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37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37B1
KR101935137B1 KR1020170032584A KR20170032584A KR101935137B1 KR 101935137 B1 KR101935137 B1 KR 101935137B1 KR 1020170032584 A KR1020170032584 A KR 1020170032584A KR 20170032584 A KR20170032584 A KR 20170032584A KR 101935137 B1 KR101935137 B1 KR 10193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edge
plate portion
side plate
rai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472A (ko
Inventor
밍 야오 린
시 진 타오
보 한 황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3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8Arrangements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부착·분리가 간단한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횡판부(120)와, 횡판부(120)의 일측에 있는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로부터, 상기 판 형상의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판부(110)와, 횡판부(120)의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있는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로부터,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2 측판부(130)와, 제 1 측판부(110)로부터 제 2 측판부(130)측으로 돌기되는 제 1 협지부(150)와, 제 2 측판부(130)로부터 제 1 측판부(110)측으로 돌기되는 제 2 협지부(160)를 갖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본체(100)와, 제 1 협지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에 접촉할 수 있는 제 1 제어 레버(200)와, 제 2 협지부(16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에 접촉할 수 있는 제 2 제어 레버(3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정구{FASTENER}
본 발명은 고정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슬라이드 장치에 사용되는 레일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가이드 등의 장치에 사용되는 미끄럼운동 레일에 박판 형상의 레일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도 1이 도시하는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해당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고정구가 레일 커버를 미끄럼운동 레일에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운동 레일(2)은, 소정의 연신 방향(L0)을 따라서 연신하는 동시에, 해당 미끄럼운동 레일(2)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 구멍(3)에 관통되는 레일 작업면(2a)을 갖고, 해당 미끄럼운동 방향(L0)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2개의 레일 홈(16)이 해당 미끄럼운동 방향(L0)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운동 레일(2)의 레일 작업면(2a)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해당 레일 작업면(2a)의 볼트 구멍(3)에 먼지 등의 물질이 그곳에서 퇴적되지 않도록, 볼트 구멍(3)도 덮도록 레일 작업면(2a)에 레일 커버(7)가 부착되어 있다.
해당 종래의 고정구(11)는, 미끄럼운동 레일(2)의 연신 방향(L0)에 있어서의 일단의 선단면(2b)과 나사 고정되는 동시에, 레일 커버(7)에 있는 2개의 단부(7a)에 있어서의 1개를 해당 선단면(2b)에 가압해서 고정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일단측으로부터 레일 작업면(2a)을 따라서 돌기되는 동시에, 레일 커버(7)를 레일 작업면(2a)의 해당 일단의 단부 가장자리에 보지하는 커버 보호부(35)와, 본체부(12)의 다른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돌기되는 동시에, 2개의 레일 홈(16) 내의 벽면에 나사 고정되는 2개의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2개의 해당 종래의 고정구(11)에 의해, 레일 커버(7)의 각 단부(7a)를 미끄럼운동 레일(2)의 연신 방향(L0)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고, 해당 레일 커버(7)가 레일 작업면(2a)으로부터 떨어져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282677 호 공보
그러나, 해당 종래의 고정구(11)를 미끄럼운동 레일(2)에 장착하거나, 또는 미끄럼운동 레일(2)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본체부(12)와 각 다리부(13)에 있는 나사를 조작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불편하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착과 분리가 간단한 고정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고정구는, 소정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는 레일 작업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레일 작업면의 상기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2개의 레일 홈이 각각 해당 연신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오목하게 마련된 미끄럼운동 레일의 상기 레일 작업면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 커버를 상기 레일 작업면에 가압하는 고정구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판 형상의 일면측에 가압 수단을 갖는 횡판부와, 상기 횡판부의 일측에 있는 제 1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횡판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판부와, 상기 횡판부의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한 제 2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횡판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2 측판부와, 상기 제 1 측판부가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측판부측으로 돌기되는 제 1 협지부(挾持部)와, 상기 제 2 측판부가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측판부측으로 돌기되는 제 2 협지부를 갖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 1 협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 1 피봇부와,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연신하고, 또한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상기 횡판부보다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 1 연신부와, 상기 제 1 연신부의 선단에 있는 제 1 조작부를 갖는 제 1 제어 레버와, 상기 제 2 협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 2 피봇부와,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연신하고, 또한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상기 횡판부보다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 2 연신부와, 상기 제 2 연신부의 선단에 있는 제 2 조작부를 갖는 제 2 제어 레버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횡판부가 갖는 상기 가압 수단이 상기 레일 커버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1 협지부와 상기 제 2 협지부가 상기 2개의 레일 홈에 각각 끼워넣어지도록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되면, 상기 레일 커버를 상기 레일 작업면에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될 때, 상기 제 1 제어 레버와 상기 제 2 제어 레버 각각의 상기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2 조작부를 상기 횡판부의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면하지 않는 측에서 서로 접근시키면, 상기 제 1 제어 레버의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의 접촉, 및 상기 제 2 제어 레버의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협지부와 상기 제 2 협지부를 상기 레일 홈으로부터 떼어놓아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정구는, 가요성을 가지는 1장의 판재에 의해, 레일 커버를 미끄럼운동 레일의 레일 작업면에 가압할 수 있는 상기 횡판부, 및 2개의 레일 홈에 각각 끼워넣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협지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해당 본체의 가요성에 의한 만곡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조작부 및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 1 조작부 및 제 2 조작부를 이용하여 본체의 미끄럼운동 레일에 대한 부착·분리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구가 레일 커버를 미끄럼운동 레일에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가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되어 레일 커버를 고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와 레일 커버 및 미끄럼운동 레일이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시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횡판부의 변화예와 레일 커버 및 미끄럼운동 레일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횡판부의 변화예가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시점의 사시도.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고정구를 예시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되어 레일 커버를 고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레일 커버 및 미끄럼운동 레일이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시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구는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 커버(500)를 레일 작업면(410)에 가압해서 고정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가 장착되는 미끄럼운동 레일(400)은, 예를 들어 소정의 연신 방향(L)을 따라서 연신하는 레일 작업면(410)을 갖는 동시에, 레일 작업면(410)의 연신 방향(L)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2개의 레일 홈(420)이 각각 해당 연신 방향(L)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해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고정되는 레일 커버(500)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에 의해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부착되는 동시에, 레일 작업면(410)의 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개소에 커버 슬롯(520)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는, 가요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100)와, 해당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제어 레버(200)(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및 제 2 제어 레버(300)(도 4에 있어서의 좌측)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벽면(1207)(도 4에 있어서의 하측에 있는 면) 및 해당 제 1 벽면(1207)의 반대측에 있는 제 2 벽면(1208)(도 4에 있어서의 상측에 있는 면)을 구비하고 있는 횡판부(120)와, 횡판부(120)로부터 해당 횡판부(120)의 일면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벽면(1207)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30)와,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30)로부터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기되는 제 1 협지부(150) 및 제 2 협지부(160)와, 횡판부(120)로부터 연신하는 2개의 블록벽(170)을 갖고 있다.
도 4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판부(120)는, 일측(도 4에 있어서의 우측)에 있는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와, 상기 일측의 반대측(도 4에 있어서의 좌측)에 있어서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와 평행하게 되는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 및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와 직교하는 제 3 단부 가장자리(1203)(도 6에 있어서의 우하측)를 갖는 동시에, 그 판 형상의 일면측, 즉 제 1 벽면(1207)측에 가압 수단(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판부(120)는, 평판체가 아니며, 제 1 평판 영역(1241)(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및 제 2 평판 영역(1242)(도 4에 있어서의 좌측)과,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도 4에 있어서의 우측) 및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도 4에 있어서의 좌측)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평판 영역(1241)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에 인접하여 있으며, 한편 제 2 평판 영역(1242)은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에 인접하고, 또한 제 1 평판 영역(1241)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은, 제 1 평판 영역(1241)으로부터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측 및 제 1 벽면(1207)측으로 편향되도록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으며, 한편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은 제 2 평판 영역(1242)으로부터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측 및 제 1 벽면(1207)측으로 편향되도록 비스듬하게 연신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123)은,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에 의해 구성되며, 해당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개소를 레일 커버(500)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레일 커버(500)를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이 연신하는 방향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이 연신하는 방향이란, 90° 이상 180° 미만의 둔각(θ1)을 이루고 있다.
제 1 측판부(110)에는, 횡판부(120)의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로부터, 횡판부(120)와 직교하도록 제 1 벽면(1207)측으로 연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 1 측판부(110)가 연신하는 방향을 따른 2개의 제 1 끼워맞춤 홈(114)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판부(130)에는, 횡판부(120)의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로부터, 횡판부(120)와 직교하도록 제 1 벽면(1207)측으로 연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 2 측판부(120)가 연신하는 방향을 따른 2개의 제 2 끼워맞춤 홈(134)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각 끼워맞춤 홈(114, 134)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 적어도 1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협지부(150)는, 제 1 측판부(110)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제 2 측판부(130)측으로 돌기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협지부(150)는, 제 1 측판부(110)로부터 제 2 측판부(130)측으로 만곡되어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홈(420)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1 끼워맞춤 영역(157)과, 제 1 끼워맞춤 영역(117)의 제 2 측판부(130)측에 면하는 선단으로부터 이분(二分)되어 제 1 측판부(110)측으로 되접히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2개의 제 1 피봇 영역(156)(도 5)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협지부(160)는, 제 2 측판부(130)가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제 1 측판부(110)측으로 돌기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협지부(160)는, 제 2 측판부(130)로부터 제 1 측판부(110)측으로 만곡되어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홈(420)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2 끼워맞춤 영역(167)과, 제 2 끼워맞춤 영역(167)의 제 1 측판부(110)측에 면하는 선단으로부터 이분되어 제 2 측판부(130)측으로 되접히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2개의 제 2 피봇 영역(166)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협지부(150)의 제 1 끼워맞춤 영역(157) 및 제 2 협지부(160)의 제 2 끼워맞춤 영역(167)은 각각 90° 내지 180°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중심각(θ2)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블록벽(170)은, 제 3 단부 가장자리(1203)로부터 횡판부(120)와 직교하도록 제 1 벽면(1207)측으로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벽(170)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1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제어 레버(200)는, 강성이 본체(100)보다 높은 금속 등의 재료로 작성되어 있으며, 제 1 측판부(110)에 있어서의 제 1 협지부(150)에 있는 원통 형상의 각 제 1 피봇 영역(156) 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피봇되는 2개의 제 1 피봇부(210)와, 각 제 1 피봇부(210)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2개의 제 1 연신부(230)와, 각 제 1 연신부(230)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 1 조작부(220)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제어 레버(200)는, 각 제 1 연신부(230)가 서로 접근하도록 제 1 조작부(220)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각 제 1 피봇부(210)를 각 제 1 피봇 영역(156)으로부터 빠지게 하여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제 1 연신부(230)는, 제 1 피봇부(210)의 회동에 따라서 제 1 측판부(110)에 있는 제 1 끼워맞춤 홈(114)에 끼워넣어지고 나서, 제 1 끼워맞춤 홈(114)에 있어서의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측의 내주연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끼워맞춤 홈(114)은 횡판부(120)에 있는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까지 연신하므로, 실제적으로는 각 제 1 연신부(230)는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에 접촉한다. 또한, 각 제 1 연신부(230)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혹은 제 1 끼워맞춤 홈(114)에 있어서의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측의 내주연)에 접촉할 때, 제 1 피봇부(210)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횡판부(120)보다 제 1 피봇부(21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제 1 연신부(230)는 제 1 측판부(1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각 제 1 연신부(230)는 각 제 1 끼워맞춤 홈(114)이 연신하는 상태 등에 의해 제 1 측판부(110)에 접촉하도록 적절히 설계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제어 레버(300)도, 강성이 본체(100)보다 높은 금속 등의 재료로 작성되어 있으며, 제 2 측판부(130)에 있어서의 제 2 협지부(160)에 있는 원통 형상의 각 제 2 피봇 영역(166) 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피봇되는 2개의 제 2 피봇부(310)와, 각 제 2 피봇부(310)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2개의 제 2 연신부(330)와, 각 제 2 연신부(330)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 2 조작부(320)를 갖고 있다. 또한, 제 2 제어 레버(300)는, 각 제 2 연신부(330)가 서로 접근하도록 제 2 조작부(320)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각 제 2 피봇부(310)를 각 제 2 피봇 영역(166)으로부터 빠지게 하여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제 2 연신부(330)는, 제 2 피봇부(310)의 회동에 따라서 제 2 측판부(130)에 있는 제 2 끼워맞춤 홈(134)에 끼워넣어지고 나서, 제 2 끼워맞춤 홈(134)에 있어서의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측의 내주연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끼워맞춤 홈(134)은 횡판부(120)에 있는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까지 연신하므로, 실제적으로는 각 제 2 연신부(230)는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에 접촉한다. 또한, 각 제 2 연신부(330)가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혹은 제 2 끼워맞춤 홈(134)에 있어서의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측의 내주연)에 접촉할 때, 제 2 피봇부(310)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횡판부(120)보다 제 2 피봇부(31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제 2 연신부(330)는 제 2 측판부(13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각 제 2 연신부(330)는 각 제 2 끼워맞춤 홈(134)이 연신하는 상태 등에 의해 제 2 측판부(130)에 접촉하도록 적절히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정구를 미끄럼운동 레일(400)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제 1 제어 레버(200)와 제 2 제어 레버(300)의 각각의 제 1 조작부(220)와 제 2 조작부(320)를 본체(100)의 횡판부(120)에 있어서 제 2 벽면(1208)측에서 서로 접근시키도록 힘을 가하면, 각 제 1 연신부(230)는 각 제 1 끼워맞춤 홈(114)을 경유하여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와 접촉하여 해당 접촉 개소를 지점으로 하고, 또한 제 2 연신부(330)는 각 제 2 끼워맞춤 홈(134)을 경유하여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와 접촉하여 해당 접촉 개소를 지점으로 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 1 측판부(110)와 제 2 측판부(130)를 만곡시켜서 제 1 협지부(150)와 제 2 협지부(160)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부착된 레일 커버(500)에 대하여, 제 1 협지부(150)와 제 2 협지부(160)가 서로 떼어놓아진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고정구를, 횡판부(120)의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에 의해 구성된 가압 수단(123)이 레일 커버(500)의 커버 슬롯(520)에 끼워넣고, 그리고 제 1 협지부(150)와 제 2 협지부(160)가 각 레일 홈(420)과 각각 맞대도록 설치하고 나서 상기의 힘을 잃으면, 제 1 협지부(150)와 제 2 협지부(160)는 그 가요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여 각 레일 홈(420)에 끼워넣어져서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레일 커버(500)를 확실히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가압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레일 커버(500)를 레일 작업면(4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가 장착 완료된 후, 제 1 제어 레버(200)와 제 2 제어 레버(300)를 본체(100)의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30)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설치 공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 커버(500)의 교체 등을 위해, 미끄럼운동 레일(400)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고정구를 분리할 때에도, 제 1 조작부(220)와 제 2 조작부(320)를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30)에 각각 장착하고 나서, 횡판부(120)의 미끄럼운동 레일(400)에 면하지 않은 제 2 벽면(1208)측에 있어서 서로 접근시키도록 힘을 가하면, 제 1 협지부(150)와 제 2 협지부(160)를 각 레일 홈(420)으로부터 각각 떼어놓아 간단하게 분리하여, 레일 커버(500)의 교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가압 수단(123)이 둔각(θ1)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어 레버(200)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에의 접촉과, 제 2 제어 레버(300)가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에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 양측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강한 구조 강도를 발휘하여, 상기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단열(斷裂)되어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협지부(150) 및 제 2 협지부(160)가 소정의 중심각(θ2)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 1 측판부(110)와 제 2 측판부(130)를 만곡시킬 때에 있어서는, 제 1 협지부(110)와 제 2 협지부(130)의 만곡 변형을 억제하여 유효하게 제 1 측판부(110)와 제 2 측판부(130)를 움직일 수 있는 동시에,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각 레일 홈(420)에 끼워넣을 때에는, 각 레일 홈(420)의 벽면에 대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각 블록벽(170)은, 본체(100)가 미끄럼운동 레일(4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선단 및 레일 커버(500)의 단부 가장자리를 보호하고, 또한 작업 시에 레일 커버(500)의 해당 단부 가장자리가 부상하여 작업원에 상처를 입히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과 도 8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횡판부(120a)의 변화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그 횡판부의 변화예와 레일 커버 및 미끄럼운동 레일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그 횡판부의 변화예가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시점의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의 형태와 공통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변화예에 있어서, 횡판부(120a)는,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을 연결하고, 또한 제 1 평판 영역(1241) 및 제 2 평판 영역(1242)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접촉 영역(125)을 추가로 갖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변화예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123a)은, 제 1 경사 연신 영역(1261)과 제 2 경사 연신 영역(1262)과 접촉 영역(1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예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125)은, 제 1 단부 가장자리(1201)와 제 2 단부 가장자리(1202)의 어느 것에도 면하지 않는 제 4 단부 가장자리(1204)를 갖고, 횡판부(120)는, 이 제 4 단부 가장자리(1204)로부터 상기 일면측, 즉 제 1 벽면(1207)측으로 커브 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신하는 후크(127)를 추가로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가압 수단(123a)으로서의 접촉 영역(125)으로 레일 작업면(410)에 가압하면서, 그리고 후크(127)를 레일 커버(500a)에 있어서 작게 형성된 커버 슬롯(520a)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레일 커버(500a)를 안정하게 레일 작업면(4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정구는, 가요성을 가지는 1장의 판재에 의해, 레일 커버(500)를 미끄럼운동 레일(400)의 레일 작업면(410)에 가압할 수 있는 횡판부(120), 및 2개의 레일 홈(420)에 각각 끼워넣어질 수 있는 제 1 협지부(150) 및 제 2 협지부(160)를 갖도록 형성되는 본체(100)와, 해당 본체(100)의 가요성에 의한 만곡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3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320)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미끄럼운동 레일(400)에 대한 부착·분리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정구는 장착과 분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레일 커버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공정 전체의 효율의 상승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100 : 본체 110 : 제 1 측판부
114 : 제 1 끼워맞춤 홈 120, 120a : 횡판부
1201 : 제 1 단부 가장자리 1202 : 제 2 단부 가장자리
1203 : 제 3 단부 가장자리 1204 : 제 4 단부 가장자리
1207 : 제 1 벽면 1208 : 제 2 벽면
123, 123a : 가압 수단 1241 : 제 1 평판 영역
1242 : 제 2 평판 영역 125 ; 접촉 영역
1261 : 제 1 경사 연신 영역 1262 : 제 2 경사 연신 영역
127 : 후크 130 : 제 2 측판부
134 : 제 2 끼워맞춤 홈 150 : 제 1 협지부
156 : 제 1 피봇 영역 157 : 제 1 끼워맞춤 영역
160 : 제 2 협지부 166 : 제 2 피봇 영역
167 : 제 2 끼워맞춤 영역 170 : 블록벽
200 : 제 1 제어 레버 210 : 제 1 피봇부
220 : 제 1 조작부 230 : 제 1 연신부
300 : 제 2 제어 레버 310 : 제 2 피봇부
320 : 제 2 조작부 330 : 제 2 연신부
400 : 미끄럼운동 레일 410 : 레일 작업면
420 : 레일 홈 500 : 레일 커버
520, 520a : 커버 슬롯 L : 연신 방향
θ1 : 둔각 θ2 : 중심각

Claims (9)

  1. 소정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는 레일 작업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레일 작업면의 상기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2개의 레일 홈이 각각 상기 연신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오목하게 마련된 미끄럼운동 레일의 상기 레일 작업면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 커버를 상기 레일 작업면에 가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판 형상의 일면측에 가압 수단을 갖는 횡판부와,
    상기 횡판부의 일측에 있는 제 1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판부와,
    상기 횡판부의 상기 일측과는 상기 가압 수단을 거쳐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되는 제 2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제 2 측판부와,
    상기 제 1 측판부의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1 협지부와,
    상기 제 2 측판부의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신하는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2 협지부를 갖고, 또한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 1 협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 1 피봇부와,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연신하고, 또한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상기 횡판부보다 상기 제 1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 1 연신부와,
    상기 제 1 연신부의 선단에 있는 제 1 조작부를 갖는 제 1 제어 레버와,
    상기 제 2 협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 2 피봇부와,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연신하고, 또한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선단이 상기 횡판부보다 상기 제 2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 2 연신부와,
    상기 제 2 연신부의 선단에 있는 제 2 조작부를 갖는 제 2 제어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횡판부가 갖는 상기 가압 수단이 상기 레일 커버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 1 협지부와 상기 제 2 협지부가 상기 2개의 레일 홈에 각각 끼워넣어지도록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되면, 상기 레일 커버를 상기 레일 작업면에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장착될 때, 상기 제 1 제어 레버와 상기 제 2 제어 레버 각각의 상기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2 조작부를 상기 횡판부의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에 면하지 않는 측에서 서로 접근시키면, 상기 제 1 제어 레버의 상기 제 1 측판부 또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의 접촉, 및 상기 제 2 제어 레버의 상기 제 2 측판부 또는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협지부와 상기 제 2 협지부를 상기 레일 홈으로부터 떼어놓아 상기 미끄럼운동 레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횡판부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에 직교하는 제 3 단부 가장자리를 추가로 갖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3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횡판부와 직교하고 상기 일면측으로 연신하는 블록벽을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판부는,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 1 평판 영역과,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평판 영역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제 2 평판 영역과,
    상기 제 1 평판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측 및 상기 일면측으로 편향되도록 비스듬하게 연신하는 제 1 경사 연신 영역과,
    상기 제 2 평판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측 및 상기 일면측으로 편향되도록 비스듬하게 연신하는 제 2 경사 연신 영역을 갖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 1 경사 연신 영역과 상기 제 2 경사 연신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경사 연신 영역이 연신하는 방향과, 상기 제 2 경사 연신 영역이 연신하는 방향은 둔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판부는, 상기 제 1 경사 연신 영역과 상기 제 2 경사 연신 영역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 1 평판 영역 및 상기 제 2 평판 영역과 평행하게 있는 접촉 영역을 추가로 갖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 1 경사 연신 영역과 상기 제 2 경사 연신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횡판부의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제 1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단부 가장자리의 어느 것에도 면하지 않는 제 4 단부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횡판부는 상기 제 4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면측으로 커브 형상으로 만곡되어 연신하는 후크를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지부는 상기 판재에 의해 상기 제 2 측판부측으로 돌기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협지부는 상기 판재에 의해 상기 제 1 측판부측으로 돌기되도록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지부는,
    상기 제 1 측판부로부터 상기 제 2 측판부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레일 홈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1 끼워맞춤 영역과,
    상기 제 1 끼워맞춤 영역의 상기 제 2 측판부측에 면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측판부측으로 되접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1 피봇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 레버의 상기 제 1 피봇부는 원통 형상의 상기 제 1 피봇 영역 내에 삽입되어 피봇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협지부는,
    상기 제 2 측판부로부터 상기 제 1 측판부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레일 홈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 2 끼워맞춤 영역과,
    상기 제 2 끼워맞춤 영역의 상기 제 1 측판부측에 면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측판부측으로 되접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제 2 피봇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제어 레버의 상기 제 2 피봇부는 원통 형상의 상기 제 2 피봇 영역 내에 삽입되어 피봇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지부의 상기 제 1 끼워맞춤 영역 및 상기 제 2 협지부의 상기 제 2 끼워맞춤 영역은 90°~180°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부에는, 상기 제 1 제어 레버의 상기 제 1 연신부가 상기 제 1 피봇부의 회동에 따라서 끼워넣어질 수 있는 제 1 끼워맞춤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끼워맞춤 홈의 내주연에서 상기 제 1 연신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측판부에는, 상기 제 2 제어 레버의 상기 제 2 연신부가 상기 제 2 피봇부의 회동에 따라서 끼워넣어질 수 있는 제 2 끼워맞춤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끼워맞춤 홈의 내주연에서 상기 제 2 연신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KR1020170032584A 2017-03-15 2017-03-15 고정구 KR10193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84A KR101935137B1 (ko) 2017-03-15 2017-03-15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84A KR101935137B1 (ko) 2017-03-15 2017-03-15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72A KR20180105472A (ko) 2018-09-28
KR101935137B1 true KR101935137B1 (ko) 2019-01-03

Family

ID=6372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584A KR101935137B1 (ko) 2017-03-15 2017-03-15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917A (ja) * 2000-10-05 2002-06-07 Rexroth Star Gmbh リニアガイド装置
JP2008169962A (ja) * 2007-01-15 2008-07-24 Nsk Ltd リニアガイドのスライダ抜け止め用ストッパー
JP2010100026A (ja) * 2008-10-27 2010-05-06 Hiroko Watanabe ダブル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917A (ja) * 2000-10-05 2002-06-07 Rexroth Star Gmbh リニアガイド装置
JP2008169962A (ja) * 2007-01-15 2008-07-24 Nsk Ltd リニアガイドのスライダ抜け止め用ストッパー
JP2010100026A (ja) * 2008-10-27 2010-05-06 Hiroko Watanabe ダブル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72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0518A1 (en) Carrying apparatus used for memory storage unit
US8689407B2 (en) Hose clamp
TW201813483A (zh) 托架裝置
US11628580B2 (en) Dual double-edge razor
KR20140111976A (ko) 체결 방법 및 장치
KR102341552B1 (ko)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KR101935137B1 (ko) 고정구
JP2005287573A (ja) 布挟持用クリップ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CN210660876U (zh) 连接件以及照明设备
US10178929B2 (en) Removable washer
JP5657995B2 (ja) コードアジャスター
KR20120004255U (ko) 커넥터클립
JP2011030822A (ja) ケーブル挟み込み防止装置
JP2020198670A5 (ko)
CN108214341B (zh) 覆盖带固定装置
KR101616976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KR200142619Y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간
CN210326500U (zh) 快速组装装置
JP2007085576A (ja) フィルタ取付構造体
JP2021139424A (ja) プーリーベルトの着脱治具
JP5589104B2 (ja) 竪樋取付具
JPH0521485Y2 (ko)
TWI605206B (zh) Cover strap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