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976B1 -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976B1
KR101616976B1 KR1020140192904A KR20140192904A KR101616976B1 KR 101616976 B1 KR101616976 B1 KR 101616976B1 KR 1020140192904 A KR1020140192904 A KR 1020140192904A KR 20140192904 A KR20140192904 A KR 20140192904A KR 101616976 B1 KR101616976 B1 KR 10161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seat back
back frame
fixing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기
이명수
황인창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4019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장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와이어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날개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호 결합될 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압입구로 이루어진 압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 압입구의 각각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탄성편 및,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측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날개부 보다 더 길고 상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적은 폭을 갖도록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클립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가 시트백 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wire insert clip of seat back fram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장착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트백 프레임에 럼버 서포트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의 내부에는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된 럼버 서포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럼버 서포트는 탑승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를 조정하는 조정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럼버 서포트는 장시간의 주행시 탑승자의 피로경감을 목적으로 탑승자의 요추지지력을 가변하는 기구이다.
럼버 서포트는 고정횡바에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한 후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고정횡바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으로 장착할 경우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실용공개 제2000-16967호에는 서포트 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일체로 절취 변형시킨 후 클립을 형성하여 고정바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결착수단(140)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결착수단(140)은 서포트플레이트(113)의 상, 하 양측으로 결착판(141)이 취부되고, 이 결착판(141)으로부터 절취되어 그 사이로 틈새를 갖도록 벌어지는 결착클립(142)이 절개 형성되며, 결착판(141)의 중앙부로는 연결홈(144)이 구비된 연결판(143)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절곡 형성된다.
즉, 고정횡바(131)에 실질적으로 끼워져 럼버서포트(100)를 고정시키는 결착수단(140)의 구성은 결착판(141)과 결착클립(142)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착판(141)은 탄성과 강성이 양호한 판스프링재로 편평한 직사각형상의 일정두께로 펼쳐져 서포트플레이트(113)의 상, 하 양측으로 각각 취부수단(147)에 의해 취부되고, 이 결착판(141)으로부터 양측에는 결착클립(142)이 틈새를 갖도록 벌어지게 절곡 성형된다.
이때, 결착판(141)으로부터 벌어지는 결착클립(142)의 간격은 적어도 고정횡바(131)의 두께와 같거나 적은 틈새를 갖도록 형성하는데, 결착클립(142)은 결착판(141) 사이에서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결착판(141)과 결착클립(142) 사이에 고정횡바(131)가 끼워지면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럼버서포트(100) 자체가 고정횡바(13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결착장치는 탄성과 강성이 양호한 판스프링재로 편평한 직사각형상의 일정두께로 펼쳐져 서포트플레이트의 상, 하 양측으로 각각 취부수단에 의해 취부되고, 이 결착판으로부터 양측에는 결착클립이 틈새를 갖도록 벌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있으므로, 고정횡바에 장착된 후 지지높이조절수단을 통하여 만곡시킬 경우 결착수단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횡바에 대하여 직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결착수단이 일측으로 만곡되는 서포트부재의 가변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결착수단의 직접적인 파손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결착수단과 서포트부재를 결합하는 취부수단의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차량의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럼버 서포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럼버 서포트의 고정와이어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결합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장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와이어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날개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호 결합될 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압입구로 이루어진 압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 압입구의 각각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탄성편 및,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측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날개부 보다 더 길고 상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적은 폭을 갖도록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클립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가 시트백 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압입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요철홈이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럼버 서포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럼버 서포트의 고정와이어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결합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럼버 서포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럼버 서포트의 결착수단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압입구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태도.
도 7은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삽입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압입구가 삽입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태도, 도 7은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삽입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100)은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고정부(110),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 압입구(120), 제1 및 제2 탄성편(126, 128),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130, 132)로 구성된다.
와이어고정부(110)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럼버서포트(1)의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고정홀(110a)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요철홈(112a, 114a)이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홀(110a)과 고정홀(110a)에 삽입된 와이어(2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는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는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클립(100)이 고정될 때 시트백 프레임(10)에 클립(100)이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시트백 프레임(10)에 인가한다.
압입구(120)는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가 상호 결합될 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압입구(122, 1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압입구(122, 124)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3)가 결합되는 걸림홈(125)이 형성되는데, 이는 제1 압입구(122)와 제2 압입구(124)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분리되지 않게 한다.
제1 및 제2 탄성편(126, 128)은 제1 및 제2 압입구(122, 124)의 각각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122a, 124a)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탄성편(126, 128)은 압입구(120)가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삽입되었을 때 시트백 프레임(1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클립(100)이 삽입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130, 132)는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로부터 등 거리 이격되게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의 외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130, 132)는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클립(100)이 고정될 때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와 더불어 추가적인 탄성력을 시트백 프레임(10)에 인가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홈부(14)에 삽입홀(12)이 형성된 경우에 클립(1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130, 132)가 제1 및 제2 날개부(116, 118)를 대신하여 시트백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클립(100)이 고정될 때 시트백 프레임(10)에 클립(100)이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시트백 프레임(10)에 인가한다.
이와 더불어,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130, 132)가 홈부(14)를 덮개됨으로써 홈부(14)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에 의하면, 차량의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럼버 서포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럼버 서포트의 고정와이어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결합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와이어고정부
110a; 고정홀
112; 제1 고정부
114; 제2 고정부
112a, 114a; 요철홈
116; 제1 날개부
118; 제2 날개부
120; 압입구
122; 제1 압입구
124; 제2 압입구
123; 걸림돌기
125; 걸림홈
126; 제1 탄성편
128; 제2 탄성편
130; 제1 보조 날개부
132; 제2 보조 날개부

Claims (4)

  1. 차량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장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와이어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날개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호 결합될 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압입구로 이루어진 압입구;
    상기 제1 및 제2 압입구의 각각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탄성편; 및,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의 단부보다 높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와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날개부와 제1 및 제2 보조 날개부가 모두 탄성 변형되어 시트백 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입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요철홈이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4. 삭제
KR1020140192904A 2014-12-30 2014-12-30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KR10161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04A KR10161697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04A KR10161697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976B1 true KR101616976B1 (ko) 2016-04-29

Family

ID=5591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04A KR10161697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9604A1 (fr) 2016-10-13 2018-04-19 Psa Automobiles Sa Piece de fixation pour vehic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112U (ko) * 1987-01-29 1988-08-02
JPH0671711U (ja) * 1993-03-16 1994-10-07 日新製鋼株式会社 装飾板
JP2006112546A (ja) * 2004-10-15 2006-04-2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KR100993523B1 (ko) * 2008-08-04 2010-11-10 (주)디에스시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112U (ko) * 1987-01-29 1988-08-02
JPH0671711U (ja) * 1993-03-16 1994-10-07 日新製鋼株式会社 装飾板
JP2006112546A (ja) * 2004-10-15 2006-04-2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KR100993523B1 (ko) * 2008-08-04 2010-11-10 (주)디에스시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9604A1 (fr) 2016-10-13 2018-04-19 Psa Automobiles Sa Piece de fixation pour vehicule
FR3057506A1 (fr) * 2016-10-13 2018-04-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iece de fixation pour vehic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8202B2 (en) Clip
US9505329B2 (en) 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KR101447630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US20100219313A1 (en) Clips
US10227025B2 (en) Resin cover and vehicle seat having resin cover
US10077790B2 (en) Spring clip with three cantilevered bars and integral 4-way locator
JP2017013557A (ja) バッテリートレー構造
KR101616976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CN106467145B (zh) 部件组件及相关的车辆导流板组件
EP3219551B1 (en) Vehicle-mounted-camera bracket
JP6108305B2 (ja) 野縁取付金具、および野縁の取付け方法
US10486619B2 (en) Connection assemblies in a vehicle
JP6805591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KR101527965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US8596971B2 (en) Fan module
KR102261764B1 (ko) 다단 결합형 차량용 고정구
JP2008174072A (ja) 車載周辺監視機の取付ブラケット
KR20190059585A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EP2899078B1 (en) Multifunctional windshield wiper connection structure
KR101403858B1 (ko) 차량용 그로밋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JP5509134B2 (ja) 車両用グリル
KR102436275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마운팅 클립
KR200449082Y1 (ko) 차량의 엠블럼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