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96B1 -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96B1
KR102287196B1 KR1020190001583A KR20190001583A KR102287196B1 KR 102287196 B1 KR102287196 B1 KR 102287196B1 KR 1020190001583 A KR1020190001583 A KR 1020190001583A KR 20190001583 A KR20190001583 A KR 20190001583A KR 102287196 B1 KR102287196 B1 KR 10228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amping arm
unit
clam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465A (ko
Inventor
유수비
Original Assignee
유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비 filed Critical 유수비
Priority to KR102019000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인출되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WITH CLAMPING ARMS}
본 발명은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용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력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화물이나 가구, 컨테이너 등의 고중량의 물건들은 다양한 방식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지점까지 승강 또는 운반하게 된다.
한편, 많은 물건을 한번에 들어올리거나, 식재료나 약재를 운반하여 미리 정해진 교반부에 투입시키는 경우,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다수의 물건, 식재료나 약재 등을 박스나 용기 등에 담아 승강 또는 운반하게 된다.
이때, 박스나 용기가 중심을 잃게 되면 박스나 용기의 내용물이 쏟아져 자칫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운반 및 승강 작업시 용기가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를 리프팅 장치에 견고하게 결속하는 사전 작업이 수반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61200호(등록일자: 2011. 08. 25일)에는 '양념 교반용기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는 교반부(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어(50)를 파지하는 전도기구부(40)와 전도기구부(4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기구부(30)를 포함하며, 리프트기구부(30)가 캐리어(50) 및 전도기구부(40)를 일정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경우, 리프트기구부(30)와 전도기구부(4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캐리어(50)가 뒤집히면서 캐리어(50)의 내용물이 교반용기(20)로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리프트기구부(30)의 암(35)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캐리어(50)가 결속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전도기구부(40)가 구비되어 캐리어(50)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캐리어(5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도기구부(40)가 미리정해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용기를 파지할 수 없으며, 전도기구부(40)가 양측에 돌출걸림부(50)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캐리어(50) 만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인출되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된 리프팅유닛;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복수개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클램핑하며 상기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상기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를 가압하는 클램핑암을 포함하는 클램핑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인출되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이 리프팅유닛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이 리프팅유닛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클램핑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10)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01)가 형성된 리프팅유닛(101); 가이드부(201)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01)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부(103)와, 이송부(1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복수개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용기를 클램핑하며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하는 클램핑암(105)을 포함하는 클램핑유닛(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팅유닛(101)은 본체부(109), 컨트롤부(111) 및 구동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9)는 클램핑유닛(107)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부(104)의 내측에는 가이드부(201) 및 볼스크류(203)가 구비된다.
가이드부(201)는 본체부(109)의 내측에 높이방으로 형성되며, 리프팅유닛(101)의 이송부(103)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볼스크류(203)는 가이드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부(201)와 마찬가지로 리프팅유닛(101)의 이송부(103)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볼스크류(203)는 구동부(113)에 의해 회전되어 이송부(103)를 가이드부(201)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데, 구동부(113)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이송부(103)가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컨트롤부(111)는 본체부(109)의 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구동부(113)가 구동됨에 따라 리프팅유닛(101)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상부에 조작부(ex: 터치패드 or 조작버튼)가 구비된다.
구동부(113)는 내측에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면서 볼스크류(20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05)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205)는 동력전달기어(207)를 통해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반전시켜 볼스크류(203)를 회전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클램핑유닛(107)은 리프팅유닛(10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103)와, 이송부(1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를 클램핑하여 상하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클램핑암(105)을 포함한다.
이송부(103)는 가이드부(20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본체(301)와, 이송본체(30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본체(303) 및 클램핑암(105)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5)를 포함한다.
이송본체(301)는 가이드부(201)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209)와, 볼스크류(20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스크류결합부(211)는 내주면에 볼스크류(203)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송본체(301)는 볼스크류(203)의 회전시 가이드결합부(209)가 가이드부(201)를 따라 이동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지지본체(303)는 이송본체(301)로부터 전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클램핑유닛(107)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지지본체(303)는 클램핑유닛(107)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송본체(30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한쌍으로 제공된다.
한편, 지지본체(303)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텔레스코프 구조를 통해 이송본체(301)로부터 길이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본체(3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본체(303)는 일단부가 이송본체(301) 및 제1연장바(307)에 결합되는 제1지지본체(미도시) 및 제1지지본체의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내삽 또는 외삽되면서 제2연장바(309)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본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연장바(309)는 제2지지본체에 결합되는 단부에 가이드돌기(미도기)가 돌출형성되고, 제2지지본체는 제2연장바(309)와 결합되는 외측면에 제2연장바(307)의 가이드돌기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컨트롤부(111)를 통해 용기를 이송본체(301)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05)는 컨트롤부(111)의 제어신호(cs)에 의해 회전되면서 클램핑암(105)이 상하로 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3)와, 구동부(305)의 회전시 구동부(305)의 회전방향을 클램핑암(105)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반전시키면서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클램핑암(105)의 회전축(311)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215)를 포함한다.
이어서, 클램핑암(105)은 회전축(311)을 통해 지지본체(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용기를 클램핑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서 용기의 개구부와 바닥면이 반전되도록 용기를 회전시킨다.
또한, 클램핑암(105)은 복수개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용기를 클램핑하며,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하여 의도치않게 용기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클램핑암(105)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핑암(105)은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축(311)을 통해 지지본체(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부연장편(313)이 연장형성되고 하부에 하부연장편(315)이 연장형성되는 제1클램핑암(317); 일측 단부가 제1클램핑암(317)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부에 상부연장편(313)이 연장형성되는 제2클램핑암(319); 및 제2클램핑암(319)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제1클램핑암(317)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부연장편(313)이 연장형성되는 제3클램핑암(321)을 포함한다.
즉, 클램핑암(105)은 용기와 밀착됨으로써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연장편(313)과, 하부연장편(31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부연장편(313)은 일예로 상부 외측면의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드는 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원주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동시에 클램핑암(105)으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완만하게 만곡된다.
그리고, 하부연장편(315)은 일예로 하부 외측면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드는 용기의 하부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용기의 바닥면과 걸림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원주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동시에 클램핑암(105)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완만하게 만곡되는 연장부(323) 및 연장부(321)로부터 용기의 바닥면과 걸림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3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부연장편(313)과 하부연장편(315)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은 클램핑암(105)이 용기를 클램핑하는 경우 용기가 상하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회전 및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유닛(107)은, 일단이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이 용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401)의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탄성부재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501)일 수 있는데, 코일스프링(501)은 일예로 제1클램핑암(317)으로부터 제2클램핑암(319) 및 제3클램핑암(321)이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501)으로 구비되는 경우, 코일스프링(501)은 일단이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의 단부에 형성된 제1힌지(503)에 지지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105)의 단부에 형성된 제2힌지(505)에 지지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이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되어 용기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힌지(503)는 복수개의 클램핑암(105) 중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의 단부에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105)의 단부에 형성된 제2힌지(50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힌지(5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힌지(503)는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힌지(50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코일스프링(501)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507)가 형성된 회전결합부(509); 및 회전결합부(509)의 상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코일스프링(501)이 외삽되는 탄성부재결합부(511);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2힌지(505)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힌지(505)는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회전결합부(50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코일스프링(501) 및 탄성부재결합부(511)가 내삽되는 관통결합부(513) 및 관통결합부(513)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코일스프링(501)의 타단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5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힌지(503)는 일예로 제1클램핑암(317)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힌지(505)는 제1클램핑암(3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클램핑암(319) 및 제3클램핑암(321)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클램핑암(105)에 지지되는 판스프링(601)일 수 있는데, 이러한 판스프링(601)은 일예로 일단이 제1클램핑암(317)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클램핑암(319)에 지지되어 제2클램핑암(319)을 제1클램핑암(317)으로부터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판스프링(미도시) 및 일단이 제1클램핑암(317)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3클램핑암(321)에 지지되어 제3클램핑암(321)을 제1클램핑암(317)으로부터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판스프링(603)를 포함한다.
이처럼 클램핑암(105)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부연장편(313)과 하부연장편(315) 및 복수개의 클램핑암(1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이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은 클램핑암(105)이 용기를 클램핑하는 경우 용기가 상하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회전 및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유닛(10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을 용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동부는 클램핑암(105)에 회전력을 가하여 클램핑암(105)을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01)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701)는 동력전달부(703)를 통해 클램핑암(105)을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동력전달부(703)는 구동모터(701)에 구비되며 단부에 제1기어(703)가 구비된 제1동력전달부(705) 및 복수개의 클램핑암(105)이 회전되도록 인접한 클램핑암(105)을 힌지결합하며, 제1기어(703)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707)가 구비되고 제1기어(703)가 회전되는 경우 힌지결합된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을 회전시키는 제2동력전달부(7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동력전달부(709)는 제1클램핑암(317)과 제2클램핑암(319)을 힌지결합 하고, 제1클램핑암(317)과 제3클램핑암(321)을 힌지결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클램핑암(317)과 제2클램핑암(319)을 힌지결합하는 경우 제1동력전달부(31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클램핑암(317)으로부터 제2클램핑암(319)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709)는 제1클램핑암(317)과 제3클램핑암(321)을 힌지결합하는 경우 제1동력전달부(70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클램핑암(317)으로부터 제3클램핑암(321)을 회전시킨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는 클램핑암(105)에 공압 또는 유압(이하 공/유압이라 함)을 가하여 클램핑암(105)을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공압장치 또는 유압장치(이하 공/유압장치라 함)일 수 있다.
이러한 공/유압장치(801)는 공급유로(803)를 통해 공/유압을 가하여 복수개의 클램핑암(105) 중 어느 하나의 클램핑암(105)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구동부의 경우 사용자가 컨트롤부(111)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107)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경우, 용기의 무게 또는 부피를 감지하여 용기정보(i1)를 출력하는 센서부(901); 및 용기정보(i1)가 미리설정된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구동부가 구동되어 용기가 가압되도록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제어부(903);를 더 포함한다.
센서부(901)는 용기의 무게 또는 부피를 감지하여 용기정보(i1)를 제어부(903)로 공급하는데, 이러한 센서부(901)는 일예로 클램핑암(105)의 내측면 또는 하부연장편(315)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3)는 센서부(901)로부터 용기정보(i1)를 공급받아 용기정보(i1)가 초기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게 된다.
즉, 작업전 사용자가 컨트롤부(111)를 통해 최초 용기설정정보(i2)를 입력한 뒤, 작업중 센서부(901)로부터 공급되는 용기정보(i1)가 용기설정정보(i2)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구동부가 구동되어 용기가 가압되도록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제어부(903)는 컨트롤부(111)의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cs)를 공급받아, 구동부(701,801)를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클램핑암(105)이 결합공간(401) 내측으로 회전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3)는 컨트롤부(111)의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cs)를 공급받아, 용기가 승강 또는 하강되거나 상하로 반전되면서 회전되도록, 구동부(113) 또는 구동모터(30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파지하되 서로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며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용기와 밀착 또는 걸림되는 이탈방지편이 절곡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암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출부가 없는 원기둥형상의 일반적인 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목표 지점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인출되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용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101 : 리프팅유닛 103 : 이송부
105 : 클램핑암 107 : 클램핑유닛
109 : 본체부 111 : 컨트롤부
113 : 구동부 201 : 가이드부
203 : 볼스크류 205 : 구동모터
207 : 동력전달기어 209 : 가이드결합부
211 : 스크류결합부 213 : 구동모터
215 : 감속기어 301 : 이송본체
303 : 지지본체 305 : 구동부
307 : 제1연장바 309 : 제2연장바
311 : 회전축 313 : 상부연장편
315 : 하부연장편 317 : 제1클램핑암
319 : 제2클램핑암 321 : 제3클램핑암
323 : 연장부 325 : 절곡부
401 : 결합공간 501 : 코일스프링
503 : 제1힌지 505 : 제2힌지
507 : 제1지지부 509 : 회전결합부
511 : 탄성부재결합부 513 : 관통결합부
515 : 제2지지부 601 : 판스프링
701 : 구동모터 703 : 제1기어
705 : 제1동력전달부 707 : 제2기어
709 : 제2동력전달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높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된 리프팅유닛;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복수개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용기를 클램핑하며 상기 용기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상기 용기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를 가압하는 클램핑암을 포함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클램핑암을 상기 용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무게 또는 부피를 감지하여 용기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용기정보가 미리설정된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용기가 가압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0190001583A 2019-01-07 2019-01-07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28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83A KR102287196B1 (ko) 2019-01-07 2019-01-07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83A KR102287196B1 (ko) 2019-01-07 2019-01-07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465A KR20200085465A (ko) 2020-07-15
KR102287196B1 true KR102287196B1 (ko) 2021-08-05

Family

ID=7160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83A KR102287196B1 (ko) 2019-01-07 2019-01-07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826B1 (ko) * 2023-04-20 2024-01-15 임금호 드럼 리프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53Y1 (ko) * 2002-10-30 2003-03-11 김영수 리프팅 시스템
JP2007302408A (ja) * 2006-05-11 2007-11-22 Nippon Alum Co Ltd 移動式リフ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747B2 (ja) * 1992-10-08 2000-10-23 大有株式会社 樽型容器の掴み装置および運搬車
KR20130132027A (ko) * 2012-05-25 2013-12-04 현대엔지니어링(주) 드럼회전부가 구비된 전동드럼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53Y1 (ko) * 2002-10-30 2003-03-11 김영수 리프팅 시스템
JP2007302408A (ja) * 2006-05-11 2007-11-22 Nippon Alum Co Ltd 移動式リフ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465A (ko)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196B1 (ko)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1937871B1 (ko) 리프팅 장치
CN107128672B (zh) 一种上料翻转设备
KR20140074679A (ko) 접이식 이송대차
JP6815895B2 (ja) 折り畳み装置
JP2011046526A (ja) 農業用コンテナ反転排出昇降装置
US5496147A (en) Barrel handling device
ITPN20110034A1 (it) Apparato e procedimento per l'apertura automatica di casse per prodotti orto-frutticoli
CN110282398A (zh) 一种翻转式输送机
US3063575A (en) Inverting apparatus for stacked sheet material
JPS5974826A (ja) 小物部品を収容し運搬する中間貯蔵器を備えた荷積みステーション
CN104477818A (zh) 一种用于纸卷搬运的机械抱臂装置
US3045852A (en) Modified elevator for drum handling
CN211197455U (zh) 托盘机构及应用其的分捡机
EP2113473B1 (en) Device for transfer of objects for combination with a shelf unit
KR102232379B1 (ko) 물품 적재장치
JPS62201750A (ja) ガラス板移動用の取り扱い装置
CN209547422U (zh) 电动活动架结构
CN207618950U (zh) 一种高稳定性通用化工原料桶输送装置
CN207759635U (zh) 换向传送机
JPS63171731A (ja) 板状材移送方法
KR20160059334A (ko) 전자부품 로딩 시스템용 수직 이송 장치
CN211811596U (zh) 分捡机构及应用其的分捡机
CN211197450U (zh) 升降机构及应用其的分捡机构
CN211197737U (zh) 托盘机构及应用其的分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