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46B1 -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846B1
KR101938846B1 KR1020180097466A KR20180097466A KR101938846B1 KR 101938846 B1 KR101938846 B1 KR 101938846B1 KR 1020180097466 A KR1020180097466 A KR 1020180097466A KR 20180097466 A KR20180097466 A KR 20180097466A KR 101938846 B1 KR101938846 B1 KR 10193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nchor
girder
protruding bloc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학
채재겸
장재호
김희수
나금옥
오종한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화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화건설산업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8009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PC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라켓과; 기 브라켓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기둥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기둥부와;상기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출블록과,상기 브라켓에 얹혀지고, 앵커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돌출블록과 연결되며, 한 쌍의 보 및 상기 한 쌍의 보를 연결하는 슬래브에 의하여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블록 또는 연결 거더는 앵커볼트와 커플러의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C(Precast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C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PC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층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및 철근배근을 현장에서 제작,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연양생을 거쳐 층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재래식 현장타설 공법(일명 RC공법 또는 CIP공법)이 있다.
한편, 보, 슬래브 등 주요 구조부를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고 운반·설치 후 접합부 및 상부는 토핑을 타설하여 구조물을 한 층 씩 완성시키는 공법으로 PC복합화 공법(일명 PC공법)이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빠르고 고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등록특허 10-1289934에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PC복합화 공법도 현장타설 부분은 양생과정이 필요하고 일정한 공기를 필요로 한다.
특히 물류용 건물이나 바닥마감이 초평탄 기계식 미장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은 상부 구조물이 시공되어 막혀있는 상태에서 타설,미장 마감을 하여야 좋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양생기간을 절대공기로 소요되지 않고 공기를 당기는 목적과 상부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초평탄 타설 마감을 할 수 있는 시공이 되려면 접합부 및 바닥 상부토핑 콘크리트를 타설 없이 여러 층을 선 공정으로 조립하면서 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공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중력하중을 견디는 것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의 횡 하중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게 시공기술을 확보하여야 하고, 횡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조립·설치된 부재간에는 타설 없이도 횡 하중을 적절히 전달할 수 있게 다이어프램 역할을 할 수 있는 견고한 접합형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다층 PC 접합 구조물의 동시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작업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PC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기둥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기둥부와; 상기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출블록과, 상기 브라켓에 얹혀지고, 앵커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돌출블록과 연결되며, 한 쌍의 보 및 상기 한 쌍의 보를 연결하는 슬래브에 의하여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블록은 앵커볼트와 커플러의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돌출블록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리세스 된 형태로 마련되며, 돌출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며, 작업 공간으로 연결 거더의 앵커 및 돌출블록의 앵커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며, 작업 공간에서 두 앵커를 연결하는 커플러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 블록의 전방면에 형성된 작업 공간은 전방면과, 상하면이 개구되며, 양측방의 측벽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돌출블록의 후방면에 형성된 작업 공간은 후방면과, 상하면이 개구되고, 양측방의 측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 거더의 상면을 구성하는 슬래브는 그 일부가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은 상면과 상부 기둥부를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은 하향 경사면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브라켓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철근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의 바닥의 단부는 상기 상부 기둥부의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기둥부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출블록과 연결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얹히도록 배치되는 플로어 슬래브를 더 포함되며, 상기 돌출블록과 연결거더의 측면 테두리에는 플로어 슬래브가 얹혀질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와 단차부의 측벽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와 상기 돌출 블록의 단차부에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모르타르 타설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 중 상기 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를 향하는 단부에는 상호 이격되며 연결선이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선은 상부 기둥부를 통과하여 수용홈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돌출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며, 작업 공간으로 연결 거더의 앵커 및 돌출블록의 앵커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며, 작업 공간에서 두 앵커를 연결하는 커플러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 하부 기둥부와 브라켓과, / 상부 기둥부와, /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마련되며, 앵커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갖는 돌출 블록을 갖는 기둥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와; 연결 거더에 있는 앵커 및 돌출블록에 있는 앵커를 작업 공간 내부에서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플로어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단차 공간과, 작업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와;단차 공간 및 작업 공간의 윗 공간과, 플로어 슬래브의 윗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는, 단차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브라켓에 마련되는 돌출부재를 끼우고, 바닥면 위로 노출된 돌출부재의 상단부에 커플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는, 브라켓 위에 있는 상부 기둥부의 키홈과, 연결 슬래브의 키홈을 맞추고 그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전단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 블록 또는 연결 거더에 작업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기둥부와 연결 거더 간의 앵커 결합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보와 하나의 연결 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어 슬래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부 기둥부가 위로 돌출되게 마련됨으로써 위의 추가 기둥부와의 결합이 쉬워지고, 그 공간만큼의 콘크리트 타설이 불필요해졌다.
또한, 연결 거더에 단차 공간을 두고, 단차 공간의 하부의 단부가 상부 기둥부와 접촉하되, 상부 기둥부가 이러한 가압을 버팀으로써, 연결 거더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한 연결 거더의 변형 및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슬래브와 연결거더 사이 및 플로어 슬래브와 돌출 블록 사이에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연결되는 구조에서 이격 공간을 제거하고, 그 외의 영역에는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함으로써 구조체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 거더가 박스형 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의 강성이 커져서 쳐짐에 버티는 힘이 커진다는 장점과, 노출 천정에 적용시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두 기둥부 사이에 배치된 플로어 슬래브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기둥부와 연결 거더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기둥부와 연결 거더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연결 거더와 기둥부의 단차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기둥부, 연결거더, 플로어 슬래브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기둥부가 지면에 고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에서 상부 기둥부와 추가 기둥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PC 접합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 접합 구조물은 기둥부와(100), 기둥부(100)와 접합되는 연결 거더(200)와, 연결 거더(200) 및 기둥부(100)의 일부에 얹히는 플로어 슬래브 (300)를 포함한다.
연결 거더(200)는 기둥부(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플로어 슬래브(300)는 기둥부(100) 및 연결 거더(2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100)의 구성을 보면, 하부 기둥부(110)와, 그 위에 마련되는 연결부(도4참조, 111), 연결부(111)위에 있는 브라켓(120)과, 그 위에 있는 상부 기둥부(130)와, 상부 기둥부(130)의 양 옆에 마련되며 브라켓(120)의 위에 배치되는 돌출블록(150)을 포함한다.
한편, 상부 기둥부(130)는 그 위에 올려지는 추가 기둥부(140)와 연결된다.
브라켓(120)의 단면적은 상부 기둥부(130) 및 하부 기둥부(11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전후좌우로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기둥부(130)의 양 옆에는 돌출블록(150)이 배치되어 있는데, 돌출블록(15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ㄷ'자 형태로 파여진 홈 형태의 작업 공간(152)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 공간(152)은 돌출블록(150) 및 연결 거더(200)에 각각 마련되는 앵커를 커플러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경우,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작업 공간(152)의 양 옆에는 측벽부(153a)가 마련되며, 측벽부(153a)는 단부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 기둥부(130)는 전후 방향으로 철근 또는 연결선(131)이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철근 또는 연결선(131)은 후술할 연결 거더(200)의 단차 공간(204)에 수용되어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브라켓(120)의 상면의 전방과 후방, 즉 상부 기둥부(130)와 돌출블록(1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평면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 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예, 철근 또는 앵커 볼트)(121)가 마련된다.
브라켓(120)의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연결 거더(200)의 일부가 얹히게 되고, 돌출부재(121)는 연결 거더(200)에 마련되는 단차 공간(204)의 바닥면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기둥부(100)와 연결 거더(200) 간의 접합 구조가 구조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연결 거더(200)는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보(일명, 트윈 보)(201, 202)와, 그 두 개의 보(201, 202)의 상면을 연결하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연결 슬래브(203)로 구성된다.
한편, 연결 거더(200)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보와 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슬래브로 구성되는 부분 연결 거더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이러한 부분 연결 거더가 병렬적으로 연접되어 단일의 연결 거더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 슬래브(203)는 전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 기둥부(100)에 인접한 방향에 있는 부분 일부가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 공간(204)이 상부 기둥부(13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단차 공간(204)은 상면과, 상부 기둥부(130)를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제외한 주위는 하향 경사면 및 평평한 바닥면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단차 공간(204)의 평평한 바닥면에는 상술한 돌출부재(12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거더(200)의 두 개의 보(201, 202)의 단부는 돌출 블록(150)과 대면하게 되며, 상세하게는 돌출 블록(150)의 작업 공간(152)과 대면하게 된다.
두 개의 보(201, 202)의 단부에는 앵커가 마련되고, 돌출 블록(150)에도 앵커가 마련되어 작업 공간(152)으로 노출된다.
그리하여, 보(201, 202)에 마련되는 앵커와 돌출 블록(150)에 마련되는 앵커 볼트(154)가 마주하게 되며, 이들은 너트 형태의 커플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부 기둥부(130) 및 연결 거더(200)의 단차 공간(204)이 형성된 방향의 측단면에는 각각 키홈(211, 132)이 형성된다. 추후 키홈(211, 132)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채울 경우, 모르타르가 경화되어 전단키 역할을 함으로써, 연결 거더(200)와 기둥부(100) 간의 좌우 상대 이동이 제한된다.
돌출 블록(150) 및 연결 거더(200)의 상부 측면 테두리에는 단차부(153, 205)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153, 205)에는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연결 거더(200)의 상부 측면 테두리의 단차부(205) 및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에는 복수의 상호 이격되는 요홈(207, 305)이 형성되고, 이 요홈(207, 305)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 요홈(207, 305)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한편,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전단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205)의 측벽(206)과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 사이에는 스틸 재질과 같이 강성이 있는 플레이트부(도4참조, 400)가 삽입됨으로써, 단차부(207) 측벽(206)과 플로어 슬래브(300) 간의 힘전달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플로어 슬래브(300)는 플로어 상면(301)과, 플로어 상면(301) 하부에 마련되는 리브(302)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로어 상면(301) 중 돌출블록(150) 및 연결 거더(200)를 향하는 부분에는 상호 이격되는 수용홈(304)이 마련되고, 수용홈(304)과 수용홈(304) 사이에는 플로어 상면(30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구획부(303)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홈(304)은 플로어 상면(301)에서 하향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며, 추후 콘크리트 타설시, 수용홈(304) 내부에 철근이 수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도3은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둥부(130) 및 돌출 블록(15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연결 거더(2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기둥부(130)의 전면과 후면에는 연결 거더(200)의 연결 슬래브(203)에 형성되는 단차 공간(20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 공간(204)에 상부 기둥부(130)에 설치되어 있는 철근 또는 연결선(131)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연결 거더(200)의 두 개의 보(201, 202)와 돌출 블록(150) 사이에는 작업 공간(153)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블록(150)은 위에서 보면 H자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 공간(153)은 위 아래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작업 공간(153)에 돌출 블록(150)에 마련되어 있는 앵커 및 연결 거더(200)에 마련되어 있는 앵커가 노출되고, 이들이 커플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 거더(200)의 상면 테두리에 있는 단차부(205)의 요홈(206)과,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에 있는 요홈(305)이 상호 마주보게 마련되어 있고, 이 부분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도4는 두 개의 기둥부(100) 사이에 플로어 슬래브(3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각각의 기둥부(100)의 브라켓(120)에는 연결 거더(200)가 배치된다.
좌측에 있는 기둥부(100)에 배치된 연결 거더(200) 및 돌출블록(150)과, 우측에 있는 기둥부(100)에 배치된 연결거더(200) 및 돌출블록(150) 사이에 플로어 슬래브(300)가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좌측에 있는 기둥부(100)에 배치된 연결 거더(200)의 단차부(205)및 돌출블록(150)의 단차부(153)에 플로어 슬래브(300)의 일단부가 걸려서 안착되고, 우측에 있는 기둥부(100)에 배치된 연결 거더(200)의 단차부(205) 및 돌출블록(150)의 단차부(153)에 플로어 슬래브(300)의 타단부가 걸려서 안착되고, 이러한 구조물이 위로 계속 올라가면서 이루어짐으로써, 다층 구조물이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연결 거더(200)와 기둥부(100)가 연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거더(200)의 상부에는 다수의 철근(208)이 상부로 노출되고, 상부 기둥부(130)의 전방과 후방에도 철근(131)이 노출되게 마련된다.
연결 거더(200)의 철근(208) 및 상부 기둥부(130)의 철근(131)은 추후 연결거더 (200)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이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 기둥부(130)의 높이는 연결 거더(200)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그 부분에 별도의 습식 콘크리트 타설이 불필요하고, 더 나아가, 상부 기둥부(130)가 위로 돌출되어 있어서, 그 위의 추가 기둥부(14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타설용 콘크리트가 불필요하고, 양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6은 연결 거더(200)와 기둥부(100)가 연접 상태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연결 거더(200)를 구성하는 연결 슬래브(203)에 형성된 단차 공간(204)은 바닥면과,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면과 일측이 개방되고, 일측이 개방된 부분은 상부 기둥부(130)에 연접한다.
단차 공간(204)의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브라켓(120)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재(121)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삽입됨으로서, 연결 거더(200)가 브라켓(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연결 거더(200)가 브라켓(120)에 안착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돌출부재(121)의 단부에는 커플러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 기둥부(130)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배열된 철근 또는 연결선(133)이 관통하고, 이것이 단차 공간(204)에 배치되는데, 나중에 단차 공간(204)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그 철근 및 연결선(133)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그 철근 및 연결선(133)에 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 및 연결 거더(200)와 상부 기둥부(133) 간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연결 거더(200)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단차 공간(204)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단부가 상부 기둥부(130)의 하부 측면을 가압한다(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는 방향 및, 가압되는 지점은 원으로 표시함)
그러나, 상부 기둥부(130) 자체가 단단한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므로 수축되지 않고, 버틸 수 있기 때문에, 연결 거더(20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연결 거더(200)의 변형이 예방되고, 연결 거더(200)와 기둥부(100) 간의 연결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거더(200)의 양 옆은 두 개의 상호 이격된 보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이격 공간(210)이 마련된다. 그리고, 두 개의 보(201,202) 상면은 연결 슬래브(203)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거더(200)의 상면 양측 테두리는 단차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블록(150)의 상부 테두리 측면도 단차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153)는 연결 거더(200)의 상면 양측 테두리의 단차부(205)와 연속된 선상에 배치되어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단차부(205, 153)들은 'ㄴ'자 형태로 마련되되 그 측벽부분이 완전한 수직 형태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하향 경사지게 됨으로써, 무수축 모르타르의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플로어 슬래브(300) 단부와의 간섭을 최대한 방지하여 그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205)의 측벽과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 사이에는 강도가 있는 플레이트(400)가 삽입되어 단차부(205) 측벽과 플로어 슬래브(300)사이의 요동을 방지하고, 힘의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둥부(100) 및 연결 거더(200)와 플로어 슬래브(300)가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물과 같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9는 지면(L)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C)가 경화된 이후에 그 위에 PC로 제작되는 기둥부(100)(하부 기둥부)(11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면(L)에 타설된 콘크리트(C)에는 제1앵커(501)와, 제2앵커(503)가 마련된다.
하부 기둥부(110)의 하면에는 플레이트(일명, 빔슈)(112)가 일체화 되어 설치되고, 하부 기둥부(110)의 모서리에는 홈부(115)가 마련된다. 제1앵커(501)는 플레이트(112)의 네 모서리를 관통하고, 위로 노출된 제1앵커(501)에는 커플러(502)가 체결되어 제1앵커(501)와 하부 기둥부(110)를 고정시킨다.
한편, 제2앵커(503)는 제1앵커(501)보다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하부 기둥부(110)에는 제2앵커(50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공간 (114)내부에는 제2앵커(503)와 체결되는 이음부(예, 스플라이스 슬리브 이음)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 구조체의 틈새는 무수축 모르타르에 의하여 채워진다.
도10은 상부 기둥부(130)와 추가 기둥부(14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추가 기둥부(140) 하부에는 일체화된 플레이트부(142)가 마련되고, 추가 기둥부 하부 모서리에는 홈부(141)가 마련된다.
상부 기둥부(130) 상부에는 제1앵커(116)가 매립되어 고정되고, 그 상단부가 상부 기둥부(130) 위로 노출된다. 그 상태에서 추가 기둥부(140)가 상부 기둥부(130)로 접근하여 안착되면, 제1앵커(116)가 플레이트(142)를 관통하여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 또는 커플러(117)를 앵커(116)에 체결하면, 상부 기둥부(130)와 추가 기둥부(140)가 고정될 수 있고, 그 틈새는 무수축 모르타르에 의하여 채워진다.
또한, 상부 기둥부(130)에는 제2앵커(118)가 마련되어, 위로 노출되고, 추가 기둥부(140)의 하부에는 제2앵커(118)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공간 내부에는 제2앵커(118)와 체결되는 이음부(예, 스플라이스 슬리브 이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와 앞선 제1실시예와 차이점은 돌출블록(1150)의 작업 공간이 돌출블록(1150)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것이 아니라,측면이 개방된 점이다.
따라서, 돌출블록(1150)의 측면에는 측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작업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 공간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610) 및 이와 떨어진 제2하우징(62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하우징(610)에는 공간부(611)가 형성되고, 연결 거더(200) 방향으로 홈(6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612)에는 연결 거더(200)에 매립되고 고정되어 일측으로 노출되는 앵커(255)가 설치된다.
도11에서 제1,2하우징(610, 620) 및 앵커(255, 254)는 구분이 용이하게 밖으로 뺀 상태로 도시하였다.
연결 거더(200)에 연결된 앵커(255)는 홈(612)을 통과하여 제1하우징(610) 내부로 돌출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블록(1150)에서도 제1하우징(610) 내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앵커(미도시)가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 거더(200)에 있는 앵커(254)와, 돌출블록(1150)에 있는 앵커(미도시)는 제1하우징(610)의 공간부(611) 내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이들은 너트 또는 커플러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620)에서도 공간부(623)가 형성되고, 연결 거더(200) 방향으로 홈(254)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622)에는 연결 거더(200)에 매립되고 고정되어 일측으로 노출되는 앵커(254)가 설치된다. 연결 거더(200)에 연결된 앵커(254)는 홈(622)을 통과하여 제2하우징(620) 내부로 돌출된다.
역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블록(1150)에서도 제2하우징(620) 내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앵커(미도시)가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 거더(200)에 있는 앵커(254)와, 돌출블록(1150)에 있는 앵커(미도시)는 제2하우징(620)의 공간부 내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이들은 너트 또는 커플러(미도시)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앵커와 커플러의 조립작업이 돌출 블록(150)의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제2실시예의 경우, 앵커와 커플러의 조립 작업이 돌출블록(1150)의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두 실시예 모두, 돌출 블록(150, 1150)에 별도의 공간을 두어서 작업자가 돌출블록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작업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제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13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블록(1351)의 평면은 'H'자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돌출블록(1351)에는 하우징(1360)의 중앙부가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136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작업공간(1352)에 노출된다.
작업공간(1352)은 위아래로 개방되어 있고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도 개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우징(1360)은 양단의 설치공간(1361)과 설치공간(1361)사이에 마련되어 돌출블록(1351)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매립공간(1364)로 구성된다.
두 개의 설치공간(1361)의 바깥쪽에는 각각 외측구획벽(1362)이 마련되고, 설치공간(1361)과 매립공간(1364) 사이에는 내측 구획벽(1363)이 마련되어 설치공간(1361) 및 매립공간(1364)를 구획한다.
외측구획벽(1362)에는 관통홀(미도시)가 형성되는데, 관통홀은 연결 거더(200)를 구성하는 각 보(도1참조, 201, 202)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137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설치공간(1361) 내부에 이르고, 이 상태에서 앵커(1371)의 일단부에 너트나 커플러와 같은 체결부재(1372)가 체결된다.
체결부재(1372)의 외경은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1371)의 일단부가 설치공간(1362)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372)가 결합되면, 체결부재(1372)가 외측구획벽(1362)의 내벽에 밀착되어 걸리기 때문에 앵커(1371)가 하우징(136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351)이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13에서는 앵커(1371)와 체결부재(1372)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360)의 바깥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립후에는 곡선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체결부재(1372)가 설치공간(1361) 내부에 위치하고, 그 체결부재(1372)에 앵커(1371)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앵커와 체결부재 및 하우징의 이러한 도면의 구성 및 해석은 이하 실시예에서 동일하다.
도14 내지 도21에 의한 본 발명의 제3 내지 11실시예에서 점선 화살표는 본래 각 구성요소의 본래 배치 위치(매립위치 또는 최종 결합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실시예가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돌출블록(1451)의 평면도가 T자 형태로 마련되었다는 것이며, 작업공간(1452)는 상하방향 및 상부 기둥부(130)를 향하는 내측방향으로도 개방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도 개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연결블록(1451)과, 하나의 연결거더(200)가 복수(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하우징(1460) 및 하우징의 동일한 수량의 앵커(1471) 및 체결부재(1472)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연결 블록(1451)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하우징(1460)은 서로 대칭되게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하우징의 양단에 연결거더(200)를 구성하는 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1471)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단부에 체결부재(1462)가 체결된다. 하우징(1460) 과 앵커(1471)와, 체결부재(1472)의 연결관계에 따른 종국적인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451)의 연결관계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461은 설치공간, 1462는 외측 구획벽, 1463은 내측구획벽, 1464는 매립공간이며, 이들 상호 간의 기능 및 상대적인 위치는 제3실시예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5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차이는 작업공간(1552)이 돌출블록(1551)의 위에 배치되어 상하로 뚫린 것이 아니라, 돌출블록(1551)의 외측면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1560)도 돌출블록(1551)의 옆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가 돌출블록(1551)의 옆에서 앵커(1571)와 체결부재(1572) 간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560) 과 앵커(1571)와, 체결부재(1572)의 연결관계에 따른 종국적인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551)의 연결관계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561은 설치공간, 1562는 외측 구획벽, 1563은 내측구획벽, 1564는 매립공간이며, 이들의 상호 간의 기능 및 상대적인 위치는 제3,4실시예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5실시예와 제6실시예의 차이는 작업 공간(1652)이 돌출블록(1651)의 외측면에 양단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서 하우징(1660)도 위 아래로 배치되어 하나의 돌출블록(1651)에 두 개의 하우징(1660)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하나의 돌출블록(1651)에 총 4개의 작업공간(1652)이 마련된다.
하우징(1660) 과 앵커(1671)와, 체결부재(1672)의 연결관계에 따른 종국적인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651)의 연결관계는 제3 내지 5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661은 설치공간, 1662는 외측 구획벽, 1663은 내측구획벽, 1664는 매립공간이며, 이들의 상호 간의 기능 및 상대적인 위치는 제3 내지 5실시예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제7실시예와 제3 내지 6실시예의 다른 점은 작업 공간(1752)이 돌출블록(1751)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연결 거더(200)를 구성하는 보(201, 202)에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앵커(1771)는 돌출블록(1751)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앵커(1771)의 양단은 돌출블록(1751)의 전후 방향으로 노출된다. 앵커(1771)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1760)은 입체 형상(측단면이 'ㄱ'자 형태)의 구획벽(1762)과, 구획벽(1762) 내부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761) 및 구획벽(1762)에 연결되어 보(201,202)에 매립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760)을 보(201, 202)에 고정시키는 매립바(17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앵커(1771)의 양단에는 너트나 커플러 같은 체결부재(1772)가 결합될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 결합시에는 앵커(1771)의 양단이 구획벽(1762)에 마련되는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772)가 결합된다.
체결부재(1772)의 외경은 관통공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앵커(1771)의 양단이 하우징(176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751)이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보(201, 202)의 옆에 있는 작업공간(1752)를 통해서 앵커(1771) 및 하우징(1760), 체결부재(1772)간의 체결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7실시예와 제8실시예의 차이는 작업 공간(1852)이 보(201,202)의 외측면에 단부(돌출블록(1851)과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서 하우징(1860)도 위 아래로 배치되어 하나의 보(201, 202)에 두 개의 하우징(1860)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하나의 돌출블록(1851)의 양 옆에 총 4개의 작업공간(1652)이 마련된다.
하우징(1860) 과 앵커(1871)와, 체결부재(1872)의 연결관계에 따른 종국적인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651)의 연결관계는 제7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861은 설치공간, 1862는 입체 형상(측단면이 'ㄱ' 형태)를 갖는 구획벽, 1863의 매립바, 1871는 앵커, 1872는 체결부재이며, 이들의 상호 간의 기능 및 상대적인 위치는 제7실시예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보(201, 202)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1860)은 전후, 상하로 서로 대칭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하우징(1860)의 구획벽(1862)에, 돌출블록(1851)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앵커(1871)의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체결부재(1872)가 체결된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이다.
제9실시예에서는 작업 공간(1952)가 보(201, 202)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연결 거더(200)의 단차 공간(204)와 연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앵커(1971)는 돌출블록(1951)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앵커(1971)의 양단은 돌출블록(1951)의 전후 방향으로 노출된다. 앵커(1971)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1960)은 입체 형상(측단면이 'ㄱ'자 형태)의 구획벽(1962)과, 구획벽(1962) 내부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961) 및 구획벽(1962)에 연결되어 보(201,202)에 매립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960)을 보(201, 202)에 고정시키는 매립바(19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앵커(1971)의 양단에는 너트나 커플러 같은 체결부재(1972)가 결합될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 결합시에는 앵커(1971)의 양단이 구획벽(1962)에 마련되는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972)가 결합된다.
체결부재(1972)의 외경은 관통공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앵커(1971)의 양단이 하우징(196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1951)이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보(201, 202)의 내측면에 있는 작업공간(1952) 및 단차공간(204)를 통해서 앵커(1971) 및 하우징(1960), 체결부재(1972)간의 체결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9실시예와 제10실시예의 차이는 작업 공간(2052)이 보(201,202)의 내측면 단부(돌출블록(2051)과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제9실시예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서 하우징(2060)도 위 아래로 배치되어 하나의 보(201, 202)에 두 개의 하우징(2060)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두 개의 하우징(206)이 위 아래로 배치됨으로서 두 개의 하우징(206)이 형성하는 측단면은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하우징(2060) 과 앵커(2071)와, 체결부재(2072)의 연결관계에 따른 종국적인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2051)의 연결관계는 제9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061은 설치공간, 2062는 입체 형상(측단면이 'ㄱ', 또는 'ㄴ' 형태)를 갖는 구획벽, 2063의 매립바, 2071는 앵커, 2072는 체결부재이며, 이들의 상호 간의 기능 및 상대적인 위치는 제9실시예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보(201, 202)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2060)은 전후, 상하로 서로 대칭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하우징(2060)의 구획벽(2062)에, 돌출블록(2051)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앵커(2071)의 단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단부에 체결부재(2072)가 체결된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서는 위 제3 내지 10실시예와 같이 박스 형태의 하우징 없이 체결부재와 앵커만으로 연결된다.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블록(2151)의 평면은 'H'자 형태로 마련된다.
작업공간(2152)은 돌출블록(2151)의 전단부 상방 및 전방 일부가 절개 또는 단차져 있고, 또한 돌출블록(2151)의 후단부 상방 및 후방 일부가 절개 또는 단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거더(200)를 구성하는 보(201, 202)에는 앵커(2171) 및 체결부재(2171)가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체결부재(2171)는 설치공간(2152)을 향하고 있다.
또한, H자 돌출블록(2151)의 중앙부에도 중간 앵커(2180)가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중간 앵커(2180)의 양단에는 체결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체결부재는 각각 전후 방향의 작업공간(2152)를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하나의 작업공간(2151)의 전후방향에 두 개의 체결부재가 마주보도록 되어 있고, 그 사이에 연결부재(2160)가 삽입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작업공간(2151)에서는 연결부재(2160)를 각각의 체결부재(2172, 2180)에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연결 거더(200)와 돌출블록(2151)이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22 내지 도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전의 실시예는 연결 거더의 구조가 두 개의 이격된 보 및 그 위에 얹혀진 슬래브로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제12실시예는 연결 거더(1200)가 박스(box)형 거더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제12실시예의 연결 거더(1200)는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 슬래브(1203)와, 연결 슬래브(1203)의 아래쪽 양측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보(1201,1202)를 포함한다.
또한, 상호 이격된 보(1201, 120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코어(120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보(1201, 1202) 및 코어(1206)의 아래에는 코어(1206)의 하부를 차폐하는 하부면(1215)이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면(1215)는 선택에 따라서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제12실시예와 같이 박스형 거더 형태의 연결 슬래브(1200)가 구성되면 보의 강성이 커져서 쳐짐에 버티는 힘이 커진다는 장점과, 노출 천정에 적용시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연결 거더(1200)가 코어(1206)를 수용하는 박스형 거더가 되더라도, 경사면 형태를 갖는 단차 공간(204)을 가지고 있고, 그 단차 공간(1204)에 상부 기둥부(130)를 관통하는 철근 또는 연결선(130)이 배치되며, 단차 공간(1204)의 바닥면의 관통공에 브라켓(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돌출부재(121)가 삽입되는 것은 종전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또한, 두 개의 연결 거더(1200) 사이에 상부 기둥부(130) 및 돌출 블록(150)이 배치되고, 돌출블록(150)과 연결 거더(1200)가 앵커에 의하여 건식 접합되는 구조도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연결 거더(1200)의 단차부(1205) 및 돌출블록(150)의 단차부(153)에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가 얹혀져서 고정되는 구조도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L)에 타설되어 경화된 콘크리트(C)의 제1,2앵커(501, 503)에 기둥부(100)를 구성하는 하부 기둥부(110)를 설치한다.
이 경우, 하부 기둥부(110)에 마련되는 플레이트(112)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제1앵커(501)가 삽입되고, 하부 기둥부(110)에 마련되는 이음부에 제2앵커(50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1앵커(501)에는 너트 또는 커플러(502)를 체결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100)는 하부 기둥부(110), 그 위에 있는 연결부(111), 브라켓(120), 상부 기둥부(130), 상부 기둥부(130) 양 옆의 돌출블록(150)을 포함하는데, 이 기둥의 브라켓(120)의 상면에 연결 거더(200)를 위치시킨다.
한편, 연결 거더(200)가 복수의 연결 거더를 조립하여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보 및 그 위에 마련되는 좁은 연결 슬래브로 구성되는 부분 연결 거더를 복수개 준비하고, 각각의 부분 연결 거더를 각각 브라켓(120)에 장착하면서 부분 연결 거더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조립하여 연결거더(200)를 제공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130)의 상면에는 돌출부재(121)가 마련되는데, 돌출부재(121)가 연결 거더(200)에 마련되는 단차 공간(204)의 바닥면에 있는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한다. 관통홀을 통과하여 위로 돌출된 돌출부재(121) 단부에 너트 또는 커플러를 결합시켜서 고정한다.
한편, 이와 동시에, 돌출블럭(150)의 작업 공간(152)에 돌출블록(150)에 마련되는 앵커의 단부와, 연결 거더(200)의 앵커의 단부가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노출된다. 두 앵커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두 앵커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삽입하여 이를 체결하여 두 앵커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기둥부(100)와 연결 거더(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기둥부(100)의 돌출블록(150)의 단차부(153)와, 연결 거더(200)의 단차부(205)에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를 위치시켜서, 기둥부(100), 연결 거더(200), 플로어 슬래브(300)가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단차부(205)의 측벽과 플로어 슬래브(300)의 단부 사이에 금속 재질의 단단한 플레이트(400)를 삽입시키고, 단차부(205)의 그 외의 공간, 특히, 연결 거더(200)의 요홈(206) 및 플로어 슬래브(300)의 요홈(305) 사이 및 그 주변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한편, 연결 거더(200)의 단부, 특히, 단차 공간(204)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의 단부와, 이에 맞대면 되는 상부 기둥부(13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키홈(211. 132)이 형성되는데, 키홈(211, 132)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켜 전단키가 되도록 한다.
연결 거더(200)의 단차 공간(204)에는 상부 기둥부(130)에 연결된 연결선 또는 철근(133)이 수용되어 있는데, 단차 공간(20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단차 공간(204)이 메워지도록 하고, 앵커 간의 커플러에 의한 체결이 완료된 작업 공간 (152)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공간을 메운다.
한편, 도8와 같은 상태에서 플로어 슬래브(300)의 수용홈(304)과, 기둥부(100)를 기준으로 그 반대편에 있는 플로어 슬래브(300)의 수용홈(304) 사이를 가로지르는 철근(미도시)을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플로어 슬래브(300)의 수용홈(304)과 철근을 매립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플로어 슬래브(300)의 상면과, 연결 거더(200), 돌출 블록(150)의 상면을 덮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층의 높이가 도6에서 나타난 철근(131)의 높이를 넘도록 함으로써, 기둥부(100), 연결 거더(200), 플로어 슬래브(300)가 하나의 구조물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기둥부 110: 하부 기둥부
120: 브라켓 130: 상부 기둥부
150: 돌출 블록 152: 작업 공간
153: 단차부 200, 1200: 연결 거더
201, 202, 1201, 1202: 보 203, 1203: 연결 슬래브
204, 1204: 단차 공간 205, 1205: 단차부
300: 플로어 슬래브

Claims (21)

  1.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기둥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기둥부와;
    상기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출블록과,
    상기 브라켓에 얹혀지고, 앵커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돌출블록과 연결되며, 한 쌍의 보 및 상기 한 쌍의 보를 연결하는 슬래브에 의하여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블록 또는 연결 거더는 앵커볼트와 커플러의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돌출블록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리세스 된 형태로 마련되며, 돌출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며,
    작업 공간으로 연결 거더의 앵커 및 돌출블록의 앵커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며, 작업 공간에서 두 앵커를 연결하는 커플러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블록의 전방면에 형성된 작업 공간은 전방면과, 상하면이 개구되며, 양측방의 측벽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돌출블록의 후방면에 형성된 작업 공간은 후방면과, 상하면이 개구되고, 양측방의 측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거더의 상면을 구성하는 슬래브는 그 일부가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은 상면과 상부 기둥부를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은 하향 경사면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브라켓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철근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공간의 바닥의 단부는 상기 상부 기둥부의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기둥부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블록과 연결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얹히도록 배치되는 플로어 슬래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블록과 연결거더의 측면 테두리에는 플로어 슬래브가 얹혀질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와 단차부의 측벽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와 상기 돌출 블록의 단차부에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모르타르 타설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슬래브의 단부 중 상기 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를 향하는 단부에는 상호 이격되며 연결선이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선은 상부 기둥부를 통과하여 수용홈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돌출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며, 작업 공간으로 연결 거더의 앵커 및 돌출블록의 앵커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며, 작업 공간에서 두 앵커를 연결하는 커플러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돌출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거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 공간에는 돌출블록에 고정된 하우징이 마련되고, 하우징에 연결 거더에 마련되는 앵커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연결 거더를 구성하는 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 공간에는 보에 고정된 하우징이 마련되고, 돌출 블록에 고정된 앵커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은 상기 연결 거더를 구성하는 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 공간에는 보에 고정된 하우징이 마련되고, 돌출 블록에 고정된 앵커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업공간은 연결 거더에 마련되는 단차 공간과 연통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거더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사이에 형성되고, 연결 슬래브 하부에 위치한 공간과, 상기 공간에는 수용되는 코어와, 공간 하부에 마련되어 공간의 하부를 차폐하는 하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박스형 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접합 구조물.
  17. 하부 기둥부와 브라켓과, 상부 기둥부와,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마련되며, 앵커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갖는 돌출 블록을 갖는 기둥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와;
    연결 거더에 있는 앵커 및 돌출블록에 있는 앵커나 하우징을 작업 공간 내부에서 체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플로어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과, 작업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 및 작업 공간의 윗 공간과, 플로어 슬래브의 윗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는,
    단차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브라켓에 마련되는 돌출부재를 끼우고, 바닥면 위로 노출된 돌출부재의 상단부에 커플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브라켓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 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는,
    브라켓 위에 있는 상부 기둥부의 키홈과, 연결 슬래브의 키홈을 맞추고 그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전단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
  20. 상부 기둥부와 브라켓과, 상부 기둥부와,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마련되는 돌출 블록을 갖는 기둥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라켓과 상호 이격되고 앵커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갖는 두 개의 보 및 이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보를 연결하며 단차공간이 있는 연결슬래브로 구성되는 연결 거더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와;
    연결 거더에 있는 앵커 또는 하우징과, 돌출블록에 있는 앵커를 작업 공간 내부에서 체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플로어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과, 작업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 및 작업 공간의 윗 공간과, 플로어 슬래브의 윗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
  21. 하부 기둥부와 브라켓과, 상부 기둥부와, 상부 기둥부의 양 옆에 마련되는 돌출 블록을 갖는 기둥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하나의 보 및 그 위에 마련되는 연결 슬래브로 구성되는 부분 연결 거더를 복수개 준비하고, 각각의 부분 연결 거더를 각각 브라켓에 장착하면서 부분 연결 거더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조립하여 연결거더를 제공하는 단계와;
    연결 거더에 있는 앵커 또는 하우징과, 돌출블록에 있는 앵커를 돌출블록 또는 연결 거더에 마련되는 작업 공간 내부에서 체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돌출블록 및 연결 거더의 측면 테두리에 플로어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과, 작업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와;
    단차 공간 및 작업 공간의 윗 공간과, 플로어 슬래브의 윗 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접합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80097466A 2018-08-21 2018-08-21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3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66A KR101938846B1 (ko) 2018-08-21 2018-08-21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66A KR101938846B1 (ko) 2018-08-21 2018-08-21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846B1 true KR101938846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66A KR101938846B1 (ko) 2018-08-21 2018-08-21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84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427B1 (ko) * 2020-01-07 2020-07-06 현대엔지니어링(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고정구 어셈블리, 그 고정구 어셈블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33449B1 (ko) * 2020-01-02 2020-07-14 (주)케이아이피씨엠 초스피드 피씨 시스템을 이용한 라멘조 접합구조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210054102A (ko) * 2019-11-04 2021-05-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라멘식 pc 주차장 램프
CN112900620A (zh) * 2021-01-22 2021-06-04 清华大学 基于uhpc的装配式组合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102332143B1 (ko) * 2020-11-26 2021-12-0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슬래브와 pc 거더의 결합 시공 구조
KR102332144B1 (ko) 2020-12-16 2021-12-0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기둥과 pc 보의 결합 시공 구조
KR102474648B1 (ko) * 2021-09-14 2022-12-06 아이에스동서(주) 볼트연결철물을 이용한 접합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구조물
KR102489814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489817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570449B1 (ko) * 2022-05-31 2023-08-25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스마트 중간연결체를 이용한 조립식 pc기둥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43102B1 (ko) * 2023-07-18 2024-02-29 주식회사 한화 급속 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932A (ja) * 1992-08-19 1994-03-08 Daiwa House Ind Co Ltd Pc梁と柱の接合構造
KR100955612B1 (ko) * 2010-01-14 2010-05-03 김익배 원형 피씨기둥과 분담폭 과설계를 개선한 티티에스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JP2016169535A (ja) * 2015-03-12 2016-09-23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90274B1 (ko) * 2016-11-29 2018-08-22 (주)엔아이스틸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932A (ja) * 1992-08-19 1994-03-08 Daiwa House Ind Co Ltd Pc梁と柱の接合構造
KR100955612B1 (ko) * 2010-01-14 2010-05-03 김익배 원형 피씨기둥과 분담폭 과설계를 개선한 티티에스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JP2016169535A (ja) * 2015-03-12 2016-09-23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90274B1 (ko) * 2016-11-29 2018-08-22 (주)엔아이스틸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102A (ko) * 2019-11-04 2021-05-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라멘식 pc 주차장 램프
KR102333017B1 (ko) * 2019-11-04 2021-11-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라멘식 pc 주차장 램프
KR102133449B1 (ko) * 2020-01-02 2020-07-14 (주)케이아이피씨엠 초스피드 피씨 시스템을 이용한 라멘조 접합구조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30427B1 (ko) * 2020-01-07 2020-07-06 현대엔지니어링(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고정구 어셈블리, 그 고정구 어셈블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32143B1 (ko) * 2020-11-26 2021-12-0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슬래브와 pc 거더의 결합 시공 구조
KR102332144B1 (ko) 2020-12-16 2021-12-0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기둥과 pc 보의 결합 시공 구조
CN112900620A (zh) * 2021-01-22 2021-06-04 清华大学 基于uhpc的装配式组合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102474648B1 (ko) * 2021-09-14 2022-12-06 아이에스동서(주) 볼트연결철물을 이용한 접합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구조물
KR102489814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489817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570449B1 (ko) * 2022-05-31 2023-08-25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스마트 중간연결체를 이용한 조립식 pc기둥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43102B1 (ko) * 2023-07-18 2024-02-29 주식회사 한화 급속 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46B1 (ko) 돌출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pc 건식 접합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484491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1479613B1 (ko)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KR101632615B1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JP20110747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JP200714664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部の構造並びに該接合部を有す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72239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시스템
JP2004190364A (ja) プレキャストsrc柱接合部構造
KR20180031258A (ko) 반도체공장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부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KR102082481B1 (ko) 연속 시공형 pc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42384A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KR102392167B1 (ko) 벽식 라멘 pc 시스템
KR102330481B1 (ko)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JPH0882002A (ja) Rc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813508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及びその接合方法
JP2004011203A (ja) プレキャストsrc柱接合部構造
JPH06173343A (ja) 集成材構造における柱・梁接合部構造
KR20180026286A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H08199719A (ja) 集成木材梁とrc造り床スラブの接合方法
JP2516808B2 (ja) ラ―メン式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3852161B2 (ja) 既存建物への耐震壁増設工法、既存建物に増設される耐震壁
JPH08144425A (ja) 混合構造物のプレハブ部材及び混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JP7394256B1 (ja) 接合構造
JP2758208B2 (ja) 柱と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の接合工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