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826B1 - 드럼 리프트 - Google Patents

드럼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826B1
KR102624826B1 KR1020230051903A KR20230051903A KR102624826B1 KR 102624826 B1 KR102624826 B1 KR 102624826B1 KR 1020230051903 A KR1020230051903 A KR 1020230051903A KR 20230051903 A KR20230051903 A KR 20230051903A KR 102624826 B1 KR102624826 B1 KR 10262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rum
shell material
main body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금호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임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금호 filed Critical 임금호
Priority to KR102023005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4Roll c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럼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에 이동바퀴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부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고, 드럼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럼 리프트{DRUM LIFT}
본 발명은 드럼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럼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시키는 방법은 크게 화물의 운반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와 장거리인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전자의 경우인 화물을 근거리에 이송하는 경우에는 손수레나 운반차등과 같은 수단을 주로 이용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인 화물을 장거리에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트럭 등과 같은 운반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화물을 근거리에 이송하는 수단인 상기 손수레나 운반차 등은 비교적 좁은 길에서도 각종 화물을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장점이 있는 것이지만, 이는 그 자체적인 동력원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일시에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적재되어진 화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송되어진 화물을 높이가 높은 운반트럭에 적재시키거나 또는 트럭의 적재함 내에 적재되어진 화물을 하차시키는데 상당한 곤란성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근거리에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또는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주로 지게차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게차는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시키는데는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이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숙련도가 요구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차량을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과 아울러 좁은 공간에서 적은 용량의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키는데는 큰 부피로 인해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의 상하 이동 속도 또한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317호, 이하 종래기술 1 참조).
전동리프트(등록특허 제10-2228226호(이하 종래기술 2) 참조) 상기한 종래기술 1을 보완하고자, 간단한 구조만으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2는 승강모터와 같은 모터 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예시적으로, 화학 공장, 페인트 제조 공장 등)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폭발 위험 장소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드럼 리프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드럼과 같은 이송 대상체의 장착이 용이한 드럼 리프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대상체를 기울일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드럼 리프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하부에 이동바퀴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부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고, 드럼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전방이 개구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측을 감싸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회동가능 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일측을 감싸는 제1날개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양단 중 다른 하나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타측을 감싸는 제2날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방이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및 한 쌍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이 상기 연결부 전방에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동축,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폭발 위험 장소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드럼과 같은 이송 대상체의 장착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대상체를 기울일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장착부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의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장착부가 승강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장착부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의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장착부가 승강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드럼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리프트(L)는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예시적으로 화학 공장, 페인트 제조 공장 등)에서 사용이 용이한 드럼의 운반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리프트(L))는 메인프레임(1), 장착부(3) 및 하우징(4)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은 하부에 이동바퀴(11)가 연결되는 것이다. 메인프레임(1)은 예시적으로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결합프레임 및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이동바퀴(11)(캐스터)는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바퀴(11)가 수평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1)에 구비되는 승강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승강부(2)는 전동실린더, 체인 등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전동실린더는 세워진 상태로 메인프레임(1)의 결합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 및 승강부(2)와 같은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 전동 드럼리프트 장치의 구성과 상응한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장착부(3)는 상기 메인프레임(1)에 구비되는 승강부(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고, 드럼이 장착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장착부(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부(3)는 승강부(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는 연결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1)은 후방측이 상기 승강부(2)에 연결되는 연결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부(311)는 승강부(2)의 체인과 같은 구성과 연결(볼트, 브래킷,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연결프레임(31)은 상기 연결부(31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이란 도 2를 기준으로 'A'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상기 'A'방향의 역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때 장착부(3)는 상기 연결프레임(31)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전방이 개구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측을 감싸는 메인바디(32)(후방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32)는 상기한 다리부(312)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장착부(3)는 메인바디(3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일 측, 좌측)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일 측(좌측)(도 2를 기준으로 'B'방향의 역방향 측)을 감싸는 제1날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은 메인바디(32)의 양단 중 다른 하나(타 측, 우측)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타 측(우측)(도 2를 기준으로 'B'방향측)을 감싸는 제2날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 각각은 상기 메인바디(32)의 전방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드럼의 전방측을 감쌀 수 있다.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 각각은 메인바디(32)의 양측 각각과 공지된 힌지장치(예시적으로 경첩 등)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는 상기한 제1날개부(33)와 제2날개부(34)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클램프(3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5)는 공지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고 공지된 기술이어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는 메인바디(3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무거운 드럼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도, 제1날개부(33)와 제2날개부(34)을 회동시켜 메인바디(32)의 전방 개구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드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메인바디(32)가 드럼의 후방측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한 클램프(35)에 의해 제1날개부(33)와 제2날개부(34)를 고정하여 드럼이 메인바디(32),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장착부(3)가 메인바디(3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를 포함하여, 무거운 드럼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도 드럼을 장착부(3)에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31)은 한 쌍의 다리부(31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측이 상기 연결부(311) 전방에 연결되는 보강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31)이 보강부(313)를 포함하여, 드럼의 중량에 의해 다리부(312)가 하측으로 구부러져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4)은 상기 메인프레임(1)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메인프레임(1)은 결합프레임 상부에 연결되고 수직프레임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은 내부에 상기 승강부(2)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한 하우징(4)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폭함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제1구동부는 모터(승강모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승강모터는 상기한 하우징(4)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승강모터의 샤프트에는 통상의 동력 전달 장치(기어, 스크류, 체인 등)가 연결되어 샤프트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한 승강부(2)(전동실린더, 체인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4)은 상기한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다.
모터와 같은 구성들은 카본 브러쉬가 있는데 스파크가 잘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승강모터가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예시적으로 화학 공장, 페인트 제조 공장 등)에 노출될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있어 상기한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내부에 제1구동부가 수용되는 하우징(4)을 포함함으로써, 본 장치의 폭발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이를 통해 상기한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하우징(4)에는 상기 제1구동부 이외에 배터리와 같은 추가 구성이 내장되어 폭발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착부(3)는 메인바디(32)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동축(36),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312) 중 어느 하나(일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36)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블록(3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바디(32)는 한 쌍의 다리부(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한 회동축(36)은 그 타측부가 메인바디(32)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한 회동축(36)은 그 일측부가 상기한 베어링블록(37)의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로 베어링블록(37)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통해 메인바디(32)는 회동축(3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날개부(33) 및 제2날개부(34) 또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럼을 회동축(3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상기한 메인바디(32)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구동축은 동력 전달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하우징(4)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2구동부(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바디(32)를 전기 신호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2구동부가 하우징(4) 내부에 내장되어 폭발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연결부(311)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상기 연결부(311)의 상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311)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우레탄은 방수 재료로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액상 형태로 도포 대상체에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성첨가재(G)는 입자 형태로서 액상 상태의 우레탄에 혼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테트라데케인, 알루미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피-스티렌술포닉산,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중량부는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완충재(G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피재(G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서 완충성과 방음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완충성 및 방음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재(G2)를 터지게 하여 내피재(G2)에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상기한 내피재(G2)는 후술하는 외피재(G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제1완충재(G1)가 소실될 우려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싼 상태로 열융착 등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완충재(G1)는 내피재(G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재(G3)는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한 내피재(G2)(내피재(G2) 및 후술하는 제2완충재(G4))를 감싸되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는 상기한 방수재(GS)와 혼합된다.
상기한 외피재(G3)가 섬유상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피재(G3)와 내피재(G2)의 사이에는 제2완충재(G4)가 배치되는데, 따라서 외피재(G3)는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으며, 라텍스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제2완충재(G4)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완충재(G4)는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된다.
테트라데케인은 융점이 약 4~6℃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테트라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재(G4)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고상 상태로 상기 내피재(G2)를 감쌀 수 있고, 상기한 외피재(G3)에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라텍스는 시트 상에서 고상의 제2완충재(G4)를 감싼 상태로 접착제 또는 융착(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데, 특히 기공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 또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수축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완충재(G4)가 상기한 제1완충재(G1)에 잠열을 공급하여 제2완충재(G4)가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완충재(G4)의 완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완충재(G4)가 외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팽창되어 내피재(G2)에서 손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융점이 4~6℃어서 방수재(GS)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재(GS)가 열팽창 되거나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수재(GS)가 우글쭈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제1완충재(G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단열 성능이 있기 때문에 제2완충재(G4)가 제1완충재(G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방수재(GS)와 제2완충재(G4)의 열 교환을 방해하여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기 어렵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도 x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피-스티렌술포닉산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1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도 x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8) 및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각각은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라텍스 등에 쌓여진 상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열융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포스트(G5)는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외피재(G3)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이어서 사용된 것으로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가 지나치게 무거워져 분산성이 저하되며,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길이나 폭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포스트(G5)는 내측 단부가 공지된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한 외피재(G3) 외측에 부착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외피재(G3)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포스트(G5)의 내측단부가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G6) 각각은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예시적으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구비)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은 기능성첨가재(G)의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한 단위체(GU)는 방수재(GS)에서 교반 시에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방수재(GS), 기능성첨가재(G) 및 기타 첨가재들의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후 또는 방수재(GS)가 연결부(311)에 도포되는 과정 또는 연결부(311)에 도포된 이후 이웃하는 단위체(GU)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양이온성 물질(G8)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게 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단위체)의 상기한 결합부재(G6)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포함함으로 탄성 변형(압축변형)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다른 하나(이하 제2단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가 제2단위체의 결합부재(G6) 사이를 통과하게 된 경우 제1단위체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가 제2단위체의 양이온성 물질(G8)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는 탄성 복원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원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의 내측단과 제2단위체 결합부재(G6)들의 내측단이 상호 지지되어 걸어지게 되어(걸림 결합) 제1단위체와 제2단위체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상호 결합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수재(GS)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드럼 리프트; L
메인프레임: 1 이동바퀴: 11
승강부: 2 장착부: 3
연결프레임: 31 연결부: 311
다리부: 312 보강부: 313
메인바디: 32 제1날개부: 33
제2날개부: 34 클램프: 35
회동축: 36 베어링블록: 37
하우징: 4

Claims (4)

  1. 하부에 이동바퀴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부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고, 드럼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가 내장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전방이 개구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측을 감싸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회동가능 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일측을 감싸는 제1날개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양단 중 다른 하나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 타측을 감싸는 제2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방이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및 한 쌍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이 상기 연결부 전방에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 일측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동축,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51903A 2023-04-20 2023-04-20 드럼 리프트 KR10262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903A KR102624826B1 (ko) 2023-04-20 2023-04-20 드럼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903A KR102624826B1 (ko) 2023-04-20 2023-04-20 드럼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826B1 true KR102624826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903A KR102624826B1 (ko) 2023-04-20 2023-04-20 드럼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5196A (ja) * 1986-04-07 1987-10-15 日本輸送機株式会社 防爆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
JP2017039456A (ja) * 2015-08-21 2017-02-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KR20200085465A (ko) * 2019-01-07 2020-07-15 유수비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461807B1 (ko) * 2022-05-27 2022-11-01 에이치씨엠 주식회사 전동 및 수동 겸용 드럼 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5196A (ja) * 1986-04-07 1987-10-15 日本輸送機株式会社 防爆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
JP2017039456A (ja) * 2015-08-21 2017-02-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KR20200085465A (ko) * 2019-01-07 2020-07-15 유수비 클램핑암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461807B1 (ko) * 2022-05-27 2022-11-01 에이치씨엠 주식회사 전동 및 수동 겸용 드럼 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6267C (en) Battery arrangement for electric bus
US10186729B2 (en) Battery cell compression method and assembly
CN85109706A (zh) 车身
RU2582745C2 (ru) Рама шасси большегруз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большегруз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2624826B1 (ko) 드럼 리프트
US20220105815A1 (en) Wheelbase structure
CN110979458B (zh) 一种具有结构稳定且负载能力强的底盘的新能源汽车
CN205202810U (zh) 具有车载冰柜功能的电动三轮车
CN215869653U (zh) 一种锂电池组运输安装保护盒
CN208101812U (zh) 一种汽车支架、移动小车以及升降平台
KR102630361B1 (ko) 선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CN114954656A (zh) 可拓展的模块化滑板底盘以及车辆
CN115649066B (zh) 储物箱组件及车辆
CN211731566U (zh) 电动车底盘及车辆
KR10089613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592629B1 (ko) 리튬 배터리팩 제조방법
KR102633396B1 (ko) 리튬계열 배터리 제조 및 교체 방법
KR102633394B1 (ko)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CN112140974A (zh) 自卸式物流车
CN213042995U (zh) 一种轻型叉车动力锂电池组
IT201800010270A1 (it) Veicolo del tipo di un rimorchio, di un semirimorchio e simili
KR102604177B1 (ko) 전기차 충전기에 사용되는 발란서
KR102630358B1 (ko) 레일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이송장치
KR102700223B1 (ko) 수소탱크용 라이너 성형 장치 및 방법
CN220042393U (zh) 一种电动叉车外置充电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