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700B1 - 염 혼합물 - Google Patents

염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700B1
KR101933700B1 KR1020177004187A KR20177004187A KR101933700B1 KR 101933700 B1 KR101933700 B1 KR 101933700B1 KR 1020177004187 A KR1020177004187 A KR 1020177004187A KR 20177004187 A KR20177004187 A KR 20177004187A KR 101933700 B1 KR101933700 B1 KR 10193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salt mixture
transfer process
energy storag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752A (ko
Inventor
파스칼 하일만
에드윈 루버스
스티븐 데 위스플라어
마티아스 우에블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3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60/0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 F24S60/1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using latent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0Liquid materials
    • C09K5/12Molten materials, i.e. materials solid at room temperature, e.g. metals or sa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60/0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28D2020/0047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using molten salts or liquid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2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using renewable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집광형 태양열 전력(CSP;concentrated solar power) 플랜트(plant)들 내에서, 열 에너지(energy)의 저장을 위해 그리고 열 전달 유체로서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및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을 특정 비율들로 포함하는 무기 질산염(nitrate salt)들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지상의 헬리오스탯 미러 기하학적 구조들을 사용하는 포인트-포커싱 수신기형 전력 타워들을 갖는 열역학 태양열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넓은 범위의 온도들에서 열 교환들을 수반하는 산업 프로세스들에 대한 다수의 응용들에서 열 전달 유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질산칼륨 KNO3 및 질산나트륨 NaNO3을 포함하는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KNO3 함량은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63 중량% 내지 70 중량%,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내지 68 중량%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염 혼합물{SALT MIXTURE}
본 발명은, 예컨대, 집광형 태양열 전력(CSP;concentrated solar power) 플랜트(plant)들 내에서, 열 에너지(energy)의 저장을 위해 그리고 열 전달 유체로서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및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을 특정 비율들로 포함하는 무기 질산염(nitrate salt)들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지상의 헬리오스탯 미러(heliostat mirror) 기하학적 구조들을 사용하는 포인트-포커싱(point-focusing) 수신기형 전력 타워(tower)들을 갖는 열역학 태양열 시스템(system)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넓은 범위의 온도들에서 열 교환들을 수반하는 산업 프로세스(process)들에 대한 다수의 응용들에서 열 전달 유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태양열 전력 타워들로부터의 재생가능한 에너지는 다가오는 수십 년 동안 에너지 요구의 상당한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형태의 무배출 집광형 태양열 전력(CSP;concentrating solar power)은 다수의 소위 헬리오스탯(heliostat)들, 즉, 반사에 의한 입사 태양 광선들을 인근의 태양열 타워의 맨 상부에 위치된 스팟(spot) 상에 포커싱하는(focus) 태양 추적 평면 미러(mirror) 기하학적 구조들을 활용한다. 이러한 소위 수신기는, 한정된 열 전달 유체가 높은 벌크(bulk) 온도들, 일반적으로 대략 565 ℃까지 가열되는 매우 정교한 어셈블리(assembly)이다. 이후, 뜨거운 열 전달 유체는, 삼단 프로세스를 통해 이코노마이저(economizer), 증발기 및 과열기 섹션(section)에 의해 급수가 기화되는 일상적인 물/스팀 사이클(steam cycle)의 열 교환기로 펌핑된다(pumped). 이후, 발전기에 의하여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 스팀은 터빈(turbine)을 통해 피딩된다(fed). 이후, 공급 에너지가 전기 전력 그리드(grid)에 피딩된다.
태양의 부재시(예컨대, 밤에, 그늘이 드리워진 기간들 또는 오래 계속되는 나쁜 날씨 기간들 동안에) 전기를 또한 생산할 수 있기 위하여, 열 전달 유체는 전력 타워의 수신기 시스템(system)에서 열을 하베스팅하기(harvest) 위해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열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뜨거운 열 전달 유체의 대부분이 대형 탱크(tank)들에 저장된다. 화창한 기간들 동안에 그렇게 함으로써, 열 저장 시스템은, 이후 뜨거운 전달 유체를 물/스팀-사이클에 피딩(feeding)함으로써 추후 디스패치(dispatch)를 위해 열로 차징된다(charged). 이 셋업(setup)은 다이렉트(direct) 2-탱크 CSP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다.
열 전달 유체가 매일의 사이클들에서 대략 565 ℃의 온도들까지 가열되고 있기 때문에, 매체는 통상적인 30년 수명 동안의 연속적인 동작을 위해 열 안정성, 비열 용량, 동점성, 열 전도율, 증기압 및 비용과 같은 몇몇 요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선행 기술의 다이렉트 2-탱크 CSP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열 전달 유체 및 열 에너지 저장 매체로서, 융해된(molten) 염 혼합물들을 사용한다. 천일염(Solar Salt)으로 종종 지칭되는 잘 알려진 염 혼합물은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NaNO3) 및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KNO3)을 포함하며, 여기서 NaNO3 함량은 60 중량%이고, KNO3 함량은 40 중량%이다. 이 혼합물은 238 ℃의 액상선 온도를 가지며, 그리고 무독성이고,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들에 대해 부식 경향이 낮으며, 염 투자 비용들이 비교적 저렴한 반면에, ~585 ℃까지의 온도들에서의 높은 열 안정성 및 대략 1.55
Figure 112018047297507-pct00001
의 커다란 비열 용량을, 300 ℃에서의 대략 3
Figure 112018047297507-pct00002
의 동점성 및 0.5
Figure 112018047297507-pct00003
의 열 전도율과 결합시킨다. 이 혼합물은 타워 CSP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열 에너지 저장 매체로서, 열 저장 능력을 갖는 알려진 파라볼릭 트로프(parabolic trough) CSP 플랜트들에서도 사용된다.
천일염은, 공기에 노출될 때, 약 600 ℃에서 아질산염(nitrite)들을 통해 알칼리(alkali) 산화물들로 비가역적으로 분해되기 시작한다. 동일한 사항이, 대략 223 ℃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공융(eutectic)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4
와 같은 다른 알려진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5
혼합물들에 대해 적용된다.
훨씬 더 높은 최대 온도들을 견딜 수 있는 유체들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전체 시스템의 카르노(Carnot) 효율성이 사이클의 최대 온도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유망한 부류의 유체들은 적절한 공융 컴포지션(composition)의 리튬(lithium), 나트륨(sodium), 칼륨(potassium), 세슘(caesium) 및/또는 스트론튬(strontium)의 염화물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유체들은 약 250 ℃의 온도들에서 액화되며, 최대 700 ℃의 온도들에서는 그리고 위의 일부 경우들에서는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유체들은 몇몇 단점들을 갖는다. LiCl 또는 CsCl과 같은 성분들은 값비싸거나, 또는 더 많은 양들로는 심지어 이용가능하지 않다. 또한, 염화물들은, 부식과 크로뮴(chromium) 고갈 및 그에 동반되는 액체 염화물 공격을 다루기 위해 값비싼 스테인리스강들을 요구한다. 탱크 시스템은 어떠한 물과도 접촉하게 되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수분과 접촉할 때 부식 경향이 엄청나게 가속되어, 과열될 때 위험한 기체 염화수소(hydrogen chloride)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염화물들을 함유하는 염 혼합물들을 사용할 때의 단점들은 장점들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으로 NaNO3 및 KNO3의 잘 알려진 60/40 혼합물보다 더 높은 온도들을 견딜 수 있는 염 혼합물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염 혼합물들에서의 염화물들의 사용에 따라오는 단점들을 회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질산칼륨 KNO3 및 질산나트륨 NaNO3을 포함하는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KNO3 함량은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63 중량% 내지 70 중량%,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내지 68 중량%의 범위에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KNO3 함량은 66.6 중량%이며, NaNO3 함량은 33.4 중량%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저장하기 위한 염 혼합물의 사용; 열 전달 및/또는 열 에너지 저장 유체; 열 전달 프로세스; 및 집광형 태양열 전력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염 혼합물은 잘 알려진 천일염과 동일한 저렴한 성분들, 즉, 질산나트륨 및 질산칼륨을 사용하며, 그러므로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염 혼합물은 거의 동일한 열물리 특성들(녹는점, 비열 용량, 열 전도율 및 동점성)을 갖지만, 어떠한 분해도 없이 또는 최소 분해로, 최대 640 ℃의 온도들(필름(film) 온도)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마진(margin)을 허용하여, 최대 시스템 온도는 620 ℃ 필름 온도로 증가될 수 있다. 저장 온도는 585 ℃ 벌크(bulk) 온도로 증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565 ℃ 벌크 온도 및 600 ℃ 최대 필름 온도에서 동작하는 선행 기술과 대조적으로, 열 에너지 전달 및 열 에너지 저장 둘 모두에 대해, 잉여의 20 켈빈(Kelvin)이 얻어진다.
유리하게, 선행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실질적으로 감소된, 거의 절반의 NaNO3 함량을 나타내며, 그러므로 고온들에서, 특히, 높은 가열 속도(rate)들이 적용될 때, 현저히 더욱 안정적이다. 이는, NaNO3 및 KNO3 중에서, NaNO3가 덜 안정적인 화합물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6
로서 표현되는 질산염/아질산염(nitrate/nitrite) 평형은 더 높은 온도들에서 NO2-에 유리하게 시프트(shift)한다. 더 높은 가열 속도들은 비-평형 조건들로 인해 혼합물의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 및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비-제한적 예들로서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천일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융해(melting) 및 응고 동작을 도시한다.
도 2는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plotted)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비밀도(specific density)를 도시한다.
도 3은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동점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열 전도율을 도시한다.
도 5는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비열 용량을 도시한다.
도 6은 천일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핵심 특징들을 표 형태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60 중량%의 KNO3 함량을 갖는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7
이성분계의 KN03-풍부 제제(formulation)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KNO3 함량은 66.6 중량%이며, NaNO3 함량은 33.4 중량%이다. 바람직한 비율에서 일탈하는 것에 대한 기술적 또는 다른 이유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일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완전히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컨대, 어느 한 쪽 성분인 NaNO3 또는 KNO3의 제조 프로세스의 각각의 단계에서 불완전들이 있을 수 있으며, 두 개의 고체 성분들을 혼합할 때 추가적인 불완전들이 있을 수 있다. 성분들은 또한, 예컨대, 사용되는 미가공 재료들의 품질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 불순할 수 있다. 그러한 불완전들 또는 불순물들이 혼합물의 약간 감소된 성능을 유도할 수 있지만, 이 혼합물은, 불완전한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며 감소된 성능을 수용하는데 더 적은 전체 비용을 여전히 감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위해, N이 ±n만큼 일탈할 수 있으며 M이 ±m만큼 일탈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N% NaNO3 및 M% KNO3 혼합물의 이원 염 혼합물은 본질적으로 N% NaN03와 M% KN03의 혼합물을 의미할 것이며, 여기서 n 및 m은 전술된 불순물들 및 불완전들을 표현한다. 실제 응용들에서, 예컨대, 불순물들의 존재로 인해, N + M이 항상 100%일 수 없음을 주목하라.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66.6 중량%의 KNO3 함량 및 33.4 중량%의 NaNO3 함량을 갖는 혼합물의 융해 및 응고 동작이 도시된다(대시 라인(dashed line)). 또한, 도 1에서는, 40 중량%의 KNO3 함량 및 60 중량%의 NaNO3 함량을 갖는 천일염의 융해 및 응고 동작이 도시된다(실선). 혼합물들 둘 모두가 거의 동일한 온도(각각, 225.5 ℃ 및 226 ℃)에서 융해 및 응고되며, 이는 중요한 사실인데, 그 이유는 이 사실이 기존 시스템들을 신규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레트로피팅(retrofitting)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하게, 신규한 혼합물은 천일염과 비교하여 20% 더 낮은 융해열을 갖는데, 이는 고체로부터 액체로의 상 변화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 더 적은 에너지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비밀도가 도시된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규한 혼합물의 비밀도는 거의 선형으로 감소한다.
이제, 도 3를 참조하면,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동점성이 도시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점성은 비선형 방식으로 감소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열 전도율이 도시된다. 상세하게는, 열 전도율은 온도에 따라 약간 증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도에 대해 플롯팅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비열 용량이 도시된다. 비열 용량은 또한, 온도에 따라 약간 증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천일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일부 핵심 특징들이 도시된다. 특히, 신규한 혼합물의 비열 용량은 천일염의 비열 용량보다 약 4% 더 낮으며, 이는 축적된 엔탈피(enthalpy) 면에서, 임의의 주어진 양의 천일염을 대체하기 위해 약 4% 더 많은 신규한 혼합물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신규한 혼합물은 620 ℃ 또는 그 초과의 필름 온도들에서, 아질산염들로의 더욱 바람직한(즉, 더 낮은) 분해 경향을 갖는다. CSP 시스템의 수신기 유닛(unit)에서 20-30 바(bar) 또는 그 초과의 펌프(pump) 압력들을 가함으로써, 이러한 경향은 추가로 줄어들 수 있다.
신규한 혼합물의 열물리 특성들을 활용하여, 정상-상태 조건들 동안에 최대 동작 온도에서 여분의 20 켈빈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벌크 온도로서 585 ℃로 열 안정성 제한치를 향상시킨다. 또한, 대기압에서 저장 탱크들을 공기 또는 순산소로 커버링(covering) 및/또는 버블링(bubbling)하는 것은, 데이-차지(day-charge) 동안에 혼합물을 상기 585 ℃ 벌크 온도로(일부 실시예들에서 575 ℃ 내지 595 ℃ 범위의 벌크 온도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580 ℃ 내지 590 ℃ 범위의 벌크 온도로,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583 ℃ 내지 587 ℃의 벌크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아질산염 형성 속도를 크게 감소시킨다. 시스템의 열 저장 능력은, 본 발명을 사용하여 향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증가된 동작 온도 범위 때문에 더 적은 염(salt)이 요구되어, 따라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영향이 얼마간 보상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력 타워 수신기에서 대략 620-640 ℃ 필름 온도로의, 용융된 염 제제의 궁극적 가열 단계가 매우 짧은 시간 동안의 급격한 온도 과도(높은 가열 속도에 대응함)에 의해 구현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열 비-평형 절차는 매우 짧은 시간 프레임(frame)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더 높은 필름 온도들까지의 향상된 가열을 허용한다. 펌프 압력들을 가하고 그리고/또는 가압된 공기 및/또는 산소로 커버링하는 것으로, 질산염 분해의 평형 조건(위의 화학 방정식 (1) 참조)에 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열적 열화가 제한되거나 또는 심지어 회피될 수 있다.
방정식 (1)에 의해 표현되는 화학 반응의 평형 상수(K)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8
여기서,
Figure 112017015531210-pct00009
은 산소 압력을 표현하며, K는
Figure 112017015531210-pct00010
단위들로 표현된다. 대략 동일한 몰 몫(molar portion)들의 KNO3 및 NaN03로 구성된 공융 혼합물의 경우, K는 600 ℃에서 18..20
Figure 112017015531210-pct00011
이다.
분명히, 최대 허용가능 벌크 온도 및 필름 온도의 증가는 시스템의 카르노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는 동등한 양의 출력 전력을 생성하여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염의 양의 감소를 야기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물은 또한, 이 혼합물의 감소된 NaNO3 함량으로 인해, 명백한 융해열의 20% 감소를 나타내지만, 도 6을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4% 더 낮은 비열 용량을 가지며, 이에 대한 영향들은 증가된 온도 범위에 의해 얼마간 보상된다. 결과적으로, 천일염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이 사용될 때, 맨 처음의 용융(melt-up) 절차(즉, 저장 탱크들에서 처음으로, 용융된 염을 준비하는 단계)는 대략 16.5% 더 적은 천연 가스(gas)를 소비한다.
하기의 예를 고려하라:
대략 100 kJ/kg(27.8 kWh/톤(ton)과 동등함)의 융해열을 갖는 전통적인 천일염을 사용하는, 1300 MWh (열) 에너지 저장 용량(대략 40%의 전력 블록(block) 순효율로, 50 MW (전기) 출력에서의 8시간의 열 저장에 대응함)을 갖는 CSP 플랜트는 대략 11415 메트릭 톤(metric ton)의 염을 요구할 것이다.
대략 80 J/g(22.2 kWh/톤과 동등함)의 융해열을 갖는 본 발명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동일한 치수들의 CSP 플랜트의 경우, 대략 11917 메트릭 톤의 염 혼합물이 요구될 것이다(이 염 혼합물의 4% 감소된 비열 용량에 기인함). 부가적으로, 돌발적인 프리즈 업(freeze-up)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천일염보다 더욱 신속하고 더욱 쉽게 액화될 것이다.

Claims (18)

  1. 열 전달 프로세스(process)로서,
    상기 열 전달 프로세스는,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anhydrous, binary salt mixture)을 포함하는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염 혼합물은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KNO3) 및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NaNO3)을 포함하고, 질산나트륨(KNO3) 함량이 65 중량% 내지 68 중량%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열 전달 프로세스는 250 ℃ 내지 640 ℃의 온도 범위 ―구간 경계들을 포함함― 에서 동작하고,
    상기 염 혼합물은 620 ℃ 내지 640 ℃ 범위 ―구간 경계들을 포함함― 의 필름 온도까지 가열되며, 300 ℃로부터 640 ℃로의 가열 램프(ramp)는 비-평형 조건들 동안에 500-1100 K/min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열 전달 프로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프로세스는 575 ℃ 이상의 벌크(bulk) 온도 및 620 ℃ 이상의 필름(film) 온도에서 동작하는,
    열 전달 프로세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프로세스는 585 ℃ 이상의 벌크 온도 및 620 ℃ 이상의 필름 온도에서 동작하는,
    열 전달 프로세스.
  4.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펌프(pump) 압력, 가해지는 공기, 및 순산소 기체상 압력 중에서 하나 이상이 1-40 바의 범위에 있는,
    열 전달 프로세스.
  5.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로서,
    상기 염 혼합물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열 전달 프로세스에서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질산칼륨(KNO3) 함량은 66.6 중량%이며, 질산나트륨(NaNO3) 함량은 33.4 중량%인,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액상선 온도(liquidus temperature)가 235 ℃ 내지 250 ℃의 범위에 있는,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융해열(heat of fusion)은 100 J/g 미만인,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9. 제 5 항에 있어서,
    평형 조건들에서, 600 ℃에서의 평형 상수(K)는 20
    Figure 112018047297507-pct00019
    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인,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중량 손실이 635 ℃의 온도들에 대한 초기 중량에 대하여 3%보다 더 낮은,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
  11.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로서,
    제 1 항에 따른 열 전달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무수의 이원 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
  12. 집광형 태양열 전력 플랜트로서,
    적어도, 제 11 항에 따른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가 흐르는 수신 파이프(pipe), 및 적어도, 제 11 항에 따른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가 축적되는 집합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하는,
    집광형 태양열 전력 플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축적된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는 575 ℃ 내지 595 ℃의 범위 ―구간 경계들을 포함함― 의 벌크 온도까지 가열되며, 물/스팀-사이클(weter/steam-cycle) 열 교환기로의 추후의 디스패치(later dispatch)를 위해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들에서 상기 집합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집광형 태양열 전력 플랜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축적된 열 전달 및 열에너지 저장 유체는 585 ℃의 벌크 온도까지 가열되며, 물/스팀-사이클 열 교환기로의 추후의 디스패치를 위해 정상-상태 조건들에서 상기 집합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집광형 태양열 전력 플랜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7004187A 2014-07-16 2015-05-20 염 혼합물 KR101933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7276.4 2014-07-16
EP14177276.4A EP2975099A1 (en) 2014-07-16 2014-07-16 Salt mixture
PCT/EP2015/061159 WO2016008617A1 (en) 2014-07-16 2015-05-20 Salt mix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752A KR20170031752A (ko) 2017-03-21
KR101933700B1 true KR101933700B1 (ko) 2018-12-28

Family

ID=5121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187A KR101933700B1 (ko) 2014-07-16 2015-05-20 염 혼합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158931A1 (ko)
EP (2) EP2975099A1 (ko)
JP (1) JP6483234B2 (ko)
KR (1) KR101933700B1 (ko)
CN (1) CN106795424B (ko)
ES (1) ES2903407T3 (ko)
PL (1) PL3143095T3 (ko)
WO (1) WO2016008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8578T3 (es) 2016-04-28 2022-05-03 Basf Se Utilización de una composición de sal de nitrato como medio portador térmico o medio de almacenamiento de calor para la primera puesta en servicio de un dispositivo que contiene esos medios
DE102018222602A1 (de) * 2018-12-20 2020-06-25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r Speicherung eines anorganischen Salzes und Speichervorrichtung
WO2020145106A1 (ja) * 2019-01-07 2020-07-16 株式会社Ihi 蒸気供給装置及び乾燥システム
KR102489230B1 (ko) * 2020-10-29 2023-01-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8760A1 (en) * 2007-10-22 2010-10-14 Deutsches Zentrum Fuer Luft- Und Raumfahrt E.V. Thermal storage device and use of multicompon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7073A (en) * 1951-08-08 1954-01-26 Ohio Thermometer Company Inc Thermometer
FR1290267A (fr) * 1961-03-01 1962-04-13 Derives De L Acetylene Soc Ind Agent d'échange thermique
US4534794A (en) * 1981-05-14 1985-08-13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alt corrosion inhibitors
US4465568A (en) * 1981-11-16 1984-08-14 Olin Corporation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KNO3 /NaNO3 salt mixture
US4430241A (en) * 1982-07-01 1984-02-07 Olin Corporation Mixed nitrate salt heat transfer medium and process for providing the same
US4421662A (en) * 1982-09-13 1983-12-20 Olin Corporation Nonaqueous purification of mixed nitrate heat transfer media
DE10231844A1 (de) * 2002-07-12 2004-01-22 Merck Patent Gmbh Mittel zur Speicherung von Wärme
CN101050355B (zh) * 2007-05-14 2010-05-19 中山大学 一种熔融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
US7588694B1 (en) * 2008-02-14 2009-09-15 Sandia Corporation Low-melting point inorganic nitrate salt heat transfer fluid
DE102011083735A1 (de) * 2011-09-29 2013-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alzgemenge als Wärmetransfer und/oder Speichermedium für solarthermische Kraftwerksanla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azu
CN102533226A (zh) * 2011-12-15 2012-07-04 中山大学 一种硝酸熔融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9133382B2 (en) * 2012-04-10 2015-09-15 Basf Se Nitrate salt compositions comprising alkali metal carbonate and their use as heat transfer medium or heat storage medium
JP2013224343A (ja) * 2012-04-19 2013-10-31 Ihi Corp 蓄熱材および蓄熱システム
CN103074040B (zh) * 2013-01-01 2016-06-01 北京工业大学 低熔点混合熔盐传热蓄热介质
CN103112876A (zh) * 2013-01-14 2013-05-22 青海盐湖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硝酸和氯化钾制备硝酸钾的方法
CN103911121B (zh) * 2013-12-26 2017-05-17 深圳市爱能森科技有限公司 二元硝酸纳米熔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
CN103881663B (zh) * 2013-02-19 2017-05-17 深圳市爱能森科技有限公司 多元硝酸纳米熔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8760A1 (en) * 2007-10-22 2010-10-14 Deutsches Zentrum Fuer Luft- Und Raumfahrt E.V. Thermal storage device and use of multicomponen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5424B (zh) 2020-11-06
EP3143095B1 (en) 2021-10-20
PL3143095T3 (pl) 2022-02-21
JP6483234B2 (ja) 2019-03-13
US20170158931A1 (en) 2017-06-08
JP2017523284A (ja) 2017-08-17
WO2016008617A1 (en) 2016-01-21
ES2903407T3 (es) 2022-04-01
EP2975099A1 (en) 2016-01-20
CN106795424A (zh) 2017-05-31
EP3143095A1 (en) 2017-03-22
KR20170031752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529B2 (en) High temperature molten salt receiver
KR101933700B1 (ko) 염 혼합물
EP2673331B1 (en) Mixture of inorganic nitrate salts
Chubb Analysis of gas dissociation solar thermal power system
JP6663101B2 (ja) 溶融塩型熱媒体、溶融塩型熱媒体の使用方法および太陽熱利用システム
Fellet et al. Research on metal hydrides revived for next-generation solutions to renewable energy storage
US20120067551A1 (en) Thermal energy storage using supercritical fluids
AU2011354220B2 (en) Heat transfer medium for solar thermal systems
KR102104877B1 (ko)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니트레이트 염 조성물 및 열 전달 매질 또는 열 저장 매질로서 이의 용도
CN103502639A (zh) 太阳热能发电设备以及用于运行太阳热能发电设备的方法
US20130264514A1 (en) Nitrate salt compositions comprising alkali metal carbonate and their use as heat transfer medium or heat storage medium
Way Storing the sun: molten salt provides highly efficient thermal storage
US20110163258A1 (en) Mixtures of alkali metal polysulfides
Bellan et al. A review on high‐temperature thermochemical heat storage: Particle reactors and materials based on solid–gas reactions
CN104583358A (zh) 改进用作传热介质或储热介质的硝酸盐组合物的方法
JP2013516531A (ja) アルカリ金属ポリスルフィドの混合物
Jabbar et al. Heat transfer fluids in parabolic trough collector (PTC): A review study
Glatzmaier et al. Supercritical CO2 as a heat transfer and power cycle fluid for CSP systems
CN105051147A (zh) 借助硝酸改进硝酸盐组合物用作传热介质或储热介质的方法
KR101897463B1 (ko) 열전달 매체 용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전달 시스템
WO2017217390A1 (ja) 溶融塩型熱媒体、溶融塩型熱媒体の使用方法および太陽熱利用システム
JP7176202B2 (ja) 組成物、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1769431B1 (ko) 열전달 매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전달 시스템
CN115785914A (zh) 一种光热发电用熔融氯盐及其预热化盐方法
AU2013320326A1 (en) Use of a calcium potassium nitrate salt for the manufacture of a heat transfer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