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698B1 -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698B1
KR101936698B1 KR1020170097063A KR20170097063A KR101936698B1 KR 101936698 B1 KR101936698 B1 KR 101936698B1 KR 1020170097063 A KR1020170097063 A KR 1020170097063A KR 20170097063 A KR20170097063 A KR 20170097063A KR 101936698 B1 KR101936698 B1 KR 10193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afety
motor
safety do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주식회사 동건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주식회사 동건티앤엘 filed Critical (주)코아글로벌아이티
Priority to KR102017009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문의 개폐를 위하여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지지대(110)와; 안전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하되 운반구 감지 시 안전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120)는, 운반구를 감지하는 제1 센서(121)와; 상기 제1 센서(121)에서의 운반구 감지 여부에 따라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잠금키(122)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잠금키(122)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운반구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반구의 도착여부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안전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문 개폐와 관련된 부품의 변형, 이탈, 고장 및 파손이 억제되어 건설용 리프트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건설 현장 작업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safety door of electronic type for construction lift}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용 리프트에서 건물 내부 사이의 출입을 위해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는 안전문의 개폐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는 공사 현장에서 건물이 상부로 증축되어 감에 따라 확장 설치되는데, 크게 건물의 층별로 상하 운송하는 운반구와, 건물 각 층에 설치되는 안전문을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자 및 공사 현장에서 소모되는 자재들은 이러한 운반구와 안전문을 통해 건물로 출입하게 되며, 무분별한 안전문의 개폐동작으로 인해 작업자나 자재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에는 통상 안전문의 개폐동작을 단속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개폐장치는 운반구 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키드판(작동판)과, 상기 스키드판에 의해 안전문의 개폐동작을 단속하도록 건물 각 층의 안전문 쪽에 설치되는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를 구비한다.
종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드판(미도시)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도록 문틀(2)에 설치되는 회전바(3)와, 상기 회전바(3)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 무게추(4)와, 상기 무게추(4)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안전문(1)의 개방동작을 차단하고 무게추(4)의 누름 동작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ㄱ자 모양의 단속앵글(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는 운반구가 건물의 한 층으로 이동할 경우, 스키드판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바(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게추(4)가 회전바(3)와 함께 회전하면서 단속앵글(5)에 대한 무게추(4)의 누름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안전문(1)의 개방동작을 허용하게 되고, 이후 운반구가 타층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게추(4)의 무게에 의해 회전바(3)가 원래 상태로 회전하여 단속앵글(5)이 다시 무게추(4)에 의해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안전문(1)의 개방동작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는 운반구의 상승 및 하강 동작시 운반구의 스키드판이 운반구가 경유하는 각 층의 안전문에 설치된 모든 회전바와 접촉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키드판과 회전바 사이의 충돌 동작에 따른 잦은 접촉으로 인해 스키드판이나 회전바가 쉽게 변형되거나 이탈하여 고장이 발생하고, 부품 간의 간격이 변동되고 변형되어 심지어는 기계식 안전문이 상승 및 하강하는 운반구에 기계적으로 교착되어 안전문이 이탈하는 사고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의 경우, 스키드판과 회전바가 운반구의 승강 과정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각각 운반구와 안전문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축 중인 건물의 특성에 따른 운반구와 안전문 사이의 거리를 회전바 길이로 조정해주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리프트의 출입구에 설치된 문틀의 전방 상부에 고정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을 타고 양쪽으로 주행되는 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레일과 나란하게 이동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을 타고 양쪽으로 주행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리프트의 출입문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리프트의 상부로 승강되는 안전문의 일측에 형성한 돌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앵글과 회전누름판을 형성한 회동구를 케이지의 외부에 고정판에 고정시켜 상기 회전누름판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티바에 의해 층별안전문틀에 층별안전문을 간섭하는 잠금앵글을 해제하는 잠금구를 층별안전문틀의 일측에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잠금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도어 둘레에 설치되어서 도어가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고, 리프트의 출입문과 연동되어서 구동모터의 구동시 도어를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해제수단;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고, 도어 잠금해제수단에 연결되며, 도어 잠금해제수단이 작동되면 도어가 해제된 후 연동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 도어 개폐수단에 설치되어서 오픈된 도어가 닫히도록 도어 개폐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도어 복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및 산업용 리프트 안전문 자동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국내공개특허 10-2012-0071567 국내등록특허 10-0944985 국내공개특허 10-2009-011171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를 이용하여 운반구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반구의 도착여부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안전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센서에 의해 안전문의 개방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은, 운반구와 안전문을 구비한 건설용 리프트에 사용되는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으로서, 안전문의 개폐를 위하여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지지대와; 안전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를 단속하되 운반구 감지 시 안전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의 단속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운반구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잠금 지지대의 단속 해제에 따른 안전문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에서의 운반구 감지 여부에 따라 구동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센서에서의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 감지 시 운반구 작동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잠금 지지대를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잠금키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잠금키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제1,2 센서의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안전문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의 변화 감지 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접촉식 리미트 센서 또는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센서에서의 운반구 감지에 따른 모터 구동 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임계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모터 구동을 중지시키고 기준점으로 인식하여 제어하기 위한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운반구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반구의 도착여부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안전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문 개폐와 관련된 부품의 변형, 이탈, 고장 및 파손이 억제되어 건설용 리프트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현장 작업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안전문의 개폐 안전성을 크게 확보하면서도 안전문과 운반구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가용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 지지대의 단속과 단속 해제 허용을 위해 엔코더 등의 센서 부품을 별도로 적용하지 않고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품 구현 시 공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기계식 안전문 단속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부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은 센서를 이용하여 운반구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반구의 도착여부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안전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센서에 의해 안전문의 개방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은 운반구와 안전문을 구비한 건설용 리프트에 사용되는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으로서, 크게 잠금 지지대(110)와 제어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 지지대(110)는 안전문(1)의 개폐를 위하여 문틀(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120)에 의해 단속 즉, 눌러진 상태에서는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장치(120)의 누름 동작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가능하여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20)는 평상 시에는 안전문(1)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하고 운반구(미도시) 감지 시에는 안전문(1)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해제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장치(120)는 제1 센서(121), 제어부(미도시), 모터(미도시), 잠금키(122), 와이어 로프(123) 및 제2 센서(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센서(121)는 운반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기계식이 아닌 비접촉식으로 접근하는 운반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센서(121)는 건설 환경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121)에서의 운반구 감지 여부에 따라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1 센서(121)에서 운반구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해제하도록 소정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잠금키(122)는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 로프(123)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잠금키(122)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센서(121)가 운반구를 감지하여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정회전하게 되면 감겨짐에 따라 상기 잠금키(122)를 끌어당겨 정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해제하여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고, 이후 상기 제1 센서(121)가 운반구를 미감지하여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게 되면 풀어짐에 따라 상기 잠금키(122)를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역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통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와이어 로프(123)가 풀어지는 경우 잠금키(122)는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역회전 운동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124)는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 해제에 따른 안전문(1)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를 감지한다. 즉,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이 해제되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함에 따라 안전문(1)이 개방되어 잠금 지지대(110)가 회전하게 되면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센서(124)는 접촉식 리미트 센서 또는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124)에서의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 감지 시 운반구 작동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안전문(1)이 개방되어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가 감지되게 되면 안전을 위해 운반구 작동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20)는 안전문(1)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 감지 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문(1)이 개방되어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가 감지되게 되면 주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부저음 등의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20)는 상기 제1,2 센서(121,124)의 감지 거리 등의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황에 맞게 감지 거리를 보통(예를 들면 500mm 이내)으로 설정하거나 확장(예를 들면 1,000mm 이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20)는 상기 제1 센서(121)에서의 운반구 감지에 따른 모터 구동 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임계전류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시점에 모터 구동을 중지시키고 기준점으로 인식하여 제어하기 위한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전압의 유동성이나 모터 부하 변동 등으로 인한 모터 회전수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은 제1 센서(121)가 운반구를 감지 시 잠금 지지대(110)에 대한 잠금키(122)의 단속이 해제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반구 감지 시 즉시 잠금키(122)의 단속이 해제되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도록 제어하거나 운반구 감지 시 일정 시간(예를 들면 3초, 6초, 9초) 경과 후 잠금키(122)의 단속이 해제되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면, 운반구가 건물의 한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센서(121)가 운반구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와이어 로프(123)가 감기면서 잠금키(122)가 끌어당겨짐에 따라 잠금 지지대(110)에 대한 잠금키(122)의 단속이 해제되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이 해제되어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허용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안전문(1)이 개방되어 잠금 지지대(110)가 회전하게 되면 제2 센서(124)가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여 운반구 작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운반구가 타층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센서(121)가 운반구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와이어 로프(123)가 풀리면서 잠금키(122)가 원래 상태로 회전하여 잠금 지지대(110)가 다시 잠금키(122)에 의해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문(1)의 개방 동작을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운반구의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반구의 도착여부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안전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문 개폐와 관련된 부품의 변형, 이탈, 고장 및 파손이 억제되어 건설용 리프트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현장 작업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안전문의 개폐 안전성을 크게 확보하면서도 건물 형태에 따른 안전문과 운반구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가용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 지지대의 단속과 단속 해제 허용을 위해 엔코더 등의 센서 부품을 별도로 적용하지 않고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품 구현 시 공간 절감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잠금 지지대 120 : 제어장치
121 : 제1 센서 122 : 잠금키
123 : 와이어 로프 124 : 제2 센서

Claims (5)

  1. 운반구와 안전문을 구비한 건설용 리프트에 사용되는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으로서,
    안전문의 개폐를 위하여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지지대(110)와;
    안전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하되 운반구 감지 시 안전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120)는,
    운반구를 감지하는 제1 센서(121)와;
    상기 잠금 지지대(110)의 단속 해제에 따른 안전문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124)와;
    상기 제1 센서(121)에서의 운반구 감지 여부에 따라 구동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센서(124)에서의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 감지 시 운반구 작동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잠금 지지대(110)를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잠금키(122)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잠금키(122)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123)와;
    상기 제1,2 센서(121,124)의 작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20)는 안전문의 개방을 통한 잠금 지지대(110)의 변화 감지 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121)는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124)는 접촉식 리미트 센서 또는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20)는 상기 제1 센서(121)에서의 운반구 감지에 따른 모터 구동 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임계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모터 구동을 중지시키고 기준점으로 인식하여 제어하기 위한 모터 임계전류 감지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KR1020170097063A 2017-07-31 2017-07-31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KR10193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63A KR101936698B1 (ko) 2017-07-31 2017-07-31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63A KR101936698B1 (ko) 2017-07-31 2017-07-31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698B1 true KR101936698B1 (ko) 2019-01-11

Family

ID=6502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63A KR101936698B1 (ko) 2017-07-31 2017-07-31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82B1 (ko) * 2020-09-04 2021-04-13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20220041618A (ko) * 2020-09-25 2022-04-01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20220057334A (ko) * 2020-10-29 2022-05-09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91B1 (ko) * 2007-04-13 2008-06-13 김봉교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자동개폐장치
JP2010037732A (ja) * 2008-07-31 2010-02-18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15044644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ドアの点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91B1 (ko) * 2007-04-13 2008-06-13 김봉교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자동개폐장치
JP2010037732A (ja) * 2008-07-31 2010-02-18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15044644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ドアの点検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82B1 (ko) * 2020-09-04 2021-04-13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20220041618A (ko) * 2020-09-25 2022-04-01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102396844B1 (ko) * 2020-09-25 2022-05-12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20220057334A (ko) * 2020-10-29 2022-05-09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KR102396845B1 (ko) * 2020-10-29 2022-05-12 서일수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자동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698B1 (ko) 건설용 리프트 전자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886705B1 (ko) 건설용 리프트 비접촉식 안전문 단속 시스템
JP5992673B2 (ja) 可動ステップ付き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TWI666156B (zh) 物品搬送設備
JP5321731B2 (ja) 安全位置センサ付きエレベータ
JP2004534707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の底部および/または頂部に実質的な保護区域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これ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12135787B (zh) 安全切换系统以及用于在正常运行模式与检查运行模式之间切换电梯设备的方法
JP4586756B2 (ja) コンベヤ設備
JPWO2013046364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16917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651462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46773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AU2014339263A1 (en) Safety system for a lift, lif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KR101931197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도어 제어시스템
KR10130093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5436680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35483A1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51382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35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어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 시스템
JP2000073679A (ja) 開閉体の制御装置
JP7449494B2 (ja) エレベータ
KR200489489Y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센터오픈타입 엘리베이터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