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109B1 -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109B1
KR101477109B1 KR1020140080683A KR20140080683A KR101477109B1 KR 101477109 B1 KR101477109 B1 KR 101477109B1 KR 1020140080683 A KR1020140080683 A KR 1020140080683A KR 20140080683 A KR20140080683 A KR 20140080683A KR 101477109 B1 KR101477109 B1 KR 10147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otective
park
rolle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시식
Original Assignee
(주)디알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알에이치
Priority to KR102014008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등의 슬림화에 맞추어 원단의 물성에 따라 그 원단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한편, 원단을 복수 적층하여 전자파 차폐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MANUFACTURE APPARATUS OF FABRIC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본 발명은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등의 슬림화에 맞추어 원단의 물성에 따라 그 원단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한편, 원단을 복수 적층하여 전자파 차폐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차폐용 직물은 휴대폰, 전화기, 네비게이션, MP3 등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장애를 차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자파차폐용 직물은 원단의 표면에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동 등을 도금하거나, 금속사와 같은 도전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전자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등의 슬림화에 따라 두께가 얇은 초박형으로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9743호에는 이와 같은 제어용 롤러를 구비한 반도체 부직포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부직포 제조장치는 비가공원단이 공급되는 언와인더와 비가공원단이 가공되어 권취되는 리와인더에서 원단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9743호(2013.01.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등의 슬림화에 맞추어 원단의 물성에 따라 그 원단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한편, 원단을 복수 적층하여 전자파 차폐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2차폐원단을 구비하는 제1,2비가공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2비가공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2차폐원단이 일체로 적층된 상태의 가공원단으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은, 각각 상기 제1,2차폐원단과 접하면서 두 층을 이루는 제1,2보호원단을 더 포함하며, 그 제1,2보호원단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제1,2비가공원단심에 권취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보호원단이 상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1공급수단; 및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보호원단이 하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2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공부는, 상,하부가압롤러; 상기 상,하부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가압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하부가압롤러를 승,하강시켜 상기 상,하부가압롤러 간의 사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은, 상기 상,하부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1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1보호원단권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원단은, 상기 제2보호원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2보호원단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위치되는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제1비가공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상기 제2비가공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1,2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한편, 그 제1,2비가공원단이 함께 상기 가공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폭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폭출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제2비가공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보호원단 및 상기 제2보호원단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제1,2보호원단 및 상기 가공원단이 상기 제1,2보호원단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부는,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을 냉각하는 한편, 그 제1,2비가공원단의 배출을 유도하는 쿨링롤러; 상기 쿨링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으로부터 상기 제1보호원단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2폭출롤러; 상기 제2폭출롤러를 통과하는 제1보호원단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롤러; 상기 쿨링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으로부터 상기 제2보호원단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3폭출롤러; 및 상기 제3폭출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이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등의 슬림화에 맞추어 원단의 물성에 따라 그 원단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단을 복수 적층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에서 제2보호원단권취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제1,2차폐원단(110a,120a)이 구비되는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을 일체로 적층된 상태의 가공원단(100)으로 가공하는 가공부(20) 및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원단(100)을 권취하는 권취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 상기 가공부(20) 및 상기 권취부(30)를 지면 등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2,3프레임(41,42,43)을 포함하는 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에는 상기 공급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42)에는 상기 가공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43)에는 상기 권취부(40)가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질 있다.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은 각각 휴대폰, 전화기, 네비게이션, MP3 등 각종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장애를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은 표면에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동 등이 도금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은 폼타입(Foam Type)으로 이루어지면서 압착에 의해 합지되어 상기 가공원단(100)으로 가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은 각각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과 접하면서 두 층을 이루는 제1,2보호원단(110b,120b)을 더 포함하며, 제1,2비가공원단심(110c,120c)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공급부(10)에 거치된다.
상기 제1,2보호원단(110b,120b)은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에 접하면서 그 제1,2차폐원단(110a,110b)을 보강하는 한편, 상기 제1,2비가공원단심(110c,120c)으로부터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이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이 외부로부터의 당김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물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2보호원단(110b,120b)은 각각 페트원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비가공원단심(110c,120c)에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10b)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권취된다.
상기 공급부(10)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가공부(2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급수단(1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공급수단(11,12)은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2비가공원단심(110c,120c)이 결합되는 제1,2회전축(13,14) 및 상기 제1,2회전축(13,14)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15,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공급수단(12)은 상기 제1공급수단(11)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41)에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축(13)에는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상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비가공원단(110)이 결합된다.
상기 제2회전축(14)에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하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회전축(13,14)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비가공원단심(110c,120c)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41)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압착하는 상,하부가압롤러(21,22) 및 상기 상,하부가압롤러(21,22) 중 어느 하나의 가압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3)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부(20)는 상기 하부가압롤러(22)를 승,하강시켜 상기 상,하부가압롤러(21,22) 간의 사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이송수단(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24)은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은 상기 제1,2회전축(13,1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부(23)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가압롤러(21,22)는 병렬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사이로 통과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압착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공원단(100)은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이 가졌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반복 작업을 통해 초박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압롤러(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가압롤러(21)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가압롤러(2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가압롤러(21)는 히터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가압롤러(21,2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을 설정두께로 압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하부가압롤러(21,22)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권취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는 가공원단심(130)이 결합되는 권취축(31) 및 상기 권취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구동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구동부(32)는 구동모터(33) 및 상기 권취축(31)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파우더클러치(34)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축(31)과 상기 구동모터(33)를 연결하는 벨트(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을 권취하기 위한 제1보호원단권취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는 상기 권취부(3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42)에 고정된다.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4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권취되는 제1보호원단심(140)이 결합되는 제1권취축(51) 및 상기 제1권취축(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52)는 제1구동모터(53) 및 상기 제1권취축(51)에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5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파우더클러치(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권취축(51)과 상기 제1구동모터(53)를 연결하는 제1벨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3)와 함께 상기 권취구동부(32) 및 상기 제1구동부(5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이 상기 제1,2회전축(13,1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된다.
상기 가공부(20)로 연속 공급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은 상기 상,하부가압롤러(21,22)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며, 그 압착에 의해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은 일체로 적층되어 상기 가공원단(100)을 이룬다.
상기 가공원단(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은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상기 제1보호원단심(140)에 권취되고, 상기 가공원단(100)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과 함께 상기 권취부(30)에서 상기 가공원단심(130)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을 권취하기 위한 제2보호원단권취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권취부(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43)에 설치된다.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권취부(30)나,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는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통과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61),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보호원단심(150)이 거치되고 그 거치되는 상기 제2보호원단심(150)에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권취되도록 하는 자동와인딩기(62)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6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는 양단부가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구동부(63)는 제2구동모터(64) 및 상기 제2구동모터(6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파우더클러치(65)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파우더클러치(65)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제2벨트(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호원단심(150)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사이에 안착되며, 상기 제2구동부(63)의 구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이송롤러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2파우더클러치(65)는 상기 자동와인딩기(62)에서 일정한 장력으로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하부에서 그 사이로 인입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는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의 사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67)는 상기 제3프레임(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자동와인딩기(62)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권취되는 상기 제2보호원단심(150)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61) 사이 상부에서 상호 접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홀더수단(68)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수단(68)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30) 및 상기 제1,2보호원단권취부(50,60)를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권취부(30)에서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제1,2보호원단권취부(50,60)에서 각각 상기 제1,2보호원단(110b,120b)이 권취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와 함께 상기 권취부(30)와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권취부(30)와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부에서 상기 제2보호원단(110b)과 함께 상기 가공원단(100)이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가공부(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이 상기 가공부(2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부(70)는 상기 제2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비가공원단(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71), 상기 제1프레임(41) 또는 상기 제2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72) 및 상기 제2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이 접하면서 상기 가공부(20)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폭출롤러(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폭출롤러(73)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하여 그 제1,2비가공원단(110,120)의 구김이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짐방지부(70)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72)와 상기 제1폭출롤러(7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7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52)의 후방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75),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5)를 상기 제2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축(76),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5)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이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제1,2장력조절롤러(77,7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축(76)을 회전시켜 상기 제1,2장력조절롤러(77,78)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79)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수단(79)은 상기 지지축(7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수동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장력조절롤러(77,78)는 상기 지지축(76)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74)와 함께 회전되면서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제2장력조절롤러(78)가 상기 제1장력조절롤러(77)의 상측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은 상기 제1,2장력조절롤러(77,78)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가공부(20)로 공급된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70)는 상기 제1,2장력조절롤러(77,78)의 중심이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이 통과되는 거리가 멀어지고, 이와 반대로 수직상태를 이룰 때, 그 제2비가공원단(120)이 통과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장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장력조절부(70)는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2비가공원단(120)의 장력 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79)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여 적당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이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100) 및 상기 제1보호원단(110b)으로 분기되어 상기 권취부(30) 및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부(20)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냉각하는 한편, 그 제1,2비가공원단(110,120)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쿨링롤러(81), 상기 쿨링롤러(81)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으로부터 상기 제1보호원단(110b)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2폭출롤러(82) 및 상기 제2폭출롤러(82)를 통과하는 제1보호원단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50)에서 귄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롤러(83)를 포함한다.
상기 쿨링롤러(81)에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단(81a)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쿨링롤러(81)는 상기 가공부(20)에서 가열된 상태의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그 제1,2비가공원단(110,120)을 일정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폭출롤러(82) 및 상기 제3가이드롤러(83)와 함께 상기 제2프레임(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부(80)는 상기 제2보호원단(120b)이 상기 가공원단(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에서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부(80)는 상기 쿨링롤러(81)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으로부터 상기 제2보호원단(110b)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3폭출롤러(84) 및 상기 제3폭축롤러(84)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110b)이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60)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롤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폭출롤러(84)는 상기 제2프레임(42)에 설치되며, 상기 제4가이드롤러(85)는 상기 제3프레임(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3폭출롤러(82,84)는 상기 제1,2보호원단(110b,120b)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하여 그 제1,2보호원단(110b,120b)의 구김이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1)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110,120)의 장력 및 상기 가공원단(10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풀림 또는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2차폐원단(110a,120a)이 복수 적층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100)의 두께를 박형이나, 초박형 등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10 : 공급부
11 : 제1공급수단 12 : 제2공급수단 20 : 가공부
21 : 상부가압롤러 22 : 하부가압롤러 23 : 구동부
30 : 권취부 31 : 권취축 32 : 권취구동부
33 : 구동모터 34 : 파우더클러치 35 : 벨트
40 : 프레임부 41 : 제1프레임 42 : 제2프레임
43 : 제3프레임 50 : 제1보호원단권취부 51 : 제1권취축
52 : 제1구동부 53 : 제1구동모터 54 : 제1파우더클러치
55 : 벨트 60 : 제2보호원단권취부 61 : 이송롤러
62 : 자동와인딩기 63 : 제2구동부 64 : 제2구동모터
65 : 제2파우더클러치 66 : 제2벨트 67 : 가이드롤러
70 : 처짐방지부 71 : 제1가이드롤러 72 : 제2가이드롤러
73 : 제1폭출롤러 74 : 장력조절수단 75 : 플레이트
76 : 지지축 77 : 제1장력조절롤러 78 : 제2장력조절롤러
79 : 조절수단 80 : 유도부 81 : 쿨링롤러
81a : 냉각수단 82 : 제2폭출롤러 83 : 제3가이드롤러
84 : 제3폭출롤러 85 : 제4가이드롤러 100 : 가공원단
110 : 제1비가공원단 110a : 제1차폐원단 110b : 제1보호원단
110c : 제1비가공원단심 120 : 제2비가공원단 120a : 제2차폐원단
120b : 제2보호원단 120c : 제2비가공원단심 130 : 가공원단심
140 : 제1보호원단심 150 : 제2보호원단심

Claims (9)

  1. 제1,2차폐원단을 구비하는 제1,2비가공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2비가공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2차폐원단이 일체로 적층된 상태의 가공원단으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은,
    각각 상기 제1,2차폐원단과 접하면서 두 층을 이루는 제1,2보호원단을 더 포함하며, 그 제1,2보호원단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제1,2비가공원단심에 권취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보호원단이 상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1공급수단; 및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보호원단이 하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비가공원단심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는 파우더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2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상,하부가압롤러;
    상기 상,하부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가압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하부롤러를 승,하강시켜 상기 상,하부롤러 간의 사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은,
    상기 상,하부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1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1보호원단권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원단은,
    상기 제2보호원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을 권취하는 제2보호원단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위치되는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제1비가공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상기 제2비가공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1,2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한편, 그 제1,2비가공원단이 함께 상기 가공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폭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폭출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제2비가공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보호원단 및 상기 제2보호원단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가공원단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제1,2보호원단 및 상기 가공원단이 상기 제1,2보호원단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가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을 냉각하는 한편, 그 제1,2비가공원단의 배출을 유도하는 쿨링롤러;
    상기 쿨링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으로부터 상기 제1보호원단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2폭출롤러;
    상기 제2폭출롤러를 통과하는 제1보호원단이 상기 제1보호원단권취부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롤러;
    상기 쿨링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1,2비가공원단으로부터 상기 제2보호원단이 분리되어 통과되는 제3폭출롤러; 및
    상기 제3폭출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제2보호원단이 상기 제2보호원단권취부에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KR1020140080683A 2014-06-30 2014-06-30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KR10147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83A KR101477109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83A KR101477109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109B1 true KR101477109B1 (ko) 2014-12-29

Family

ID=5268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683A KR101477109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023A (ko) * 2015-05-11 2016-11-22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동축케이블 차폐층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06U (ja) * 1994-08-02 1995-02-14 株式会社東海機械製作所 フィルムラミネート装置
KR20050120211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의 제조 방법
KR100733156B1 (ko) * 2006-04-25 2007-06-29 김창수 Fpcb용 커버레이 가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06U (ja) * 1994-08-02 1995-02-14 株式会社東海機械製作所 フィルムラミネート装置
KR20050120211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의 제조 방법
KR100733156B1 (ko) * 2006-04-25 2007-06-29 김창수 Fpcb용 커버레이 가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023A (ko) * 2015-05-11 2016-11-22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동축케이블 차폐층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KR101717148B1 (ko) 2015-05-11 2017-03-17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동축케이블 차폐층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83641U (zh) 一种用于fpc柔性板的贴膜机
KR101477109B1 (ko) 전자파차폐용 직물의 제조장치
CN103060869A (zh) 柔性载带电镀装置
CN210733284U (zh) 一种用于防水卷材生产的压膜装置及覆膜机
KR100850453B1 (ko) 회로 기판을 캐리어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050502B1 (ko) 이형지와 접착 테이프 테이핑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3836B1 (ko) 필름 이송 장력조절용 진공장치
CN112123930B (zh) 一种自动烫金机
CN106435513B (zh) 一种金属化薄膜加工用真空镀膜机
CN209684931U (zh) 一种卷料分切贴合装置
CN208198935U (zh) 贴膜机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CN209126341U (zh) 一种卷对卷加工装置
KR101937240B1 (ko)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조성물, 이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매트롤러 피복재, 이를 포함하는 매트롤러 및 전자파 차폐재 제조용 캘렌더기
CN106399944B (zh) 一种金属化薄膜加厚用二次真空镀膜机
CN209971538U (zh) 一种超薄pi膜自动贴合设备
KR20180115895A (ko)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장치에 구비된 열처리장치
CN106244997B (zh) 一种金属化薄膜加工用喂入机构
CN106222627B (zh) 一种金属化薄膜真空镀膜机
CN215557509U (zh) 一种上卷机
CN106435514B (zh) 一种金属化薄膜加工用防浮起真空镀膜机
CN211839611U (zh) 一种铜板带卷放卷装置
CN216267628U (zh) 贴膜机
CN211687593U (zh) 一种抑菌面料加工用对齐装置
CN211280106U (zh) 一种用于生产足球的贴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