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267A -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267A
KR20120077267A KR1020100139163A KR20100139163A KR20120077267A KR 20120077267 A KR20120077267 A KR 20120077267A KR 1020100139163 A KR1020100139163 A KR 1020100139163A KR 20100139163 A KR20100139163 A KR 20100139163A KR 20120077267 A KR20120077267 A KR 2012007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ells
lotion
auditory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익
김상찬
장정희
안은미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7267A/ko
Publication of KR2012007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인 청각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codium thalli extract}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소를 이용하여 살아가는 생물체는 생명유지를 위해 산소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만, 산소의 대사과정 동안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피할 수 없다. 이런 독성이 강한 물질을 활성 산소종(ROS ; reactive oxygen species)이라 하는데, 산소에 의해 파생되는 물질(oxygen-derived species)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일부는 최외각에 단일 전자를 하나 가지고 있어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라디칼(radical)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ROS는 수퍼 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 ROO) 등과 같은 산소 라디칼(radical) 뿐만 아니라, 단일상태산소(singlet oxygen, 1O2),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비-라디칼(non-radical)을 모두 지칭하는 말로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ROS의 반응시간은 매우 짧지만 반응력은 매우 커서 생체 내에서 각종 단백질의 변성, 지질과 산화, DNA변이 등과 같은 유해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OS는 정상 대사 과정 중 진핵생물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원핵생물에서는 세포막의 전자전달계에서 전자 수용체로서 작용하고 궁극적으로 물로 환원된다. 이 과정에서 부분적인 산소의 환원에 의해 초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과산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이 생성된다. 세균의 침범에 대항하기 위한 식균 작용의 과정에서도 호중구의 NADPH 산화효소(respiratory burst oxidase)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이 발생하며, 이 라디칼이 디스뮤타아제(dismutase),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의 작용으로 반응성이 큰 라디칼들을 생성하고, 세포의 발아, 수정, 세포 분화 과정에서도 상당량의 산소 소비량의 증가(respiratory burst)에 수반되는 산소 라디칼의 생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세포막의 산화 손상에 의해 생성되는 ROOH(lipid hydroperoxide)가 미량의 금속이온에 의해 분해되면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 알콕시 라디칼(alkoxyl radical),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이 생성되기도 한다.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은 다른 활성 산소종들이 생기게 되는 핵심요소로서, NADPH 산화효소(NADPH oxidase) 또는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와 같은 효소에 의해 산소에 전자 하나가 환원되면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수퍼옥사이드(superoxide)는 특정 효소에 의해서 과산화수소와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은 지질 과산화의 결과 생성되는 것으로, 다른 ROS와 다르게 생물체 내에서 오래 지속하는 성질이 있으며, 단일상태산소는 산소가 빛을 받아 전자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변형되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명체가 살아가는 동안 일어나는 수많은 화학 반응에서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활성 산소종들이 다량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퇴행성 질병과 노화의 기작에 대한 많은 가설 중 세포 내 활성산소종이 그 발생에 주된 원인이 된다는 것이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UV의 경우 피부노화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피부암, 홍반, 부종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 매우 유해한 반응을 일으킨다.
위와 같은 활성산소는 스트레스, 공해, 흡연, 과음 등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피부 표면은 물론, 피부 세포, 콜라겐, 엘라스틴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힌다. 이렇게 되면 피부 조직이 약해지고, 각질이 두꺼워져 피부가 건조해지고, 면역 기능이 약화되고, 잡티가 생기고, 탄력이 떨어져 결국 주름이 생기게 된다.
멜라닌(melanin)은 페놀류의 생체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며, 사람의 피부, 머리카락, 눈 등에서 관찰된다. 멜라닌은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나 일광각화증을 억제하고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이 있는 반면, 색소침착뿐만 아니라 멜라닌 전구물질들에 의한 독성으로 세포의 사멸을 촉진하는 부정적인 기능도 있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멜라닌 세포) 내의 멜라노솜(melanosome)에서 합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각질형성세포로 전달되어 피부 상피층으로 배출된다. 피부의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은 피부 내 멜라닌 세포에서 엔도셀린(endothelin), UV, α-MSH, NO 등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 멜라닌 생성활동이 증가하고, 이에 다량의 멜라닌이 축적된 결과이다. 멜라닌의 과색소침착은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서는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멜라닌 합성에 조효소는 티로시나아제이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는 피부 내에서의 멜라닌의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에 대한 청각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청각의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양생물인 청각으로부터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청각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각질 생성방지,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생물인 청각으로부터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청각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a 및 도 2b는 청각의 에탄올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a 내지 도 3c는 청각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청각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PGE2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청각 추출물의 카드뮴 농도별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에탄올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노화세포에서 UV 손상에 대한 청각 열수 분획의 보호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노화세포에 청각 열수추출물의 처리 후 미토콘드리아 막전압 측정한 그래프.
도 10은 노화세포에 청각 열수 추출물 처리 후 세포내 활성산소 축적 측정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효소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미백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미백세포에서 청각 에탄올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에 대한 청각 열수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에 대한 청각 에탄올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과 멜라닌 생성에 대한 청각 열수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7은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과 멜라닌 생성에 대한 청각 에탄올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및 항노화 효과는 통칭하여 항산화 효과의 예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청각추출물의 제조]
< 청각 추출물의 제조 >
(1)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CTE/E"로 약칭)
청각(Codium thalli)은 포항 죽도 시장에서 9월, 10, 11월, 12월에 걸쳐 구입하였으며, 청각의 염분을 물로 제거하고 약 7일간 건조한 후, 10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것을 No.2 여과 종이(filter paper)(Nalgene, New York, NY, USA)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EYEL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였으며,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최종 수율은 0.73%이며 인비트로(in vitro) 실험시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2) 열수 추출물의 제조("CTE/W"로 약칭)
청각(Codium thalli; CTE/W)은 포항 죽도 시장에서 9월, 10, 11월, 12월에 걸쳐 구입하였으며, 청각의 염분을 물로 제거하고 약 7일간 건조한 후, 물을 가하여 3시간 진탕하였다. 이것을 No.2 여과 종이(Nalgene, New York, NY, USA)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EYEL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였으며,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최종 수율은 5.8%이며, 인비트로실험시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
< 시약의 준비 >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eum(MTT)와 LPS(Escherichia coli 026:B6)는 Sigma(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FBS(fetal bovine serum)는 Gibco/BRL(Eggenstein,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그리스(Griess)는 Fluka(Seelze, Germany)에서 구입하였고, 항체(antibody)는 BD Bioscience(San Jose, CA, USA), Cayman(Ann Arbor, Mi, USA)과 Cell Signaling(Danvers, MA, USA), Santa Cruz(Santacruz, CA,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NC paper는 Schleicher & Schuell(Dassel,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인터루킨-1(Interleukin-1 beta(IL-1β)), 인터루킨-6(IL-6)의 엘리사 키트(ELISA Kits)는 Pierce endogen(Rockford, IL, USA)에서 구입하였고, 프로스타글란딘(PGE2)은 R&D Systems(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였다.
< 세포배양 >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KCLRF, Seoul, Korea)는 DMEM에 10% FBS 100 U/㎖ 페니실린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였고,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Sanyo, Japan)에서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후에 세럼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LPS (2 ㎍/㎖)를 처리하였다.
< 결과 측정 방법 >
(1) NO생성량 측정
약물 처리 1시간 후에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수거하여 세포배양 상등액 50 ㎕와 그리스 시약(5%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의 1%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 및 물의 1% α-나프틸아미드(α-naphthylamide)의 혼합) 50 ㎕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Titertek Multiskan Automatic ELISA microplate reader(Model MCC/340, Huntsville, AL)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세포생존율 측정
약물 처리 1시간 후에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용액을 넣고 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생성된 포르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DMSO에 녹여 Titertek Multiskan Automatic ELISA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사이토카인의 측정
약물 처리 1시간 후에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경과 후 배지를 수거하여 사사이토카인(cytokine)을 측정하였다. 수거된 배지는 측정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고, 엘리사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프로스탄글란딘의 측정
약물 처리 1시간 후에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배지를 수거하여 프로스탄글란딘을 측정하였다.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배지를 100㎕씩 첨가하고 1차 항체 용액(primary antibody solution)과 PGE2 복합체(conjugate)를 50㎕씩 각각의 플레이트에 넣은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기질 용액(substrate solution) 200 ㎕를 처리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종결 용액(stop solution) 50 ㎕를 처리하여 Titertek Multiskan Automatic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이뮤노블롯 분석(Immunoblot analysis)
20mM Tris-Cl(pH 7.5), 1% Triton X-100, 137mM 소듐 클로라이드, 10% 글리세롤, 2mM EDTA, 1mM 소듐 오소바나데이트(sodium orthovanadate), 25mM b-글리세로포스페이트(b-glycerophosphate), 2mM 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sodium pyrophosphate), 1 mM 페닐메틸술포닐플루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와 1㎎/㎖ 류펩틴(leupeptin)을 함유하는 버퍼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15,0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잔여물(debris)을 제거하였다. 정량한 단백질 50㎍을 취하여 10% SDS-PAGE에 전기영동시킨 후, NC 멤브레인으로 겔의 단백질을 블롯(blot)시켰다. 블록킹 후 iNOS, COX-2, IκBα, p-IκBα 및 NK-κB 1차 항체와 반응시킨 후 2차 항체인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rabbit IgG를 반응시키고, ECL 검출시약(Amersham Biosciences Corp., Piscataway, NJ, USA)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덴시토메트릭 분석(Densitometric analysis)을 위해 이미지 분석 시스템(image analyzing system (Ultra-Violet Products Ltd.,Upland, CA, USA))을 사용하였다.
(6) 통계적 검증
실험 결과는 평균±S.D로 나타내었으며 t-검증(t-test) 방법으로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조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05 미만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결과 >
(1) 청각 에탄올 추출물(CTE/E)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도 1은 CTE/E가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실험결과로서, RAW 264.7 세포에서 CTE/E의 NO 생성억제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CTE/E 0.003, 0.01, 0.03, 0.1 ㎎/㎖를 세포에 전 처리한 후, 생성되는 NO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 단독처리군의 NO 생성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CTE/E 0.003, 0.01, 0.03, 0.1 ㎎/㎖ 전 처리군이 유의하게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2) 청각 에탄올 추출물(CTE/E)이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CTE/E의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 생성의 억제가 CTE/E의 독성으로 인한 RAW 264.7 세포의 수적 감소에 기인한 것인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MTT 어세이(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CTE/E 0.01, 0.03, 0.1 ㎎/㎖를 세포에 단독처리한 경우 CTE/E 0.1 ㎎/㎖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도 2a 참조). LPS 단독처리군은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CTE/E 0.003, 0.01, 0.03 ㎎/㎖ 처리군에서도 LPS 단독처리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CTE/E 0.1 ㎎/㎖ 처리군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도 2b 참조).
(3) 청각 에탄올 추출물(CTE/E)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CTE/E의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사이토카인의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NF-α, IL-1β, IL-6의 생성량을 엘리사 키트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TNF-α와 IL-1β는 LPS 처리에 의해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CTE/E 0.003, 0.01, 0.03 ㎎/㎖ 전 처리로 인해 분비가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IL-6의 경우 LPS 단독처리에 의해 분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CTE/E 0.003, 0.03 ㎎/㎖ 전 처리에 의해 분비가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4) 청각 에탄올 추출물(CTE/E)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PGE2에 미치는 영향
CTE/E의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PGE2)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키트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PGE2의 경우 LPS 단독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증가는 CTE/E 0.01, 0.03 ㎎/㎖의 전 처리에 의하여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도 4 참조).
[ 실험예 2 : 중금속(카드뮴) 유도된 인체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세포독성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세포보호효과]
< 시약의 준비 >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eum(MTT)와 카드뮴 (CdCl2)은 Sigma(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DMEM/F12),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FBS는 Gibco/BRL(Eggenstein,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세포배양 >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KCLRF, Seoul, Korea)는 DMEM/F12에 10% FBS 100 U/㎖ 페니실린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였고,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Sanyo, Japan)에서 배양하였다.
< 세포생존율 측정 >
HaCaT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후에 세럼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청각 추출물은 0.01, 0.03, 0.1 ㎎/㎖로 처리한 다음 12시간 후에 CdCl2(50uM)를 처리하였다. 12시간 지난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MTT 용액을 넣고 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생성된 포르마잔 결정을 DMSO에 녹여 Titertek Multiskan Automatic ELISA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통계적 검증 >
실험 결과는 평균±S.D로 나타내었으며 t-test 방법으로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조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05 미만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결과 >
카드뮴으로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청각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통해 선별된 청각(CTE/E)을 카드뮴 농도별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어세이(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TE/E에서 Cd 30, 50uM 농도에서는 처리농도별 유의성 있는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 실험예 3 : 피부세포 항노화 효능평가]
<세포배양>
HS68 세포는 10% FBS, 페니실린(10,000 IU/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00 g/ml)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배양기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배지는 2일마다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었다. 실험을 위하여 4 × 104개/ 300μl의 세포를 48-웰 플레이트 및 2 × 106개/ 2 ml의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24시간 뒤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하였다.
<자외선조사>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세포독성 및 산화적 세포사멸에 대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외선 B를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HS68 세포를 80% 밀도가 되도록 배양한 뒤 배지를 걷어내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자외선 조사장치(BLX-E254, Viber Lourmat, Paris, France)를 사용하여 120 mJ/cm2의 자외선 B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다양한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MTT dye reduction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하여 MTT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노란색의 테트라졸리움(tetrazolium)이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리아 효소에 의해 보라색의 포르마잔으로 변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HS68 및 B16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4 × 104개/ 300μl의 세포를 접종한 후 24시간 뒤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 또는 자외선 B를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 후 24시간 배양한 다음 MTT(최종 농도 1 mg/ml) 시약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200 μl DMSO를 가하여 포르마잔을 용해한 다음, 엘리사 리더(ELISA reader(Emax,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 넣고 배양한 대조군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세포생존율(%)을 산출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막전압(mitoc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ΔΨ) 측정>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TMRE(tetramethylrhodamine ethyl ester) 염료를 사용하였다. 세포(6 x 104개/ 500 μl)를 챔버 슬라이드에 넣고 자외선 B를 조사한 후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덜어낸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한 뒤 10nM TMRE를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의 변화를 여기(excitation) 파장 540 nm 및 방출(emission) 파장 590nm에서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y)으로 측정하였다(SpectraMax Gemini XS, Molecular Device).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측정>
세포 내에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H2DCF-D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2DCF-DA는 지용성 물질로 세포 내로 쉽게 투과되며 에스터라아제(esterase)에 의해 아세틸기가 가수분해되어 수용성인 HDCF가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형광을 띠는 DCF을 생성하며, 이 형광감도를 측정함으로써 활성산소 생성량을 측정할 수 있다. 활성산소의 측정을 위하여 HS68 세포에 120mJ 강도의 UVB를 조사한 후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여 3시간 배양한 다음 50μM H2DCF-DA을 처리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20분 뒤 PBS로 세척한 다음, DMSO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켜 형광의 변화를 여기 파장 485nm 및 방출 파장 535nm에서 형광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SpectraMax Gemini XS, Molecular Device).
<RNA 추출 및 RT-PCR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Total RNA의 추출은 인비트로젠(Invitrogen)사의 TRIzol Reagent(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제시된 방법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로부터 cDNA 합성은 M-MLV Reverse Transcriptase(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PCR 조건은 95℃에서 5분간 진행한 후 95℃ 30초, 53 ~ 61℃ 1분, 72℃ 1분을 40 싸이클 수행한 후 72℃ 5분간 더 반응시켰다. 각 PCR 산물들은 에디티움 브로마이드(edithium bromide)를 포함하고 있는 1.5%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서 50V로 전기영동한 후 BIO-RAD사의 이미지 분석 장비(Gel Doc XR System,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Quantity One Software(BIO-RA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각 항산화 효소(표 1) 및 노화관련 단백질(표 2)의 특정 프라이머(primer) 서열은 하기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항노화 효능 실험결과 >
(1) 자외선 B로 인한 세포 손상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 효과
도 6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자외선 B는 세포내 신호전달을 통하여 면역억제, 염증촉진, 유전자 손상을 통한 암유발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이러한 신호전달과정의 시작은 산화적 스트레스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외선 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의 산화적 손상 및 독성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청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고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농도의 청각 열수 추출물(0, 0.1, 0.3, 1mg/ml) 및 에탄올 추출물(0, 10, 30, 100μg/ml)을 HB86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reduction assay로 세포생존 정도를 정량하였다. 청각 열수 추출물들은 1m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보였다(도 6 참조).
도 7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에탄올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내었다. 청각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보였다(도 7 참조).
도 8은 노화세포에서 UV 손상에 대한 청각 열수 분획의 보호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각 열수 추출물들의 농도를 0.1, 0.3, 1mg/ml로 고정한 다음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세포독성에 미치는 청각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경우 세포생존율이 55%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1mg/ml의 청각 열수 추출물(CTE/W)을 처리한 그룹에서 세포생존율이 각각 81.82%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이는 청각 열수 추출물이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세포독성 및 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자외선 B로 인해 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아폽토시스(apoptosis)를 통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다양한 생화학적 지표로 측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아폽토시스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손상을 받아 막전압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MP)이 감소하며, 이후 아폽토시스를 매개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이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cytosol)로 유출되는 과정을 촉진하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사이토크롬(cyrochrome) c인데, 이는 다양한 하위 캐스페이즈(caspase)를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아폽토시스를 매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후 실험에서는 세포사멸의 지표 중의 하나로 자외선 B로 인하여 손상된 세포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을 TMRE 형광염색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9는 노화세포에 청각 열수추출물의 처리 후 미토콘드리아 막전압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열수 추출물의 경우, 자외선 B를 조사한 경우 MMP가 30% 정도 감소한 것에 반하여, 청각(CTE/W) 열수 추출물을 1 mg/ml로 처리한 그룹에서는 MMP가 94.43%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참조).
(2) 자외선 B로 인한 세포내 활성 산소 축적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 효과
자외선 B로 인한 세포내 활성산소 축적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외선이 피부에 조사되는 경우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활성산소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세포내 내인성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은 감소하게 된다. 일차적으로 초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이 만들어지고 이는 SOD(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형성하게 된다. 과산화수소는 이후 철 및 구리와 같은 전이금속과 반응하여 펜톤 반응(Fenton reaction)을 통해 더욱더 반응성이 강한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실험에서는, 자외선 B로 유도된 세포독성 및 사멸에 실질적으로 이러한 활성산소종이 관여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세포내 축적된 활성산소종의 양을 DCA-DA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CF-DA는 세포 밖에서는 형광을 띄고 있지 않지만, 굉장히 지용성이 높아 세포 내로 쉽게 들어가며, 이후 에스터라아제 또는 산화적 가수분해를 받아 DCFH를 형성하여 세포 내에 머무르게 된다. DCFH는 세포내 생성된 과산화물류와 반응하여 형광이 강한 물질인 DCF를 형성하며, 이는 형광측정기(fluorometer)로 쉽게 관찰이 가능하다.
도 10은 노화세포에 청각 열수 추출물 처리 후, 세포 내 활성산소 축적 측정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자외선 B를 3시간 HS68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내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형광강도가 진해진 것, 즉, 세포 내 활성산소종이 축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청각(CTE/W) 열수 추출물(0.3, 1 mg/ml)을 처리함으로써 현저히 감소하였다(도 10 참조).
(3) 청각 추출물의 항산화 보호 기전
청각 추출물의 항산화 보호기전을 알아보았다. 우리 몸에는 활성산소로 인한 손상에 대응하는 항산화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대응하며 손상된 세포를 회복하여 항상성(homeostasis)을 끊임없이 유지하려고 한다. 이러한 항산화 방어 시스템은 항산화 효소에 의한 방어기전과 비효소성 항산화 방어기전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특히, 효소에 의한 방어기전은 카탈라아제(catalase)와 SOD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카탈라아제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SOD는 초과산화물 음이온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한다. 체내에 존재하는 SOD는 세포질에 있는 CuZnSOD,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nSOD, 그 외 SOD의 3종류로 나뉜다. 이러한 항산화 효소들 이외에 최근 피부세포 보호과정에 있어 heme oxygenase-1(HO-1)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HO-1은 헴 대사(heme catabolism)의 속도결정단계에 작용하는 효소로, 반응산물로 일산화탄소(CO), 빌리버딘(biliverdin), 자유이온(free ion, Fe2 +)을 생성하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서 자외선, 과산화수소, 사이토카인(cytoki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고갈 등에 의해 일종의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작용기전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응산물 중 CO는 염증관련 인자들을 억제하며, 헴(heme) 또는 다른 금속 이온을 갖는 효소들과 반응하여 구조를 변형시켜 활성의 변화를 일으키며, 능동적 세포사멸을 억제한다. 빌리버딘은 빌리버딘 환원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빌리루빈(bilirubin)으로 전환되며, 이는 모두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가짐으로써 대부분의 HO-1의 보호작용을 매개한다.
도 11은 노화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효소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후 실험에서는 청각 추출물이 산화적 세포 손상 및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갖는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체 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들의 mRNA 발현을 RT-PCR로 측정하였다. 청각(CTE/W) 열수 추출물(1 mg/ml)을 단독으로 24시간 처리하고 mRNA를 분리하여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CuZnSOD의 경우 높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보였다(도 11).
[ 실험예 4 : 피부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평가]
<세포배양>
B16 세포는 10% FBS, 페니실린(10,000 IU/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00 g/ml)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배양기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배지는 2일마다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었다. 실험을 위하여 4 × 104개/ 300μl의 세포를 48-웰 플레이트 및 2 × 106개/ 2ml의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24시간 뒤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하였다.
<α-MSH 처리 및 자외선 조사>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처리 및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멜라닌 생성 대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의 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α-MSH를 50nM의 농도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과 함께 24시간 처리한 뒤 자외선 B를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뒤 배지를 걷어내고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1회 세척한 다음, 자외선 조사장치(BLX-E254, Viber Lourmat, Paris, France)를 사용하여 30 mJ/cm2의 자외선 B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하여 18시간 더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MTT dye reduction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하여 MTT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노란색의 테트라졸리움이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리아 효소에 의해 보라색의 포르마잔으로 변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HS68 및 B16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4 × 104개/ 300μl의 세포를 접종한 후 24시간 뒤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 또는 자외선 B를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 후 24시간 배양한 다음 MTT(최종 농도 1 mg/ml) 시약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200 μl DMSO를 가하여 포르마잔을 용해한 다음, 엘리사 리더(Emax,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 넣고 배양한 대조군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세포생존율(%)을 산출하였다.
<멜라닌 생성 측정>
B16 흑색종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1 x 105cells/well이 되도록 6-웰 플레이트에 깐 다음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α-MSH를 50nM의 농도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과 함께 가하여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걷어내고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1회 세척한 다음 자외선 조사장치(BLX-E254, Viber Lourmat, Paris, France)를 사용하여 30mJ/cm2의 자외선 B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을 처리하여 18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생성된 멜라닌 및 세포 내에 생성된 멜라닌을 405nm에서 흡광도를 엘리사 리더(Emax,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내 생성된 멜라닌 측정을 위하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DMSO가 함유된 1N NaOH 용액을 가하여 50℃ 항온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멜라닌을 용해시켰으며, 멜라닌 표준 정량곡선을 이용하여 멜라닌 양을 구한 다음 총 단백질로 보정하였다.
<RNA 추출 및 RT-PCR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전체 RNA의 추출은 인비트로젠(Invitrogen)사의 TRIzol Reagent(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제시된 방법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로부터 cDNA 합성은 M-MLV Reverse Transcriptase(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PCR 조건은 95℃에서 5분간 진행한 후, 95℃에서 30초, 53 ~ 61℃에서 1분, 72℃에서 1분을 40 사이클 수행 후, 72℃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각 PCR 산물들은 에디티움 브로마이드(edithium bromide)를 포함하고 있는 1.5% 아가로스 겔에서 50V로 전기영동한 후, BIO-RAD사의 이미지 분석(Gel Doc XR System, Hercules, CA, USA) 장비를 사용하여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Quantity One Software(BIO-RA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각 미백 관련 효소의 특정 프라이머(primer) 서열은 하기의 표 3과 같았다.
Figure pat00003
<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 실험결과 >
(1) 청각 추출물의 자체 독성 평가
피부의 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색소의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이 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멜라닌의 과다생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자외선,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적인 자극요인, 호르몬, 염증유발인자 등의 내부적인 자극요인이 주어지는 경우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생성되며, 정상적인 피부로부터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색소 침착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청각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mouse melanocytes, B16 세포주)에 자외선 B 및 α-MSH를 가하여 색소 과다생성을 유발하였다.
도 12는 미백세포에서 청각 열수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미백세포에서 청각 에탄올 추출물 자체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자외선 B로 유도된 B16 세포의 독성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청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고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농도의 청각 열수 추출물(0, 0.1, 0.3, 1 mg/ml) 및 에탄올 추출물(0, 10, 30, 100 μg/ml)을 B16 세포주에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reduction assay로 세포생존 정도를 정량하였다. 청각 열수 추출물은 1m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보였다(도 12 참조). 청각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또한 100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보였다(도 13 참조).
(2) 자외선 B로 인한 세포 손상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보호 효과
도 14는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에 대한 청각 열수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에 대한 청각 에탄올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청각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0.3, 1 mg/ml로 고정한 다음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세포독성에 미치는 청각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경우 세포생존율이 63.0%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1 mg/ml의 청각 열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그룹에서 세포생존율이 다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참조). 이는 청각열수 추출물이 멜라노사이트에서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세포독성 및 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실험에서는 에탄올 추출물들의 자체 독성을 바탕으로 각각 추출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두 가지 농도를 선별하여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세포독성에 미치는 청각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경우 세포생존율이 63.4%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청각 에탄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그룹에서 세포생존율이 다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 참조). 이는 청각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노사이트에서 자외선 B 조사로 인한 세포독성 및 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멜라닌 생성에 대한 청각 추출물의 억제 효과
도 16은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과 멜라닌 생성에 대한 청각 열수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7은 미백세포에서 UVB 손상과 멜라닌 생성에 대한 청각 에탄올 추출물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청각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α-MSH를 24시간 처리한 다음 자외선 B를 30 mJ로 조사한 경우 배지 내 멜라닌 함량이 288.2%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청각 열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그룹에서 다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6 참조 : 세포 내에 생성된 멜라닌 함량). 또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α-MSH를 24시간 처리한 다음 자외선 B를 30 mJ로 조사한 경우 배지 내 멜라닌 함량이 415.5%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청각(CTE/E, 30 μg/ml)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생성이 각각 144.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7 참조: 세포 내에 생성된 멜라닌 함량). 한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공통적인 효능을 보이는 소재는 없었으며, 열수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비교적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 각질 생성방지 효과,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노화방지, 미백 또는 각질 제거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청각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각질 생성방지, 항노화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 방지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39163A 2010-12-30 2010-12-30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63A KR20120077267A (ko) 2010-12-30 2010-12-30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63A KR20120077267A (ko) 2010-12-30 2010-12-30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67A true KR20120077267A (ko) 2012-07-10

Family

ID=4671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163A KR20120077267A (ko) 2010-12-30 2010-12-30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72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49B1 (ko) * 2013-01-16 2013-04-08 주식회사 더마랩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103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씨에스텍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16743A (ko) * 2020-08-03 2022-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주름개선 및 안티폴류션용 기능성 조성물
US11304984B2 (en) 2017-02-14 2022-04-19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dium fragile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otecting or treating articular cartil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49B1 (ko) * 2013-01-16 2013-04-08 주식회사 더마랩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103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씨에스텍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US11304984B2 (en) 2017-02-14 2022-04-19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dium fragile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otecting or treating articular cartilage
KR20220016743A (ko) * 2020-08-03 2022-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주름개선 및 안티폴류션용 기능성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212B2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chia seed extract
KR100824595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741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zadirachta indica leaf extract
KR20090007079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8813B1 (ko)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77267A (ko) 청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945855A (zh) 含有白甘菊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Jiang et al. Natural products of cosmetics: analysis of extracts of plants endemic to Taiwan for the presence of tyrosinase-inhibitory, melanin-reducing,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6426B1 (ko) 개불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7704A (ko) 4&#39;-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28810B1 (ko) 참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2471312B1 (ko) 님트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보호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4213B1 (ko) 이데베논 및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6085B1 (ko) 들깨박 유래 비검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6988B1 (ko)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40117794A (ko) 목형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3824B1 (ko) 트리텔레이아 익시오이디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9259A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