소화 시스템
KR20130053355A (ko) 잠수함 기관실의 소화설비
JP6446867B2 (ja) 漏洩流体拡散防止装置及び漏洩流体拡散防止方法
KR101301344B1 (ko)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CN210992715U (zh) 一种罐箱消防安全装置
KR101810002B1 (ko) 건축물의 소방설비용 수격 방지 장치
JP4537275B2 (ja) 油タンク消火設備
KR101281477B1 (ko) 선박용 소화 시스템
KR20090109317A (ko) 질소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10079794A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KR200343725Y1 (ko) 가스계 소화기구 점검장치
KR101724443B1 (ko)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 리크 테스트 장치
KR101347500B1 (ko) 불활성가스계 소화 설비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JP2005058312A (ja) 船用消火装置の点検機構及び点検方法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KR20180102393A (ko)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