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988B1 -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988B1
KR101936988B1 KR1020160113166A KR20160113166A KR101936988B1 KR 101936988 B1 KR101936988 B1 KR 101936988B1 KR 1020160113166 A KR1020160113166 A KR 1020160113166A KR 20160113166 A KR20160113166 A KR 20160113166A KR 101936988 B1 KR101936988 B1 KR 10193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uccanin
composition
lotion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156A (ko
Inventor
이병무
임승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예방 및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 세포 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광노화 예방 및 개선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UV-induced skin aging inhibi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노화를 예방 및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햇빛에는 가시광선, 적외선, 그리고 자외선이 존재하는데 자외선(Ultraviolet)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A, B, C 등으로 나누어지고, 인체에 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자외선 A(Ultraviolet-A)와 자외선 B(Ultraviolet-B)이다.
자외선 B는 DNA와 결체조직에 손상을 주어 주로 광노화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실제로 자외선이 강한 시기는 4월부터 9월이며, 그 중에서도 5~6월이 최고조에 이른다. 이러한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생긴 피부노화를 광노화(Photoaging)라 하는데, 상기 광노화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미세주름, 반점, 및 색소침착 등이며, 태양에 노출된 시간과 강도에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chronological aging)와 광노화(phto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노화현상이다. 반면에 광노화는 피부가 자외선 등의 광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피부의 외양 또는 기능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광노화는 상술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손상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및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어 피부 탄력에 지장을 주고 광노화의 주요 현상인 깊은 주름을 형성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 유발, 및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특히 자외선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에서는 그 합성이 감소하고 분해는 촉진되는데, 자외선 등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노화 현상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광노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유효성분은 값이 비싸고, 피부 자극을 유발거나 그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값이 비교적 저렴하고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유효성분의 연구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162282호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 과 같은 피부 외용제에 적용시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세포의 광노화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ultraviolet-B)에 의한 인체 내 세포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 세포 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광노화 예방 및 개선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UVB 30 mJ/㎠을 조사하여 항산화 효소인 HO-1(Heme Oxygenase 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이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사(cell death)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 MTT assay로 확인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UVA와 UVB 파장대의 흡수에 대한 Moluccanin 자체의 효과를 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자유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을 근거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UVB 조사에 의한 피부각질세포 내의 활성산소종(ROS)을 소거하는 활성효과를 DCF-DA 시험법을 통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UVB 조사에 의한 피부각질세포 내의 활성산소종(ROS)을 소거하는 활성효과를 DCF-DA 시험법을 통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히스토그램, (b)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Moluccanin의 UVB조사로 유발된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 억제능을 Annexin-V/PI double staining assay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dot-plot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몰루카닌은 항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항산화 효과 또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몰루카닌을 이용하여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평가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몰루카닌의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루카닌(moluccanin)은 Aleurites moluccana에서 유래된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Figure 112016085906324-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몰루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은 자외선(ultraviolet-A, B)에 의한 인체 내 세포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세포는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케라틴세포이다.
상기 HaCaT 케라틴세포는 표피 세포 중에서 각질화 능력을 갖는 세포로서 표피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정상적인 세포 내 활성작용 과정에서 생성된다.
즉, 항산화 반응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포 내의 ROS가 증가하게 되면 DNA나 단백질, 지질(lipid)과 반응하여 손상시키고, 이는 노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므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ROS를 저해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HO-1(Heme oxygenase-1)은 heme catabolism의 속도결정단계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반응산물로 carbon monoxide(CO), biliverdin, free ion (Fe2+)을 생성하며, 반응산물 중에 CO는 염증관련 인자들을 억제하며 heme 또는 다른 금속이온을 가지고 있는 효소들과 반응하여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활성의 변화를 일으키며 능동적 세포사멸을 억제한다.
또한,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은 세포 내 독성물질 저해 단백질로서, NAD+라 불리는 대사 물질을 많이 만들어내는데 NAD+는 써투인1이라는 노화와 대사조절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여 항염증 반응을 이끌어냄으로써 활성산소종을 제거한다. SOD2(Superoxide dismutase 2)는 황산화제로서 정상적으로 superoxide radical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HO-1, NQO1 및 SOD2는 모두 세포 내 ROS와 관련한 항산화 효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이 자외선으로인한 광노화를 얼마나 억제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척도(발명의 효과)가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몰루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으로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및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해당되는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외에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클렌저, 및 모발 화장료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 실시예 1 내지 4: 농도별 몰루카닌 준비)
몰루카닌(MW=386.36166, MF=C20H18O8, powder, Chendu Biopurify Phytochemicals Ltd.(China))을 0.4, 2, 10 및 50 μM의 농도별로 각각 준비하였다.
( 비교예 1: 비타민 C 준비)
대조군으로 50 μM 농도의 비타민 C(Sigma-Aldrich 사, L-Ascorbic acid)를 준비하였다.
( 시험예 1: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 분석)
실시예 1 내지 3의 몰루카닌을 24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UVB 30 mJ/㎠을 조사하여 항산화 효소인 HO-1(Heme Oxygenase 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의 활성을 대조군인 비교예 1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UVB만 조사된 군보다 moluccanin을 처리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의 경우에는 NQO1에서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분석)
Moluccanin이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사(cell death)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 MTT assay로 확인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단, 측정방법은 96well plate에 각 well 당 인간 HaCaT keratinocyte를 2×104cells/well이 되도록 200㎕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moluccanin을 0.4, 2, 10μM과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을 50μM을 1%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배지에 희석시켜서 농도 별로 24시간 동안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UVB 30mJ/cm2 조사한 다음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가 각 well에 최종 농도가 0.5mg/ml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MTT 용액과 배양액을 제거한 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을 well 당 100㎕ 첨가하여 생성된 formazan crystals을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세포 생존율은 하기 식(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첨가군의 흡광도 대비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A540, OD of drug treated sample)/(A540, OD of untreated sample)] × 100 ……… 식(1)
도 2를 참조하면,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UVB만 조사된 군(56.45%)에 비해 moluccanin 0.4μM에서는 58.97%, 2μM은 63.3%, 10μM은 71.41%로 세포 생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하지만 moluccanin 2μM와 10μM를 처리한 군에서만 UVB만 조사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에서는 61.36%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moluccanin 2μM를 처리한 군보다 세포 생존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군인 비타민 C의 1/5의 농도만으로도 moluccanin의 세포생존율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하며, 이는 종래에 비하여 moluccanin이 세포생존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시험예 3: Moluccanin의 UVA 및 UVB 흡수 효과 분석)
UVA와 UVB 파장대의 흡수에 대한 Moluccanin 자체의 효과를 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단, UV/가시광 분광 광도 측정은 200-400nm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수행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moluccanin은 UVA 파장대 (320-400nm), UVB 파장대 (280-320nm)에서 모두 높은 흡수능을 보였으며, moluccanin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흡수능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DPPH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분석)
Moluccanin 및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는 DPPH 자유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을 근거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단,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해 96well plate에 각 well 당 H2O에 용해시킨 비타민 C(50μM)과 DMSO에 용해시킨 moluccanin(0.4, 2, 10, 50μM)을 100㎕씩 넣었으며, 대조군은 H2O와 DMSO을 각각 100㎕를 넣었다. 그런 다음 에탄올에 녹인 0.2mM의 DPPH radical을 100㎕ 넣고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1-시료첨가물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ⅹ 100 (%)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비타민 C 50μM 과 moluccanin 0.4, 2, 10, 50μM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moluccanin에 비해 비타민 C 50μM 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50.1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Moluccanin의 경우 0.4μM 에서는 대조군(DMSO)과 차이가 없었으며, 2μM 은 0.67%, 10μM 은 2.44%, 50μM 은 9.8%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moluccanin 2μM와 10μM 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같은 농도(50μM)의 moluccanin과 비타민 C를 비교하였을 때는 비타민 C가 5배 가량 항산화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타민 C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비타민 C는 자체 항산화 효과는 뛰어나나, 앞서 상술한 시험예를 통해 세포 내에 적용시켰을 경우에는 오히려 moluccanin보다 그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체 항산화 효과는 종래의 비타민 C가 뛰어나지만, 세포 내에 적용시켰을 때는 본 발명에 따른 moluccanin의 항산화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DCFH-DA법을 이용한 피부각질세포 내 Intracellular ROS 측정 분석)
Moluccanin이 UVB 조사에 의한 피부각질세포 내의 활성산소종(ROS)을 소거하는 활성효과를 DCF-DA 시험법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6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각질세포에 비타민 C 50μM과 moluccanin 0.4, 2, 10μM 각 농도 별로 24시간 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10μM DCF-DA를 30분간 처리하고, UVB 30mJ/cm2를 조사하여 ROS 생성을 유도하였다. 세포 내 생성된 ROS는 flow cytometry를 통해 DCF 형광측정으로 확인하였으며, 히스토그램의 median 값으로 DCF 형광강도를 평가하였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DCFH-DA 시험법을 통해서 moluccanin과 비타민 C 처리에 의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UVB 30mJ/cm2 조사에 의해 대조군에 비해 DCF 형광이 2.8배 가량 증가되었다. 이로써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각질세포 내 ROS 생성을 확인하였다. Moluccanin을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생성된 ROS 수준을 감소시켰다. 비타민 C 50μM군은 moluccanin 2μM 처리한 군과 비슷한 ROS 감소 효과를 보였다. 세포 내 UVB 조사에 의해 생성된 ROS는 moluccanin에서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UVB 조사로 유발된 세포사멸에 대한 효과)
Moluccanin의 UVB조사로 유발된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 억제능을 Annexin-V/PI double staining assay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8에 나타내었다.
단, 측정방법은 양성대조군으로 Vit. C 50μM과, moluccanin을 0.4, 2, 10μM 각 농도 별로 24시간 전처리를 진행한 후, UVB 30mJ/cm2를 조사한 다음 6시간 동안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6시간이 경과한 후 세포를 수획하고, Annexin-V와 PI를 각각 5㎕씩 처리하여 double stain assay를 진행하였다. UVB 조사에 의해 유발된 세포사멸과 세포 괴사는 flow cytometry로 형광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면 7에서의 dot-plot 그래프를 도면 8에 정리하였으며, Total apoptosis는 early apoptosis와 late apoptosis 퍼센트를 합쳐서 계산하였다. 그 결과 Live cell 퍼센트는 UVB만 조사된 군에 비해 moluccanin을 처리한 군과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 50μM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otal apoptosis 퍼센트는 UVB만 처리한 군에서 28.66%로 나타났는데, moluccanin 0.4μM는 23.65%, 2μM는 23.88, 10μM는 21.7%, 비타민 C를 처리한 군에서는 24.8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타민 C 50μM 처리한 군보다 moluccanin 0.4μM 처리한 군에서 Live cell 퍼센트는 더 높고, total apoptosis 퍼센트는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 50μM보다 moluccanin 0.4μM가 UVB 조사에 의해 유발된 세포 사멸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 세포 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광노화 예방 및 개선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0)

  1.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인체 내 세포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ultraviolet-B)에 의한 인체 내 세포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NQO1(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및 SOD2(Superoxide dismutase 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인체 내 세포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10. 몰루카닌(molucca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113166A 2016-09-02 2016-09-02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93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66A KR101936988B1 (ko) 2016-09-02 2016-09-02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66A KR101936988B1 (ko) 2016-09-02 2016-09-02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56A KR20180026156A (ko) 2018-03-12
KR101936988B1 true KR101936988B1 (ko) 2019-01-09

Family

ID=6172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66A KR101936988B1 (ko) 2016-09-02 2016-09-02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988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 Chem. Letters, 2009., Vol. 19, pp. 3521 ~ 35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56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jesinghe et al. Biological activities and potential cosmeceutical applications of bioactive components from brown seaweeds: a review
CN111557875A (zh) 一种抗光污染、光损伤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Vilela et al. Effect of ultraviolet filters on skin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hairless mice after a single dose of ultraviolet radiation
CN103945855A (zh) 含有白甘菊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36988B1 (ko)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20077267A (ko)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157659B1 (ja) 紫外線誘発性脂質過酸化を低減する相乗的組成物、配合物及び関連の方法
KR20130108995A (ko) 서던우드의 추출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7426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2692B1 (ko)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1416993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48548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49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737A (ko) 피부 미백,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8780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20090105492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102397975B1 (ko) 키레놀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64012B1 (ko)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9654A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4003B1 (ko)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