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89B1 - 슬림형 분합 창호 - Google Patents

슬림형 분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89B1
KR101940589B1 KR1020160164401A KR20160164401A KR101940589B1 KR 101940589 B1 KR101940589 B1 KR 101940589B1 KR 1020160164401 A KR1020160164401 A KR 1020160164401A KR 20160164401 A KR20160164401 A KR 20160164401A KR 101940589 B1 KR101940589 B1 KR 10194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file
window
cu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139A (ko
Inventor
우승희
Original Assignee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정한 크기의 공간이 평면 형태로 배치한 프로파일로 하부 프레임을 제작하고, 이 공간의 한쪽 면에 창짝 프레임에 장착한 도어 롤러를 끼워 가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절개 면을 구성하므로, 프로파일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 발가락을 찧거나 걸리지 않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프로파일의 한 평면에 이처럼 절개 면을 형성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므로, 발을 하부 프레임 위에 올려놓더라도 편하면서도 안전하게 발을 디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하부 프레임을 신규로 시공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할 때 사용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로도 사용할 수 있어 어떤 경우든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분합 창호{SLIM TYPED VERANDA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베란다와 거실과 같이 실내외를 구획하는 곳이나 공간을 구획하는 곳에 시공하여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공간이 이웃하게 형성한 플레이트 형태의 프로파일에서 공간 안의 바닥 면에 가이드를 형성하고, 그 위에 창짝 프레임에 장착한 도어 롤러를 끼워서 가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바닥과 접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의 하부 프레임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 발이 걸리지 않게 하면서도 발로 밟아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과 베란다 사이나, 거실과 현관과 같이 두 곳 사이에 설치하는 창호를 분합 창호라 한다. 이러한 분합 창호는 통상적으로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474465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내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 일부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아존 영역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일부 또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일부에 의해 내부가 빈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3893호
센터보강부와, 상기 센터보강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사이드 보강부를 구비한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피 프레임이 마련된 창호용 프로파일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하는 단열 브래킷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보강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재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부재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6-0003142호
단열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내측 프레임의 개구부를 마감하여 양단이 내측 프레임에 용접으로 연결 고정되는 마감프레임 전면에 커버단열재를 구비하고, 연결프레임의 삽입돌부를 마감프레임의 삽입홈에 억지로 끼워 그 사이에 커버단열재가 고정되도록 하며, 연결프레임의 걸림홈부에 지지단열재의 일단을 끼움 고정하여, 지지단열재를 고정하는 연결프레임의 삽입돌부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갖는 마감프레임을 내측 프레임에 용접으로 손쉽게 교체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통상의 창호 프레임으로 시공한 분합 창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의 분합 창호는 분합 창호를 쉽고 신속하게 제작하려고 같은 폭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을 미리 정한 길이로 자른 다음, 각 프로파일을 융착하거나 부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다.
(2) 이에, 분합 창호를 구성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그리고 이들 측면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의 두께와 폭이 같아진다.
(3) 따라서, 기존 창호와 같은 형태로 제작한 분합 창호는 바닥에서 위로 높게 돌출하므로, 가정 등에서 시공한 분합 창호의 경우 분합 창호를 지나다니다가 발가락이 창틀에 찧어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4) 특히, 이러한 기존 방식의 분합 창호는 리모델링할 때, 그 중에서도 기존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분합 창호를 덧대서 리모델링하면 그 높이가 더 높아져서 이처럼 상처를 입을 우려가 더욱 커진다.
(5) 또한, 기존 창호 방식의 분합 창호는 통상 하부 프레임의 경우, 양쪽 가장자리가 위로 돌출하고, 그 사이에 창짝을 안내할 수 있게 두 개의 가이드를 돌출 구성하므로, 이 하부 프레임을 발로 밟으면 발바닥에 통증을 가할 수 있어 불편함이 있다.
(6) 특히, 이러한 불편함은 유아나 어린이와 같이 발이 작으면 그 사이에 끼이거나 꺾이면서 큰 부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7) 상기한 (5)항과 (6)항의 단점을 피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으로 평편한 프레임을 사용한다. 하지만 기존 구조는 단열 성능과 기밀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져 창호의 기능을 상실하게 한다.
한국등록실용 제0474465호 (등록일 : 2014.09.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3893호 (공개일 : 2016.06.07) 한국공개실용 제20-2016-0003142호 (공개일 : 2016.09.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미리 정한 크기의 공간 여러 개를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진 프로파일로 하부 프레임을 제작하면서, 이 공간의 한쪽 면을 절개하여 절개 면을 형성하고 여기에 창짝 프레임에 장착한 도어 롤러가 끼워져서 가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프로파일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발가락을 찧거나 걸리지 않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서 기밀 성능도 유지할 수 있게 한 슬림형 분합 창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프로파일의 한 평면에 도어 롤러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절개 면을 형성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므로, 발을 하부 프레임 위에 올려놓더라도 편하면서도 안전하게 발을 디딜 수 있게 한 슬림형 분합 창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하부 프레임을 신규로 시공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할 때 사용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로도 사용할 수 있어 어떤 경우든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림형 분합 창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에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발코니와 실내를 구분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공간(110a~110d)이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상으로 성형한 프로파일(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110a~110d)에는 한쪽 면의 폭 일부를 절개하여 도어 롤러(R) 일부를 끼울 수 있도록 절개 면(111)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이 절개 면(111)과 마주하는 안쪽 면에는 도어 롤러(R)를 안내하는 가이드(112)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상기 절개 면(111)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한쪽이 창짝 프레임(F)의 하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하며, 양쪽에는 상기 절개 면(111)의 양쪽 가장자리를 각각 감싸면서 감싼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양쪽에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롤러 가이드(13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에 강제로 끼워지고 내부에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본체(131)를 형성하고;, 이 본체(131)의 양쪽에는 절개 면(111)의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삽입 구멍(132a)을 갖춘 밀폐 부분(13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에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발코니와 실내를 구분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공간(110a~110g)이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상으로 성형한 프로파일(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로파일(100)에는 한쪽 면의 폭 일부를 절개하여 도어 롤러(R) 일부를 끼울 수 있도록 절개 면(111)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이 절개 면(111)과 마주하는 안쪽 면에는 도어 롤러(R)를 안내하는 가이드(112)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상기 절개 면(111)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한쪽이 창짝 프레임(F)의 하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하며, 양쪽에는 각각 절개 면(111)과 이웃한 다른 공간의 한쪽 면에 절개한 다른 절개 면(111a)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프로파일(100)과 마주하는 면에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롤러 가이드(13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에 강제로 끼워지고 내부에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31)의 측면에서 각각 바깥으로 연장하였다가 다시 꺾여 다른 절개 면(111a)의 가장자리를 덮어서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프로파일(100)과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삽입 구멍(132a)을 갖춘 밀폐 부분(13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로파일(100)은, 두께가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바닥 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창짝 프레임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 프로파일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다.
(2)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를 바닥에 설치했을 때 돌출되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하부 프레임을 넘나들 때 발가락이 창호 프레임에 걸려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3) 특히, 이러한 문제는 신규로 시공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뿐만 아니라 기존 창호를 리모델링할 때 철거하지 않고 기존 하부 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할 때 그 돌출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4) 또한, 기존 창짝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가이드만 추가로 구성하면, 기존 창짝 프레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롤러 가이드는 창짝 프레임을 제작할 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롤러 가이드를 창짝 프레임에 장착하지 않고 바로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6)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상기 프로파일을 평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하부 프레임을 발로 밟더라도 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하부가 평면 형태의 슬라이드형 분합 창호의 단점인 기밀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기밀 성능을 구비한 형태로서 창호의 성능을 갖춘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프레임을 적용한 슬림형 분합 창호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창짝 프레임을 장착할 때 사용하는 롤러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하부 프레임을 적용한 슬림형 분합 창호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창짝 프레임을 장착할 때 사용하는 롤러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통상의 프로파일로 "┏┓" 형태로 제작하고, 그 양단에 하부 프레임의 양쪽을 연결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은 두께를 얇게 제작한 프로파일(100)로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를 신규 또는 리모델링하여 시공하더라도 발가락이 걸리거나 찧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프레임의 윗면이 거의 평편한 형태가 되게 구성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거실과 베란다 사이를 구분하는 것과 같이 실내외를 구분하거나, 공간을 두 개로 구획하고자 하는 곳에 시공하는 창호로, 통상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이때, 두 개의 측면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하부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것으로 사용한다. 이에, 여기서는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과, 이 프로파일을 사용함에 따라 기존 창짝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롤러 가이드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공간(110a~110d)이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간(110a~110d)은 슬림형 분합 창호에 장착할 창짝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공간(110a~110d)은 4개를 형성하여 두 쌍의 창짝 프레임을 이중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창짝 프레임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게 작은 공간을 더 추가한 경우를 예로 보여준다.
한편, 상기 공간(110a~110d)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 면의 폭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면(111)을 형성한다. 이때, 절개 면(111)은 하부 프레임에 장착할 창짝 프레임(F)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도어 롤러(R)를 끼울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한다. 이는, 공간(110a~110d)의 한쪽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 위를 발로 밟더라도 편안하고 발이 끼이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공간(110a~110d)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절개 면(111)과 마주하는 안쪽 면에 가이드(112)를 돌출 성형한다. 가이드(112)는 창짝 프레임(F)에 장착한 호차라고 불리는 도어 롤러(R)가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112)는 기존 분합 창호의 하부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다. 즉, 기존 하부 프레임의 경우 공간 위에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기존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두께는 가이드와 그 하부의 공간을 합친 것이 되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의 두께는 공간(110a~110d) 안에 가이드(112)를 형성하므로, 결과적으로 이 공간(110a~110d) 두께가 프로파일(100)의 두께가 되게 되어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그 두께를 10~20㎜ 정도로 제작하더라도 기존 분합 창호와 달리 얇게 제작하여 안전하면서도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기존 분합 창호와 달리 가이드(112)가 공간(110a~110d) 안에 형성하므로, 창짝 프레임(F)에 도어 롤러(R)를 장착할 수 있게 롤러 가이드(130)를 더 구성한다. 이때, 롤러 가이드(130)는, 한쪽을 창짝 프레임(F) 하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끼우고 다른 한쪽에 미리 정한 개수의 도어 롤러(R)를 끼워서 회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그 양쪽에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장착하여 상술한 절개 면(111)의 양쪽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기밀 유지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폭 단면이 "┏┓"자 형상인 본체(131), 그리고 이 본체(131)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한 밀폐 부분(13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31)는 막인 상부를 창짝 프레임(F)에서 가이드를 끼우기 위한 홈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도어 롤러(R)를 끼워서 가이드(112)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밀폐 부분(13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절개 면(111)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삽입 구멍(132a)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창짝 프레임(F)에 고정하여 이 창짝 프레임(F)과 프로파일(100) 사이의 틈새를 막아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과 별개로 제작하여 이 창짝 프레임(F)에 억지로 끼워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새로 창틀을 제작할 때는 이 롤러 가이드(130)를 미리 창틀 제작용 프로파일에 삽입하여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간 안에 도어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성하므로,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하부 프레임을 넘나들 때 발이 걸리거나 발가락이 걸려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다른 절개 면(111a)을 추가한 프로파일(100')과 단면 형상이 다른 롤러 가이드(130')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문짝 설치를 쉽게 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여기서는 이들 구성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은 여러 개의 공간(110a~110d)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공간(110a~110d)에는 절개 면(111)과 가이드(112)를 각각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창짝 프레임(F)을 장착하는 각 공간(110a~110d)의 양쪽에는 각각 상술한 절개 면(111)과 다른 절개 면(111a)을 더 형성한다. 이는, 후술할 롤러 가이드(130')가 이 다른 절개 면(111a)에 빠지지 않게 끼워져서 안정적으로 창짝 프레임(F)을 가이드 안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롤러 가이드(130')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한쪽이 창짝 프레임(F)에 끼워지고 다른 한쪽이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하여 가이드(112)에서 구를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그 양쪽에는 상술한 다른 절개 면(111a)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구성하여 안정적으로 창짝 프레임(F)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안내하게 한다.
이를 위한 롤러 가이드(130')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자 형상으로 본체(131), 그리고 이 본체(131)의 양쪽에 각각 형성하여 다른 절개 면(111a)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밀폐 부분(1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31)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부가 창짝 프레임(F)에 억지로 끼워서 고정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 사이에 도어 롤러(R)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또한, 상기 밀폐 부분(132')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본체(131) 측면에서 바깥으로 연장하였다가 다시 꺾인 형상이 되게 구성한다. 이때, 두 개의 밀폐 부분(132')은, [도 6(b)]와 같이, 상술한 절개 면(111)을 기준으로 양쪽에 있는 두 개의 다른 절개 면(111a)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 부분(132')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다른 절개 면(111a)에 걸린 상태에서 프로파일(100)과 마주하는 면에 삽입 구멍(132a)을 형성하여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이처럼 양쪽으로 꺽인 밀폐 부분(132')이 다른 절개 면(111a)에 끼워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분합 창호를 제작할 때 문짝에 미리 삽입하여 제작하거나, 문짝 자체를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100, 100' : 프로파일
110a~110d : 공간
111, 111a : 절개 면
112 : 가이드
130, 130' : 롤러 가이드
131 : 본체
132, 132' : 밀폐 부분

Claims (6)

  1.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에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발코니와 실내를 구분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공간(110a~110d)이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상으로 성형한 프로파일(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110a~110d)에는 한쪽 면의 폭 일부를 절개하여 도어 롤러(R) 일부를 끼울 수 있도록 절개 면(111)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이 절개 면(111)과 마주하는 안쪽 면에는 도어 롤러(R)를 안내하는 가이드(112)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상기 절개 면(111)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한쪽이 창짝 프레임(F)의 하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하며, 양쪽에는 상기 절개 면(111)의 양쪽 가장자리를 각각 감싸면서 감싼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양쪽에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롤러 가이드(130)를 갖추고,
    상기 프로파일(100)은, 두께가 10~20㎜이며,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에 강제로 끼워지고 내부에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본체(131)를 형성하고, 이 본체(131)의 양쪽에는 절개 면(111)의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삽입 구멍(132a)을 갖춘 밀폐 부분(13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2. 삭제
  3.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이들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에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발코니와 실내를 구분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공간(110a~110g)이 폭 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상으로 성형한 프로파일(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로파일(100)에는 한쪽 면의 폭 일부를 절개하여 도어 롤러(R) 일부를 끼울 수 있도록 절개 면(111)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이 절개 면(111)과 마주하는 안쪽 면에는 도어 롤러(R)를 안내하는 가이드(112)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상기 절개 면(111)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한쪽이 창짝 프레임(F)의 하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하며, 양쪽에는 각각 절개 면(111)과 이웃한 다른 공간의 한쪽 면에 절개한 다른 절개 면(111a)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프로파일(100)과 마주하는 면에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롤러 가이드(130)를 갖추고,
    상기 프로파일(100)은, 두께가 10~20㎜이며,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에 강제로 끼워지고 내부에 도어 롤러(R)를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31)의 측면에서 각각 바깥으로 연장하였다가 다시 꺾여 다른 절개 면(111a)의 가장자리를 덮어서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프로파일(100)과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가스킷 또는 모헤어(M)를 삽입할 수 있게 삽입 구멍(132a)을 갖춘 밀폐 부분(13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4. 삭제
  5. 제1항 및 제항에서,
    상기 롤러 가이드(130)는,
    창짝 프레임(F)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분합 창호.
  6. 삭제
KR1020160164401A 2016-12-05 2016-12-05 슬림형 분합 창호 KR10194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01A KR101940589B1 (ko) 2016-12-05 2016-12-05 슬림형 분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01A KR101940589B1 (ko) 2016-12-05 2016-12-05 슬림형 분합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39A KR20180064139A (ko) 2018-06-14
KR101940589B1 true KR101940589B1 (ko) 2019-01-29

Family

ID=6262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01A KR101940589B1 (ko) 2016-12-05 2016-12-05 슬림형 분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62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지에스코 분합창 하부마감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126Y1 (ko) * 2001-05-29 2001-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평한 하부틀을 갖는 미닫이식 창호
JP4204035B2 (ja) 2003-02-17 2009-01-07 新日軽株式会社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防虫装置
KR100914756B1 (ko)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1204004B1 (ko) 2012-03-13 2012-11-23 주식회사 합플러스 출입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개선된 고기밀 성능 도어 프레임
KR101508484B1 (ko) 2014-03-07 2015-04-14 문수용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65B1 (ko) 2002-07-10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크로익 미러휠을 이용한 색분리기 및 이를 적용한영상 투사 장치
KR101351053B1 (ko) * 2011-10-26 2014-01-10 김순석 창호용 고무가스켓 가이드구조
KR101780383B1 (ko) 2014-11-27 2017-09-21 황민선 창호용 프로파일의 단열 브라켓 유닛
KR20160003142U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 창호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126Y1 (ko) * 2001-05-29 2001-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평한 하부틀을 갖는 미닫이식 창호
JP4204035B2 (ja) 2003-02-17 2009-01-07 新日軽株式会社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防虫装置
KR100914756B1 (ko)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1204004B1 (ko) 2012-03-13 2012-11-23 주식회사 합플러스 출입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개선된 고기밀 성능 도어 프레임
KR101508484B1 (ko) 2014-03-07 2015-04-14 문수용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62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지에스코 분합창 하부마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39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9404A (ko)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KR20180108492A (ko)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KR101319760B1 (ko) 단열 및 방화문틀 프레임
KR101940589B1 (ko) 슬림형 분합 창호
JP2014077309A (ja) 開口部装置
JP4027920B2 (ja) 樹脂サッシ
KR101631226B1 (ko)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101995415B1 (ko) 개구 면적 최대화를 위한 비철거형 개보수용 창호 및 그 개보수 방법
KR20150139404A (ko)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JP6758883B2 (ja) サッシ窓の気密/断熱構造
KR101975663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7361141B2 (ja) サッシ
JP6440538B2 (ja) 戸体、及び、建具
KR101249896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JP6895420B2 (ja) サッシ
JP6683591B2 (ja) 建具
JP6858212B2 (ja) 断熱サッシ
JP7185205B2 (ja) 引き違いサッシ
JP6836578B2 (ja) サッシ
JP6542310B2 (ja) サッシ
JP6868526B2 (ja) 建具
JP6535372B2 (ja) サッシ
JP2009084823A (ja) サッシ下枠及び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