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49B1 -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49B1
KR101940349B1 KR1020147000721A KR20147000721A KR101940349B1 KR 101940349 B1 KR101940349 B1 KR 101940349B1 KR 1020147000721 A KR1020147000721 A KR 1020147000721A KR 20147000721 A KR20147000721 A KR 20147000721A KR 101940349 B1 KR101940349 B1 KR 10194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adhesive tape
reel
winding cor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923A (ko
Inventor
유스케 아사카와
나오키 후쿠시마
다카토 오치
다카시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용 릴이며, 접착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권심의 측면에서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REEL FOR ADHESIVE TAPE, TAPE ROLL, PACKAGING, USE OF REEL AS REEL FOR ADHESIVE TAPE FOR WINDING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EL FOR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수의 전극을 갖는 피접속 부재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로서, 예를 들면 이방 도전 테이프가 있다. 이방 도전 테이프를 이용하면,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 LCD용 유리 기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기판에 IC, LSI와 같은 반도체 소자 등을 접속할 때, 마주보는 전극끼리를 도통시키는 한편으로,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성분과,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등의 기재 상에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시트상의 원반을 용도에 따른 폭(예를 들면 수 mm 정도 이하)으로 길게 잘라냄으로써 제작된다. 그리고, 접착 테이프는 릴에 휘감긴 상태로 보존·운반·사용이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접착 테이프용 릴은, 예를 들면 권심과, 권심의 양측에 배치된 원판상의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용 릴은, 예를 들면 한쪽 측판에 권심을 설치하고, 권심의 측면에 설치한 돌기부에 다른쪽 측판의 개구부를 감입하고, 권심의 측면과 다른쪽 측판의 내측면의 접촉 부분에 고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468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접착 테이프용 릴은 후속 공정에서 릴로부터의 분진이나 불순물이 생기지 않도록 사용 전에 세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폭이 좁은 접착 테이프를 휘감는 접착 테이프용 릴에서는 측판 간의 간극이 매우 좁아 통기성이 나쁘며, 고착부에 의해 공기의 통로가 막혀 있기 때문에, 세정에 의해 부착된 수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세정 후의 건조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접착 테이프용 릴은, 접착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권심의 측면에서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착 테이프용 릴에서는 권심의 측면에서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떨어져 배치된 고착부에 의해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측판 간의 간극이 매우 좁은 경우라도, 측판 간의 간극과 고착부 간의 간극이 연통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에 의해 부착된 수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권심의 중앙에는 휘감음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이 형성되고, 복수의 고착부는 축 구멍 주위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착부는 제2 측판의 내측면과 권심의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열융착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제2 측판과 권심을 고착할 수 있다.
또한, 고착부는 제2 측판의 내측면과 권심의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부일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측판 및 권심 자체를 가열하여 고착하는 경우보다 제2 측판 및 권심으로의 입열은 적다. 따라서, 제2 측판 및 권심의 입열에 기인하는 변형을 억제하면서, 제1 및 제2 측판끼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권심에 휘감긴 접착 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을 행한 후, 접착 테이프용 릴에 접착 테이프를 휘감을 때까지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이고, 제2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제1 측판에 설치된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고착부의 폭은 0.5mm 내지 2.0mm일 수도 있다.
또한, 고착부의 길이는 10mm 내지 30mm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10mm 내지 30mm일 수도 있다.
또한, 권심의 외주면의 원주의 길이를 L이라 하고, 고착부의 배치수를 N이라 했을 경우에,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L/2N±40%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권중체는 상술한 접착 테이프용 릴과, 권심에 휘감긴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는 이방 도전 테이프일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길이는 50m 내지 1200m일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폭은 0.5mm 내지 10mm일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두께는 5μm 내지 100μm일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에는 에폭시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에는 라디칼 경화계의 접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곤포물은 상술한 권중체와,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권중체를 수용하기 위한 곤포용 시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는,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권심의 측면에서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은, 접착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측판을 준비하고, 제2 측판을, 제1 측판에 대하여 권심의 측면에서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용 릴에 따르면, 세정 후의 건조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접착 테이프용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적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1 측판을 내측면측에서 본 모식적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2 측판을 내측면측에서 본 모식적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도 4의 VA-VA선을 따른 단면, 및 도 3의 VB-VB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적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도면이다.
[도 7] 도 7은 곤포물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용 릴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접착 테이프용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적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용 릴(1)은 접착 테이프(예를 들면, 이방 도전 테이프)(T)가 휘감긴 권심(2)을 갖는 제1 측판(3)과, 권심(2)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3)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접착 테이프용 릴(1)은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의 협동에 의해, 접착 테이프(T)의 권취 붕괴를 방지하는 것으로, 접착 테이프(T)를 제조·공급·보존할 때에 이용된다.
접착 테이프(T)는, 예를 들면 마주보는 전극끼리의 도통 상태를 유지하며,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을 유지하도록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고착을 행하는 접속 재료로서 사용된다. 접착 테이프(T)의 길이는, 통상적으로는 50m 내지 1000m 정도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300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T)의 폭은 0.5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2.0mm 정도로 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T)의 두께는 5μm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10μm 내지 4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내지 20μm 정도로 되어 있다.
기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합성 고무계, 액정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각종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기재를 구성하는 재질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로서, 접착제층과의 접촉면 등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T)에 이용되는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 성분과,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도전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이나 광에 의해 경화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접속 후의 내열성이나 내습성이 우수한 점에서, 가교성 재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폭시계 접착제는 단시간 경화가 가능하여 접속 작업성이 좋고, 분자 구조상 접착성이 우수한 등의 특징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국제공개 2009/06382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라디칼 경화계의 접착제 조성물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접착제는, 예를 들면 고분자량 에폭시, 고형 에폭시 또는 액상 에폭시, 또는 이들을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NBR), 합성 선상 폴리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접착제는 주성분을 이루는 상기 에폭시에 경화제, 촉매, 커플링제,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전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Au, Ag, Pt, Ni, Cu, W, Sb, Sn, 땜납 등의 금속이나 카본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의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핵으로 하고, 이 핵을 상기 금속이나 카본으로 피복한 피복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전 입자의 평균 입경은 분산성, 도전성의 관점에서 1μm 내지 18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 입자를 절연층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도전 입자와 절연성 입자를 병용할 수도 있다.
도전 입자의 배합 비율은,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접착제 성분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부피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부피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배합 비율이 0.1 부피부 미만이면 대향하는 전극 간의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30 부피부를 초과하면 인접하는 전극 간의 단락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 접착제층에 함유되는 성분, 그의 배?량, 배합 방법 등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09/063827호에 기재되는 성분, 그의 배?량, 배합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술한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 측판(3)을 내측면(3a)측에서 본 모식적 도면이다. 도 4는 제2 측판(4)을 내측면(4a)측에서 본 모식적 도면이다. 도 5의 하측에 도시한 도면은 도 3의 VB-V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의 상측에 도시한 도면은 도 4의 VA-V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3)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원판이다. 제1 측판(3)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0.9mm 내지 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2.0mm 정도로 되어 있다. 제1 측판(3)의 직경은, 휘감는 접착 테이프(T)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제1 측판(3)의 중앙 부분에는 단면 원형의 개구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측판(3)의 내측면(3a)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3b)에 걸쳐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리브(6)는 90°의 간격을 가지고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측판(3)의 내측면(3a)의 주연부(3b)에는 원환상의 돌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6) 및 돌출부(60)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호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측판(3)의 내측면(3a)으로부터의 리브(6) 및 돌출부(60)의 돌출량은, 예를 들면 0.05mm 내지 1.00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측판(3)의 외측면(3c)은 리브(6) 및 돌출부(60)가 없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권심(2)은 접착 테이프(T)를 휘감는 부분이다. 권심(2)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접착 테이프(T)의 폭과 동일한 두께의 원환상을 이루고 있다. 권심(2)은 제1 측판(3)의 개구부(40)를 둘러싸도록 제1 측판(3)의 내측면(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측판(3)의 개구부(40)에는 원통 부재(30)가 감입되어 있다. 원통 부재(30)는 권심(2)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 원통 부재(30)는 제1 측판(3)의 두께에, 제2 측판(4)의 두께와 권심(2)의 두께를 합계한 두께와 대략 동등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판(3)의 개구부(40)에 감입된 원통 부재(30)의 일단측은 권심(2)의 측면(2a)으로부터 제2 측판(4)의 두께와 동일 정도의 돌출량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로 되어 있다. 또한, 원통 부재(30)에는 축 구멍(5)이 설치되어 있다. 축 구멍(5)은 휘감음 장치 또는 조출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 축 구멍(5)에 휘감음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을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축을 구동한 경우에, 공회전하는 일 없이 접착 테이프용 릴(1)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축 구멍(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원형의 구멍부(5a)와, 구멍부(5a)의 일부로부터 돌출하는 긴 구멍부(5b)에 의해, 전체적으로 열쇠 구멍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측판(4)은 제1 측판(3)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이다. 제2 측판(4)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0.6mm 내지 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6mm 내지 2.0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직경은, 휘감는 접착 테이프(T)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측판(4)의 직경은 제1 측판(3)의 직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중앙부에는 제1 측판(3)의 개구부(40)와 동 직경의 단면 원형의 개구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내측면(4a)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4b)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6)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리브(6)는 90°의 간격을 가지고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내측면(4a)의 주연부(4b)에는 원환상의 돌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6) 및 돌출부(60)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호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측판(4)의 내측면(4a)으로부터의 리브(6) 및 돌출부(60)의 돌출량은, 예를 들면 0.05mm 내지 1.00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외측면(4c)은 리브(6) 및 돌출부(60)가 없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제2 측판(4)은 개구부(50)에 원통 부재(30)의 돌기부(7)가 감입됨으로써, 제2 측판(4)의 내측면(4a)이 권심(2)의 측면(2a)에 접촉한 상태로 원통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의 접촉 부분에는 권심(2)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S)가 형성되어 있다. 고착부(S)는, 예를 들면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권심(2)의 측면(2a) 및 제2 측판(4)의 내측면(4a) 중 적어도 한쪽을 용융·응고시킴으로써 형성된 열융착부이다. 고착부(S)는, 개구부(40)의 주위에 예를 들면 90° 간격으로 4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각 고착부(S)는, 폭 0.5mm 내지 2.0mm 정도, 길이 10mm 내지 30mm 정도의 원호상으로 되어 있고, 고착부(S, S) 사이에는 각각 10mm 내지 30mm 정도의 간격(단부와 단부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착부(S, S) 사이의 간격은 권심(2)의 원주의 길이 및 고착부(S)의 배치수와 관련지어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권심(2)의 원주의 길이를 L이라 하고, 고착부(S)의 배치수를 N이라 했을 경우, 고착부(S, S) 사이의 간격을 L/2N±40%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착부(S, S)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치함으로써, 제1 측판(3)과 제2 측판(4) 사이의 간극과,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의 접촉 부분에 생기는 미소한 간극이 연통한다. 그리고, 접착 테이프용 릴(1)에는 제1 측판(3)과 제2 측판(4)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의 접촉 부분의 간극을 통과하여, 돌기부(7)와 제2 측판(4)의 개구부(40)의 감입 부분에 이르는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접착 테이프용 릴(1)에서는 권심(2)의 측면(2a)에 있어서 권심(2)의 몸통 주위에 서로 떨어져 배치된 고착부(S)에 의해 제1 측판(3)과 제2 측판(4)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측판(3, 4) 사이의 간극이 매우 좁은 경우라도, 측판(3, 4) 사이의 간극과 고착부(S) 사이의 간극이 연통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에 의해 부착된 수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착부(S)가,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의 접촉 부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열융착부이기 때문에, 접착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을 용융 응고함으로써 고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착부(S)는 축 구멍(5) 주위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판(3)과 제2 측판(4)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권심(2)에 휘감긴 접착 테이프(T)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을 행한 후, 접착 테이프용 릴(1)에 접착 테이프(T)를 휘감을 때까지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용 릴(1)의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은 해당 접착 테이프용 릴(1)을 투습도가 작은 시트로 곤포하여 보관하는 등 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릴 내에 수분이 잔존해 있는 경우에 투습도가 작은 시트에 곤포를 행하면, 내부로부터의 물이 시트 내로부터 도망가지 않고 남아, 접착 테이프(T)(특히 라디칼 경화계의 접착제층을 갖는 것)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곤포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염화비닐과 염화비닐리덴의 공중합체, 셀로판 등의 시트에 무기 분말 등의 흡수능 또는 흡습능을 갖는 물질을 증착한 증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분말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건조제로서 상술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곤포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파인 배리어 AT(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한 것, (주)레코 제조의 상품명), 테크배리어 S, 테크배리어 T, 테크배리어 H, 테크배리어 V(실리카 증착 필름, 미쯔비시 가가꾸 고우진 팩스(주) 제조의 상품명), 파인 배리어 AT((주)레코 제조의 상품명)와 B-PE(블랙 폴리에틸렌) 필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품, OPP(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에 차광용 잉크를 도포한 필름과 VMCPP(알루미늄을 증착한 일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품 등이 입수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란, 2개의 필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온도 40 내지 60℃ 정도에서 열압착하고, 실온에서 24 내지 60시간 정도 예비 에이징한 후에 30 내지 50℃ 정도에서 12 내지 36시간 정도 본 에이징을 행하는 작업이다.
곤포용 시트의 투습도는, 예를 들면 0.02 내지 4.5g/(24h·m2)이지만, 0.05 내지 4.3g/(24h·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 내지 4.0g/(24h·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15 내지 3.5g/(24h·m2)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0.20 내지 3.0g/(24h·m2)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고, 0.30 내지 2.0g/(24h·m2)인 것이 매우 극히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0.02g/(24h·m2) 미만이면 입수 용이성이 떨어지고, 4.5g/(24h·m2)를 초과하면 감광성 엘리멘트의 엣지 퓨젼이 떨어진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투습도는 JIS K7129-1992에 준거하여 측정되고, A법에 의해 시험 온도 40±0.5℃ 및 상대 습도차 90±2% RH의 조건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곤포용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내지 100μm 이지만, 1 내지 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30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 내지 20μm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이 두께가 1μm 미만이면 제조 용이성 및 입수 용이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100μm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곤포용 시트는 상기 투습도를 만족하면, 재질, 두께, 단독품, 복수의 시트의 적층품 등 특별히 제한은 없다. 곤포 방법으로서는, 접착 테이프용 릴(1)을 곤포용 시트로 감싸도록 할 수도 있고, 주머니상으로 형성한 곤포용 시트에 접착 테이프용 릴(1)을 수용할 수도 있다. 주머니상으로 형성한 곤포용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외기가 차단되도록 곤포용 시트의 개구부를 절곡할 수도 있고, 개구부에 슬라이드 패스너와 같은 밀봉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착부(S)는 제2 측판(4)의 내측면(4a)과 권심(2)의 측면(2a)의 접촉 부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부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착부(S)에 대응하는 권심(2)의 측면(2a)의 위치에 미리 접착 부재 등을 형성해 두고, 제1 측판(3)과 제2 측판(4)을 접착할 수도 있다. 이 접착 부재로서, 예를 들면 열용융성의 접착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제2 측판(4) 및 권심(2) 자체를 가열하고, 용융 응고시켜 고착하는 경우보다, 제2 측판(4) 및 권심(2)으로의 입열은 적다. 따라서, 제2 측판(4) 및 권심(2)의 입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면서,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끼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는, 권심(2)를 갖는 제1 측판(3)과 제2 측판(4)이 복수의 고착부(S)에 의해 연결 고정되도록 미리 제1 측판(3), 제2 측판(4), 권심(2), 및 복수의 고착부(S)가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권심(2), 제1 측판(3), 원통 부재(30), 리브(6), 및 돌출부(60)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을 따로따로 성형하여 접착 또는 고착한 후, 제1 측판(3)의 돌기부(7)를 제2 측판(4)의 개구부(50)에 감합·고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착부(S)의 평면 형상은 반드시 원호상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상이나 파선상 등일 수도 있다. 또한, 고착부(S)는 권심(2)의 측면(2a) 내이면, 개구부(40)로부터 주연부측을 따라서 2중·3중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측판(4) 및 권심(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T)로서 이방 도전 테이프를 예시했지만, 접착제층이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고 도전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비도전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고, 도전 입자를 이방 도전 테이프보다 많이 배합한 이방성을 갖지 않는 도전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이본드 필름, 은 필름, 반도체 웨이퍼 가공용의 접착 필름 등 각종 접착 필름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권심(2)은 제1 측판(3)의 개구부(40) 주위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주에 감입되는 링부(R)(도 6을 참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링부(R)의 주위면이 접착 테이프(T)의 휘감음 면이 된다.
또한, 상술한 고착부(S)의 배치수 N은 2 내지 20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0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5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테이프(T)의 길이는 50m 내지 1200m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고착부(S)의 평면 형상은 원호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권심(2)의 직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상이면 좋고, 예를 들면 장방형상 등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고착부(S)는 권심(2)의 직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상의 영역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착 부분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고착 부분은 사각형상이나 원형상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고착 부분이 배치되는 장척상의 영역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폭 0.5mm 내지 2.0mm 정도, 길이 10mm 내지 30mm 정도로 하면 좋고, 인접하는 영역 사이에는 각각 10mm 내지 30mm 정도의 간격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고착부(S)는 서로 다른 형상·치수로 할 수도 있고, 고착부(S, S)의 간격이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은 곤포물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포물(300)은 접착 테이프용 릴(1) 및 접착 테이프(T)를 갖는 권중체(100)와, 권중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곤포용 시트(200)를 구비하고 있다. 곤포용 시트(200)는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머니상으로 형성한 곤포용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밀봉 수단으로서, 개구부를 열에 의해 밀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접착 테이프용 릴
2: 권심
2a: 측면
3: 제1 측판
3a: 내측면
4: 제2 측판
4a: 내측면
5: 축 구멍
6: 리브
7: 돌기부
T: 접착 테이프
S: 고착부

Claims (31)

  1. 접착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
    Figure 112018115897352-pct00008
    )을 갖는 제1 측판과,
    상기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권심의 측면에서 상기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상기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의 중앙에는 휘감음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착부는 상기 축 구멍 주위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권심의 상기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열융착부인 접착 테이프용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권심의 상기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부인 접착 테이프용 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이고,
    상기 제2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인 접착 테이프용 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용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상기 제1 측판에 설치된 상기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용 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폭은 0.5mm 내지 2.0mm인 접착 테이프용 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길이는 10mm 내지 30mm인 접착 테이프용 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10mm 내지 30mm인 접착 테이프용 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의 외주면의 원주의 길이를 L이라 하고,
    상기 고착부의 배치수를 N이라 했을 경우에,
    상기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L/2N±4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용 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접착 테이프용 릴과,
    상기 권심에 휘감긴 상기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는
    권중체(
    Figure 112018115897352-pct00009
    ).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이방 도전 테이프인 권중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길이는 50m 내지 1200m인 권중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폭은 0.5mm 내지 10mm인 권중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두께는 5μm 내지 100μm인 권중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에는 에폭시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는, 권중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에는 라디칼 경화계의 접착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는, 권중체.
  19. 제12항에 기재된 권중체와,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권중체를 수용하기 위한 곤포용 시트를 구비하는
    곤포물.
  20.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상기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권심의 측면에서 상기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상기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의 중앙에는 휘감음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착부는 상기 축 구멍 주위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권심의 상기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열융착부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권심의 상기 측면과의 접촉 부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부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이고,
    상기 제2 측판의 두께는 0.5mm 내지 5.0mm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에는 중앙 부근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6.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의 내측면의 주연부에는 상기 제1 측판에 설치된 상기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원환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폭은 0.5mm 내지 2.0mm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8.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길이는 10mm 내지 30mm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10mm 내지 30mm인,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30.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의 외주면의 원주의 길이를 L이라 하고,
    상기 고착부의 배치수를 N이라 했을 경우에,
    상기 고착부 사이의 간격은 L/2N±4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릴을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31. 접착 테이프가 휘감긴 권심을 갖는 제1 측판과, 상기 권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측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측판을 준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을, 상기 제1 측판에 대하여 상기 권심의 측면에서 상기 권심의 몸통 주위에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고착부에 의해 고정하는,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KR1020147000721A 2011-07-08 2012-07-06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KR101940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1940 2011-07-08
JPJP-P-2011-151940 2011-07-08
PCT/JP2012/067321 WO2013008744A1 (ja) 2011-07-08 2012-07-06 接着テープ用リール、巻重体、梱包物、リールの接着テープを巻回するための接着テープ用リールとしての使用、及び接着テープ用リ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923A KR20140037923A (ko) 2014-03-27
KR101940349B1 true KR101940349B1 (ko) 2019-01-18

Family

ID=4744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721A KR101940349B1 (ko) 2011-07-08 2012-07-06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85970B2 (ko)
KR (1) KR101940349B1 (ko)
CN (4) CN202704716U (ko)
TW (1) TWI573753B (ko)
WO (1) WO2013008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49B1 (ko) * 2011-07-08 2019-01-1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CN104692189A (zh) * 2013-12-04 2015-06-10 铜陵市永生机电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易干燥线轴
WO2019050005A1 (ja) * 2017-09-11 2019-03-14 日立化成株式会社 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367962B (zh) * 2018-11-26 2020-07-31 重庆佰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收纳盘的制作方法
TWI669262B (zh) * 2019-01-21 2019-08-21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捲輪的限位盤變形之限制裝置
CN114084752A (zh) * 2019-08-23 2022-02-25 苏州天裕塑胶有限公司 一种表面均匀粗糙的卷芯管
JP2021080098A (ja) * 2019-11-22 2021-05-2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リール部材、接着フィルム巻装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291Y1 (ko) 2003-12-30 2004-03-18 문경선 접착테이프 케이스의 테이프 인출장치
WO2007148593A1 (ja) * 2006-06-21 2007-12-2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リール
WO2009063827A1 (ja) 2007-11-12 2009-05-2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回路接続材料、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7183A1 (fr) * 1975-10-08 1977-05-06 Sauterel Auguste Flasque de bobine, notamment pour rouleaux de ruban adhesif
JPH0642871U (ja) * 1992-11-19 1994-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ケーブル等の巻取用ドラム
JP3959247B2 (ja) 2001-02-16 2007-08-15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ール部材及びフィルムの巻取方法
CN2470324Y (zh) * 2001-04-05 2002-01-09 禾加合有限公司 卷带轮轴
JP3414725B2 (ja) * 2001-07-02 2003-06-09 冨士太 木村 釣糸用スプール組立体および釣糸用スプール
JP2005217019A (ja) * 2004-01-28 2005-08-11 Kyushu Seimitsu Kiki Kk 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巻回リール
KR100791167B1 (ko) * 2006-01-09 2008-01-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롤형 이방성 도전 필름
CN2897951Y (zh) * 2006-04-17 2007-05-09 联育科技股份有限公司 卷轴、轮盘及经由卷轴与轮盘组合而成的卷带轮
CN201121077Y (zh) * 2007-10-31 2008-09-24 陈立闻 包装卷盘
CN201128528Y (zh) * 2007-11-21 2008-10-08 杨文学 一种便于开启的压条式密封袋
JP4596089B2 (ja) * 2009-03-26 2010-12-0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材リール
KR101384832B1 (ko) * 2010-03-23 2014-04-15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테이프용 릴
KR101940349B1 (ko) * 2011-07-08 2019-01-1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291Y1 (ko) 2003-12-30 2004-03-18 문경선 접착테이프 케이스의 테이프 인출장치
WO2007148593A1 (ja) * 2006-06-21 2007-12-2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リール
WO2009063827A1 (ja) 2007-11-12 2009-05-2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回路接続材料、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04716U (zh) 2013-01-30
JPWO2013008744A1 (ja) 2015-02-23
KR20140037923A (ko) 2014-03-27
CN103648943A (zh) 2014-03-19
CN102862872A (zh) 2013-01-09
TWI573753B (zh) 2017-03-11
CN102862872B (zh) 2017-12-12
CN202729476U (zh) 2013-02-13
WO2013008744A1 (ja) 2013-01-17
TW201309582A (zh) 2013-03-01
JP6085970B2 (ja)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49B1 (ko) 접착 테이프용 릴, 권중체, 곤포물, 릴의 접착 테이프를 권회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용 릴로서의 용도, 및 접착 테이프용 릴의 제조 방법
TWI532664B (zh) 乾燥劑收容器以及接著帶用捲盤
JP2008545597A5 (ko)
TWI432375B (zh) 黏著劑膠帶用捲軸
JP5772147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80606B2 (ja) 接着テープ及び接着テープ巻回リール
JP2009004354A (ja) 接着材リ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接続体の製造方法
JP5720177B2 (ja) カバー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9149397A (ja) 接着テープ用リール
JP5473602B2 (ja) Ptc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51619A (ja) 包装袋
JP5050832B2 (ja) 接着テープ用リール
JP2012091858A (ja) カバーテープ
JPH02206140A (ja) フィルムキャリア用エンボススペーサフィルム
JP2000118559A (ja) ブリスター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2209A (ja) 帯電防止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JP2002187188A (ja) クリーンフイルム及び包装袋
WO2012004532A1 (fr) Ensemble de radio-étiquette, pièce moulée comprenant un tel ensemb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telle piè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