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871B1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871B1
KR101937871B1 KR1020180054490A KR20180054490A KR101937871B1 KR 101937871 B1 KR101937871 B1 KR 101937871B1 KR 1020180054490 A KR1020180054490 A KR 1020180054490A KR 20180054490 A KR20180054490 A KR 20180054490A KR 101937871 B1 KR101937871 B1 KR 10193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amping arm
clamping
unit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비
Original Assignee
유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비 filed Critical 유수비
Priority to KR102018005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력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화물이나 가구, 컨테이너 등의 고중량의 물건들은 다양한 방식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지점까지 승강 또는 운반하게 된다.
한편, 많은 물건을 한번에 들어올리거나, 식재료나 약재를 운반하여 미리 정해진 교반부에 투입시키는 경우,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다수의 물건, 식재료나 약재 등을 박스나 용기 등에 담아 승강 또는 운반하게 된다.
이때, 박스나 용기가 중심을 잃게 되면 박스나 용기의 내용물이 쏟아져 자칫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운반 및 승강 작업시 용기가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를 리프팅 장치에 견고하게 결속하는 사전 작업이 수반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61200호(등록일자: 2011. 08. 25일)에는 '양념 교반용기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는 교반부(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어(50)를 파지하는 전도기구부(40)와 전도기구부(4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기구부(30)를 포함하며, 리프트기구부(30)가 캐리어(50) 및 전도기구부(40)를 일정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경우, 리프트기구부(30)와 전도기구부(4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캐리어(50)가 뒤집히면서 캐리어(50)의 내용물이 교반용기(20)로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리프트기구부(30)의 암(35)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캐리어(50)가 결속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전도기구부(40)가 구비되어 캐리어(50)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캐리어(5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도기구부(40)가 미리정해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용기를 파지할 수 없으며, 전도기구부(40)가 양측에 돌출걸림부(50)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캐리어(50) 만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양방향 이동되도록 상기 리프팅유닛에 결합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를 클램핑하여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부는, 복수개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클램핑암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암은, 어느 하나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상기 용기를 클램핑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암은, 상기 용기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이 리프팅유닛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용기를 클램핑하기 위해 체결부 및 걸림부가 분리된 클램핑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가 용기를 클램핑 하여 승강 및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이 리프팅유닛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용기를 클램핑하기 위해 체결부 및 걸림부가 분리된 클램핑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가 용기를 클램핑 하여 승강 및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01)가 형성되는 리프팅유닛(101); 및 가이드부(201)를 따라 양방향 이동되도록 리프팅유닛(101)에 결합되는 이송부(103)와, 이송부(1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401)를 클램핑하여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클램핑부(106)를 포함하는 클램핑유닛(1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프팅유닛(101)은 본체부(104), 컨트롤부(105) 및 구동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4)는 클램핑유닛(107)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부(104)는 내측에 가이드부(201) 및 볼스크류(203)가 구비된다.
가이드부(201)는 본체부(10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리프팅유닛(101)의 이송부(103)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볼스크류(203)는 가이드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부(201)와 마찬가지로 리프팅유닛(101)의 이송부(103)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볼스크류(203)는 구동부(108)에 의해 회전되어 이송부(103)를 가이드부(201)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데, 구동부(108)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이송부(103)가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컨트롤부(105)는 본체부(103)의 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리프팅유닛(101)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내부에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부에 조작부(ex: 터치패드 or 조작버튼)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트롤부(105)에는 사용자가 리프팅유닛(101)을 후술할 베이스부(109)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에 손잡이(111)가 형성된다.
구동부(108)는 내측에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면서 볼스크류(20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05)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205)는 동력전달기어(207)를 통해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바닥면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203)의 회전방향으로 반전시켜 볼스크류(203)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동력전달기어(207)는 일예로 베벨기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20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ex: 터치패드 or 조작버튼)가 조작됨에 따라 컨트롤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어서, 클램핑유닛(107)은 가이드부(201)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리프팅유닛(101)에 결합되는 이송부(103)와, 이송부(1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를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클램핑부(106)를 포함한다.
이송부(103)는 가이드부(20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본체(301)와, 이송본체(30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본체(303) 및 클랭핌부(105)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5)를 포함한다.
이송본체(301)는 가이드부(201)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209)와, 볼스크류(20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스크류결합부(211)는 내주면에 볼스크류(203)의 나사산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송본체(301)는 볼스크류(203)가 회전되는 경우 가이드결합부(209)가 가이드부(201)를 따라 이동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지지본체(303)는 이송본체(30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클램핑유닛(107)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지지본체(303)는 클램핑유닛(107)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송본체(301)의 양측에서 돌출형성되어 한쌍으로 제공된다.
한편, 지지본체(303)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본체(301)를 기준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본체(3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본체(303)는 일단부가 이송본체(301) 및 제2연장바(309)에 결합되는 제1지지본체(미도시) 및 제1지지본체의 타단에 이동가능하게 내삽 또는 외삽되면서 제1연장바(30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본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연장바(307)는 제2지지본체에 결합되는 단부에 가이드돌기(미도시)가 돌출형성되고, 제2지지본체는 제1연장바(307)와 결합되는 외측면에 제1연장바(307)의 가이드돌기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컨트롤부(105)를 통해 용기(401)를 이송본체(301)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구동부(305)는 외부전원 및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면서 클램핑유닛(107)이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데, 이러한 구동부(305)는 구동모터(213) 및 감속기어(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어(215)는 구동부(305)와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며 구동부(305)가 회전되는 경우, 구동부(305)의 회전방향을 클램핑유닛(107)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반전시키면서 구동부(30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후술할 클램핑암(311)의 회전축(325)을 회전시킨다.
클램핑부(106)는 지지본체(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401)를 클램핑하여 용기(401)의 개구부와 바닥면이 반전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러한 클램핑부(106)는 복수개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클램핑암(311) 및 지지본체(303)에 결합되면서 동시에 클램핑암(3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13)를 포함한다.
클램핑암(311)은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축(325)을 통해 회전결합부(3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401)를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클램핑암(311)은 어느 하나에 걸림부(403)가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하나에 걸림부(403)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용기(401)를 클램핑하는 체결부(40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403)는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311)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부(403)는 체결부(405)가 걸림될 수 있도록 대략 후크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체결부(405)는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311)의 단부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체결부(405)의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부(405)는
클램핑암(311)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부(407); 및 손잡이부(4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손잡이부(407)가 걸림부(403)와 가까워지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부(403)와 걸림해제되고, 걸림부(403)와 멀어지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부(403)와 체결되는 고리부(409);를 포함한다.
또한, 클램핑암(311)은 용기(401)와 밀착되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용기(401)와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용기(401)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용기(401)와의 마찰이 증가되도록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압력제공부(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받아 팽창 또는 수축되는 튜브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가 튜브로 제공되는 경우, 클램핑암(311)에는 용기(401)를 센싱하여 용기(401)의 부피 및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압력제공부는 센싱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튜브에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클램핑암(311)은 용기와 밀착됨으로써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3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31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탈방지편(315)은 용기(401)의 상부 외측면과 밀착되거나 용기(401)의 개구부가 걸림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연장편(317); 및 용기(401)의 하부 외측면과 밀착되거나 용기(401)의 바닥면이 걸림되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연장편(319);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부연장편(317)은 일예로 상부 외측면의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드는 용기(401)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원주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동시에, 클램핑암(311)으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용기(401)를 기준으로 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된다.
하부연장편(319)은 일예로 하부 외측면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드는 용기(401)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용기(401)의 바닥면과 걸림되도록, 클램핑암(311)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용기(401)를 기준으로 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되는 연장부(321) 및 연장부(321)로부터 용기(401)의 바닥면과 걸림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32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클램핑암(311)에 이탈방지편(315)이 상부 및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클램핑암(311)이 용기를 클램핑하는 경우 용기(401)가 상하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401)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또는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암(311)이 회전되어 용기(401)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연장편(317)이 용기(401)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되어 용기(401)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클램핑암(311)은 복수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암(31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핑암(311)은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축(325)을 통해 회전결합부(3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부연장편(317)이 연장형성되고 하부에 하부연장편(319)이 연장형성되는 제1클램핑암(411); 일측 단부가 제1클램핑암(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탄부에 체결부(405)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부연장편(317)이 연장형성되는 제2클램핑암(413); 및 제2클램핑암(413)과 마주보도록 일측 단부가 제1클램핑암(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고리부(409)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연장편(317)이 연장형성되는 제3클램핑암(415);을 포함한다.
한편, 회전결합부(313)는 클램핑암(311)의 회전축(32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동시에 지지본체(303)에 나사를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암(311)이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13)가 나사를 통해 지지본체(30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클램핑암(313)이 파손되는 경우 지지본체(303)로부터 회전결합부(313)를 분리하여 클램핑암(313)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프팅유닛(101)의 하부에 구비되어 리프팅유닛(101)을 지지하되, 리프팅유닛(101)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09)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107)을 통해 용기(401)를 리프팅유닛(10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시킨 뒤, 베이스부(109)를 기준으로 리프팅유닛(101) 및 클램핑유닛(107)을 회전시켜 용기(401)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암(311)을 통해 용기(401)를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켜 용기(401)의 내용물을 투입부에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클램핑암(311)을 통해 용기(401)를 회전시키는 경우 이탈방지편(315)이 용기(401)의 상부 또는 하부 외측면과 밀착됨으로써 용기(401)가 클램핑암(311)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리프팅 장치 101 : 리프팅유닛
103 : 이송부 104 : 본체부
105 : 컨트롤부 106 : 클램핑부
107 : 클램핑유닛 108 : 구동부
109 : 베이스부 111 : 손잡이
201 : 가이드부 203 : 볼스크류
205 : 구동모터 207 : 동력전달기어
209 : 가이드결합부 211 : 스크류결합부
213 : 구동모터 215 : 감속기어
301 : 이송본체 303 : 지지본체
305 : 구동부 307 : 제1연장바
309 : 제2연장바 311 : 클램핑암
313 : 회전결합부 315 : 이탈방지편
317 : 상부연장편 319 : 하부연장편
321 : 연장부 323 : 절곡부
325 : 회전축 401 : 용기
403 : 걸림부 405 : 체결부
407 : 손잡이 409 : 고리부
411 : 제1클램핑암 413 : 제2클램핑암
415 : 제3클램핑암

Claims (7)

  1.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지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를 클램핑하여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복수개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클램핑암; 및
    상기 지지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클램핑암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암은,
    상기 용기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용기의 상부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원주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동시에, 상기 클램핑암으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용기를 기준으로 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되는 상부연장편; 및
    상기 용기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클램핑암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용기를 기준으로 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걸림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하부연장편;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암은,
    양측에서 상기 지지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회전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연장편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하부연장편이 형성되는 제1클램핑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클램핑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연장편이 형성되는 제2클램핑암; 및
    상기 제2클램핑암과 마주보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클램핑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연장편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클램핑암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3클램핑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암은,
    어느 하나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상기 용기를 클램핑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암은,
    상기 용기와 밀착되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와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팅유닛을 지지하되, 상기 리프팅유닛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80054490A 2018-05-11 2018-05-11 리프팅 장치 KR10193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90A KR101937871B1 (ko) 2018-05-11 2018-05-11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90A KR101937871B1 (ko) 2018-05-11 2018-05-11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871B1 true KR101937871B1 (ko) 2019-01-11

Family

ID=6502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490A KR101937871B1 (ko) 2018-05-11 2018-05-11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8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84A (ko)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WO2021093612A1 (zh) * 2019-11-15 2021-05-20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电力机车轮驱单元抱轴箱立式组装升降机
CN115353025A (zh) * 2022-08-22 2022-11-18 中科盛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提升机
KR102538618B1 (ko) * 2022-05-10 2023-05-31 대양이엔티(주) 쿼츠 이동지그
KR200498067Y1 (ko) * 2021-01-29 2024-06-12 한석희 수평 맞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53Y1 (ko) * 2002-10-30 2003-03-11 김영수 리프팅 시스템
JP2008013318A (ja) 2006-07-06 2008-01-24 Nippon Alum Co Ltd リフター
JP2008195520A (ja) * 2007-02-15 2008-08-28 Komatsu Utility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ホース支持装置
JP2011105428A (ja) * 2009-11-16 2011-06-02 Miura:Kk 水圧リフ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53Y1 (ko) * 2002-10-30 2003-03-11 김영수 리프팅 시스템
JP2008013318A (ja) 2006-07-06 2008-01-24 Nippon Alum Co Ltd リフター
JP2008195520A (ja) * 2007-02-15 2008-08-28 Komatsu Utility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ホース支持装置
JP2011105428A (ja) * 2009-11-16 2011-06-02 Miura:Kk 水圧リフタ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84A (ko)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WO2021093612A1 (zh) * 2019-11-15 2021-05-20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电力机车轮驱单元抱轴箱立式组装升降机
KR200498067Y1 (ko) * 2021-01-29 2024-06-12 한석희 수평 맞춤 장치
KR102538618B1 (ko) * 2022-05-10 2023-05-31 대양이엔티(주) 쿼츠 이동지그
CN115353025A (zh) * 2022-08-22 2022-11-18 中科盛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提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871B1 (ko) 리프팅 장치
US7018155B1 (en) Refuse container transporter and lift
JP2014177337A5 (ko)
CN108502807A (zh) 一种便于货物装卸的电动叉车
US11142410B2 (en) Gripper apparatus
DE69306083T2 (de) Greifer zum Handhaben von Lasten wie Säcke, Palettier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Greifer und Palettierverfahren
US20230331135A1 (en) Loading arrange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 units on and off a vehicle
JP2007131394A (ja) 容器の搬送用吊り具
CN110775806A (zh) 用于以多个柄部起吊大袋的具有自动触发机构的吊架
CN212239894U (zh) 一种电池模组翻转装置
CN216469187U (zh) 一种防滑塑料托盘
US20150376563A1 (en) Container, transport device, use and method
KR102018320B1 (ko) 용기핸들 자동 조립시스템
US20170051240A1 (en) Transport device for a container
CN110275034A (zh) 样本分析仪及样本架转运结构
KR102287196B1 (ko)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CN209986810U (zh) 伸缩松夹机构及罐装物料自动出料装置
CN210285539U (zh) 物料罐收送装置、agv运载车及罐装物料自动出料装置
KR101677189B1 (ko) 방사성 폐기물 드럼의 이송장치
US6685248B2 (en) Object engaging tool and method of manipulating object using same
JP2016215289A (ja) 搬送装置
CN216548333U (zh) 方便编织袋运输的移转栈
CN217189685U (zh) 实验室用固体取样加料器
CN219077786U (zh) 一种多肽定量检测的组合式试剂盒
CN210619499U (zh) 集装箱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