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40B1 -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40B1
KR101937240B1 KR1020180048435A KR20180048435A KR101937240B1 KR 101937240 B1 KR101937240 B1 KR 101937240B1 KR 1020180048435 A KR1020180048435 A KR 1020180048435A KR 20180048435 A KR20180048435 A KR 20180048435A KR 101937240 B1 KR101937240 B1 KR 10193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t
weight
res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시식
이승일
조순옥
Original Assignee
(주)디알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알에이치
Priority to KR102018004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5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5Unsaturated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4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co-operating press or calender ro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매트롤러 피복재 및 상기 매트롤러 피복재가 적용된 매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의 매트롤러에 사용하기 적합한 매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Matt roller covering material composition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Matt roller covering material using the same, Matt roller containing the same and calendering apparatus of EMI}
본 발명은 고온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매트롤러 피복재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매트롤러 피복재 및 이를 이용한 매트롤러, 그리고, 상기 매트롤러가 적용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전기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반도체 집적회로 등의 전자 부품이 저가로 대량 생산되면서 전자 기기가 대량으로 공급되어 짐에 따라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점들이 대두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이 시트 형태의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는 금속을 박막화시켜 만들어지거나 직물, 부직포, 폼과 같은 다양한 시트 형태의 소재에 전자파 차폐 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특히 섬유나 폼 소재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는 물리적 충격 흡수 및 고유한 유연성과 더불어 무전해 도금시 우수한 도전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완제품 가공시 금속박과 다르게 가공성이 좋으며, 주름, 찍힘 등의 변형이 거의 없는데다 초박형 두께로 인하여 점차 슬림화되는 추세의 각종 전자, 전기기기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는 평판 프레스 또는 의류용 카렌더기(calender M/C)를 이용하여 합지 및 초박형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데, 평판 프레스는 고압의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박막화에는 유리하나 연속작업이 불가하고, 가공 사이즈가 작아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의류용 카렌더기는 직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촉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것으로써, 산업용 소재인 전자파 차폐재를 효과적으로 가공하기에는 부적합고, 기존의 설비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의 초박형 가공을 위해서는 여러 번의 카렌딩 공정(2~5회)을 거쳐야만 하므로, 이로 인해 소재가 갖고 있는 고유한 물성을 손상시킴과 동시에 반복 공정에 의한 빈번한 제품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자파 차폐재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대되어짐에 따라 합지 및 초박형 가공을 위해서는 히팅롤을 균일하게 고온으로 유지하고, 고압의 조건을 부가하며, 여러 시트를 합지시킬 수 있는 멀티 존에 생산되던 캘런기는 의류용 섬유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져 있으므로, 전자파 차폐재의 합지 및 초박형 가공을 위한 히팅롤러의 고온 조건 및 매트롤러(또는 레진롤러) 사이의 고압조건을 부여하기가 어려움이 있으며, 매트롤러에 적용되는 피복재가 이러한 고온, 고압 조건에 대한 장기 안정성이 떨어져서 전자파 차폐재 불량품이 증대하여 생산성을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9743호(2013.01.3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캘렌더기를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재의 합지 및 초박형 가공시 소재에 인열(찢어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함에 따라 전자파 차폐재 상·하단에 보호시트를 동시에 공급하여 히팅롤로와 매트롤러(또는 레진롤러)을 통과시켜 전자파 차폐재 표면에 가해지는 외력은 최소화 하되, 합지와 박막화 효과는 최대화시킬 수 있는 독창적인 메커니즘을 구성한 캘런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고온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트롤러 피복재 및 최적의 피복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은 고무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무기 충전재, 가교제 및 난연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1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2
이고, R1 및 R2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R3는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로겐 원자, SiH3, -SiH2CH3 또는 -SiH(CH3)2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3
화학식 2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C1 ~ C1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0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R2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이고, R3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NH2, -NHCH3, -N(CH3)2이며, x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y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4
화학식 3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 ~ C5의 알콕시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혼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매트롤러 피복재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매트롤로가 적용된 캘렌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매트롤러 피복재는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 적정 마찰력을 가져서 고온, 고압 하에서 적용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의 매트롤러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매트롤러를 이용하는 캘렌더기를 이용하면 전자파 차폐재의 불량률을 줄이면서 잔고장을 방지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제2보호원단권취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의 사양(spec)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이하, 조성물로 칭한다.)은 고무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무기 충전재, 가교제 및 난연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6
이고, R1 및 R2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2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그리고, 화학식 1의 상기 R3는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로겐 원자, SiH3, -SiH2CH3 또는 -SiH(CH3)2이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또는 SiH3, -SiH2CH3 또는 -SiH(CH3)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iH3, -SiH2CH3 또는 -SiH(CH3)2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C1 ~ C1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0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C3 ~ C8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8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그리고, 화학식 2의 상기 R2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2의 알킬기이다.
또한, 화학식 2의 상기 R3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NH2, -NHCH3, -N(CH3)2이며,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NH2, -NHCH3, -N(CH3)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H2, -NHCH3, -N(CH3)2이다.
그리고, 화학식 2의 x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y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x는 0 내지 1의 정수이며, y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x는 1이며, y는 1 내지 2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 ~ C5의 알콕시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5의 알콕시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알콕시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고무 수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고무 수지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SBR 수지 및 BR 수지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SBR 수지 및 BR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시에는 SBR 수지 및 BR 수지를 1 : 0.4 ~ 0.6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4 ~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말레이미드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 4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30 ~ 4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말레이미드 수지 사용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매트롤러 피복재의 고온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4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복재의 표면 마찰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폴리설파이드 수지는 매트롤러 피복재의 동적 성능 및 경도, 강성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설파이드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6 ~ 9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9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폴리설파이드 수지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매트롤러 피복재의 충분한 경도를 확보하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다른 조성물과의 혼용성이 떨어져서 피복재의 물성이 떨어지고, 피복재의 강성도가 너무 높아져서 매트롤러의 피복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붕소 화합물은 피복재의 내열성 향상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붕소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7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3.5 ~ 6.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6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붕소 화합물의 사용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사용으로 인한 내열성 효과 상승을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피복재의 다른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무기 충전재는 매트롤러 피복재의 내구성 증대 및 적정 표면 마찰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기 충전재의 사용량은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7 ~ 1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9.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무기 충전재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매트롤러 피복재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매트롤러의 강도 등의 물성은 향상하나, 피복재의 경도가 너무 증대하여 오히려 매트롤러 피복재의 장기 수명 안정성이 떨어지고, 매트롤러 피복재의 표면 마찰이 너무 증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탈크, 구상 실리카 및 질화규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및 구상 실리카를 1 : 0.1 ~ 0.3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무기충전재는 평균입경 1 ~ 30㎛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5 ~ 25㎛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8 ~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가교제는 고무 수지와 말레이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설파이드 수지간 가교결합 등이 잘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가교제 사용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간 혼용성, 가교성이 떨어져서 매트롤러 피복재의 전반적인 물성이 떨어질 수 있고, 그 사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매트롤러 피복재가 딱딱해져서 매트롤러의 피복재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스(2,4-디클로로벤질)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비스(4-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2,2-비스(tert-부틸퍼옥시)부텐, 4,4-디-tert-부틸 퍼옥시노닐발레레이트, 디쿠밀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tert-부틸쿠밀 퍼옥시드,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벤젠, 디-tert-부틸 퍼옥시드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스-3-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2,2-비스(tert-부틸퍼옥시)부텐, 4,4-디-tert-부틸 퍼옥시노닐발레레이트,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벤젠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스-3-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난연제는 매트롤러 피복재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난연제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난연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매트롤러 피복재가 백화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인계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1 : 0.2 ~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고무 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설파이드 수지, 붕소 화합물, 무기 충전재, 가교제 및 난연제 외에 매트롤러 피복재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반응 촉진제, 항산화제, 열안정화제, 광안정화제, 오존분해방지제, 가공 보조제, 염료, 안료, 왁스, 증량제, 지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조성물을 혼합하여 수지화시킨 후, 이를 경화시킨 경화물을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롤러 피복재를 적용하여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는 하기에 설명할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의 매트롤러로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의 경우, 190℃ 이상의 칼렌더기 분위기 하에서 운전하게 되어 매트롤러에 적용된 피복재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여 재코팅을 자주 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상기 조성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피복재는 220℃ 온도 하에서도 72시간 방치한 후, 쇼어 경도 측정시, 90Hs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97Hs의 우수한 경도를 유지하는 바, 우수한 고온 내열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트롤러 피복재가 적용된 매트롤러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1)는 제1,2 차폐원단(110a,120a)이 구비되는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을 일체로 적층된 상태의 가공원단(100)으로 가공하는 가공부(20) 및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원단(100)을 권취하는 권취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 상기 가공부(20) 및 상기 권취부(30)를 지면 등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2,3 프레임(41,42,43)을 포함하는 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에는 상기 공급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42)에는 상기 가공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43)에는 상기 권취부(40)가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질 있다.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은 각각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 되는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장애를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110b)은 표면에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동 등이 도금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은 폼타입(Foam Type)으로 이루어지면서 압착에 의해 합지되어 상기 가공원단(100)으로 가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은 각각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과 접하면서 두 층을 이루는 제1,2 보호원단(110b, 120b)을 더 포함하며, 제1,2 비가공원단심(110c, 120c)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공급부(10)에 거치된다.
상기 제1,2 보호원단(110b, 120b)은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에 접하면서 그 제1,2 차폐원단(110a, 110b)을 보강하는 한편,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심(110c, 120c)으로부터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이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이 외부로부터의 당김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물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2 보호원단(110b, 120b)은 각각 일반적인 이형원단,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의 PE 원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심(110c, 120c)에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10b)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권취된다.
상기 공급부(10)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가공부(2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각각 공급하는 제1,2 공급수단(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공급수단(11, 12)은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심(110c, 120c)이 결합되는 제1,2 회전축(13, 14) 및 상기 제1,2 회전축(13,14)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15, 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급수단(12)은 상기 제1 공급수단(11)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41)에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축(13)에는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상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비가공원단(1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14)에는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하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비가공원단(12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회전축(13, 14)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심(110c, 120c)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41)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을 압착하는 히팅롤러(21) 및 매트롤러(22), 상기 히팅롤러(21) 및/또는 매트롤러(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20)는 상기 매트롤러(22)를 승, 하강시켜 상기 히팅롤러와 매트롤러간의 사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이송수단(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24)은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은 상기 제1,2 회전축(13, 1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부(23)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히팅롤러(21)와 매트롤러(22)는 병렬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사이로 통과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압착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공원단(100)은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이 가졌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반복 작업을 통해 초박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롤러(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롤러(21)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트롤러(22)는 앞서 설명한 조성물로 제조한 피복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롤러와 매트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을 설정 두께로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권취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는 가공원단심(130)이 결합되는 권취축(31) 및 상기 권취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구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구동부(32)는 구동모터(33) 및 상기 권취축(31)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파우더클러치(34)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축(31)과 상기 구동모터(33)를 연결하는 벨트(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1)는 상기 제1 보호원단(110b)을 권취하기 위한 제1 보호원단권취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는 상기 권취부(3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4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 보호원단(110b)이 권취되는 제1 보호원단심(140)이 결합되는 제1권취축(51) 및 상기 제1 권취축(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52)는 제1 구동모터(53) 및 상기 제1 권취축(5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모터(5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파우더클러치(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취축(51)과 상기 제1 구동모터(53)를 연결하는 제1 벨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3)와 함께 상기 권취구동부(32) 및 상기 제1구동부(5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이 상기 제1,2 회전축(13,1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은 상기 히팅롤러와 매트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며, 그 압착에 의해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120a)은 일체로 적층되어 상기 가공원단(100)을 이룬다.
상기 가공원단(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보호원단(110b)은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상기 제1 보호원단심(140)에 권취되고, 상기 가공원단(100)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과 함께 상기 권취부(30)에서 상기 가공원단심(130)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캘렌더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을 권취하기 위한 제2 보호원단권취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권취부(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4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권취부(30)나,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는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통과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61),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보호원단심(150)이 거치되고 그 거치되는 상기 제2 보호원단심(150)에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권취되도록 하는 자동와인딩기(62)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는 양단부가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63)는 제2 구동모터(64) 및 상기 제2 구동모터(6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파우더클러치(6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우더클러치(65)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제2 벨트(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원단심(150)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사이에 안착되며, 상기 제2 구동부(63)의 구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이송롤러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우더클러치(65)는 상기 자동와인딩기(62)에서 일정한 장력으로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하부에서 그 사이로 인입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사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67)는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자동와인딩기(62)는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권취되는 상기 제2 보호원단심(150)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사이 상부에서 상호 접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홀더수단(68)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수단(68)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캘렌더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30) 및 상기 제1,2 보호원단권취부(50, 60)를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권취부(30)에서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제1,2 보호원단권취부(50, 60)에서 각각 상기 제1,2 보호원단(110b,120b)이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캘렌더기(1)는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호원단권취부(50)와 함께 상기 권취부(30)와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권취부(30)와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부에서 상기 제2 보호원단(110b)과 함께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캘렌더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가공부(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이 상기 가공부(2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부(70)는 상기 제2 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비가공원단(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71), 상기 제1 프레임(41) 또는 상기 제2 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72) 및 상기 제2 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이 접하면서 상기 가공부(20)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폭출롤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폭출롤러(73)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하여 그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의 구김이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짐방지부(70)는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72)와 상기 제1 폭출롤러(7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비가공원단(12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7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레임(52)의 후방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75),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5)를 상기 제2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축(76),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5)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이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제1,2 장력조절롤러(77,7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축(76)을 회전시켜 상기 제1,2 장력조절롤러(77,78)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79)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수단(79)은 상기 지지축(7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수동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장력조절롤러(77,78)는 상기 지지축(76)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4)와 함께 회전되면서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제2 장력조절롤러(78)가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77)의 상측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가공원단(120)은 상기 제1,2 장력조절롤러(77,78)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가공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70)는 상기 제1,2 장력조절롤러(77,78)의 중심이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제2 비가공원단(120)이 통과되는 거리가 멀어지고, 이와 반대로 수직상태를 이룰 때, 그 제2비가공원단(120)이 통과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장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장력조절부(70)는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2 비가공원단(120)의 장력 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79)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여 적당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캘렌더기(1)는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이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100) 및 상기 제1 보호원단(110b)으로 분기되어 상기 권취부(30) 및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냉각하는 한편, 그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쿨링롤러(81), 상기 쿨링롤러(81)를 통과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으로부터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2 폭출롤러(82) 및 상기 제2 폭출롤러(82)를 통과하는 제1보호원단이 상기 제1 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귄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롤러(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링롤러(81)에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단(81a)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쿨링롤러(81)는 상기 가공부(20)에서 가열된 상태의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그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출롤러(82) 및 상기 제3 가이드롤러(83)와 함께 상기 제2 프레임(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부(80)는 상기 제2 보호원단(120b)이 상기 가공원단(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에서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부(80)는 상기 쿨링롤러(81)를 통과하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 120)으로부터 상기 제2 보호원단(110b)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3 폭출롤러(84) 및 상기 제3 폭축롤러(84)를 통과하는 상기 제2 보호원단(110b)이 상기 제2 보호원단권취부(60)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 가이드롤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폭출롤러(84)는 상기 제2 프레임(42)에 설치되며, 상기 제4 이드롤러(85)는 상기 제3 프레임(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3 폭출롤러(82,84)는 상기 제1,2 보호원단(110b, 120b)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하여 그 제1,2 보호원단(110b,120b)의 구김이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캘런더기(1)는 상기 제1,2 비가공원단(110,120)의 장력 및 상기 가공원단(10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풀림 또는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2 차폐원단(110a, 120a)이 복수 적층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100)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1 :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의 제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수지를 1 : 0.45 중량비로 혼합한 고무 수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수지 37 중량부,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 수지 7.8 중량부,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5 중량부, 탄산칼슘 및 구상실리카를 1 : 0.2 중량비로 포함하는 평균입경 12 ~ 14㎛인 무기 충전재 8.4 중량부, 가교제로서 4,4-디-tert-부틸 퍼옥시노닐발레레이트 3.2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1 : 0.37 중량비로 혼합한 난연제 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지를 캘런더기의 매트롤러에 코팅 및 경화시켜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를 캘런더기의 매트롤로 외부에 형성시켜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를 제조하였다. 이때, 캘런더기의 매트롤러 스펙(spec)은 도 9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09
상기 화학식 1-1에서, 상기 A는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0
이고, R1 및 R2는 메틸기이고, R3는 -SiH(CH3)2이다.
[화학식 2-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1
상기 화학식 2-2에서, 상기 R1 은 이소프로필기이고, R2는 메틸기이며, R3는 -N(CH3)2이고, x는 1이고, y는 2이다.
[화학식 3-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2
상기 화학식 3-1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모두 OCH(CH3)2이다.
실시예 2 ~ 실시예 7 및 비교예 1 ~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실시하되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비를 가지도록 수지를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피복재가 피복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를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실시예 7 및 비교예 1 ~ 비교예 6를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고무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말레이미드수지 37 30 43.5 37 37 37 37
폴리설파이드수지 7.8 8.4 6.7 5.2 9.6 7.8 7.8
붕소화합물 5 4.4 4.0 5.2 5 3.5 6.5
무기충전재 8.4 8.4 8.4 8.4 8.4 8.4 8.4
가교제 3.2 3.2 3.2 3.2 3.2 3.2 3.2
난연제 0.7 0.7 0.7 0.7 0.7 0.7 0.7
구분(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고무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말레이미드수지 20 50 37 37 37 37
폴리설파이드수지 8.4 6.7 4.5 11.3 7.8 7.8
붕소화합물 4.4 4.0 5.2 5 2.4 8.0
무기충전재 8.4 8.4 8.4 8.4 8.4 8.4
가교제 3.2 3.2 3.2 3.2 3.2 3.2
난연제 0.7 0.7 0.7 0.7 0.7 0.7
실험예 :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의 내열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매트롤러로부터 피복재를 분리하여 시편으로 각각 준비하였다.
전자파 차폐재 제조시 캘런더기의 히팅롤러 온도가 220℃ 하에서 작동하는 바, 상기 온도 범위에서 피복재의 고온 내열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고온 내열성 평가는 치수 40㎜×40㎜×10㎜의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편을 220℃×72시간 동안 방치하여 가열 노화 시험을 실시 후의 쇼어 경도를 측정하고, 시험 전후의 경도를 비교함으로써 내열성을 평가했다. 경도는 쇼어 경도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쇼어경도(Hs) 93.2 90.3 95.7 91.8 93.5 91.5 93.6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
쇼어경도(Hs) 75.6 95.2 81.5 88.9 84.1 93.7 -
그러나, 말레이미드 수지를 2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 ~ 2와 비교할 때, 고온 안정성이 떨어져서, 경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말레이미드 수지를 45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말레이미드 수지를 43.5 중량부로 사용한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오히려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설파이드 수지를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4와 비교할 때, 쇼어경도가 떨어졌고 이는 고온 내열성이 좋지 않음을 의미하며, 폴리설파이드 수지를 1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오히려 쇼어 경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폴리설파이드 수지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다른 조성물과의 혼용성이 떨어져서 피복재 물성이 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붕소화합물을 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으, 실시예 6과 비교할 때 낮은 쇼어경도를 보였는데, 이는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말레이미드 수지와의 시너지 효과가 발현되지 못하고, 내열성 향상 효과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붕소화합물을 7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실시예 7과 비교할 때, 쇼어경도 증가가 거의 없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온 내열성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런더기 10 : 공급부
11 : 제1 공급수단 12 : 제2 공급수단
20 : 가공부 21 : 히팅롤러
22 : 매트롤러 23 : 구동부
30 : 권취부 31 : 권취축
32 : 권취구동부 33 : 구동모터
34 : 파우더클러치 35 : 벨트
40 : 프레임부 41 : 제1 프레임
42 : 제2 프레임 43 : 제3 프레임
50 : 제1 보호원단권취부 51 : 제1 권취축
52 : 제1 구동부 53 : 제1 구동모터
54 : 제1 파우더클러치 55 : 벨트
60 : 제2 보호원단권취부 61 : 이송롤러
62 : 자동와인딩기 63 : 제2 구동부
64 : 제2 구동모터 65 : 제2 파우더클러치
66 : 제2벨트 67 : 가이드롤러
70 : 처짐방지부 71 : 제1 가이드롤러
72 : 제2 가이드롤러 73 : 제1 폭출롤러
74 : 장력조절수단 75 : 플레이트
76 : 지지축 77 : 제1 장력조절롤러
78 : 제2 장력조절롤러 79 : 조절수단
80 : 유도부 81 : 쿨링롤러
81a : 냉각수단 82 : 제2 폭출롤러
83 : 제3 가이드롤러 84 : 제3 폭출롤러
85 : 제4 가이드롤러 100 : 가공원단
110 : 제1 비가공원단 110a : 제1 차폐원단
110b : 제1 보호원단 110c : 제1 비가공원단심
120 : 제2 비가공원단 120a : 제2 차폐원단
120b : 제2 보호원단 120c : 제2 비가공원단심
130 : 가공원단심 140 : 제1 보호원단심
150 : 제2 보호원단심

Claims (10)

  1. 고무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무기 충전재, 가교제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3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4
    이고, R1 및 R2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R3는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할로겐 원자, SiH3, -SiH2CH3 또는 -SiH(CH3)2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5

    화학식 2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C1 ~ C1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0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R2는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이고, R3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NH2, -NHCH3, -N(CH3)2이며, x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y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41543303-pat00016

    화학식 3에서 상기 R1 내지 R3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1 ~ C5의 알콕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말레이미드 수지 25 ~ 45 중량부, 상기 폴리설파이드 수지 5 ~ 10 중량부, 상기 붕소화합물 3 ~ 7 중량부, 무기 충전재 5 ~ 10 중량부, 가교제 2 ~ 5 중량부 및 난연제 0.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수지를 1 : 0.4 ~ 0.6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비스(2,4-디클로로벤질)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비스(4-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2,2-비스(tert-부틸퍼옥시)부텐, 4,4-디-tert-부틸 퍼옥시노닐발레레이트, 디쿠밀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tert-부틸쿠밀 퍼옥시드,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벤젠, 디-tert-부틸 퍼옥시드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스-3-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인계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혼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8. 제7항의 매트롤러 피복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9. 제1,2 차폐원단을 구비하는 제1,2 비가공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2 비가공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2 차폐원단이 일체로 적층된 상태의 가공원단으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은, 각각 상기 제1,2 차폐원단과 접하면서 두 층을 이루는 제1,2 보호원단을 더 포함하며, 그 제1,2 보호원단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제1,2 비가공원단심에 권취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보호원단이 상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1공급수단; 및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보호원단이 하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2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히팅롤러 및 매트롤로; 상기 히팅롤러 및 매트롤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매트롤러를 승,하강시켜 상기 히팅롤러와 매트롤러 간의 사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비가공원단은, 상기 히팅롤러 및 매트롤로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며,
    상기 매트롤로는 제8항의 매트롤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1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1보호원단권취부 및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2보호원단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KR1020180048435A 2018-04-26 2018-04-26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KR10193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35A KR101937240B1 (ko) 2018-04-26 2018-04-26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35A KR101937240B1 (ko) 2018-04-26 2018-04-26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240B1 true KR101937240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435A KR101937240B1 (ko) 2018-04-26 2018-04-26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2037A (ja) * 2020-03-12 2022-04-13 蘇州汪永亨絲綢科技文化有限公司 宋錦紡績加工用カレンダー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885B1 (ko) * 1990-09-10 1999-06-15 스위셔 케드린 엠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를 함유하는 가황가능한 고무 조성물
JP4325176B2 (ja) * 2001-12-26 2009-09-02 Dic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線、ユニット
KR101229743B1 (ko) 2012-08-20 2013-02-05 주식회사 경민 제어용 롤러를 구비한 반도체 부직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885B1 (ko) * 1990-09-10 1999-06-15 스위셔 케드린 엠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를 함유하는 가황가능한 고무 조성물
JP4325176B2 (ja) * 2001-12-26 2009-09-02 Dic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線、ユニット
KR101229743B1 (ko) 2012-08-20 2013-02-05 주식회사 경민 제어용 롤러를 구비한 반도체 부직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2037A (ja) * 2020-03-12 2022-04-13 蘇州汪永亨絲綢科技文化有限公司 宋錦紡績加工用カレンダ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809B1 (ko) 인쇄회로기판(pcb)용의 금속적층기재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중벨트 프레스
EP3470219A1 (en)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37240B1 (ko)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TWI702128B (zh) 預浸體及覆金屬箔疊層板與印刷電路板
EP0230984B1 (en) Polyimide film having improved adhesive properties
EP3094162A1 (en) Insulating layer for printed wire board, and printed wire board
KR20210148114A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GB2199286A (en) Moulded laminate of fibre-reinforced cross-linked polypropylene
KR20180113991A (ko) 불연속 섬유 강화 복합 재료
EP3321326B1 (en) Resin composition, prepreg, resin sheet, metal foil-clad laminate sheet, and printed wiring board
KR101443813B1 (ko)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JP2009090581A (ja) キャリア付き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キャリア付きプリプレグ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0958942B1 (ko) 잉크젯 프린트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7187895B2 (ja) 繊維状セルロース含有樹脂組成物、液状組成物、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4069391A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KR101477109B1 (ko)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CN211164830U (zh) 玻璃纤维预浸料制备装置
CN217414802U (zh) 一种张力可控型淋膜机
CN114481592B (zh) 一种单向布裁切输送设备及其制得的无纬布
KR20160096595A (ko) 프리프레그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214239110U (zh) 一种连续性能强的鼓式硫化机
JP2000108268A (ja) 工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552523U (zh) 淋膜机基材压展复合装置
JP2005059486A (ja) 積層板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H07172642A (ja) 薄物ガラスクロスの巻取方法および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