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43B1 - 토글클램프 - Google Patents

토글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43B1
KR101939143B1 KR1020170015564A KR20170015564A KR101939143B1 KR 101939143 B1 KR101939143 B1 KR 101939143B1 KR 1020170015564 A KR1020170015564 A KR 1020170015564A KR 20170015564 A KR20170015564 A KR 20170015564A KR 101939143 B1 KR101939143 B1 KR 10193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le
front link
link
plat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561A (ko
Inventor
유광복
Original Assignee
유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복 filed Critical 유광복
Priority to KR102017001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toggle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5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글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단에 브라켓트후위핀공과 브라켓트전위핀공이 상기 바닥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사이에는 요형(凹形)의 브라켓트도피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 상호간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상호간이 정렬되고 상기 지지벽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수평지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와; 후방링크하위핀공과 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판을 가지고, 상기 전방링크판이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링크부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되고 각각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의 후방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링크판부 사이영역에 상기 후방링크부재와 상기 전방링크판이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파지부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파지부상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와; 가압판부와 상기 가압판부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고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글클램프{Toggle Clamp}
본 발명은 토글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작은 조작력(操作力)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클램프(Clamp)를 사용하여 공작 기계의 테이블 등에 고정시키고 있다.
수동으로 조작하는 클램프(Clamp)의 경우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작은 조작력(操作力)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토글클램프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 토글클램프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는 종래 가압봉과 링크부재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토글클램프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10)와, 고정브라켓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140)와, 고정브라켓트(110)에 결합된 안내관(122)과, 안내관(122)을 통과하도록 고정브라켓트(110)에 설치된 가압봉(123)과, 조작부(140)와 가압봉(123)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원호형태의 링크부재(121)를 갖고 있다.
각 고정브라켓트(110)는 수직판부(111)와, 수직판부(11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수평판부(112)와, 수직판부(111)와 수평판부(112)에 대하여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수직판부(111)로부터 연장형성된 지지판부(113)를 갖고 있다.
수평판부(112)에는 봉안내공(112a)이 안내관(122)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부(113)에는 지지판핀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브라켓트(110)는 수직판부(111)를 통해 소정의 수직지지면에 설치된다.
조작부(140)는 파지부(141)와, 파지부(141)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142)를 갖고 있다.
각 파지부링크판부(142)는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142a)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전위핀공(142a)의 하부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14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작부(140)는 지지판부(113)가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142) 사이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조작부전위핀공(142a)과 지지판핀공(113a)을 통과하는 회동핀(129)을 통해 지지판부(1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봉(123)은 상단에 가압봉핀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봉(123)은 가압봉핀공(123a)이 수평판부(112)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봉안내공(112a)과 안내관(122)에 설치된다.
링크부재(121)에는 링크하위핀공(121a)과 링크상위핀공(121b)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링크부재(121)는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142)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조작부후위핀공(142b)과 링크상위핀공(121b)을 통과하는 회동핀(129)과 가압봉핀공(123a)과 링크하위핀공(121a)을 통과하는 회동핀(129)을 통해 조작부(140)와 가압봉(123)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토글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0과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부(141)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링크부재(121)는 상방향으로 이동한다(도10 참조).
링크부재(12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봉(123)도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가압봉(123)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봉(123)의 아래쪽에 피가공물을 놓는다.
다음에 파지부(141)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링크부재(121)는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링크부재(12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봉(123)도 하방향으로 이동한다(도11 참조).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봉(123)의 가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은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토글클램프에 따르면,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파지부(141)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다시 하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압위치(가압봉이 피가공물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위치, 도10 참조)와 가압해제위치(가압봉이 피가공물을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위치, 도11참조) 사이의 조작부(140) 이동거리가 크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가공물의 상측에 가압봉(123)이 배치되기 때문에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110)의 전방에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5-0104791호(공개일자: 2015년 9월 16일, 발명의 명칭: 토글클램프)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토글클램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고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토글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단에 브라켓트후위핀공과 브라켓트전위핀공이 상기 바닥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사이에는 요형(凹形)의 브라켓트도피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 상호간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상호간이 정렬되고 상기 지지벽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수평지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와; 후방링크하위핀공과 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판을 가지고, 상기 전방링크판이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링크부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되고 각각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의 후방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링크판부 사이영역에 상기 후방링크부재와 상기 전방링크판이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와; 가압판부와 상기 가압판부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된 가압부또는 가압판부와 상기 가압판부의 저면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피가공물의 설치면에 대한 가압패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는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과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링크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면에는 전방링크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판면이 상기 가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판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대응하는 가압부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요철부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요철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요철부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요철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결합상태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각각 브라켓트후위핀공과 브라켓트전위핀공을 형성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부재에 조작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가압부를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간단해지고(파지부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피고정물을 고정시킬 수 있고 가압위치와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조작부 이동거리가 작아짐)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면, 피가공물의 둘레영역 중 적당한 장소를 선택하여 토글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고, 하나의 피가공물에 다수의 토글클램프를 설치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클램프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수평면 상에 고정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음).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3,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8은 종래 토글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9는 종래 가압봉과 링크부재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종래 토글클램프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와,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링크부재(21) 및 전방링크부재(30)와, 후방링크부재(21)와 전방링크부재(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40)와, 전방링크부재(3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50)와, 전방링크부재(30)와 가압부(50)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결합상태조작부(60)를 갖고 있다.
각 고정브라켓트(10)는 바닥판부(11)와, 바닥판부(1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벽부(12)를 갖고 있다.
지지벽부(12)는 상단에 브라켓트후위핀공(12a)과 브라켓트전위핀공(12b)이 바닥판부(1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부(12)는 브라켓트후위핀공(12a)과 브라켓트전위핀공(12b) 사이에 요형(凹形)의 브라켓트도피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고정브라켓트(10)는 브라켓트후위핀공(12a) 상호간과 브라켓트전위핀공(12b) 상호간이 정렬되고, 지지벽부(12)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수평지지면에 설치된다.
각 후방링크부재(21)에는 후방링크하위핀공(21a)과 후방링크상위핀공(21b)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링크부재(21)는 일반적인 생상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두께를 고려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두께를 크게하여 단일체로(한 몸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방링크부재(21)는 지지벽부(12)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브라켓트후위핀공(12a)과 후방링크하위핀공(21a)을 통과하는 회동핀(29)을 통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링크부재(30)는 전방링크판(31)과, 전방링크판(3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전방링크요철면부(32)를 갖고 있다.
전방링크판(31)에는 전방링크하위핀공(31a)과 전방링크상위핀공(31b)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링크하위핀공(31a)과 전방링크상위핀공(31b)의 이격거리는 후방링크하위핀공(21a)과 후방링크상위핀공(21b)사이의 이격거리와 달라도 무방하나, 조작상의 편의를 위해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링크요철면부(32)는 전방링크하위핀공(31a)과 전방링크상위핀공(31b)을 연결하는 방향과 전방링크판(31)의 판면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전방링크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다.
전방링크요철면부(32)는 대략 사각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링크요철면부(32)의 내부공간은 너트안착공간(32c)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링크요철면부(32)는 전방링크하위핀공(31a)과 전방링크상위핀공(31b)을 연결하는 방향에 나란하고 전방링크판(31)의 판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면에 랙기어형태의 전방링크요철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링크요철면부(32)에는 전방링크체결공(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방링크부재(30)는 전방링크판(31)이 지지벽부(12)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브라켓트전위핀공(12b)과 전방링크하위핀공(31a)을 통과하는 회동핀(29)을 통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40)는 파지부(41)와, 파지부(41)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42)를 갖고 있다.
각 파지부링크판부(42)는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42a)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전위핀공(42a)의 후방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42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전위핀공(42a)은 조작부후위핀공(42b)과 같은 높이에 형성할 수 있으나, 조작상의 편의를 위해 조작부후위핀공(42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작부전위핀공(42a)과 조작부후위핀공(42b) 사이의 이격거리는 전방링크하위핀공(31a)과 전방링크상위핀공(31b)의 이격거리 또는 후방링크하위핀공(21a)과 후방링크상위핀공(21b)사이의 이격거리와 달라도 무방하나, 조작상의 편의를 위해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파지부링크판부(42)에는 조작부전위핀공(42a)과 조작부후위핀공(42b) 사이영역에 요형(凹形)의 조작부도피홈(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작부(40)는 파지부링크판부(42) 사이영역에 후방링크부재(21)와 전방링크판(31)이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후방링크상위핀공(21b)과 조작부후위핀공(42b)을 통과하는 회동핀(29)을 통해 후방링크부재(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링크상위핀공(31b)과 조작부전위핀공(42a)을 통과하는 회동핀(29)을 통해 전방링크부재(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부(50)는 가압판부(51)와, 판면이 가압판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가압판부(5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가압부요철면부(52)와, 가압판부(51)의 저면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53)와, 높이조절부재(53)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54)를 갖고 있다.
가압부요철면부(52)는 한 쌍의 보강판(55)에 의해 가압판부(51)에 대한 지지상태가 보강되어 있다.
가압판부(51)는 양단이 반원형을 이루는 긴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양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요철면부(52)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요철면부(52)는 일면에 전방링크요철부(32a)에 대응하는 가압부요철부(52a)가 랙기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요철부(52a)의 중앙에는 가압부체결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부재(53)는 나사 등을 사용하여 가압판부(5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패드(54)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저면에는 패드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패드(54)는 본딩 등의 방법으로 높이조절부재(5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부(50)는 파지부(41)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패드(54)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전방링크부재(3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가압부(50)는 가압부요철부(52a)가 전방링크요철부(32a)에 요철결합되도록 설치된다.
결합상태조작부(60)는 전방링크요철면부(32)에 형성된 너트안착공간(32c)에 설치된 사각너트(63)와, 와셔(62), 가압부체결공(52b) 및 전방링크체결공(32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사각너트(63)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노브(61)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결합상태조작부(60)에 따르면, 조임노브(6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가압부요철부(52a)와 전방링크요철부(32a)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임노브(6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요철결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 도3,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작업테이블(201)에 보조판(202), 피가공물(203) 및 원형톱(204)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0)가 가압해제위치(가압패드가 피가공물을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토글클램프를 보조판(202)의 상면(수평지지면에 해당함)에 설치한다.
다음에 파지부(41)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파지부(41)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후방링크부재(21)는 브라켓트도피홈(12c)을 향해 회동하고, 전방링크판(31)은 브라켓트도피홈(12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도3 참조).
전방링크판(31)이 브라켓트도피홈(12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가압패드(54)는 피가공물(203)의 상면에 접근한다.
가압패드(54)는 최종적으로 피가공물의 상면에 가압접촉되고, 조작부(40)는 가압위치(가압패드가 피가공물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도4 참조).
가압패드(54)가 피가공물에 가압접촉된 상태에서 원형톱(204)을 구동시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피가공물(203)의 가공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파지부(41)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파지부(41)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 후방링크부재(21)는 브라켓트도피홈(12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방링크판(31)은 브라켓트도피홈(12c)을 향해 회동한다.
전방링크판(31)이 브라켓트도피홈(12c)을 향해 회동하는 동안 가압패드(54)는 피가공물(20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조작부(40)는 다시 가압해제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가압부요철부(52a)와 전방링크요철부(32a)의 요철결합위치를 달리하는 방법으로 수평지지면에 대한 가압패드(54)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도5 및 도6 참조).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부재(53)를 포함하도록 가압부(50)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재(53)를 생략하고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에 각각 브라켓트후위핀공(12a)과 브라켓트전위핀공(12b)을 형성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에 후방링크부재(21)와 전방링크부재(3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후방링크부재(21)와 전방링크부재(30)에 조작부(4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파지부(41)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패드(54)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가압부(50)를 전방링크부재(30)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피가공물의 고정작업이 간단해지고(파지부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회 동작에 의해 피고정물을 고정시킬 수 있고 가압위치와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조작부 이동거리가 작아짐)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10)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피가공물을 고정브라켓트(10)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면, 피가공물의 둘레영역 중 적당한 장소를 선택하여 토글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고, 하나의 피가공물에 다수의 토글클램프를 설치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클램프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수평지지면 상에 고정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음).
그리고 높이조절부재(53)를 가압부(50)에 포함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피가공물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부(50)를 전방링크부재(30)에 요철결합하는 한편 가압부(50)와 전방링크부재(30)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요철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결합상태조작부(60)를 추가함으로써, 피가공물의 설치면에 대한 가압패드(5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고정브라켓트 11 : 바닥판부
12 : 지지벽부 21, 30, 121 : 링크부재
31 : 전방링크판 32 : 전방링크요철면부
40, 140 : 조작부 41, 141 : 파지부
42, 142 : 파지부링크판부 50 : 가압부
51 : 가압판부 52 : 가압부요철면부
53 : 높이조절부재 54 : 가압패드
60 : 결합상태조작부 123 : 가압봉

Claims (3)

  1.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단에 브라켓트후위핀공과 브라켓트전위핀공이 상기 바닥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사이에는 요형(凹形)의 브라켓트도피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 상호간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상호간이 정렬되고 상기 지지벽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수평지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와, 후방링크하위핀공과 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판을 가지고 상기 전방링크판이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링크부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되고 각각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의 후방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링크판부 사이영역에 상기 후방링크부재와 상기 전방링크판이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와, 가압판부와 상기 가압판부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된 가압부를 갖는 토글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부재는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과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링크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면에는 전방링크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판면이 상기 가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판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대응하는 가압부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요철부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요철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요철부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요철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결합상태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클램프.
  2.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단에 브라켓트후위핀공과 브라켓트전위핀공이 상기 바닥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사이에는 요형(凹形)의 브라켓트도피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 상호간과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 상호간이 정렬되고 상기 지지벽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수평지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와, 후방링크하위핀공과 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후위핀공과 상기 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전방링크상위핀공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판을 가지고 상기 전방링크판이 상기 지지벽부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전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링크부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되고 각각 종단에 조작부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의 후방영역에는 조작부후위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지부링크판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링크판부 사이영역에 상기 후방링크부재와 상기 전방링크판이 진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과 상기 조작부전위핀공을 통과하는 회동핀을 통해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와, 가압판부와 상기 가압판부의 저면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가압패드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드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고정 결합된 가압부를 갖는 토글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부재는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과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링크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방링크하위핀공과 상기 전방링크상위핀공을 연결하는 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전방링크판의 판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면에는 전방링크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링크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판면이 상기 가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판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대응하는 가압부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요철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요철부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에 요철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요철부와 상기 전방링크요철부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요철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결합상태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클램프.
  3. 삭제
KR1020170015564A 2017-02-03 2017-02-03 토글클램프 KR10193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64A KR101939143B1 (ko) 2017-02-03 2017-02-03 토글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64A KR101939143B1 (ko) 2017-02-03 2017-02-03 토글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61A KR20180090561A (ko) 2018-08-13
KR101939143B1 true KR101939143B1 (ko) 2019-01-16

Family

ID=6325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64A KR101939143B1 (ko) 2017-02-03 2017-02-03 토글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56B1 (ko) * 2021-03-29 2022-04-28 박지영 진공흡착 cnc를 활용한 에어컨 베인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66B1 (ko) * 2020-05-18 2020-08-20 터보파워텍(주) 노즐리테이닝링 변형방지용 가공지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457B1 (ja) * 1999-08-11 2000-09-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前頭構体のボルト結合部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Y2 (ja) * 1983-02-07 1994-01-05 渋谷工業株式会社 レ−ザ−加工機の加工テ−ブル
JPH06134676A (ja) * 1992-10-27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クランプ装置
JP3086457U (ja) * 2001-12-05 2002-06-21 富士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パ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457B1 (ja) * 1999-08-11 2000-09-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前頭構体のボルト結合部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56B1 (ko) * 2021-03-29 2022-04-28 박지영 진공흡착 cnc를 활용한 에어컨 베인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61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43B1 (ko) 토글클램프
WO2004018154A1 (ja) クランプ装置
KR101886407B1 (ko) 용접용 지그
JP2011518050A (ja) 切断位置の調節が可能な切断装置
JP4889551B2 (ja) 薄板鋼板の肌付治具
CN105127777A (zh) 直角工件定位装置
US4061321A (en) Frame holder
KR20080110035A (ko) 가구용 판재의 모서리 몰딩 가공장치
KR101675753B1 (ko) 가변형 공작물 고정장치
KR101067749B1 (ko) 용접토치 교체용 지그
KR20080112535A (ko) 차량용 고정브라켓 용접장치
JPH09136230A (ja) トグルクランプ
CN102019464B (zh) 切割机
CN201543909U (zh) 切割机
TWI632983B (zh) Automatic tool changer
JP5252377B2 (ja) シート切断機
KR101621500B1 (ko) 해머 액션 유닛 지지장치
JP2001214909A (ja) 組付部品の位置決め固定治具
KR200362763Y1 (ko) 단조 성형기용 홀더
JP2005324232A (ja) 板金引出具
CN215704182U (zh) 一种支架、焊接设备
CN215358091U (zh) 一种带有夹钳夹紧装置后防撞梁检具
JP3151306U (ja) 水中運動装置
KR101083737B1 (ko) 클램프 장치
WO2023127288A1 (ja) 板材の曲げ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