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60B1 -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360B1 KR101938360B1 KR1020170101516A KR20170101516A KR101938360B1 KR 101938360 B1 KR101938360 B1 KR 101938360B1 KR 1020170101516 A KR1020170101516 A KR 1020170101516A KR 20170101516 A KR20170101516 A KR 20170101516A KR 101938360 B1 KR101938360 B1 KR 101938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composition
- extract
- present
- enhan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및 인진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키고 우수한 피부 흡수량 유지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달물질로 적용되기 우수한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은 피부자극성 테스트 결과 피부에 비자극성이므로, 피부에 안전한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침엽수의 추출물 및 인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피흡수를 통해 약물을 체내에 침투시키는 의약품의 약물이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를 개선시키거나 보호하는 화장품의 기능성 원료들은 그에 포함되어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이 피부 장벽을 통과하여 얼마나 빠르고 지속적으로 흡수되는지에 따라 그 효과가 결정된다. 아무리 효과가 뛰어난 활성성분이라도 피부 내부로 흡수가 되지 않는다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단기간에만 흡수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흡수율이 낮아진다면 도포 횟수를 늘리거나 도포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대시키고 도포 후 일정기간동안 그 흡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보조적 물질이 필요하게 된다.
피톤치드는(pytoncide)는 그리스어로 식물(pyton)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살인자(cide)를 합성한 말로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물"을 의미하며, 방향성이 있는 항생물질의 총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테르핀(terpe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피톤치드는 미생물에는 유독하지만 인체에는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소한 피로나 감기는 숲 속에 머물러 있으면 치료된다는 믿음으로 유럽에서는 산림요법이 성행하고 있다.
피톤치드는 특히 편백나무, 잣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에서 많이 발산되는데, 향기가 좋고 살균성·살충성이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독특한 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침엽수 중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편백나무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피톤치드를 포함한 침엽수 정유추출물과 관계된 연구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산림의 공기를 맑게 할 정도의 살균력이 과연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는 하지만, 최근 연구로 피톤치드가 스트레스 완화작용, 강한 항균작용, 소취작용 및 유해한 성분의 중화,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 작업, 면역기능 증대 효능을 갖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피톤치드가 포함된 침엽수 정유추출물이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외용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증대시키고 피부 흡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진행된 바는 없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Thunb)은 주요 성분으로 β-피넨(β-pinene), 캐필라린(capillarin), 캐필론(capillone), 캐필린(capilline), 엽산(folic acid) 등을 포함하며, 생명력이 강한 야생초로 항염증작용, 항균 작용, 혈관확장작용, 항산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침엽수 및 인진쑥 혼합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되어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물질의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킴으로써 활성물질의 피부 흡수 효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침엽수 및 인진쑥 혼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흡수도가 증진되어 활성물질의 효능 및 효율이 향상된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및 인진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인진쑥은 1:0.2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5 이하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오일층 및 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총 100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오일층 0.1 내지 5 중량% 및 상기 물층 1 내지 99.9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활성성분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성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 흡수량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피부 흡수 유지력을 갖는다. 이를 통하여, 활성성분의 도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의 피부투과도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의 피부 조직에 대한 누적 흡수율을 측정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이 피부에 대하여 비자극성인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의 피부 조직에 대한 누적 흡수율을 측정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이 피부에 대하여 비자극성인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엽수 및 인진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흡수량 유지용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침엽수 및 인진쑥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침엽수는 피톤치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수목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지, 잎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잎 또는 가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진쑥의 사용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줄기, 잎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잎 또는 줄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침엽수 및 상기 인진쑥은 1:0.2 내지 0.5의 중량비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침엽수 및 상기 인진쑥의 중량비가 1:0.2 미만으로 인진쑥의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피부 흡수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침엽수 및 상기 인진쑥의 중량비가 1:0.5 초과로 인진쑥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추출물의 생산 수율이 저하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침엽수 및 인진쑥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절단, 건조 또는 분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의 추출물은 정유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정유 추출물은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액 중 오일층을 분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원료인 건조된 침엽수 및 인진쑥 중량의 5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배 (w/v)의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용매추출법, 용출법, 탄산가스 추출법, 저온 압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한 후 포집관의 오일이 용매층과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약 10분간 방치하여 오일층만을 회수하여 본 발명의 정유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콜은 탄소수 1 내지 5인 알코올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용매가 전체 원료 건조 중량의 5배 미만 또는 15배 초과인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저하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용매로 처리하고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에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시 추출시간은 1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의 추출물은 플로랄워터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랄워터는 상기 오일층을 증류하여 추출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인 응축수를 의미하며, 상기 정유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액 중 물층을 분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물, 탄소수 5 이하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오일층과 물층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 중 분리된 물층을 플로랄워터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용매로 처리하고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정유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및 플로랄워터 1 내지 99.9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플로랄워터는 1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유 추출물 및 플로랄워터의 함량이 조성물 총 100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범위내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흡수도 증진 및 피부 흡수량 유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각질층을 통과하여 흡수되는 전달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활성성분과 병행 또는 혼합하여 피부에 처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흡수량 저하를 저감시켜 흡수량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또는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천연 추출물 또는 합성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활성성분의 경피흡수를 촉진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활성성분의 도포 효율 및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파우더(power), 젤(gel), 연고(ointment), 크림(cream), 액체(liquid) 또는 에어로졸(aerosol)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적용가능한 한 형태는 의약 국소제제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커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연고, 크림, 젤,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의 국소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숙련된 의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일일 투여량은 0.01 내지 300㎎/㎠일 수 있으며, 하루에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 제형은 추진체, 예를 들면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및 디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 용해화제 및 유탁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현탁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물, 에탄올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상 희석제 및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현탁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및 트라칸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및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침엽수 및 인진쑥 복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편백나무의 잎과 건조된 인진쑥을 8:2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혼합물 5㎏에 정제수 25L를 가하여 100℃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수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을 실시하여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오일성분을 냉각 및 분리하였다. 상층 오일층은 편백나무 및 인진쑥 혼한 정유 추출물로, 하층을 플로랄워터로 제조하였다.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준비된 침엽수 및 인진쑥 복합 추출물과 함께 처리하기 위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추출물로 황칠 및 복분자 추출물의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황칠나무 잎 끝을 기준으로 50㎝ 이내의 녹지 부분까지의 잎을 원료로 2㎝ 내외로 세절하여 열풍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이후 황칠나무 세절 건조잎의 중량기준 20배수 증류수를 첨가하고 100℃ 온도조건 하에 4시간 열수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 후 30Brix 이상 농축을 진행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율 20.9%(w/w)의 분말을 얻었다. 복분자 추출물의 제조는, 미숙과 복분자를 준비하고 미숙과 복분자 무게의 20배 부피 발효 주정을 가수하여 100℃ 온도조건 하에 4시간 열수추출을 진행하였다. 상기 발효 주정은 5%(v/v) 농도로 사용하였다. 추출 후 30Brix 이상 농축을 진행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율 20.4%(w/w)의 분말을 얻었다.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과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을 1:0.5 중량비로 혼합하여 기능성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피부투과도 테스트>
상기 준비된 침엽수 및 인진쑥 복합 추출물이 피부에 작용하였을 때의 피부장벽 통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투과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투과도 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가이드라인에 따른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료로는 기능성 천연 추출물(CTL;C)을 비교예로,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천연 추출물(Test;T)을 실시예로 준비하였다.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 각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기능성 천연 추출물은 5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침엽수 및 인진쑥 정유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3중량%, 플로랄워터의 함량은 92중량%으로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적출된 돼지피부의 각질층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피부투과도 평가 시스템 장비에 고정한 후 12㎖의 50%(v/v) 에탄올을 receptor chamber에 넣고 온도를 32±1 ℃로 유지하였으며, 24 시간동안 600rpm으로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각 비교예 및 실시예의 시료를 500㎕씩 취하여 1.77 ㎠ 면적의 피부 표면에 syringe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한 후, 1, 2, 4, 7, 10, 24 시간에 receptor phase를 취하여, 0.22㎛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필터하였다. EVOM2 (World Precision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전기저항도를 측정하여 오일성분의 유무에 따른 피부 투과도 차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을 보면, 도포 후 1시간 경과 후부터 흡수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도포 후 7시간이 경과된 후부터는 피부흡수도가 증가하거나 또는 유지되고 있는 실시예(T)와 다르게 비교예(C)에서는 피부흡수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 종료 24시간까지의 피부 조직에 대한 누적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냈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유의적으로 피부흡수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피부투과도 테스트 수행 결과,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의 포함 유무에 따라 천연 추출물 사이에 피부 투과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보면,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이 피부에 도포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켜주는 전달물질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자극성 테스트>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자극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3개월령의 Yac:NZW(KBL) rabbit (male) 6마리를 이용하였으며, 동물 투여 약 24 시간전에 등 부위를 15 ×15㎠의 크기로 제모한 후, 투여직전에 각각 2.5 ×2.5㎠의 넓이의 투여구획 2개소와 대조구획 2개소로 구분 및 표시하였다. 실험동물당 투여구획과 대조구획을 각각 찰과부위와 비찰과부위로 구분하였으며, 찰과부위는 표피만 손상되고 진피는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찰과상을 입혔다. 추출물을 gauze에 적용하여 24시간 동안 부착한 후 제거하여 1일 1회씩 72시간동안 몸무게, 사망률, 피부색 및 홍반, 가피, 부종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 평가는 홍반과 가피의 기준은 0(홍반 전혀없음), 1(아주 가벼운 홍반), 2(분명한 홍반), 3(약간 심한 홍반), 4(심한 홍반과 가벼운 가피)로, 부종의 기준은 0(전혀없음), 1(아주 가벼운 부종), 2(가벼운 부종), 3(1 mm 정도 보통의 부종), 4(1 mm이상의 심한 부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1차 피부자극지수(PII)를 산출하였다. 피부자극성은 PII값을 기준으로 0.0~0.5(비자극성), 0.6~2.0(약한 자극성), 2.1~5.0(중증도 자극성), 5.1~8.0(강한 자극성)으로 판정하였다.
실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물질 첩포 제거 후 모든 실험동물에서 피부의 착색화가 관찰되었다. 실험기간 중 모든 동물의 체중은 증가하였으며, 시험물질 투여 후 24, 48 및 72시간째에 투여부위를 평가한 결과 피부자극은 관찰되지 않았다. 관찰결과는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서, (A)는 투여 후 24시간이 지난 후의 피부 상태이고, (B)는 투여 후 72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이다.
Draize의 평가방법에 따른 판정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하기 표 1에서, sum값은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한 것이다.
피부 반응 (Skin reaction) |
관찰시간 (Observation time) |
개체 점수 (Individual scores) |
||
Control(C) | Test(T) | |||
홍반/가피 형성 (Erythema/Eschar Formation) |
비찰과 (Intact) |
24 h | 0 | 0 |
48 h | 0 | 0 | ||
72 h | 0 | 0 | ||
찰과 (Abraded) |
24 h | 0 | 0 | |
48 h | 0 | 0 | ||
72 h | 0 | 0 | ||
부종 형성 (Edema Formation) |
비찰과 (Intact) |
24 h | 0 | 0 |
48 h | 0 | 0 | ||
72 h | 0 | 0 | ||
찰과 (Abraded) |
24 h | 0 | 0 | |
48 h | 0 | 0 | ||
72 h | 0 | 0 | ||
Sum (S) | 0 | 0 | ||
PII (S/24) | 0 | 0 |
표 1을 보면, 1차 피부자극지수(P.I.I.)는 “0.0”으로 산출되어 rabbit에 대한 피부자극시험 수행결과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이 피부에 비자극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비자극성으로 안전한 조성물이고, 다른 생리활성물질과 함께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생리활성물질의 피부투과를 단기적·장기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침엽수 및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달물질로 적용되기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도포를 위한 제제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의 생약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 제형의 제재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편백나무 및 인진쑥 혼합 정유 추출물 | 3 |
편백나무 및 인진쑥 혼합 플로랄워터 | 76.8 |
황칠 및 복분자 혼합 추출물 | 5 |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 1.5 |
베헤닐 알코올 | 1.0 |
스쿠알란 | 8.5 |
1,3-부틸렌글리콜 | 4.0 |
가향 첨가제/색소 | 0.2 |
합계 | 100 |
Claims (6)
- 편백나무 및 인진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5 이하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오일층 및 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 제 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100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층 0.1 내지 5 중량% 및 물층 1 내지 99.9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516A KR101938360B1 (ko) | 2017-08-10 | 2017-08-10 |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516A KR101938360B1 (ko) | 2017-08-10 | 2017-08-10 |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8360B1 true KR101938360B1 (ko) | 2019-01-14 |
Family
ID=6502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516A KR101938360B1 (ko) | 2017-08-10 | 2017-08-10 |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360B1 (ko) |
-
2017
- 2017-08-10 KR KR1020170101516A patent/KR101938360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bandar et al. | Medicinal propert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several Jatropha species (Euphorbiaceae): a review | |
KR100721421B1 (ko) |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RU2358750C2 (ru) |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лишайника бородатого (usnea barbata) и зверобоя обыкновенного (hypericum perforatum)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 |
US9775872B2 (en) | Topical pharmaceutical bases for preventing viral diseases | |
KR101425031B1 (ko) |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JP7338105B2 (ja) |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 |
KR20110082292A (ko) |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 |
KR101332215B1 (ko) |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 |
KR102187285B1 (ko) |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Garg et al. | Exploring the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Lam in skin disorders and cosmetics: nutritional analysis, phytochemistry, geographical distribution, ethnomedicinal uses, dermatological studies and cosmetic formulations | |
KR101033921B1 (ko) |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 |
KR102350141B1 (ko) |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39532B1 (ko) |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18366B1 (ko) |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977673B1 (ko) |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8360B1 (ko) | 피부 흡수도 증진 및 유지용 조성물 | |
KR102400090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30187A (ko) |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85543A (ko) |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02797B1 (ko) |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98194B1 (ko) |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 |
JP2015086168A (ja) |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皮脂コントロール用皮膚化粧料 | |
Sabir et al. | Pharmacological attributes and nutritional benefits of tea tree oil | |
KR20170053544A (ko) |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46850B1 (ko) |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